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1 No.4 pp.703-722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6.21.4.5

Influential Factors of Adolescents' Materialistic Values on Their Problem Behaviors

Gun Lee, Sun-Ja Kye
Dept.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04312, Korea
Dept.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04312, Korea

*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first author's master's thesis.

Corresponding Author: Sun-Ja Kye, Dept.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an's University (kyesj@sookmyung.ac.k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dolescents' levels of materialistic values and their problem behaviors and to discover the greatest influences on these behaviors. The study was conducted in 2016 using written questionnaires that were completed by 434 adolescent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alpha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level of the materialistic values was found to be 2.96 among the respondents, and the average level of their problem behavior was found to be 2.05 out of 5, indicating a relatively rational score. Next, the greatest influential variables of the respondents' problem behaviors were in the order of healthy family factors and parents' rearing methods. And they were sex and then school grade level for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It was concluded that family and a primary environment must accompany communication, affection, and respect-centered family healthiness, along with a multinational effort and approach to form a family-friendly environment as well as healthy family factors as a system for preventing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 건, 계 선자
숙명 여자 대학교 가정 경영학과 04312
숙명 여자 대학교 가정 경영학과 04312

초록


    I.서론

    경제의 발전과 함께 물질이란 풍요롭고 안정된 우리의 생활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기도 하지만 압축적이고 고속적인 한국 경제성장 과정에서 사회 전반에 형성된 물질주의 가치관은 청소 년의 과시소비, 모방소비 등을 부추기는 사회문화적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경 제적 차원의 변화를 넘어서 청소년의 행동양식, 사고방식,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주고 있다[35].

    한국사회의 물질주의는 돈을 개인 삶의 중요한 가치로 두며, 돈이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돈 제 일주의의 배금주의적 성격을 띄고 있다. 이는 비윤리적 물질의 축적과 과시적 소비 및 쾌락주의적 문화를 이끌게 함으로 청소년으로 하여금 세속적 소유물에 집착하도록 하고 이는 문제행동으로 이 어질 수 있다[25]. 부언하자면 청소년의 비합리적 물질주의 가치관은 인간의 존엄성과 도덕성에서 벗 어난 이기주의 팽배, 과소비 풍조 등 곧 지나친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청소년기는 가치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즉, 청 소년기는 가정과 사회에서의 경험을 통해 지식과 지혜에 대한 자신 고유의 사고를 개발하며, 이를 바탕으로 환경에의 적응을 통해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올바르고 건전한 가치관을 확립해 야하는 시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에 만연하는 물질만능에 의한 배금주의적 물질주의 가치관은 청소년의 과소비, 물질 축적을 위한 범죄 등 물질주의 가치관의 부정적인 측면을 노출 시 키고 있는데, 이는 곧 성인에 비해 상황의 옳고 그름의 판단이 대체로 미숙한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는 더욱 더 위험한 현상이 될 수 있다. 청소년의 부적응에서 초래되는 긴장과 불안, 비행 등의 문제 행동은 청소년만의 위기일 뿐 아니라 나아가 우리 가정과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대 한 문제임으로 이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청소년기 위와 같은 배경이 되는 요인을 살펴보면 가정과 사회를 생각 할 수 있다. 한국의 현재 사회구조는 과시소비, 모방소비 등의 잘못된 소비의 추구와 원하는 물질에 대한 무조건적인 욕구가 당연시 되고 있으며, 청소년에게 도덕성과 존엄성보다 우선시 되는 가치로서 물질주의 가치관이 가 정과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학습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보다 우선적인 청소년의 문제예방을 위한 학 습은 가정의 건강성에서 찾을 수 있다. 많은 학자들이 청소년기 주요환경으로 가정을 뽑고 있으며, 가정은 최초의 교육의 장으로서 인격 형성의 기본 틀이 이루어지는 곳이다[46]. 특히 부모의 양육행동 은 청소년의 문제예방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렇듯 가정은 인간에게 1차적이고 우선적인 사회로서의 기본적 장이며, 청소년은 가정 내에서 부모로부터 양육, 보호, 지원 받으며, 사회의 적응을 준비하게 되고, 가치관 형성에도 영향을 받는다. 나아가 건강한 가정 내에서 성장한 청소년은 대개 안정적으로 자신을 돌볼 수 있으며, 잘못된 물질주의 가치관의 배제는 물론 문제행동을 스스로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기 물질주의 가치관에서 비롯된 문제 예방을 위해 서는 청소년들이 건강한 가정환경에서 성장하고 양육 받을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수적이며, 가족 건 강성 향상을 위한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 개발은 중요하다[48].

    한국에서 최근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청소년 자살률의 증가와 청소년 범죄의 저연령화, 반복화 등 의 사회문제는 물질주의 가치관에서 비롯되며, 문제행동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다양한 연구에서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였지만, 이들에 연구에서 부정적인 측면으로서 물질주의 가치관을 보는 연구는 매우 미흡하게 진행되었으며, 물질주의 가치관에 관한 선행연구는 물질주의가 청소년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34,43]들로 구매행동과 과시소비성향에 국한시킨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물질주의 가치관을 청소년기 가치관의 혼란으로서 초래되는 내·외적 행동과 의 영향을 보는 연구[13,14,22,39]에서, 가정환경요인의 영향 연구를 진행한 Kim[22]은 물질주의 가치관의 영향을 주는 주 요인으로서 부모요인을 보았으며, 이는 청소년 개인 심리적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 로 밝혔다. Jeon[14]과 Park[39]은 보다 구체적인 연구로서 가족환경과 물질주의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Jeon[14]의 연구에서 청소년 물질주의 척도 재구성을 통해 물질주의 가치관 및 가족환경이 비행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에 대해 설명하였음에도 불구하 고, 이후 청소년의 물질주의와 문제행동에 관련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과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을 고찰하고, 부 모 양육행동과 가족건강성 변인과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을 지양하고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제언을 통해 청소년의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의 성장발달을 위한 정책적 시 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 문제행동의 일반적 경향 및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청소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II.이론적 배경

    1.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

    청소년기는 아동과 성인의 중간적 시기로 또한 사회적 질서, 제도, 사상이 확립되지 않은 불안정 한 시기인 ‘과도기’로 총칭되기도 한다. 즉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의 신체적, 심리적, 인지적, 사회적 측면의 급격한 성숙과 변화를 이루는 시기를 보낸다. 이러한 급격한 성숙과 변화 속에서 청 소년들은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Eric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은 기존의 발달이론에 비 해 사회문화적 요소를 강조했으며,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를 중요시 하며, 개인의 발달시기에 획득한 능력이나 관심이 그가 상호작용하고 있는 사회의 요구와 얼마나 맞는가에 의해 개인의 적응 이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 발달에 있어서의 심리사회적 요인은 생물학적 요인과 함께 전 생애에 걸친 중요한 발달과정이며, Ko[23]는 청소년기는 그 중에서도 상호작용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시기라 고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신체적·인지적·심리사회적 발달이 두드러지는 청소년기는 환경에 따라 가 치관을 받아들이고 행동하는데 큰 차이가 있으며[17], 전통적인 가치관과 물질주의 가치관 사이에서 의 갈등은 과시소비, 모방소비, 충동구매, 과소비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경제관념 및 소비행동으로 표출되기도 하며, 또한 이와 같은 정서적 불안과 심리적 충돌은 가정과 사회에서의 마찰과 갈등을 일으켜 일상생활에서의 문제행동으로 표출되기도 한다[27]. 한편, 초기 물질주의를 연구한 Ward와 Wackman[45]은 물질주의 개념을 개인의 행복과 사회적 진전을 위한 소유물 및 금전으로서 강조하였 다. 이후 물질주의를 소비특성으로 본 Belk[3]는 물질주의를 세속적 소유에 소비자가 가치를 두는 중 요성이자 소비로서 행복을 추구하는 성향이라고 강조하며, 소유, 질투, 비관대성(non-generosity) 을 물질주의의 하위차원으로 보고 연구하였다. 이후 Richincs[41]는 물질주의를 소유를 삶의 중심으로 보고, 소유를 통해 웰빙(well-being)과 성공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고, 하위차원으로 중심 성(centrality), 행복(happiness), 성공(success)을 포함시켰다.

    지금까지 물질주의와 관련된 연구는 역사적, 사회적 그리고 최근에는 소비자 분야에서의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는데, 이러한 연구 및 연구자들은 공통적으로 물질주의에 관한 두 가지의 배경적 관 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물질주의에 관해서 가치중립적인 견해를 가지고 보다 긍정적인 측면을 보는 관점이다. 이는 물질 자체의 도구적 역할을 긍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인간은 물질을 소유, 획득하는 것으로 삶을 보 다 편리하고 풍족하게 만든다고 하였다. 또한 물질은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성공적인 기능을 위한 필 수적 요소로 보았으며, 이러한 속성은 인간에게 있어 가치 있는 경험을 창출하며 대인관계를 높이기 도 한다고 보았다[9].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물질주의가 가져오는 부정적인 측면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물 질주의의 주요학자인 Belk[2]는 물질주의 개념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소유에 대해 집착하려는 경향성 과 타인의 행복, 성공, 명성에 대해 느끼는 비(非)유쾌함, 타인과 공유하지 않으려는 경향성이라는 다소 부정적 개념으로 구성하여 연구하였다. 그의 연구에서는 물질주의 성향이 강한 경우 개인의 생 활만족도가 낮다고 하였다[2,3]. 또 다른 주요학자인 Richins와 Dawson[42]은 물질적 가치가 개인 삶에 있어서의 불만족감, 낮은 자존감과 연관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경향과 비슷한 견해의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Moon[34]은 물질주의의 절약정신, 개인의 노력, 경제활동의 자극의 요소 등과 같은 긍정적 측면도 보았으나, 지나친 물질주의는 청소년의 문제를 야기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물질주의는 물질자체가 인간의 삶에 가져다주는 편리성이라는 가시적인 결과로 연구자 들에게 물질주의의 긍정적 측면을 인지하게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그동안 진행 된 연구들은 대 체로 부정적 관점을 따른 것이 다수로 나타났다.

    물질주의 가치관이 가져오는 부정적인 배경적 관점에서의 관련 선행연구들은 비효율적 소비행동 과 부적정서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우선 첫째, 비효율적 소비행동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높은 물질주의가 가져다주는 과소비 및 과시소비와 충동구매에 관련된 다수의 연구[5,31,34,43]들을 살펴 볼 수 있다. Park[37]은 지나친 물질주의 성향이 과소비와 즉흥소비, 소비중독 등의 비정상적 청소년 의 소비 행동을 유발한다고 하였으며, Cheon[5]도 충동구매의 경향을 가지는 가장 높은 변인으로 물 질주의 성향을 지적하고 있다. 둘째, 청소년의 잘못된 가치관 및 부적 정서 형성 문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Hwang[12]은 현대사회에서 청소년이 물질적 가치관에 물들게 되면 자신의 정체성 을 잃어버리게 되며, 이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가 결국 자신을 해칠 수도 있다고 보았으며, Jang[13]은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치우치게 되면 현실과 기대 간의 괴리가 커지게 되어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영 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Pieters[40]는 물질주의와 외로움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물질주의와 외로움의 무한루프’ 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Burroughs와 Rindfleisch[4]는 청소년 집단의 지향가치와 반대되는 물질주의 가치관은 심리적 긴장과 연관될 수 있으며, 심리적 긴장은 곧 청소년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Park[39]의 연구에서도 청소년에게 만연화 된 물질주의 가치관은 추구할 수 있는 바람직한 삶의 가치를 왜곡시키거나, 중요한 신념을 등한 시 하게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물질주의 가치관과 관련된 연구 동향에서, Lee와 Lee[32]의 연구에서는 여자청소년이 연령이 높아 질수록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다고 하며 연령과 성별의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설명하였고, 또한 Park[39]도 청소년 연령이 높을수록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다고 하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 련된 물질주의 가치관에 관한 연구는 보다 세부적 변인으로 관련 영향력을 설명하였는데, Jeon[14]은 물질주의 가치관의 하위요인별로 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물질주의 가치관의 질투요인이 높았으며, 인색요인의 경우는 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높다고 하였다. 또한 부의 교육의 따라 물질주의 성향이 높게 나타나는 연구[32]도 있었다. 물질주의 가치관과 관련한 다수의 연구에서 가정의 경제적 및 생활 수준, 소득의 여부는 그 수준이 낮을수록 물질주의 가치관에 높은 영향을 보였다[39,43].

    2.청소년의 문제행동

    청소년 문제행동은 인간발달단계에 따른 청소년 시기 부적응의 문제로 발생되는 행동으로 개인 내적 요인을 비롯하여 가정, 학교, 또래관계, 사회 등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된다.

    청소년 문제행동 연구를 용어의 맥락으로 시대적으로 살펴보면, 1950년대 초기에는 사회적 부적 응이라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이후 Freud의 심리학 영향을 받아 정서장애라는 용어로 일컬어졌으며, 1960년대 후기에 와서 문제행동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20]. 이후 문제행동은 개인의 기 대나 인정의 행동으로의 일탈, 사회규범으로부터 이탈 된 행동이라고 정의되기도 하였다. 이와 관련 된 초기 국내연구에서 Hong[10]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환경의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정서적·행 동적 부적응이나 장애를 모두 포함한다고 하였다.

    Kim[21]은 청소년 문제행동을 보는 최소한의 이론적 관점으로 미시적인 차원과 거시적인 차원을 포괄하는 개인적 차원의 심리학이론과 사회적 차원의 사회학이론 2가지를 함께 봐야 한다고 주장하 였다. 초기 문제행동의 접근은 개인을 초점으로 진행 되었는데, 문제행동의 요인을 개인의 기질적, 생물학적 요인으로 보았고, 이후 Frued의 정신분석학의 영향으로 성격특성과 발달단계 상의 고착 및 갈등으로 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최근 환경 및 사회적 상호작용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의 중 요성이 인식되면서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미시적, 거시적 환경과 중요한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생 겨나는 부적응의 결과로 보기 시작했다[24].

    이와 같이 최근 청소년의 문제행동의 원인 및 결과를 바라보는 연구들은 개인적 요인의 차원을 넘어서 가정, 사회 등 환경적 요인을 함께 보는 복합적인 요인을 적용하여, 다양한 변인들과 함께 연 구하였다.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심리 사회적 문제행동을 Achenbach 와 Edelbrock[1]는 외현적 문제와 내재 적 문제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외현적 문제행동은 자신의 행동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해 발생되는 문 제로 과잉행동, 공격성, 비행 등으로 세분화되며, 내재적 문제행동은 자신의 행동억제와 위축 및 불 안 등의 정서적 문제로 정신분열증, 강박증, 우울증 등으로 세분화된다.

    청소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청소년 개인, 가정, 또래, 사회구조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선 청소년 개인의 특성에 해당하는 주요 연구에서 자아탄력성은 청 소년의 문제행동과 부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나타났고[38],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문제 행동이 높다는 연구가 있다[28]. Kang[15]도 자아존중감은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높은 부적상관이 있으 며, 외현적 문제행동보다는 내재적 문제행동과 더욱 더 높은 상관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또한 청소 년들은 독립과 자율의 욕구로 가정보다는 학교와 또래환경에서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는데 또 래들과의 관계에서 부적절한 상호작용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6]. 또 한 입시위주와 경쟁구조로 인한 스트레스, 빈곤, 계층불화와 같은 불평등으로 인한 사회구조적 문제 는 이미 다양한 부분에서 청소년 문제행동을 야기 시키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들은 가족 내 부모의 양육, 가족구성원 간의 경험을 통해 발달시키게 되고, 또 한 부정적인 양육행동 및 가족 내 경험은 청소년 개인을 넘어서 청소년의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29]를 통해 볼 때,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부 모의 양육태도 및 행동, 가족 내 건강성은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문제행 동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긍정적 요인 중 부모의 애착 및 애정의 경우 다수의 연구에서 애정이 높 을수록 청소년의 문제행동이 낮다는 연구결과[19,26,36]를 보였으며, 적극적인 부모의 감독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문제행동이 낮다는 연구결과[18,24,26]를 보였다. 그러나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는 높을수록 청소년의 문제행동이 높다는 결과[7,18,36]를 보였으며, So[44]는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내 재적 문제행동인 우울감에 정적관계를 나타낸다고 하였으며, Lee[30]는 부모의 방임이 높을수록 청소 년의 외현적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또한 부모의 학대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에서 외현 적 문제행동인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33,36].

    3.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

    오늘날 다루어지고 있는 부정적 관점에서의 물질주의적 풍조는 곧 친사회적 행동에 반대되는 특 성을 지니게끔 한다고 보았는데[47], 이와 관련된 부정적 상관을 보여주는 연구에서는 물질주의가 청 소년의 낮은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웰빙, 불만, 외로움 등과 관계가 있다고 보았으며[4,22,40], 청소년에 경우 부정적인 관점에서의 물질주의는 정서적, 행동적 문제행동을 나타낸다고 하였다[8,14,16,32,39].

    우리나라에서는 물질주의 척도를 구성하는 세부요인과 청소년 비행을 살펴보는 연구가 주류를 이 루고 있다. 청소년 비행은 범죄행위를 비롯하여, 규범과 도덕적 문제행동을 모두 포함한다. 관련 연 구에서 Jeon[14] 은 물질주의 가치관 척도를 구성하는 각 요인들의 상이한 특성에 따라 일부요인은 부정적인 문제행동을 유발 한다고 보았다. 즉 물질주의에 의한 성공 행복관 요인은 청소년의 문제행 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특히 청소년 비행은 지위, 약물, 재산, 학교규범위반 비행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곧 물질 소유를 성공의 상징이나 기쁨의 원천으로 여기는 청소 년의 가치 신념이 곧 비행을 조장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Park[39]의 연구에서도 물질에 대한 소유를 성공과 행복으로 여기는 성향과 타인의 소유에 대한 비 유쾌한 질투를 느끼는 성향은 청소년의 비행행동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는데, 이와 같은 청소년의 가 치신념은 결국 타인의 가치와 자신의 다른 측면의 가치를 경시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임 을 강조하고 있다.

    III.연구방법

    1.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며 학교를 다니는 14세에서 19세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15년 12월 1일에서 6일 사이에 중학교 3학년을 43명을 대상으 로 진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2016년 1월 13일부터 3월 11일에 걸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5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495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기재가 불성실한 61 부를 제외한 총 434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조사도구

    1)사회 인구학적 변인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사회인구학 적 변인으로는 성별, 현재 학년, 가족형태, 경제적 수준, 부모님의 연령과 학력, 부의 직업 유형과 모 의 직업 유무를 선정하였다.

    2)부모 양육행동

    본 연구의 부모 양육행동은 Huh[11]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한 선행연구[18]를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요인분석 고유값(eigen value) 1.0이상, 요인적재량 0.40이상을 기준으로 한 요인분석 및 Cronbach α 값 0.60이상을 기준으로 한 신뢰도 분석을 통해 재명명되고, 재구성된 부모 양육행 동의 관한 하위요인은 총 5개, 20문항이다.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4점으로 4점 Likert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합한 점수의 평균을 사용하여 측정된 점수가 높을수록 요인 별 양육행동 수준 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뢰도 계수(Cronbach α)는 학대 및 방임 .89, 애정 .86, 과잉기대 및 간 섭 .79, 감독 .71, 합리적 설명 .67, 전체 부모 양육행동 .70으로 나타났다.

    3)가족건강성

    본 연구의 가족건강성은 Yu[49]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한 선행연구[33]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4 개의 하위요인, 총 27문항이다.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5점 Likert 방식을 이 용하였으며, 합한 점수의 평균을 사용하여 측정된 점수가 높을수록 요인 별 가족건강성 수준이 높다 는 것을 의미한다. 신뢰도 계수(Cronbach α)는 가족존중 및 애정 .96,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 .89, 의사소통 및 유대감 .88, 재정적 안정 .87, 전체 가족건강성 .97으로 높게 나타났다.

    4)물질주의 가치관

    본 연구의 물질주의 가치관은 Belk[2], Richins와 Dawson[42]의 척도를 우리나라 청소년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Jeon[14]의 척도를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요인분석 고유값(eigen value) 1.0이상, 요인적재량 0.40이상을 기준으로 한 요인분석 및 Cronbach α 값 0.60이상을 기준으로 한 신뢰도 분석을 통해 재구성된 물질주의 가치관의 하위요인은 총 3개, 11문항이다. ‘전혀 아니다’ 1 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5점 Likert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합한 점수의 평균을 사용하여 측정된 점수가 높을수록 요인 별 물질주의 가치관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뢰도 계수(Cronbach α) 는 질투 .78, 성공행복감 .77, 소유 .63, 전체 물질주의 가치관 .67으로 나타났다.

    5)문제행동

    본 연구의 문제행동은 한국판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YSR)의 내재적 문제 및 외현적 문제 행동 척도에서 선행연구[21,26]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직접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요인분석 고유값 (eigen value) 1.0이상, 요인적재량 0.40이상을 기준으로 한 요인분석 및 Cronbach α 값 0.60이상을 기준으로 한 신뢰도 분석을 통해 재구성된 문제행동의 하위요인은 총 2개, 22문항이다. ‘전혀 아니 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5점 Likert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합한 점수의 평균을 사용하여 측정된 점수가 높을수록 요인별 문제행동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뢰도 계수(Cronbach α)는 우 울/불안 .90, 공격성 .93, 전체 문제행동 .94로 높게 나타났다.

    3.자료분석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 백분 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분석, 사후검증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 의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IV.연구결과 및 해석

    1.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 및 문제행동의 일반적 경향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 및 문제행동의 일반적 경향은 <Table 1>과 같다. 물질주의 가치관의 평균은 2.96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물질에 대한 소유 3.58점, 질투 2.96점, 성공행복감 2.58점의 순서로 나타났다. 문제행동의 평균은 2.05점으로 보통 이하로 비교적 낮게 나 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우울/불안이 2.14점, 공격성 1.95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해가 되는 외현적 성격의 문제보다 정서적 우울감, 지나친 걱정과 불안한 감정의 소극적 태도를 보이는 내재적 성격의 문제가 더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

    회귀 분석에 앞서 독립변인들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으며, 각 변인 간 .80을 넘지 않았으므로 변인 간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Table 3>에서 각 단계별 설명력을 살펴보면, 1단계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은 문제행동의 변량을 5.9% 설명하고 있다. VIF는 1.04~1.77 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현재 학년이 문제행동의 영향 변인으로 밝혀졌다. 다음 2단계에서 부모 양육행동 변인을 추가한 결과 설명력은 29%로 크게 증가 되어, 1단계에 비해 24.1% 더 설명하고 있다. VIF는 1.05~2.00으로 나타났으며, 학대 및 방임, 과잉기대 및 간섭, 감독, 합리적 설명이 문제행동의 영향 변인으로 밝혀졌다. 다음 3 단계에서 가족건강성 변인을 추가한 결과 문제행동의 변량을 35.7% 설명하고 있으며, 2단계에 비 해 6.7% 더 설명하고 있다. VIF는 1.07~4.89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 변인의 가족존중 및 애정 은 문제행동의 영향 변인으로 밝혀졌다. 마지막 4단계에서 물질주의 가치관 변인을 추가한 결과 문 제행동의 변량을 38.9% 설명하고 있으며, 3단계에 비해 3.3% 더 설명하고 있다. VIF는 1.07~4.91 로 나타났으며, 물질주의 가치관 변인의 질투가 문제행동의 영향 변인으로 밝혀졌다.

    분산확대지수(VIF)가 10이하이고, 공차한계(Tolerance)가 0.1이상의 수치를 보여 다중공선성에 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Durbin-Watson이 1.928로 기준 값인 2에 매우 근접하고 0또는 4에 가깝지 않기 때문에 잔차 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회귀 모형에 적합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소유에 의한 물질적 가치관을 포함하는 사회적 가치관을 받아들이는 가정 내 부모의 태도와 양육행동, 건강한 가족구성원의 결속력, 유대감, 의사소퉁 강화 등 가족의 건강성 향상은 청소년 자신의 가치관 확립 뿐 아니라 우울과 불안의 내재적 문제행동과 공격성의 외현적 문 제행동에서의 밀접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V.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과 문제행동의 실태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 인들을 분석하여 청소년의 올바른 물질주의 가치관 형성 및 문제행동의 예방을 위한 방안을 모색 하 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 문제행동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 한 결과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은 2.96점, 문제행동은 2.05점으로 나타났다. 물질주의 가치관의 경우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물질에 대한 소유, 질투, 성공행복감의 순서로 나타났는데, 이는 청소 년의 경우, 물질을 통해 예측할 수 있는 미래의 성공과 행복에 대한 가치판단 보다는, 현재 물질 자 체를 소유하는 맥락에서 판단할 수 있는 자기 및 타인소유에 대한 물질주의 가치신념이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문제행동의 경우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우울/불안이 공격성보다 더 높았는데, 이는 청 소년의 문제행동이 외현적 성격의 문제보다는 내재적 성격의 문제가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부모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에 따른 물질주의 가치관을 분석한 결과, 물질주의 가치관은 청소년의 현재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즉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와 같은 결과로서[43], 청소년 초기 보 다는 청소년 후기에 비교적 물질에 대한 가치와 필요성이 보다 더 명확히 인지되기 때문이라고 사료 된다. 부모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에 따른 물질주의 가치관은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지 않았지만, 하위요인으로 살펴볼 때, 질투에 의한 물질주의 가치관은 부모 양육행동에서 학대 및 방임, 과잉기대 및 간섭과 같은 부정적 변인이 높을 때, 가족건강성이 낮을 때 높았다. 이와 상반되 게 소유에 의한 물질주의 가치관의 경우, 부모 양육행동에서 애정, 감독과 같은 긍정적 변인이 높을 때, 가족건강성이 높을 때 소유에 의한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았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긍정적 양육 행동과 가족 내 건강성을 높게 지각하는 청소년이 반대로 지각하는 청소년에 비하여 소유에 의한 물 질주의적 가치판단을 하기에 적합한 일정한 자기 소유의 자원을 가정 내에서 제공 받았거나 또는 받 고 있음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물질에 대한 가치 판단에 있어서도 타인 소유에서 느끼는 질투심 보 다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소유에 대한 욕구가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효율적 소비 및 과욕으로 인한 부적 정서를 가정 및 사회에서의 교육과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요소로서 잘 다룰 수 있다면, 물질 자체가 삶에 주는 편리성으로서 물질주의의 긍정적 측면을 활용할 수 있는 연 구의 시초가 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이러한 비교 가능한 결과는 또한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 및 교육의 환경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기본적 자원에 대한 평등적 제공으로의 물질적 복지 구축의 필요 성 또한 시사한다.

    셋째,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부모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에 따른 문제행동을 분석한 결과, 문제행동은 청소년의 성별, 현재 학년, 부의 직업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여학생보다는 남학생, 중 학생 보다는 고등학생, 부의 직업이 피고용 및 불안정한 고용상태일 경우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 다. 이는 남학생, 학년이 높을 때 문제행동이 더 높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43]. 그리고 부모 양육행동 또한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부정적인 양육행동으로 분류 되는 학대 및 방임, 과잉기대 및 간섭의 경우는 높은 집단일 때, 긍정적인 양육행동으로 분류 되는 애정, 감독, 합리적설명의 경우는 낮은 집단일 때 문제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녀를 존중, 수용하며, 애정적인 관심을 가지고, 합리적 규준에 따른 일관적 지도를 하는 부모의 양육행동 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지표가 됨을 밝힌 것으로 해석되며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24,26,39,44]. 또한 가족건강성도 문제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족존중 및 애정,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유대감, 재정적 안정의 가족건강성 전반이 낮을 때 문제 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족의 건강성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당한 영향력을 나타 낸다.

    따라서 가족건강성의 향상을 위한 노력은 가족 내 청소년 자녀의 문제행동 예방에 있어 큰 효과 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사회 전반적으로 보다 더 건강한 가족을 지향할 수 있는 가 치관 확립 및 다양한 기관에서의 건강가족을 위한 교육 및 컨설팅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 이다.

    넷째,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단계 선택 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 양육행동에 있어서 학대 및 방임, 과잉기대 및 간섭, 질투에 의한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 을수록 문제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 양육행동에 있어서 애정, 감독, 가족건강성의 가족존 중 및 애정은 낮을수록 문제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족존중 및 애정은 문제행동의 설명력 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반적인 가족 내 애정과 존중의 분위기가 청소년의 문제행동 에 큰 영향을 주는 것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청소년의 문제행동 예방을 위해서는 1차적 환경으로서 의 가정이 소통, 애정, 존중 중심의 가족건강성을 수반해야 하며, 건강한 가족을 유지 혹은 지향하기 위한 가족 친화적 환경 조성 및 시스템의 확립을 위한 다차원의 국가적 노력과 접근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과 문제 행동의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서 사회인구학적 변인, 부모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기 위한 분석결과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연령 에서는 청소년 초기보다는 청소년 후기에 물질주의 가치관과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물질에 대한 욕구나 필요성을 인지하는 시기, 입시 위주의 경쟁적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다양한 경험과 관계의 증가 시기가 청소년 후기이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성인기 의 바로 전 단계인 청소년 후기에는 보다 더 중점적인 건전한 물질주의 가치관 확립 및 문제행동 예 방을 위한 교육환경을 조성하여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가족건강성의 가족존중 및 애정요인 은 청소년 문제행동 예방에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문 제행동에 있어서 부모의 애정, 감독, 합리적 설명과 같은 긍정적인 부모의 양육행동과 가족 내 존 중, 애정, 역할공유,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유대감, 재정적 안정의 가족 건강성의 정도는 청소년 문 제행동을 예방 할 수 있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종합하였다. 따라서 건전한 가치관 확립에 중요한 시 기를 보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가정, 학교, 지역사회 기관의 관련 프로그램 개발은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물질주의 가치관에서 청소년 문제행동에 주는 영향을 주는 변인은 질투에 의한 물질주 의 가치관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에 우리사회에서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 발달을 위해 서는 물질에 있어서의 자신과 타인의 소유에 대해 올바른 이해를 이끄는 가치관 확립을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 및 복지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 및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서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일반화하여 해석하는 데에 한계가 따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과 문제행동에 있어서 다양한 변인의 주요한 영향 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부모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의 변인만을 한정하여 살펴 보았으므로 이외의 다양한 변인들을 통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부모 양육행동, 가족건강성이 물질주의 가치관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 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행동 및 가족 내의 가족이 건강한 정도가 청소년 자녀의 내·외적 행동 및 가치관에 있어 중요한 변인이 되는 것임에 관한 여러 연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관에 관련된 연구가 현저히 적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부모 양육행동, 가족건강성과 청소년 물질주의 가치관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igure

    Table

    Average Level of Materialist value and Problem behavior (N=434)

    Correlation of Study Variables

    ※1. Sex, 2. Age, 3. Family structure, 4. Economic status, 5. Father's age, 6. Mother's age, 7. Father's education, 8. Mother's education, 9. Father's job type, 10. Mother's job status, 11. Abuse & Non-intervention, 12. Affection, 13. Over-expectation & Over-involvement, 14. Monitoring, 15. Rational explanation, 16. Family-respect & affection, 17. Role-sharing & Problem-solving ability, 18. Communication & tie, 19. Financial stability, 20. Envy, 21. Happiness of success, 22. Possession, 23. Aggression, 24. Depression/anxiet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p<0.05
    **p<0.01
    aSex: 1=Female, 0=Male
    bFamily structure: 1=Extended/Single-parent family, 0=Nuclear family
    cEconomic status: 1=Middle, 0=Etc
    dFather's education: 1=High school graduated or less, 0=College & university graduated or more
    eMother's education: 1=High school graduated or less, 0=College & university graduated or more
    fFather's job type: 1= Office, Technical official, blue collar job, 0=Etc
    gMother's job status: 1= Yes, 0= No

    Reference

    1. Achenbach T.M , Edelbrock C.S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s, University of Vermont,
    2. Belk R.W (1984) Three Scales to Measure Constructs Related to Materialism : Reliavility, Validity, and Relationships to Measure of Happiness ,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1 ; pp.291-297
    3. Belk R.W (1985) Materialism: Trait Aspects of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2 (December) ; pp.265-280
    4. Burroughs J.E , Rindfleisch A (2002) Materialism and Well-Being: A Conflicting Values Perspective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9 (December) ; pp.348-370
    5. Cheon J.Y (2003) Materialism and Impulsive Buying Tendenc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Korea,
    6. Cho J.Y (2010) Pathways from Interparental Conflict to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Maternal Support and Control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Effects of Mediating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7. Choi I.H (2010)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through adolescents' empathy ability ,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8. Flouri E (2004)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practices and children’s materialist values ,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Vol.25 ; pp.743-752
    9. Halt D.B (1995) How Consume: A Typology of Consumption Practices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2 (June) ; pp.1-16
    10. Hong K.J (198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ehavior profile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1. Huh M.Y (2000)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2. Hwang H.J (2006) A Study on Expression of Materialism and Conspicuous Consumptio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3. Jang B.Y (2004) The effects of adolescent's materialism and self-efficacy on stress perceptio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University. Jeon-Nam. Korea,
    14. Jeon G.Y (1998) A Study of Relations among Family Structural Environment, Materialism, and Adolescents' Delinquency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36 (3) ; pp.87-103
    15. Kang J.H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problem betavior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6. Kasser T , Ryan R.M , Zax M , Sameroff A.J (1995) The relations of maternal and social environments to late adolescents’materialistic and prosocial values ,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1 ; pp.907-914
    17. Kye S.J (1996) Children's Consumer Roles by Their Mother's Child-rearing Methods , Journal of Sukmyung womans University Helthy Living Science Research Institute, Vol.11 (2) ; pp.47-67
    18. Kim B.N (2014)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aternal Rearing Attitudes and Problematic Behaviors in Childre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I.S , Lee K.N (2004) Parent Attachment, Peer Support and Behavior Problems of Middle School Students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7 (2) ; pp.97-113
    20. Kim K.H (1993) A Study on Relationship Parent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Types and behavioral problem of child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yosung womans University. Daegu. Korea,
    21. Kim Y.H (2013) 2013 Research on Age decrease of Youth Deviant Behavior Status and Policy Project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search Paper 13-R07,
    22. Kim Y.Y (2000)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materialism, self-esteem in adolescent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3. Ko H.J (2000) The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socio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4. Ko J.J (2005) The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nd Adolescents’ Self-Control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3 (2) ; pp.1-17
    25. Lee E.J (1989)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V advertisements and children's orientation toward materialism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26. Lee E.T (2011) The Effect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The Effect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 mediated by Shame and Guilt Pronenes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27. Lee G.Y (1999) Consumer education: theory ' practice, Gyomoon,
    28. Lee G.Y (2012) A Study about the Affects of the Behavior Problems of the Adolescents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 and Self-Esteem of the Child ,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Kyeong-Buk. Korea,
    29. Lee J.M (2007)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conflict, maternal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on children's well-be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30. Lee J.S (2015)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of Father and Mother on the Problem Behavior and Academic Self Efficacy of Adolescents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bang culture University. Seoul. Korea,
    31. Lee M.H , Hong E.S , Han K.S (2009) The Factors affecting Impulsive Buying of Adolescents: Focusing on Materialism and Agents of Consumer Socialization ,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Vol.5 (4) ; pp.19-36
    32. Lee S.H , Lee Y.M (1997)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Value Orientation to their Life Satisfaction ,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4 (1) ; pp.1-24
    33. Lee S.J (2009) The Family Strengths and Perceptions of Future Parent's Roles in Middle School Students ,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Vol.18 (2) ; pp.301-311
    34. Moon Y.J (2009) Materialism and Conspicuous Consumption of Adolescent consumer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35. Moon S.J , Yeo Y.K (2005) Consumption trend marketing, Shinjung,
    36. Oh J.I (2015) Adolescents who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impact on mental health and delinquent behavior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37. Park C (1993) The Study on Advertising acceptance and Materialism of Adolescent , Studies on Korean Youth, Vol.14 ; pp.45-63
    38. Park J.H (2013) An Effects of Daily Stress and Ego-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Adolescent Problem Behavior ,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kuk University. Seoul. Korea,
    39. Park J.Y (2015) 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s and Adolescents’ materialism on Juvenile delinquency ,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Korea,
    40. Pieters R (2013) Bidirectional Dynamics of Materialism and Loneliness: Not Just a Vicious Cycle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40 (December) ; pp.615-631
    41. Richins M.L (1990) Measuring material values : A prelominary report of scale development ,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7 ; pp.169-175
    42. Richins M.L , Dawson S (1992) A consumer values orientation for materialism and its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9 (December) ; pp.303-316
    43. Shin J.H (2012) A Study on the Materialism and Conspicuous Consumption for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4. So S.S (2008)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on the Depression of Early Adolescent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Gyeonggi. Korea,
    45. Ward S , Warkman D (1971) Family and media influences on adolescent learning ,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14 (January-February) ; pp.415-427
    46. Yang S.M (2003) A Study on the Healthiness of Rural Families in Korea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47. Yankelovich D (1981) New Rules : Searching for Self-Fulfillment on a World Tumed Upside Down, Random House,
    48. Yu Y.J (2001) A study on strong families, Gyomoon,
    49. Yu Y.J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Family Strengths Scale for Strengthening the Family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9 (2) ; pp.119-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