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0 No.2 pp.387-400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5.20.2.387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on the Parenting Stress : A Comparative Study of International Parents, Korean-American Parents Living in the America and Korean Parents Living in Korea

Min-Jung Kim1, Mi-Hee Byun
1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Guidance, HanNam University, Deajeon, 306-791 Korea
2Department of Child Welfare, Baekseok University, Cheonan 330-704, Korea

* This work was supported by 2014 Hannam University Research Fund.

Corresponding Author: Min-Jung Kim, Dept. of Child Development & Guidance, Hannam University(E-mail: mjkim@hnu.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Comparativ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on the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79 international parents, 40 Korean-American parent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and 36 Korean parents living in Korea who had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parent group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Koran parents had most parenting stress among three group and KoreanAmerican had more parenting stress than other American. Second, In case of International Parent and Korean-American parents,A sub-factor of frustration& anxiety had an effect on parenting stress.


한국과 미국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유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김민정1, 변미희

초록


    Hannam University

    Ⅰ. 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부모의 신념, 양육태도와 같은 부모의 심리적 특성은 부모가 속해 있는 사회나 문화에서 요구하고중요시 하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고그 집단의 가치체계를 반영한다. 이는 자녀의 사회화 과정에도영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녀양육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부모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그나 라의 문화를 이해해야 함을 강조한다[15]. Super와 Harkness의 연구[30]와 Chon연구[7]에서도 부모역 할및 심리적 특성은 부모가 경험한 사회문화적 배경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그런데 지금까지양 육태도, 부모유능감, 양육스트레스와 같은 부모의 심리적 특성을 다룬 국내 연구는 영아를둔 부모,맞 벌이 가족, 재혼가족, 한부모가족, 조손가족, 장애아동을둔 부모, 다문화 가족등 다양한 욕구와 특성이 있는 가족의 부모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18, 22, 24] 비교 문화적 관점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연 구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게다가 최근 우리사회 역시 다문화가정이 급증하고 있으므로, 사회적, 문화 적 요인을 고려한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부모의 심리적 특성을 다룬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유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영향을 비교함으로써 사회문화적 배경 차이에 따른 유사성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별히 한국과 미국에서 거주하는 부모를 비교하고자 하는데그 이유는 한국계-미국인 부모의 경우에는 부모역할수 행에 있어 이들이 처한 서구 사회의 문화적 가치와 이들의 가족내부의 한국적 사고방식과 가치 사이에 서 갈등과 충돌을 경험하기 때문이다[7, 16]. 구체적으로 이들은 부모-자녀관계에 대해 한국 문화와서 구문화의 가치 차이에 노출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가치 충돌을 경험하며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유발하고 이민가정의 한국계-미국인 부모양육스타일은 서구 문화 부모들에 비해더 엄격한 경향을 보이는 경향 이 있다[7,16].

    한편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의 학력과 소득, 모의 취업여부, 부모의 심리·정서적특성, 부모효능감, 자기 효능감, 부정적인 생활사건과 같은 부모 관련요인과 자녀 연령, 자녀 수, 출생 순위, 행동 특성, 장애여부, 발달수준, 기질 등과 같은 자녀 관련 요인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8, 10, 13, 18, 25, 27].본 연구에서는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양육태도와 부모유 능감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양육태도와 부모 유능감은 부모 교육및 상담을 통한 부모 역량강화가 가능하고, 이러한 부모 역량강 화는 결국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내에서 다양한 욕구와 특성을 가지고 있는 아동과 가족에 대한 양육태도, 부모유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었지만 사회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므로,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에서 거주하고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양육태도, 부모유 능감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문화적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이급증하고 있는 우리 사회가 당면할수 있는 특성을 예견하고 이를 통해 적절한 부모교육이나 개입프로그 램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것이다.

    2.연구문제

    연구문제 1. 미국거주 다국적 부모, 한국계-미국인 부모, 한국 거주 한국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유능감, 양육스트레스는 집단간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미국거주 다국적 부모, 한국계-미국인 부모, 한국 거주 한국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유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Ⅱ.문헌고찰

    1.문화와 양육스트레스

    Super와 Harkness[30]는 부모가 경험한 문화적 배경 특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부모역할과 관련한심 리적 특성들을 서로 다르게 이끄는 요인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Chon[17, 재인용]은 한국 부모와 서구문 화 배경을 지닌 부모와는 자녀양육에 방법이나 가치관, 부모역할 수행에 있어서 다른 면이 있음을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핵가족의 증가, 맞벌이 가족, 재혼가족, 한부모가족, 조손가족, 장애아동 을둔 가족, 다문화 가족등 다양한 가족이 등장하면서, 다양한 문화와 가족 특성을 가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회문화적 배경에 영향을 받는 양육스트레스의 개념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내리고 있다. 먼저 Crinic와 Booth[9, 29]는 양육스트레스란 아동의 발달행동과 관련된 부모의 개인적 성격 과 인식의 상호작용을 통해 복잡하게 만들어지는 변화과정으로 설명되고이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양육스트레스는 정상적인 생활의 일부로 인식된다고 하였다. Abidin[2, 21]은 양육스트레스를 부모역할 수행과정에서 느끼는 특정한 스트레스라고 정의하였고,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 유아의 특성, 환경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고받아 양육스트레스가 유발된다고 보았다.

    국내 연구에서 Ko[20]는 개인과 가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달, 변화해 가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경험하게 되는 가족 체계 내의 긴장과 압력으로 자녀 양육으로 인해 부모가 인지하는 곤란 정도나부담감이라고 하였다. Yu 등[31]은 자녀양육에 있어 반복되는 일상, 만성적인 경험과 자녀의 요구나 행동 으로 경험하게 되는 일상적인 스트레스라고 하였다 Ahn[3]은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와의 생활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어려움이 반복되어 어머니에게 성가심이나 짜증,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지각되는정 서로 정의하였고, Kim[17]은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역할을 수행할때 생기는 부담감으 로 시작되는 것으로, 일상스트레스가 누적되고 지속되는 것에서 생기는 스트레스라고 정의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을 종합하면, 양육스트레스는 사회문화적 배경에 영향을 받으며,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부정적인 정서와 심리적 부담감이라고할수있 다.

    2.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유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

    먼저 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양육태도의 개념을Park과 Moon[26]은 부모및 아동의주 양육자의 보편적이고 구체적인 행동으로서 아동 양육시 아동에 게 대하는 상태나 행위라고 하였고, Kim[19]은 양육태도를 부모 또는 양육자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서 보편적,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태도및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을 연구한 Lee등 [22]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간에는 역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즉 일반아동과 장애아동 부모 모두 애정적 태도, 수용적 태도, 자율적 태도, 긍정적 평가 태도 등의 양육태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느끼는 스트레스 수준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Choi[6]와 Chang[5]의 연구 에서도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부모유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면. 현재 부모유능감은 양육효능감, 양육신념, 양육확신감 등의 개념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본 논문에서는 부모유능감으로 통일하여 사용 하기로 한다. 부모유능감의 개념을 Bandura[4]는 아동의 양육과 관련된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과 자신의 역할 수행에 대한 능력을 신뢰할수 있는 정도라고 하였으며, Johnston 등[12, 14]은 부모로서 자녀를잘 양육하고 자녀와 관련된 문제에 대처능력이 있다고 지각하는 부모 자신에 대한 확신감이라 고 하였다. 이러한 부모유능감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 대하여 Moon[24]은 부모가 자신의 역할수 행을 얼마나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으로 지각하느냐에 따라 양육 스트레스및 양육행동에 차이가있 었다고 하였고, Park[25]도 비취업모의 경우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설명하는 변인이 라고 하였다. 그리고 부모유능감과 유사한 개념인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신에 대한 신념이 부족한 경우 자녀의 특성이나 사회적 특성 과 무관하게 어머니는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고할수 있다[13].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부모유능감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할수 있다.

    Ⅲ. 연구방법

    1.연구대상 및 절차

    본 연구는만 18세 이하 자녀를둔 영어가 가능한 미국거주 다국적 부모(79명), 이민 가정에서 자란이민 1.5 세대,2 세대로서 부모가된 한국계 미국인 부모및 이민 1세대로서 이민 생활 10년 이상인 한국계 미국인 부모(40명), 한국 부모(36명)등 전체 1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다국적 부모 와 한국계 미국인 부모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 부모는 서울및 수도권 거주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영문과 한국어로 제작된두 가지 유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부모들을 대상으로한설문은 영어 이해가 가능한 다국적 부모에게는 영문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한국계-미국인부 모는 영문으로 작성된 설문지와 한국어로 작성된 설문지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한국 부모에게는 한국어로 작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다국적 부모와 한국계 미국인 부모에게는 미국캘 리포니아 주에 있는 쇼핑몰, 공원, 아동 방과후 스포츠클럽등 부모들을 쉽게 접할수 있는 공공장소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설문 실시는 부모에게 먼저 구두로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 하고, 연구 참여 에 대한 사전 동의를 받은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지에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 연구결과를 추후연 구보고서에 보고할 것임을 제시하여 연구 참여 부모로 하여금 확인하도록 하였다. 한국 부모를 대상으 로한 설문은 한국 내에서 실시하였으며 백화점 또는 쇼핑몰, 패밀리 레스토랑, 커피숍 등에서 실시하 였다. 영어판 설문지와 한국어판 설문지 모두 대체로 10분~15분 정도 소요 되었다. 연구 대상자의인 구사회학적 배경은 다음 <Table 1>과 같다. 구체적으로 아버지 69명 (44.5%), 어머니 86명 (55.5%)이 참여하였고, 30대가 79명 (51%), 40대가 54명 (34.8%)으로 높게 나타났고, 대학졸업 70명 (45.2%), 대학 원 졸업이상 50명 (32.3%)으로 높게 나타났고, 맞벌이는 73명 (47.1%), 외벌이는 71명 (45.8%)으로비 슷하게 나타났으며, 자녀는 한명 65명 (41.9%), 2명 75명 (48.4%),세명 이상 15명 (9.7%)순으로 나타 났다.

    2.측정도구

    1) 양육태도

    양육태도는 Gina[11]의 연구에서 사용한 양육방법 척도(Parental Method Scale)를 사용하였다이척 도는 1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부모로 하여금 자녀에게 어떠한 양육태도를 취하는지 해당하는곳에 표시하도록 하였다.본 연구에서는 5점 척도인 것을 4점 척도로 수정하여 매우 동의하지 않는다(1), 매우 동의한다(4)에 답하도록 하였으며 부정형으로 표현된 문항은 역코딩 하였다. 점수범위는 4점~60 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엄격한 양육태도를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본 척도의 신뢰도 계수(α)는 .727로 나타났다.

    2) 부모유능감

    부모유능감은 Raymond[28]의 연구에서 사용한 부모유능감(Parental Sense of Competence: PSOC) 척도를 사용하였다[28].이 척도는 1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부모로서의 효능감(8문항), 부모로서의 좌절과 불안(6문항), 부모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3문항)의세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본연 구에서는 5점 척도인 것을 4점 척도로 수정하여 매우 그렇지 않다(1), ~매우 그렇다(4)에 답하도록하 였으며 점수범위는 17점~68점이며 부정형으로 표현된 문항은 역코딩 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그영 역에 대한 유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본 척도의 신뢰도 계수(α)는 .757로 나타났다.

    3) 양육스트레스

    양육스트레스는 Abidin[1]이 개발한 PSI(Parenting Stress Index) 35문항을 사용하였다. 한국어판양 육스트레스 설문은 Lee[23]의 연구에서 Abidin[1]이 개발한 PSI(Parenting Stress Index)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PSI는 부모가 자녀 양육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그 근원에 따라 부모의스트레스(부모영역), 부모와 자녀의 역기능적인 상호작용(부모-자녀관계 영역),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아 동영역)의 3가지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4점)’에 답하도록 하였 으며 점수범위는 35점 ~14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녀양육 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본연 구에서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 계수(α)는 .878로 나타났다.

    3. 자료분석 방법

    자료분석은 window용 SPSS/pc를 이용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빈도 분석 하였고,각 조사도구의 신뢰도 확인을 위한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두 번째로 미국 거주 다국적 부모, 한국계-미국인 부모, 한국 거주 한국 부모의 부모양육태도, 부모유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집단간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ANOVA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미국거주 다국적 부모, 한국계-미국인부 모, 한국 거주 한국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유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Ⅳ. 연구결과

    1.미국거주 다국적부모, 한국계-미국인 부모, 한국 거주 한국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유능감, 양육스트레스 집단 간 차이

    미국거주 다국적 부모, 한국계-미국인 부모, 한국 거주 한국 부모의 부모양육태도, 부모 유능감, 양육스트레스 집단간 차이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각 집단별로 양육태도,부모 유능감은 척도 전체와 하위영역에서 모두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두 번째로세집 단 간에 양육스트레스 전체도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중 부모스트레스 요인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모의 부모스트레스(M= 38.47, S.D= 5.67)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한국계-미국인 부모(M= 36.57, S.D= 9.48), 다국적 부모(M= 34.60, S.D= 7.59)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즉 한국에 거주하는 한국 국적의 부모가 미국거주에 거주하는 한국계 미국인부모들보다 부모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미국에 거주하더라도 한국계 부모가 다국적 부모 보다 양육스트 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난다고할수 있다.

    2.미국거주 다국적 부모, 한국계-미국인부모, 한국 거주 한국 부모의 양육 태도와 부모유능감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a title="ref-type:fn" class="ref-type" xlink:href="#BFN1">1)</a>

    1)미국 거주 다국적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유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국 거주 다국적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 유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Table 3>에 제시하였다. <Table 3>에 제시하였듯이 부모양육태도는 양육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모 유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 좌절감·불안 요인(β=-.42, p<.001)과 관심·흥미(β=-.28, p<.05) 요인이 양육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것 으로 나타났다.

    2) 미국 거주 한국계-미국인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유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국 거주 한국계 미국인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 유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Table 4>에 제시하였다. <Table 4>에 제시하였듯이 부모양육태도는 양육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모유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 좌절감과 불안 요인(β =-.41, p<.05)이 양육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미국에 거주하는 다국적 부모와 한국계-미국인 부모 모두 양육스트레스에 부모 유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 좌절감과 불안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정 서적 안정과 심리적 건강이 양육스트레스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볼수 있다.

    3) 한국 거주 한국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유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 유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Table 5>에 제시하였는데, 부모양육태도와 부모유능감 모두 양육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거주 한국 부모의 경우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태도와 부모 유능감 변수보다는 어린이집, 아이돌보미서비스, 확대가족등 자녀 양육을 지원할수 있는 공식 적·비공식적 체계등 자원이 있는지 여부와 자녀 교육및 학업에 대한 기대 등의 다른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추측해볼수 있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고 부모의 심리적 특성과 관련하여 사회 문화적배경을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유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사회문회적 배경에 따른 유사성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본 연구에 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들을 통해 결론 내리고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거주 다국적 부모, 한국계-미국인 부모, 한국 거주 한국 부모의 부모양육태도, 부모유능감,양육스트레스 집단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각 집단별로 양육태도, 부모 유능감은 척도 전체와 하위영 역에서 모두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세 집단 간에 양육스트레스 전체도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중 부모스트레스 요인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Chon[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한국에 거주하는 한국 국적 의 부모가 미국거주에 거주하는 한국계-미국인 부모들보다 부모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미국에 거주하 더라도 한국계-미국인 부모가 다국적 부모 보다는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높음을 시사한다.

    두 번째로 미국 거주 다국적 부모는 부모유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 좌절감·불안 요인(β = -.42, p<.001)과 관심·흥미(β = -.28, p<.05) 요인이 양육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국 거주 한국계-미국인 부모의 부모유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 좌절감과불안 요인(β = -.41, p<.05)이 양육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미국에 거주하는 다국적 부모와 한국계-미국인 부모 모두 양육스트레스에 부모유능감의하 위요인 중에서 좌절감과 불안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Moon[24]과 Park[25]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부모의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건강이 양육스트레스와 직접적으로관 련이 있다고볼수 있다. 반면에 한국 거주 한국인 부모에서는 부모양육태도와 부모유능감 모두 양육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복지와 가족복지 실천현장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같다. 먼저본 연구 결과 한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부모와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계 미국인 부모가 미국 에 거주하는 다국적 부모보다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므로,이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 다.즉 우리나라에서도 자녀양육의 책임을 개별 가족이 아닌 국가와 사회가 함께 책임진다는 인식으로 전환하게 되면, 현재 개별 부모및 가족이 느끼는 양육스트레스의 수준이 낮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두 번째로 미국에 거주하는 다국적 부모와 한국계-미국인 부모 모두 부모유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 좌절 감과 불안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부모및 가족의 정신건강을 증진할수 있는다 양한 개입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미국에 거주하는 부모와는 다르게 한국에 거주하 는 한국인 부모에서는 부모양육태도와 부모유능감 모두 양육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이 부분은 향후 후속연구에서 부모의 개인적 요인, 사회문화적요 인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여그 심층적인 이유를 찾으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igure

    Tab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N=155)

    * N(%): Except Missing Values.

    Parenting Attitud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Parenting Stress

    *p<.05, a<ab<b

    The effect of international parents ’s parenting attitude &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on parenting stress

    *p<.05
    ***p<.001

    The effect of Korean-American parents ’s parenting attitude &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on parenting stress

    *p<.05
    ***p<.001

    The effect of Korean parents ’s parenting attitude &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on parenting stress

    Reference

    1. Abide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Mannual Charlottesville: 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1(4), 407-412.
    3. Ahn, J. Y. (2000).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5. Chang, H. C. (2012).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Parenting Stress, Child Rear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s. Unpublished mastser’s thesis. University of Incheon, Incheon, Korea.
    6. Choi, B. B. (2008). Relationship of Paternal Attitude to Paternal Stress in Fathers of with Disabilities Children. Unpublished masts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7. Chon, E. E. (2007). Parenting style of 1.5 generation Korean America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lliant International University, L.A: California, USA.
    8. C. R. Kerr (2004). The relationship of Conscience Development and Parental discipline to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cross early childho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ichgan. Ann Arbor: Michgan, USA
    9. Keith A. Crnic and Cathryn L. Booth (1991).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of parenting acrodd early child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4), 1042-1050.
    10. Featherstone, B. (2002). Research review: Parenting stress and externalizing child behavior by J. Morgan, D. Robinson & J. Aldridg. Child and Family Social Work, 7(3), 219-225.
    11. Gina, D. (2001). Parental Discipline among Vietnamese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ng Beach: California, USA.
    12. Johnst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8, 167-175.
    13. Kim, H. R. & Kim, J. K. (2012). Effect on Parenting Stress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Emotionality and Mother's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8(3), 53-67.
    14. Kim, I. H.(2011). Maternal Stress and Maternal Efficacy of Mothers to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s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Korea.
    15. Kim, M. H. (2006). Maternal parental belief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s residing in Korea and those residing in Canad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6. Kim, M. J. (2014). 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on Parenting Style : A Comparative Study of International Parents, Korean-American Parent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n Parents Living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9(4), 651-667.
    17. Kim, M. J. (2014). Irrational Beliefs of Mothers with Children in Their Infancy and Parenting Stress: Regulation Effect of Individualistic-Collectivistic rai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8. Kim, S. K. (2010). Maternal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Behaviors with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9. Kim, S. M. (2015).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Attitudes, Discipline Styles and Recogni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Unpublished masts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 Ko, S. H. (1994). A study on perceived parenting stress of mother. Studies on Korean Youth, 18(2), 21-37.
    21. Kown, G. N. (2014). The Influence of Main Caregiver’s Family Resilience on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 A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Unpublished masts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2. Lee, H. W., Kang, W. Y., & Lee, S, B. (1999). A Characteristic Relationships Study of Rearing Attitude and Parenting Stress of Parent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2(1), 99-117.
    23. Lee, J. H.(2009). Effects of the Maternal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omen on their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and on their neonatal grow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anam University, Gwangju, Korea.
    24. Moon, H. J. (1999). The Influence of Working Mothers' Socio - 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on the Child - Rearing Practic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6), 97-107.
    25. Park, M. S. (2012). A Study on the Parenting Stress, Parenting Self-Efficacy and the Satisfaction of Early-Childhood Education Agency in the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Korea.
    26. Park, H. J. & Moon, H. J.(2012). The Effects of a Mother's Guilty Conscience and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8(2), 121-137.
    27. Park, S. O. (1997).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3-6 ag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6(2), 34-37.
    28. Raymond P.,S.(2010). A comparison of Parental self- efficacy, Parenting Satisfaction, and other factors between Single Mothers with and withou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bil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yne State university, Detroit Michigan, USA.
    29. Suh, J. U. (2015). How a mother’s parenting stress effect quality of life – parenting efficacy as a parameter-. Unpublished masts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Geonggi-do, Korea.
    30. Super, C. H. & Harkness (1986). The developmental nich:A conceptualization at the interface of child and culture. International Joura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9(4), 545-569.
    31. Yu, U. Y., Choi, J. A., Lee, S. (1998).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Infant’s Moth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6(1), 5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