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1 No.3 pp.489-521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6.21.3.6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Training of Early Childhood Parents Using the Method of Mentor Coaching and the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Il-Bu Kim, So-Hee Lee
Graduate School of Child Welfare &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04310, Korea.
Division of Child Welfare &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04310, Korea.
Il-Bu Kim, Graduate School of Child Welfare &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E-mail: blind3@nate.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s of the method of mentor coaching using the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on parents’ communication skills.

A total of 10 early childhood par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 was carried out.

This study used non-parametric statistics to verify the quantitative effect and conducted the Mann-Whitney U test to verify the Breslow-Day test for the interaction leve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education and training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verification. The training and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ranscribed to verify the qualitative effects, and the contents was analyzed according to content analysis presented by Bogdan.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action level of the parents belong to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2.02 p <.05). A total of 50 videos and transcribed data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qualitative effects were categorized primarily as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 and the subcategories are as follows: Four verbal interactions (Describe, Ask, Express thinking and feeling, Praise and Celebrate) and three nonverbal interactions (Body contact, Eye contact, Gesture).


멘토코칭 방식에 의한 유아기 부모의 상호작용 훈련 효과: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활용

김일부, 이소희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 일컫는다. 그리고 언어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궁극적으로 행복한 삶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언어를 통한 사회적 관계의 질이 곧 행복과 연관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화, 상호작용, 의사소통, 커뮤니케이션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연구가 발달단계 및 사회적 관계의 형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47, 56, 57]. 그 중에서도 부모-자녀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16, 17, 22, 24, 27, 40, 60], 특히 기본적인 신뢰감과 애착 형성의 기초가 되는 영아기와 자아중심성 및 초기 사회화의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유아기의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25, 31, 33, 36, 47, 52].

    최근에 들어서는 맞벌이 가정과 이혼에 따른 한부모 가정 및 조손부모 가정의 아동 증가는 물론, 학대 가정의 증가 및 보육・교육시설에서의 교사 학대도 표출되면서 아동과 성인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은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26].

    이와 같은 연구의 양적 증가는 다른 한편으로는 그동안의 축척된 연구에도 불구하고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에 대한 우려는 국가의 제도적 기반에 의해 보육 및 교육기관에서의 교수활동 및 생활지도, 상호작용에 대한 교육이 강도 높게 이루어지고 있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13, 55]. 즉 보다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3차 지표체계를 제시하고, 그 수행여부를 평가인증에 반영하겠다는 정책 의지를 지속적으로 표명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29], 최근에는 이를 다시 보완한 정책내용도 제시되고 있다[30].

    교육 및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한 관계당국의 정책의지는 부모-자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에서 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전문적으로 상호작용에 대한 교육을 이수한 보육교사 및 유치원 교사의 경우에도 영아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은 어려운 문제임을 고려할 때, 일반적으로 상호작용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받지 못한 부모들에게는 더욱 어려운 문제라고 볼 수 있다[44, 46]. 이러한 관점에서 유아-부모의 상호작용의 질적 제고는 보다 더 효과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호작용 방식이 바로 코칭 접근이다[38, 39, 43, 50].

    코칭 접근이 기존의 상호작용 방식과 크게 다른 점은 분명한 코칭철학 및 모델화한 상호작용 방식을 활용한다는 점이다.

    코칭철학은 모든 사람에게 무한한 가능성이 있으며, 그 사람에게 필요한 해답은 그 사람 내부에 있고, 해답을 찾기 위해서는 파트너가 필요하다는 것이다[43]. 따라서 모든 인간은 창의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코칭모델에 따라 코치의 지지를 받게 되면, 주도적인 자세로 원하는 방향과 방법으로 더 나은 삶의 상태에 도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매우 효과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원하는 내용 또는 당면한 문제가 상호작용과 관련된 것이라면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모델화한 상호작용 방식은 바로 코칭모델을 말하는데, 코칭모델이란 코칭과 일반대화가 구별되는 전문적인 영역의 차이를 구분하는 코칭 프로세스의 구조화된 틀로써[43], 대부분 이니셜 및 그 이니셜이 지니는 의미를 바탕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돕는 MOSAIC 모델을 들 수 있다[39]. 즉 특정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개발된 코칭모델 및 그 모델에서 제시하는 체계화된 방법으로 연습을 강화하면, 마치 외운 구구단으로 수(數)와 관련된 일상생활에서 매우 오랫동안 쉽고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처럼, 상호작용에서 코칭모델 활용하기가 숙달되면 쉽고, 편리하게, 효과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37].

    또, 코칭의 형식은 전문코치로서 코칭 프로세스를 가지고 코칭을 하는 ‘코칭하기’와 자신의 전문영역에서 코칭의 방식을 활용하는 ‘코칭접근법 활용하기’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50]. 코칭하기는 코칭철학과 윤리 및 역량에 근거하여 코칭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으로, COACH 모델[38, 39]의 경우, Call-Open-Aim-Choose-Hearten으로 코치이가 달성하고자 하는 분명한 목표(Aim)를 성취하기 위한 단계별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반면에 ‘코칭접근법 활용하기’는 ‘코칭하기’처럼 뚜렷한 목표를 설정해서 정해진 기간 동안 진행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코칭의 응용된 영역으로서 코칭의 스킬을 부분적으로 일반 대화에 활용하는 것으로, 일상적인 자녀양육이나 교육·보육기관에서의 교수 상황에서 활용하는데 더 효과적인 접근방법이라고 보고 있다[43, 50].

    이러한 맥락에서 Lee[40]는 긍정심리학과 코칭이론 및 코칭철학에 근거하여 ‘코칭접근법 활용하기’ 의 관점으로 아동에게 의미 있는 성인이 아동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하도록 돕기 위해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개발하였다.

    TREASURE Talk 코칭모델은 T-R-E-A-S-U-R-E의 8가지 카테고리와 긍정의 코칭기술인 27 가지의 코딩규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칭모델이 가지고 있는 이니셜을 반영하되 ‘코칭하기’에서처럼 분명한 목표를 가지기보다는 ‘코칭접근법 활용하기’의 입장에서 일상생활 전반에 사용이 가능한 모델로 개발되었다.

    또,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코칭모델에 대한 훈련과 코칭기술의 습득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교육·훈련체계(TTCS: TREASURE Talk Coding System)를 구축하였으며[41], 상호작용의 수준을 파악하고 그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개발하였다[42].

    이러한 구조로 개발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은 2시간 과정 및 5시간 과정의 현장 워크숍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1)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경험적 연구과정을 거쳐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19, 23, 34, 48].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에서 8개의 카테고리 및 그에 따른 코딩규칙으로 분류된 다양한 상호작용 표현들이 나타났으나,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체계(TTCS) 중, TREASURE Room을 활용하여 교육・훈련의 전 과정을 관찰하고 그 효과를 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못했다.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이 모듈 및 카테고리와 그에 해당하는 코칭기술인 코딩규칙을 활용하여 엄격하게 실시되어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양적 연구가 가능하나, 교육・훈련의 과정에서 보여지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대화와 맥락이 상호작용의 내용 안에 나타나는지를 보여주는 질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호작용의 내용이 분석되고 정리된다면 추후 다양한 사례를 통한 교육・훈련 또한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한 상호작용 효과의 분석은 균형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 결과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각 방법의 장점에 대한 상호보완을 통해 연구의 질을 높이는 것에 기여할 것이다.

    또, TREASURE Room을 활용한 연구는 아동과 성인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하고 그들의 상호작용을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전문가인 TREASURE Coaching FT(T-CFT)가 직접 관찰하면서 멘토코칭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교육·훈련체계의 더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TREASURE Room에서 활용되는 멘토코칭은 멘토링의 개념에 기반하여 코칭 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인데[37] 멘토링은 풍부한 경험을 가진 멘토가 경험이 부족한 멘티와 짝을 이루어 개인적 성장이나 전문성의 개발을 지원해주는 활동을 말한다[9]. 이를 코칭의 영역에 적용시켜 코치와 코치이는 멘토와 멘티가 되고 코치이의 성장을 위해 코치는 코칭접근법을 활용하게 된다.

    실제적으로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PCIT(Parent child interaction therapy) 프 로그램에서의 Play Room이 유아기의 부모-자녀를 대상으로 코치와 직접적인 멘토 코칭이 이루어져 그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15, 47]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체계의 하나인 TREASURE Room에서의 교육·훈련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발달초기인 유아기 자녀와 상호작용기술이 부족한 부모들에게는 더욱 효과가 있을 것이며, 코칭모델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따른 심화된 교육·훈련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유아기 부모와 자녀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하여 멘토코칭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멘토코칭 방식에 의한 유아기 부모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양적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멘토코칭 방식에 의한 유아기 부모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질적 효과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유아기 부모-자녀의 상호작용과 코칭

    1) 유아기 발달과 부모-자녀의 상호작용

    Erickson[14]의 심리사회학적 발달이론에 의하면 유아기는 2단계인 자율성과 수치심, 3단계인 주도성과 죄책감에 해당하며 Piaget[53]의 인지발달 이론에 따르면 전조작기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유아기는 대근육과 소근육이 연령 증가에 따라 발달되기 시작하여 운동기능이 증진되며, 상징적, 자기중심적, 물활론적 사고를 하고 단어와 문장, 문법의 발달을 통해 의사소통 기술이 늘어난다. 또한, 생애 첫 번째 대인관계인 또래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하며, 정서발달과 함께 타인의 역할이 중요하게 고려되는 도덕성이 발달하게 된다. 유아가 처음 접하는 사회로서의 부모는 유아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21]을 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이 시기의 부모역할이 강조되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제되는 것이 부모-자녀의 상호작용이다.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비교적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계속적인 최고의 관계로서 특히 인생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기는 이러한 관계의 질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유아기 부모와 자녀가 상호작용하는 동안 성인 보이는 태도, 전략, 유형 등은 유아의 인지, 사회, 정서, 언어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6, 7, 28].

    상호작용은 유아기 부모와 자녀의 관계형성 및 상호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1960년대 이후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Beebe[2]는 부모-자녀의 상호작용을 자녀와 부모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호 조절 과정으로서 세 가지 원칙(three principle of salience)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양육자와 아동사이에서 사회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어떠한 방식으로 아동이 유형화되며 암묵적으로 길들여지는지를 설명해주는 세 가지의 통합된 원칙을 의미한다. 아동과 부모는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의 규칙을 함께 만들어 나가며, 그 규칙은 아동이 그가 속한 환경에 의해 이해하고 내면화시키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아동의 상징 사고 발달이 증진됨으로서 아동은 성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모-자녀의 관계는 부모-자녀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영향을 받게 되는데, Belsky[3]는 부모-자녀에 대한 많은 연구논문을 분석 한 결과 부모가 자녀의 능력 발달단계, 발달과업, 정서, 기질에 민감히 반응하고 그에 대한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면 자녀의 신체, 언어, 사회성 발달이 순조롭게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2) 상호작용 방법으로서의 코칭

    (1) 코칭의 개념과 철학

    코칭(Coaching)은 소통에 관한 현대적 개념으로서 코치(coach)라는 말에서 파생되었으며. 코치는 1500년대 초기, 여기에 있는(here & now)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이 원하는 곳으로 잘 갈 수 있도록 데려다주는 운송수단으로서의 말(馬)을 지칭하는 용어였다. 코칭은 문제나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라, 현재의 생활에서 보다 더 풍요롭고 의미 있는 삶을 살고 싶은 사람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37, 43].

    코칭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실천 및 학문적 측면에서 코칭의 성격을 명료화하기 위해 코칭이 정의됐으며, 따라서 코칭의 대상과 상황적 특성 및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다. Lee[37]는 코칭은 매일 멋진 삶을 위한 사랑과 지혜의 대화 시스템으로 정의하였으며, 목적 추구에서의 ‘사랑과 지혜’라는 태도와 ‘시간’ 차원을 강조하였다. Park[51]은 코칭은 고객의 개인적, 전문적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영감을 불어넣을 수 있고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창의적인 프로세스 안에서 고객과 파트너가 관계를 맺는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코칭 과정을 ‘창의적인 프로세스’로 강조하였다. Collins[11]는 코칭은 한 개인이나 그룹을 현재 있는 지점에서 그들이 바라는 더 유능하고 만족스러운 지점까지 나아가도록 인도하는 기술이자 행위이고,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다고 정의하였으며, ‘목표점’에 도달하는 방법으로서의 ‘인도’를 강조하였다. Lapid-Bogda[32]는 코칭은 개인적이고, 대인관계적이며, 조직적인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의하였으며, ‘효과성’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코칭관련 단체에서도 다양한 정의를 내렸는데, KCA[63]는 코칭은 고객과 조직의 변화와 발전을 지원하여 개인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조직의 목표를 실현하도록 지지하는 과정이이라고 하였으며, KCA[62]는 개인과 조직이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최상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수평적 파트너십으로 정의하였으며, ‘수평적 파트너십’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ICF[61]는 인생, 경력, 비즈니스와 조직에서 뛰어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관계로 정의하였으며, ‘코칭 분야’를 강조하였다.

    코칭 철학은 코칭을 하기 전에 전제가 되는 사고방식이나 사물의 관점을 말한다[43]. 코칭에서 철학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코칭의 본질을 잃지 않고 코치이의 성장과 성과를 효과적으로 내기 위해서이다[37]. 그러므로 코칭의 철학은 코칭 전문가 및 코칭 관련 단체를 망라하고 표현의 차이는 있으나 기본 관점은 거의 동일하며, 코칭의 정의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Lee[37]는 ‘무한’을 기본 개념으로 하여 능력⟶성취⟶도전이라는 순서적 개념을 적용하여 모든 인간은 무한 능력을 계발하여 참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는 가능성, 무한 능력으로 무한 성취를 이루는 해답은 자기 자신에게 있다는 효과성, 무한 성취를 이루기 위한 무한 도전에는 코치의 지지가 필요하다는 주도성의 세 가지를 코칭 철학으로 제시하였다. Park[51]은 우리에게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으며, 선한 의도를 가지고 있고, 해답은 우리 내부에 있으며 우리는 전인적인 온전한 인간이라는 철학을 제시하였다. KCA[62]는 모든 사람은 창의적이고, 완전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며,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자원을 내면에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2) 코칭모델과 코칭의 형식

    코칭 모델은 코칭 프로세스의 구조화된 틀을 말하며, 나아가 코칭모델에 의해 일반대화와 코칭대화를 구분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43]. 여기서 일반대화는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를 말하며, 코칭대화는 코칭철학을 바탕으로 하여 코칭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화를 말한다[50].

    이렇게 볼 때, 코칭모델은 코칭의 기둥이라고 할 수 있는데[43], 최근 들어 개인, 대학, 기업, 학회, 협회 등에서 나름대로 특징을 지닌 코칭모델을 개발하고 활용하고 있다. 한국에서 개발된 코칭모델로 Lee[37, 38, 39, 40]의 COACH 모델, MAGIC 모델, MOSAIC모델, TREASURE Talk 코칭모델, Park[51]의 STAR 모델 등이 있으며, 외국에서 개발된 모델로는 Whitmore[58]의 GROW모델, Rora Whitworth와 Henry Kimsey-House[59]의 Co-Active Coaching 모델 등이 있다.

    코칭의 형식은 크게 코칭하기(Doing Coaching)와 코칭접근법 활용하기(Applying Coaching Approaches)로 대별되는데[50], 코칭하기와 코칭접근법 활용하기는 완전히 다른 영역으로 코칭 효과의 높고 낮음을 단정지을 수 없다. 분명한 목표와 욕구를 가진 영역에서는 효과적인 코칭을 위해 코칭모델을 기반으로 한 코칭하기가 활성화 되었으며[51] 항상 해결해야 하고 목표를 성취해야하는 주제가 있는 것이 아닌 아동과 관련된 영역에서는 전문적인 코칭하기 방법보다 코칭접근법 활용하기(Applying Coaching Approaches)의 활용도가 매우 높아졌다[13, 64, 65].

    한국부모교육학회나 한국가족복지학회에서 전문코치를 배출해 내지만 그것을 통해 코칭 접근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50, 58]는 점을 미루어볼 때, 코칭 접근법을 활용하는 것 역시 코칭의 모델과 기술의 습득 후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을 통해 부모코치를 배출하되, 양육현장에서 상호작용을 실시할 때 코칭의 기술을 일반대화에 활용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코칭의 영역

    Lee[37]는 코칭의 영역을 라이프 코칭과 비즈니스 코칭 및 커리어 코칭으로 구분하고 코칭의 세부 분야, 관심 주제 및 코칭 종류와 대상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라이프 코칭은 코칭을 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존재의식과 가치성, 탁월성 및 꿈과 삶의 목적을 이해하도록 도와주고 목표설정을 통해 그것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돕는 훈련이다.

    또, 코칭의 형태에 따라서 개별코칭과 그룹코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코칭 성격에 따라 전문코칭과 일반코칭, 셀프코칭과 피어코칭, 멘토코칭과 코칭 슈퍼비전으로 나뉘게 된다. 코치이의 수에 따라 개별코칭을 하는 경우와 여러 명이 함께 진행하는 그룹코칭이 있으며 전문가에 의해 진행되는 전문코칭, 전문 코칭교육을 받고 생활전반에서 코칭 접근법을 사용하는 일반코칭이 있다. 셀프코칭은 자신과 코칭하는 것이며 피어코칭은 짝을 이루어 코칭하는 것을 말하며 멘토코칭은 멘토링의 개념을 활용해 코칭접근법을 활용하여 코치가 코치이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도움을 주는 행위인[43] 피드백을 실시한다. 코칭 슈퍼비전은 다른 말로 코치더코치로 코치에게 수퍼비전을 진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부모-자녀는 생활 속에서 주제를 찾기 때문에 라이프 코칭에 해당되며, 1:1 개별 코칭을 진행하였고, 피드백을 통한 멘토코칭의 방식을 사용하였다.

    2.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체계와 선행연구

    TREASURE Talk 코칭모델은 아동에게 의미 있는 성인으로서의 부모와 교사를 위한 코칭모델로 긍정조직, 긍정제도와 관련하여 형성된 긍정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긍정심리학을 연구의 한 축으로 삼았으며 또 한 축으로 코칭학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1)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체계

    (1)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구성

    TREASURE Talk 코칭모델은 긍정심리학과 코칭을 연계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TREASURE를 이루는 카테고리와 코딩규칙에 관한 긍정의 코칭기술로 구성되어 있다[40].

    코칭에서 사용되는 코칭언어는 언어와 비언어를 모두 포함하며[43], TREASURE Talk 코칭모델이 코칭학을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코칭모델에 포함된 코칭기술은 언어적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상호작용으로 나뉜다. 이는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이 언어적・비언어적으로 구분되는 것[8]과 같다.

    코칭기술은 모두 27개로 A(Asking)는 6개, 나머지 카테고리는 각각 3개씩으로 구성[40, 41]되어있으며 이 코딩규칙은 전문가인 TREASURE Talk C-FT에 의해 코딩되는 최종대상이 된다.

    TREASURE Talk 코칭모델은 세 개의 모듈 TRE-AS-URE 로 나뉘며 세 개의 모듈은 카테고리의 첫 자를 따서 사용하였다. 총 8개의 카테고리는 Tracking(T: 아이의 행동에 최대관심을 가지고 따라가기)- Reflecting(R1: 아이가 한 말을 거울 보듯 반영하며 공감하기)- Encouraging(E1: 아이가 한 언행을 구체적으로 격려하기)- Asking(A: 아이가 넓고 깊은 생각을 키우도록 질문하기)-Say Nothing(S: 아이가 대답할 때까지 무한존중하며 기다리기)- Understanding (U: 아이의 어떠한 대답에도 절대긍정으로 이해하며 더하기)- Reminding(R2: 아이가 완전 몰입한 상황을 기억하고 표현하기)- Enjoying(E2: 아이와 함께 한 시간을 축하하며 즐기기)를 뜻한다.

    8개의 카테고리는 그 의미를 달성하기 위한 긍정의 코칭기술 즉 코딩규칙으로 세분화 되어 있으며 Asking은 6가지, 그 외의 카테고리는 3가지씩 총 27개의 코딩규칙으로 구성되어있다. 구체적인 코딩규칙과 코딩기호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Tracking(T)는 아이와 함께하겠다는 의도로 다가가기(T-a), 아이가 움직이는 대로 온몸을 따라가기(T-b), 아이가 행동하는 모습을 그대로 말로 묘사하기(T-c)의 3가지이며 Reflecting(R1)은 아이가 하는 말에 고개를 끄덕이기(R1-a), 아이가 하는 말에 인정하는 추임새 넣기(R1-b), 아이가 하는 말을 그대로 따라 말하기(R1-c)의 3가지로, Encouraging(E1)은 아이가 한 언행에 내재된 긍정적 의도를 읽어주기(E1-a), 아이가 한 언행에 대해 구체적인 말로 칭찬하기(E1-b), 아이가 한 언행에 대해 구체적인 행동으로 지지하기(E1-c)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Asking(A)은 Who?를 사용하여 질문하기(A-o), When?을 사용하여 질문하기(A-n), Where?를 사용하여 질문하기(A-e), What?을 사용하여 질문하기(A-t), How?를 사용하여 질문하기(A-w), If?를 사용하여 질문하기(A-f)의 6가지이며, Say Nothing(S)은 아이를 부드럽게 응시하기(S-a), 입술만 움직이며 self talking 하기(S-b), 손가락으로 약 3-5초간 1,2,3을 세면서 아이의 대답을 기다리기S(-c)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Understanding(U)은 아이가 대답한 것을 그대로 인정하고 수용하기(U-a), 아이가 대답한 것을 요약하고 명료화하기(U-b), 아이가 대답한 것에 추가적인 정보 제공하기(U-c)의 3가지로, Reminding(R2)은 아이가 기억나는 것을 말하도록 해보기(R2-a), 아이에게 기억나는 것을 말해주기(R2-b), 성인인 내 마음 표현하기(R2-c)의 3가지로, Enjoying(E2)은 아이에게 구체적인 언행으로 축하하기(E2-a), 아이에게 구체적으로 보상하기(E2-b), 아이에게 포트폴리오를 만들도록 제안하기(E2-c)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2)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체계

    TREASURE Talk 코칭모델은 5가지 운영체계를 가지는데 Talk, TREASURE, TREASURE FT, TREASURE Coaching FT, TREASURE Master 로, 이 중 부모를 위한 기본 단계는 Talk, TREASURE 두 단계이며 각각 2시간, 3시간 동안 훈련하게 된다. 두 단계를 병행할 경우 총 5시간으로, TREASURE Talk의 배경이론 뿐만 아니라 3R2)을 활용한 훈련을 통해 각각의 코칭기술을 과잉연습하게 된다.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체계는 코칭모델의 습관화를 위한 과잉연습을 목표로 하여 5단계로 나뉘어져 있으며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기본 단계의 교육 및 훈련은 1단계인 Talk(2시간), 2단계인 TREASURE(3시간) 총 5시간을 실시한 후, 21일간 가정에서 자녀와 TREASURE Time(TT)을 실시한다. 이 후, 전문가 자격을 갖춘 T-FT(TREASURE-Facilitator)와 전화를 통한 멘토코칭이 1회 진행된다.

    유아에게 의미 있는 타자인 부모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하여 코칭하기 위해서 Role-playing을 통해 과잉연습하는 특별한 시간을 TREASURE Time(TT)이라고 명명하였는데, 하루 8분 21일 동안 긍정의 코칭기술을 지속적으로 연습하면서 체화되도록 구조화 하였다. 치료적 입장에서 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해 개발된 PCIT[11, 41]는 Special Time을 5분으로 정해 아동이 치료를 마칠 때까지 지속하게 하는데,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경우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훈련되어져야 할 코칭기술의 수도 더 많기 때문에 8분으로 설정되었다. 또, TREASURE Talk 코칭 모델에서는 긍정의 TREASURE 코칭기술의 연습을 아동과 함께 하기 때문에 역시 연습에 몰입할 수 있는 도구, 즉 놀이감이 필요한데 이것은 TREASURE Play(TP)로 명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훈련을 위해 특별히 마련된 공간인 TREASURE Room을 통하여 성인-아동의 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TREASURE Room은 내부에서 외부의 상황이 노출되지 않도록 One-way Mirror를 설치하고, 최소한의 놀이감 만을 배치하여 조용하고 독립된 공간이 되도록 하였는데, 성인-아동의 상호작용을 TREASURE Coaching FT(T-CFT)가 관찰하여 피드백을 통한 코칭기술을 습득하도록 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훈련의 효과는 두 가지 방법으로 검증될 수 있는데 하나는 TREASURE Talk Coding System(TTCS)[41]이다. TRE-AS-URE의 모듈별 훈련과정동안 Role-playing 할 때, 각각 3분-2분-3분 간 코딩시스템을 활용하여 코칭기술의 빈도를 체크하는 것으로 TREASURE Talk FT 이상의 자격을 가진 사람들의 일치도를 통해 객관적으로 코칭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또 하나는,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42]로 신뢰도 계수는 .948이며 2개의 요인, 3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사전-사후 점수를 통해 유의미한 상호작용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2)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활용에 대한 선행연구

    (1) 부모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Park[48]은 영아부모를 대상으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훈련효과를 CICAIO를 통해 확인하였다. 사전 검사에서 기준 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인 영아 부모들에게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이후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보고하면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훈련효과를 검증하였다.

    Lee[34]는 유아기 자녀를 둔 기독교 부모가 가정예배 전과 후 라포형성 기술의 향상을 분석함을 통해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훈련 효과를 검증하였다.

    Han[19]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유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자녀의 놀이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후,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고 사후 영상을 촬영하였으며 이에 대한 효과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로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Park[49]은 유아기 자녀를 둔 기독교 부모에게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효과적인 적용을 하기 위해 도구를 개발하였는데 예수 탄생과 관련된 TREASURE Play(TP) 개발을 목적으로 스크립트와, 동영상, 크리스마스 트리와 장식품을 구성하고 현장 적용을 위한 교육·훈련체계를 구축하였다.

    (2)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Kang[23]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훈련효과를 코딩시스템(TTCS)을 통해 확인하였다.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과 훈련 후, 유아교사는 코칭모델의 훈련시스템에서 제시하는 기준을 모두 통과하여 상호작용기술이 증진되었음을 보고하였다.

    Ⅲ. 연구방법

    설정한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멘토코칭 방식에 의한 유아기 부모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양적 효과

    유아기 부모 상호작용 훈련의 양적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고, 실험집단에게 교육・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를 통한 사전・사후 검사로 얻어진 자료를 통계처리한 후 분석하였다.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1단계인 ‘Talk’ 교육 실시 후 2단계인 ‘TREASURE’ 교육·훈련 대상을 모집하게 되므로 2차에 걸쳐 연구대상을 모집하였으며 실제 실험연구는 2차 연구대상에게 적용되었다.

    1차 연구의 대상이 되는 참여자를 모집하기 위해 임의표집법을 사용하여 서울시 금천구에 위치한 K어린이집의 유아기 부모 30명을 대상으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 체계 중 1단계인 ‘Talk’ 교육을 실시하였다. ‘Talk’ 교육은 2시간 과정으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철학 및 배경이론과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후, 2단계 교육인 ‘TREASURE’ 교육·훈련에 대한 안내를 하고, 자원자를 모집하였다. 전체 교육·훈련 기간이 21일이며, 부모-자녀가 함께 정해진 장소인 TREASURE Room에 와서 매일 8분씩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연습하는 TREASURE Time(TT)을 경험하는 것으로, 21일간 매일 자녀와 함께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스스로 이 훈련을 원하는 부모여야 끝까지 진행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자원자를 모집하여 2차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총 10명의 부모가 연구 대상이 되었다.

    두 집단의 부모에게 연구에 대한 설명과 함께 본 연구의 대상으로 참여할 것을 동의하는 의미로 연구윤리규정에 따른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부모의 사회인구학적인 배경은 <Table 1>와 같다.

    2) 연구 도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위해 사용된 도구는 Lee[42]가 개발한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 즉, 관찰을 통한 아동-성인 상호작용척도로, ‘TRE’ 17문항과 ‘URE’ 17문항을 포함한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은 34점~170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성인 간 상호작용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이 검사의 신뢰도(Cronbacn α)는 하위 요인에서 ‘TRE’가 .922, ‘URE’가 .923, 전체 .948로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3) 연구 설계

    2단계인 ‘TREASURE’ 교육·훈련 대상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을 실험처치로 설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로, 그 모형은 <Table 2>와 같다.

    4) 연구절차

    (1) 사전검사

    연구 대상자에 대한 사전검사는 2015년 11월 5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부모 10명에게 시행되었으며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사용하였다.

    (2)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

    실험집단의 부모 5명에게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을 실시하여 실험처치하였다. 교육・훈련 기간은 2015년 11월 10일-11월 30일까지 총 21일간 진행되었으며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 및 훈련은 다음의 3가지 과정을 포함한다.

    첫째, TREASURE Room에서 진행되는 21일 간의 훈련을 위해 필요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카테고리와 코딩규칙에 대한 상세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이면서 전문가인 TREASURE Coaching FT(T-CFT)의 시연을 실시하였다. 11월 10일 진행되었으며 교육 및 시연 시간은 1시간으로, TRE-AS-URE의 모듈별로 진행되었다.

    둘째, 개별교육을 모두 마친 참여자는 매일 8분씩 자녀와 함께 TREASURE Time(TT)을 실시하였다.

    평일에 해당하는 월, 화, 수, 목, 금요일은 TREASURE Room에 부모와 자녀가 방문하여실시하였으며 토요일과 일요일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훈련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동영상을 하루에 한번 8분간 가정에서 시청하며 훈련하도록 하였다. 이 동영상은 TREASURE Coaching FT(T-CFT)이면서 아동복지학 박사과정 재학중인 전문가가 촬영에 참가한 것으로 TRE(3분), AS(2분), URE(3분) 총 8분으로 제작되었다. 또, 이 동영상은 TREASURE Coaching FT(T-CFT) 3인을 통해 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TREASURE Talk 상호작용 연구소에서 진행되는 부모 및 교사 대상의 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다.

    평일에 진행되는 TREASURE Time(TT)은 21일 중 15일, 주말에 진행되는 TREASURE Time(TT)은 21일 중 6일로, 평일에 해당하는 15일 동안의 부모-자녀 코칭과정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모두 동영상으로 촬영되었다. 또, 주말 동영상 시청에 관하여 전화나 문자 연락을 통해 훈련에 최선을 다해 임할 것을 독려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놀이감은 총 3가지로, 주 단위로 놀이감을 변경하여 훈련하도록 하였으며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대표 놀이감인 PLAYMOBIL 5490(산책하는 아가씨, 1주차), PLAYMOBIL 5491(엄마와 유모차, 2주차), PLAYMOBIL 5334(육아의 방, 3주차)를 사용하였다.

    셋째, 평일 진행되는 15번의 훈련 과정은 코칭 현장에서 TREASURE Coaching FT(T-CFT)인 연구자가 TREASURE Talk Coding System(TTCS)을 활용해 코딩하였다.

    부모-자녀가 TREASURE Time(TT)을 진행하는 동안 T-CFT인 연구자가 현장에서 직접 코딩하고, 코딩의 내용을 기반으로 멘토코칭(Mentor Coaching)을 실시하였으며, 아래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① 블루투스와 전화기를 활용한 멘토코칭

    15회의 멘토코칭 중 주 1회, 총 3번은 블루투스와 전화기를 이용한 멘토 코칭을 실시하여 부모-자녀가 TREASURE Time(TT)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즉각적으로 코칭기술을 활용하도록 하였다.

    TREASURE Time(TT)을 진행하기 전에 아동이 눈치채지 못하도록 부모의 전화와 블루투스 이어폰을 연결한 후 블루투스 이어폰을 착용하도록 하였다. 연구자가 전화를 걸면 전화를 받은 후 TREASURE Time(TT)을 진행하고 연구자는 One-way Mirror를 통해 코칭과정을 관찰하며 코딩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즉시 코딩규칙을 활용할 수 있도록 멘토코칭하였다.

    ② 피드백지를 활용한 멘토코칭

    블루투스와 전화기를 이용한 멘토 코칭 3회를 제외한 12회는 피드백지를 활용한 멘토코칭을 실시하였다. 부모-자녀가 TREASURE Time(TT)을 진행하는 과정을 연구자가 코딩한 뒤, 코딩의 내용을 기반으로 피드백지를 작성하고 훈련 직후 8분간 멘토코칭하였다.

    (3) 사후검사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의 마지막 날인 2015년 11월 30일로부터 2주 뒤인 12월 14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부모 모두를 대상으로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통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5) 자료 분석

    양적 연구에 의한 효과분석은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활용하여 측정된 사전-사후 검사 자료를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의 크기가 작은 것을 고려하여 비모수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교육・훈련 실시 전 상호작용의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맨휘트니(Mann-Whitney)U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프로그램 사전-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분석은 윌콕슨(Wilcoxon)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2. 멘토코칭 방식에 의한 유아기 부모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질적 효과

    유아기 부모 상호작용 훈련의 질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육・훈련의 모든 내용을 촬영 및 전사하였으며, 최종 선정된 50개의 동영상과 전사 자료는 전문가의 타당도 과정을 거쳐 범주화하였고, 교육・훈련의 과정에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대화와 맥락이 상호작용 속에 나타나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1) 분석 자료의 선정

    실험집단에 적용된 21일간의 교육・훈련과정에서 TREASURE Room을 활용한 15일의 교육・훈련은 모두 동영상으로 촬영되었다. 이 중, 블루투스와 전화기를 활용한 멘토 코칭이 포함된 동영상 3개는 멘토 코칭의 영향 때문에 훈련의 효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분석 자료의 선정과정에서 제외하였다. 또, 나머지 12개의 동영상 중 화면 밖으로 연구 참여자가 이탈하였거나, 녹음이 되지 않는 등의 실수로 연구에 포함할 수 없는 동영상을 제외한 10개의 동영상(총 50개)을 최종 자료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 분석 절차

    50개의 동영상은 여러번 반복적으로 시청하였으며 그 내용을 전사하여 동영상과 비교하는 작업을 거쳤다. 동영상의 내용은 모두 전사하였으며 Bogdan[6]이 제시한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에 따라 분석하였다. 전사한 내용을 여러 번 읽으면서 반복되는 어휘나 고유한 주제의 여부 등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그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은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으로 구분되므로, 전사된 내용 전체를 언어적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상호작용으로 1차 분류하였다. 분류된 상호작용은 아동복지를 전공하고 유아교사 경력이 5년 이상인 전문가 3인의 타당도를 거쳐 하위 범주화 하였고,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대화와 맥락이 상호작용 속에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자를 포함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전문가인 TREASURE Coaching FT(T-CFT) 3명이 전사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실험집단 5명의 부모에게 나타난 상호작용 중 전문가 3명 모두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코칭기술이라고 동의한 내용만을 연구 결과에 포함시켰다.

    Ⅳ. 연구결과

    본 연구는 유아기 부모와 자녀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하여 멘토코칭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멘토코칭 방식에 의한 유아기 부모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양적 효과

    본 연구에 사용된 비모수 검정은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나타낼 것이라고 가정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되는 통계방법으로 모집단의 분포유형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모집단의 분포 특성을 모르는 경우 이를 시행함으로써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일 것이라는 막연한 가정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피할 수 있다[10, 35].

    비모수 검정은 집단 수에 따라 검정방법이 다르며, 두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지 않으면서 대응표본일 경우, 윌콕슨 순위 검증(Wilcoxon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는데, 윌콕슨 순위 검증 (Wilcoxon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기 전에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의 상호작용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두 집단을 정규분포를 이루지 않은 독립표본이라 가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비모수 검증법인 맨휘트니 U(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동질성을 확인하고 난 후 실헙집단과 통제집단의 상호작용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에 대한 윌콕슨 순위 검증(Wilcoxon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상호작용수준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에서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두 집단의 상호작용 수준이 유사하게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두 집단의 상호작용 수준을 확인한 후 실헙집단과 통제집단의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에 대한 윌콕슨 순위 검증(Wilcoxon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Table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집단의 부모들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 참여 후, 상호작용 척도의 하위영역인 TRE(Z=-2.02 p <.05), URE(Z=-2.02 p <.05), TREURE(Z=-2.02 p <.05)에서 유의하게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멘토코칭 방식에 의한 유아기 부모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질적 효과

    질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선정된 50개의 동영상과 전사 자료들은 긍정적인 언어・비언어적 상호작용으로 1차 범주화하였다.

    범주화된 자료는 연구자를 포함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전문가인 TREASURE Coaching FT(T-CFT) 3명의 분석을 통해 실험집단 유아기 부모 5명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상호작용의 내용을 하위 범주화 하였다.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의 하위 범주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언어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은 함께 놀이한 아동의 행동이나 말을 묘사하기, 질문하기, 생각과 느낌 표현하기, 칭찬과 축하하기로 범주화 하였다.

    (1) 묘사하기

    묘사란 어떠한 상황이나 사물에 대해 그림 그리듯이 설명하는 것을 말하는데 상황이나 행동을 묘사한 것을 포함해 말을 그대로 따라하거나 유사하게 말하는 것 또한 묘사하기로 범주화 하였다. 그에 해당하는 상호작용 내용에 대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G201610230817158572707.jpg

    묘사하기의 상호작용 내용 중 아이의 행동이나 상황을 언어로 표현하는 묘사하기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Tracking(T) 중, T-c(아이가 행동하는 모습을 그대로 말로 묘사하기)를, 아이의 말을 따라하는 것은 Reflecting(R1) 중 R1-c(아이가 한 말을 그대로 따라 말하기)를, Understanding(U) 중 U-b(아이가 대답한 것을 요약하고 명료화하기)를 나타내는 코칭기술에 해당한다. 행동에 대한 묘사는 아이의 행동을 그대로 말로 설명하였기 때문에 비교적 자세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지만, 말을 따라하는 코칭기술에서는 유아의 말이나 대답이 그리 길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 짧은 말을 따라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길게 대답하는 경우 요약하여 말하는 특성을 보였다.

    (2) 질문하기

    상호작용의 내용 중 가장 많이 나타났던 것으로, 질문의 형식을 띄는 긍정대화는 모두 질문하기로 하위 범주화 되었다.

    G201610230817251399449.jpg

    질문하기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Asking(A)에 해당하는 6가지 코칭기술(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만약을 사용하여 질문하기)과 Reminding(R2) 중 R2-a(아이에게 기억나는 것을 말하도록 해보기), Enjoying(E2) 중 E2-b(아이에게 구체적인 보상하기), E2-c(아이에게 포트폴리오를 만들도록 제안하기)였다. TREASURE Talk 코칭모델에서 사용하는 질문기술 중, If를 사용하거나 when을 사용하는 질문보다는 그 외의 질문들이 많았으며 기억나는 것을 말하도록 하기 위해서 “오늘 엄마랑 놀이하면서 어떤 것이 가장 기억에 남았어?”라는 질문을 통해 상호작용을 이어가는 패턴을 보였다. 또, 구체적인 보상을 하기 위해 보상의 내용을 고르는 과정에서도 “어떤 스티커 받고 싶어?”, “몇 개를 주면 좋을까?” 등의 질문을 통해 보상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포트폴리오를 만들도록 제안하기 위해서 “~하면 어떨까?”와 같은 형식의 질문을 통해 상호작용 하였다.

    (3) 생각과 느낌 표현하기

    놀이상황에서 성인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상호작용을 범주화 한 자료이며, 감탄사를 사용하거나 아이의 대답 및 의견에 동의・수용하는 내용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덧붙여 이야기하거나 아이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이야기하는 것 또한 이 범주에 포함하였다.

    G201610230817339228840.jpg

    생각과 느낌 표현하기의 하위 범주에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Reflecting(R1) 중 R1-b (아이가 하는 말에 인정하는 추임새 넣기), Encouraging(E1) 중 E1-a(아이가 한 언행에 내재된 긍정적 의도를 읽어주기), Understanding(U) 중 U-a(아이가 대답한 것을 그대로 인정하고 수용하기), U-c(아이가 대답한 것에 추가적인 정보 제공하기), Reminding(R2) 중 R2-b(아이에게 기억나는 것을 말해주기), R2-c(성인인 내 마음 표현하기)이다. 특히, “아하~! 그렇구나”, “오~!”, “와~!” 등의 추임새가 상호작용의 내용 중 가장 빈번히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의도를 읽어주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가장 많았다. 대상자 4-8회차의 사례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R2-b와 R2-c는 동시에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엄마가 자신이 기억에 남는 것을 아이에게 이야기 해 준 후,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4) 칭찬과 축하하기

    칭찬과 축하하기는 언어적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상호작용에 동시에 나타난 기술로서, 언어적 상호작용의 범주에서는 칭찬과 축하에 사용되는 언어를 사용한 경우 범주화되었다.

    G201610230817435625865.jpg

    칭찬과 축하하기의 하위 범주에서 분석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코칭기술은 Encouraging(E1) 중 E1-b(아이가 한 언행에 대해 구체적인 말로 칭찬하기), Enjoying(E2) 중 E2-a(아이에게 구체적인 언행으로 축하하기)이다. 대상자 1-9회차의 사례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축하하는 언행과 함께 같은 의미에서 박수를 치는 것과 같은 비언어적 축하의 의미는 비언어적 상호작용 중 신체접촉하기(하이파이브와 같은 박수)나 몸짓에 범주화 하였다.

    2) 비언어적 상호작용

    비언어적 상호작용은 함께 놀이한 아동과 신체 접촉하기, 눈맞추기, 몸짓의 세 가지로 하위 범주화 하였다.

    (1) 신체 접촉하기

    G201610230817544988297.jpg

    신체 접촉하기의 하위 범주에서 분석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코칭기술은 Encouraging(E1) 중 E1-c(아이가 한 언행에 대해 구체적인 행동으로 지지하기), Enjoying(E2) 중 E2-a(아이에게 구체적인 언행으로 축하하기)였다. Enjoying(E2) 중 E2-a는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칭찬과 축하하기에 포함되었으나 행동으로 축하한 상호작용의 내용은 신체 접촉하기에 범주화 되었다.

    (2) 눈 맞추기

    눈 맞추기는 상호작용의 내용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는데, 아래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질문을 한 후 대답을 기다리며 눈을 맞추거나 질문을 하며 눈을 맞추는 것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G201610230818037022323.jpg

    눈 맞추기의 하위 범주에서 분석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코칭기술은 Say Nothing(S) 중 S-a(아이를 부드럽게 응시하기)로, 어떠한 대답을 하더라도 무한존중으로 기다리며 아이를 응시하는 것을 말한다.

    (3) 몸짓

    몸짓은 비언어적 상호작용에서 가장 많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데, 아이의 행동을 따라하거나, 사물을 움직이는 것 등 아이와의 접촉을 하지 않고 움직이는 성인의 행동을 모두 범주에 포함시켰다.

    G201610230818127199413.jpg

    몸짓의 하위 범주에서 분석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코칭기술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Tracking(T) 중, T-a(아이와 함께하겠다는 의도로 다가가기), T-b(아이가 움직이는 대로 온몸을 따라가기), Reflecting(R1) 중 R1-a(아이가 하는 말에 고개를 끄덕이기), Say Nothing(S) 중 S-b(입술만 움직이며 셀프토킹하기), S-c(손가락으로 약 3-5초간 1,2,3을 세면서 아이의 대답을 기다리기)였다. 특히, 대상자 3-8회차의 내용과 같이 고개를 끄덕이며 동시에 R1-b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5명의 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에서 나타난 상호작용은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으로 나뉘었고, 언어적 상호작용은 묘사하기, 질문하기, 생각과 느낌 표현하기, 칭찬과 축하하기의 네 가지로 하위 범주화 하였으며 비언어적 상호작용은 신체 접촉하기, 눈 맞추기, 몸짓의 세 가지로 하위 범주화 하였다.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따라 하위 범주화 한 내용과 범주화된 상호작용에서 분석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코칭기술을 표로 정리하면 <Table 5>와 같다.

    Ⅳ.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유아기 부모와 자녀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하여 멘토코칭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및 질적 연구 결과에 따라 이론적・방법론적・실천적 측면에서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1) 이론적 측면

    본 연구에서 멘토코칭 방식에 의한 유아기 부모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양적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유아기 부모[19, 34]와 유아교사[23]의 상호작용 훈련이 그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또, TREASURE Talk 코칭모델이 긍정심리학과코칭이론을 두 축으로 하여 개발되었다[40]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양적 효과의 검증은 두 가지 이론적 축을 경험적으로 지지하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즉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이론적 바탕인 긍정심리학과 그 구성요소로서의 긍정정서와 긍정성격 및 긍정문화를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이론적 바탕인 코칭학과그 구성요소로서의 긍정의 코칭철학과 다양한 코칭기술을 지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4, 5, 54].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질적 효과를 검증하는 분석과정에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이루는 3가지 모듈(TRE, AS, URE)과 코칭기술에 해당하는 8개의 카테고리, 즉 T-R-E-A-S-U-R-E 그리고, 그에 해당하는 27가지의 코딩규칙이 도출되었다. 이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이론적 견고성을 확인해 주며, 이러한 결과는 카테고리와 코딩규칙을 활용한 상호작용 훈련의 가치를 재확인해 주고 있다[15, 24, 47].

    2) 방법론적 측면

    본 연구의 범위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상호작용 연구이므로, 연구방법에 있어 TREASURE Talk 코칭모델에 한정되는 측면이 강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본 연구는 기존의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연구들과 두 가지 면에서 차별적이다.

    첫째, 양적 연구방법에 따른 효과검증을 위해 TREASURE Room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Lee[40]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개발 및 타당화에서 제시하였던 교육・훈련체계 중 TREASURE Room에서의 멘토코칭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선행연구의 제언에 따른 것으로[19, 23, 34, 48, 49], 그 결과 상호작용에서의 양적 훈련 효과가 확인되었다.

    TREASURE Room에서 양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체계에 따라 매일 8분씩 21일의 훈련이 이루어져야 함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욕구가 강한 자원자 모집의 방식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의 수가 적은 경우 사용할 수 있는 통계방법 중 하나인 비모수 검정[10, 35]을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들이 단일집단을 통한 효과검증을 실시한 것[19, 23, 48]과 달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직접 방문하여 훈련하는 경우 오염요인을 통해 연구의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점[10, 12]을 감안하여 가능한 한 모든 참여자가 ‘외부의 노출이 차단되어 있으며 최소한의 놀이감으로 부모-자녀의 놀이가 가능한 독립적 공간’이라는 같은 조건에서 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TREASURE Room의 환경을 조성하였다.

    둘째, 질적 연구방법을 도입했다는 점이다.

    최근 인간발달 및 인간관계연구에서 양적 및 질적 연구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연구가 점증되고 있는데, 이는 양적 및 질적 연구에서의 연구논리와 기본전제가 다르다는 입장에서의 접근에서 진일보한 것이다[10, 18].

    그러나 지금까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효과성 확인 연구는 양적 연구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19, 34, 48]. 이러한 결과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개발과정에서 상호작용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TREASURE Talk Coding System(TTCS)가 개발되었으며[41], 뒤이어 상호작용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42]가 개발되어 양적 연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미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코딩체계를 활용한 교육・훈련에 대한 연구에서 8개의 카테고리에 따른 다양한 상호작용 표현들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다양한 표현들을 정리할 필요성을 야기시켰다.

    실제로 PCIT에서는 5개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다양한 표현들이 정리되어 출간되었으며[15], 이 출간물은 심도있는 상호작용교육훈련 교재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상호작용현장에서의 질적접근 및 연구에 따른 결과에서 비롯된 것이다.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방법은 본 연구의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는데 유익하다.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훈련기간인 21일간 부모-자녀가 TREASURE Time(TT)을 진행하는 동안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전문가인 TREASURE Talk C-FT 자격을 갖춘 연구자 1인에 의한 현장 평가가 이루어졌다. 멘토 코칭이 인증된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에 대해서[37] 현장 평가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했으며, 질적 연구과정 중 하위 범주화와 내용분석에서 전문가 3인의 타당도 과정을 거쳐 모두 동의하는 내용만을 최종 결과로 도출하는 것으로 주관성에 의한 편파적 평가를 배제하려고 하였다.

    3) 실천적 측면

    일반적으로 상호작용 교육과 훈련은 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지지만 발달 및 행동장애를 지닌 아동과 그 부모의 경우,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15, 24, 47].

    본 연구에서의 연구대상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한 부모-자녀가 아니라,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하기 원하는 부모-자녀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에 대한 제한점이 노출되었으나 예방적입장에서의 상호작용 교육・훈련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효과가 양적·질적으로 검증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교육・훈련의 개별화와 동시에 전체 과정에 대한 관찰 및 평가는 선행 연구의 제언[19, 23, 34, 48]에 따른 것으로, 부모-자녀가 21일간 TREASURE Room에 직접 방문하여 멘토코칭을 통한 개별적인 교육·훈련을 받고, 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는 점과 더불어 교육·훈련 과정에서의 상호작용 내용이 질적으로 분석되어 범주화 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다양한 상호작용의 내용은 이후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교육 및 훈련과 관련 연구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에 따라 향후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유아기 부모의 상호작용 훈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나 결과적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만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제로 유아기 아버지와 자녀를 대상으로 한 상호작용연구도 적을 뿐 아니라[31], 코칭모델을 사용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추후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예방적 아동복지의 입장에서 상호작용에 대한 가족 유형별(한부모, 조손, 다문화 등) 대상에 대한 연구 및 연구범위 확대를 통한 연구 설계의 다각화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훈련 방식은 멘토코칭이며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에서의 훈련 효과가 확인 되었지만 TREASURE Coaching FT(T-CFT) 다수의 평가에 의한 추가적인 확인연구가 필요하다. 또, 개별적인 성인-아동의 상호작용을 관찰 및 코딩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TREASURE Room의 특화된 공간과 설비에 대한 체계도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멘토코칭 또한, 이미 훈련된 부모를 대상으로 한 또래코칭(Peer Coaching)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가 코치가 되고 부모가 코치이가 되어 전문가의 입장에서 피드백을 하였으나, 또래코칭의 유익은 동일선상에 있는 유사한 부모 및 자녀상황에서 서로의 상호작용방식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뿐 아니라[1, 20], 소위 말하는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서로를 격려하고 지지하는 기회를 통해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질적 연구에서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삼각검증, 동료검증, 반증 사례연구 등의 다양한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상호작용 훈련의 지속성을 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 뿐 아니라 추후 검사를 통해 훈련의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45]. 또, 이소희[41]의 단계별 교육·훈련체계(TTCS: TREASURE Talk Coding System)에 따른 훈련 효과를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다섯째,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 과정에서 분석된 상호작용 내용 중 R1-a(아이가 하는 말에 고개를 끄덕이기)와 R1-b(아이가 하는 말에 인정하는 추임새 넣기)와 같은 코칭기술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고, U-b(아이가 대답한 것을 요약하고 명료화하기)나 R1-c(아이가 한 말을 그대로 따라 말하기)와 같이 아이의 대답이 너무 짧아 코칭기술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호작용 훈련에서의 질적 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분석된 코칭기술의 내용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상호작용의 내용을 축척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성된 매뉴얼 및 훈련워크북 발간을 통해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훈련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Figure

    Table

    Social Demographic Background of Participants

    Research model of pre-post test control group

    G₁: 실험집단 부모 5명
    G₂: 통제집단 부모 5명
    X₁: TREASURETalk 코칭모델 교육・훈련(21일/멘토코칭 방식)
    O₁,O₂,O₃,O₄: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

    Interaction level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fference of pre-post interaction level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05

    Coaching skill of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analysed in subcategory

    Reference

    1. An, Y. M. (2011). Instructional Criticism and Learning Processes through Earth Science Teachers Peer Coach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 Beebe, B. (1993). Early Interaction Structures and the Origins of Self and Object Representations" Presenter. American journal of psychoanalysis, 53(1), 93.
    3.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d Development, 55, 83-96.
    4. Biswas-Diener, R. (2010). Practicing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Wiley.
    5. Biswas-Diener, R. & Dean, B. (2007).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 Putting the Science of Happiness to Work for Your Clients (Hardcover / 1st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6. Bogdan, R. C. & Bikelen, S. K. (1992).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Boston: Allyn & Bacon.
    7. Bugental, D. B. & Goodnow, J. J. (1998). Socialization process. In & W. Damon & I. E. Siegal,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New York: John Wiley & Sons.
    8. Burgoon, J., Birk, T., Prau, M., (1990). Non-verbal behaviors, persuasion, and credibility.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7(10), 140-169.
    9. Chao, G. T., Walz, P. M. & Gardener, P. D. (1991). An exploration of mentorship functions and outcomes: Across-situational comparison. Paper presented at the Sixth Annual Conference of the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Incl., ST. Louis, Missouri.
    10. Cho, Y. H. (1999). Qualitative research. Kyungki: Education & Science.
    11. Collins, Gary R. (2004). Christian coaching. (D. S. Jung Trans.). Seoul; IVP.
    12. Creswell, John W. (2012). Qualitative Inquiry &Research Design. Sage.
    13. Do, M. H. & Lee, S. H. & Kang, K. J. & Kim, J. A. (2012).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Approach in Teacher-Child Interactions.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5(1), 5-26.
    14. Erickson, E. H. (1950). Childhood and Society. W. W. Norton & Company.
    15. Eyberg, S. M., Nelson, M. M., Duke, M. & Boggs, S. R.(2004). Manual for the Dyadic Parent-Child Interaction Coding System, 3rd Editon.
    16. Fine, M. J. & Lee, S. W. (2000). Handbook of Diversity in Parent Education: The Changing Faces of Parenting and Parent Education. Academic Press.
    17. Forrester, M. A. (2013). Mutual adaptation in parent-child interaction: Learning how to produce questions and answers. Interaction Stidies, 14(2), 190-211.
    18. Greene, J. C., Caracelli, V. J., Graham, W. F. (1989). Toward a Conceptual Frame work for Mixed-Method Evaluation Designs. Educational Evalation and Policy Analysis, 11(3), 255-274.
    19. Han, M. A. (2016). The Effect of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based on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 for Mothers with Early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 Han, S. (2013). The Influence of Peer-Coaching on Primary School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University.
    21. Holden, G. W. & Ritchie, K. L. (1987). Patterns of Maternal Behavior. Texas; [s.n.]
    22. Jung, E. Y. (2009). The study of the parent-preschooler communication and peer interaction according to family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Yeonsei University.
    23. Kang, E. S. (2015). An effect of the interaction technology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the utilization of a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4. Kim, C. M. (2012). Research on Mother-Child interaction change through Parent coaAching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Myungji University.
    25. Kim, J. H. (2015).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s Par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6(5), 95-113.
    26. Kim, M. S. (2016). Relationship among Teachers' Sensitivity,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nd Awareness of Infant Abuse in Infant-teacher Interac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27. Kim, S. Y. (2012). A narrative study on play interaction experiences of parents with their infa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28. Kochanska, G. (1997). Mutually responsive orientatio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Implications for early socialization. Child Development, 68(1), 94-112.
    29. Korea Childcare Promotion Institute. (2015). Appraisal authentication of 3rd index.
    30. Korea Childcare Promotion Institute. (2016). Appraisal authentication of 3rd index.
    31. Kwon, J. Y. & Chung, M. R. & Yee, B. S. (2015). The influence of fathers` play interaction on the cognitive, motor and languag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5(1), 333-350.
    32. Lapid-Bogda, G.(2010), L. B.(2010). Bringing Out The Best In Everyone You Coach: Use the Enneagram System for Exceptional Results. McGraw-Hill.
    33. Lee, H. J. (2011). Effect of a Filial Therapy Using Physical Contact Play on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in their Infancy State. The Graduate School Namseoul University
    34. Lee, H. M. (2016). A New Approach for Parents Empowerment in Christian Family Worship: Using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35. Lee, H. Y., Roh, S. C.(2013). Sophisticated statistical analysis. Kyungki: Munwoosa.
    36. Lee, K. H. (2005).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arent-Child Interaction received through Parent and Chil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37. Lee, S. H. (2008). Cheerleading Coaching. Seoul: Shinjeong Press
    38. Lee, S. H. (2012a). Magic9 Parent Coaching Manual. Korea Parent Coaching Center.
    39. Lee, S. H. (2012b). Mosaic9 Teacher Coaching Manual. Korea Creative Character Coaching Center.
    40. Lee, S. H. (2014). The Research for Developing a TREASURE Talk Coaching Model(1).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7(1), 5-35.
    41. Lee, S. H. (2015a). The Research for Developing a TREASURE Talk Coaching Model(2).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8(1), 5-40.
    42. Lee, S. H. (2015b). Development of Coaching Inventory for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8(2), 5-23.
    43. Lee, S. H. & Gil, Y. H. & Do, M. H. & Kim, H. Y. (2014).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coaching. Seoul; Sinjung Press.
    44. Lee, S. H. & Song, G. J. & Kim, K. M.& Park, H. J. (2013a).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Effect of 6Y Coaching Program(1).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6(1), 5-30.
    45. Lee, S. H. & Song, G. J. & Kim, K. M.& Park, H. J. (2013b). A Study on the Follow-up Effects of a 6Y Coaching Program for Par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4), 625-656.
    46. Lee, Y. O. (2006). Child-Teacher interaction for effective learning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0(3), 125-153.
    47. McNeil, C. B. & Hembree-Kigin, T. L. (2010).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2nd ed.). (Y. N. Lee Trans.). Seoul; Hakjisa.
    48. Park, E. H. (2016).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for mother with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49. Park, H. S. (2016). A Study for composition and tool development of coaching program for christian parents: by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50. Park, J. Y. (2009). The study for the classification of coaching science-Focused on the forms of coach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2(1), 61-77.
    51. Park, J. Y. (2010). 3Cs: Basic Core Coaching Competencies. Seoul, Bomyung books.
    52. Park, M. J. (2006). A comparative study on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father and their children during picture book read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53. Piaget, J. (1936). The original of intelligence in children. NY;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54. Seligman, M. E. P. (2004).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Atria Books.
    55. Seo, Y. S. (2015). Perception of directors and teachers about child care center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and its operating syst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Ehwa Women's University.
    56. Shin, I. S. & Cho, O. G. (2002). Effects of active parenting today to mothers' nurturing attitudes and verbal control patterns of mothers and the child's perceptions of their mother' childrearing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Kyungnam University.
    57. Vaillant, G. E. (2002). Aging well : surprising guideposts to a happier life from the landmark. (D. N. Lee Trans.), Seoul, Prontier.
    58. Whitmore, J. (2003). Coaching for Performance: Growing People Performance and Purpose. Nicholas Breadley Publishing.
    59. Whitworth, L., Kimsey-House, H. & Sandahl, P. (2005). Life coaching guide.
    60. Ye, S. H. (2004).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education program for communication training on parent efficacy and parent-child interaction : focusing on parents with elementary-school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University.
    61. International Coach Federation. www.coachfederation.org.
    62. Korea Coach Association. www.kcoach.or.kr.
    63. The Korea Coaching Association. www.koreacoaching.net.
    64. The Korea Parent Coaching Center. www.parentcoaching.co.kr.
    65. The Korea Parent Education Association. www.parentedu.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