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1 No.4 pp.743-765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6.21.4.7

A Study on Nursery Teachers' Cognitions Acceptability of Family Form and Family Values

Sung-Hee Lee, Sung-kyoung Cho, Hyun-Su Kim
Department of Child Welfare, Woosuk University, JeonJu, 55338, Korea
Department of Child Welfare, Woosuk University, JeonJu, 55338, Korea
Department of Child Welfare, Woosuk University, JeonJu, 55338, Korea
Corresponding Author: Sung-Hee Lee, Department of Child Welfare, Woosuk University (sorak61@hanmail.net)

Abstract

This study is all about child care and to grasp their family cognition. family acceptability, and family value, classify their types depending on family cognition. Two important factors of family cognition we have, 1) Family acceptability - to examine differences of attitudes or ways of your family. 2) Family value – is to identify the value of being importance of each others upon a member of as one family. Family cognition, means to recognize the impotance and value of ther relation as one family. We ha also nuclear family that includes two married parents of opposite gender it has also single parent and remarried families. In Family acceptability nuclear family they were highly acceptive rather than homosexual families. We have 3 types of family circle as adoptive single remarried Families. How ever they showed a significantly low level of acceptability for homosexual families compare to others. As for family value, its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is, view of marri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resence of religion and income, premarital cohabitation according to presence of religion, and view of children according to presence of a spouse, presence of children, presence of religion, age, and income.


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 수용성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이 성희, 조 성경, 김 현수
우석 대학교 아동 복지학과 전주, 55338
우석 대학교 아동 복지학과 전주, 55338
우석 대학교 아동 복지학과 전주, 55338

초록


    I.서론

    가족이 무엇인가?라는 주제는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으나 여전히 합의된 개념을 찾는 것은 쉽 지 않다[24]. 가족은 우리에게 보편적인 경험인 동시에 사회‧역사‧문화적 배경에 따라 각 개인이 경험 하는 현실 속에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 특수한 경험이다. 과거 부부와 그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 형태만이 유일한 정상가족으로 인식되던 것과 달리, 현대에는 한부모가족, 재혼가족, 다문화가족, 조손가족, 무자녀가족, 동거가구, 1인가구, 동성가족 등 전통적 가족형태에서 벗어난 비전통적 가족 형태들이 다양화되면서 가족에 대한 개념도 함께 변하고 있다. 가족은 하나의 고정된 개념이 아니라 각 시대의 사회,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어 가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가 족형태에 대한 이해와 수용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과제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가족 에 대한 전통적 개념은 어떤 가족은 다른 가족보다 정상적이고 우월한 것으로 여기게 하므로 사회변 화에 따라 발생하는 현대의 모든 가족형태를 포함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가족형태를 편견 없이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족에 대한 열린 정의를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는 지금 까지의 법적, 생물학적 유대를 강조한 ‘가족’(family)이라는 고정된 시각에서 점차 ‘가족 들’(families)이라는 개념으로 재구성하여 인식하고 적응해야 한다[13, 20].

    실제 보육기관에서도 교사가 담당하는 유아들 중에는 한부모가족, 재혼가족, 조손가족, 다문화가 족, 공동체가족 등 비전통적 가족형태 안에서 양육되고 있으며, 보육교사는 유아뿐만 아니라 그 가 족구성원들과 끊임없이 관계를 맺어야 한다. 보육교사로서 뿐만 아니라,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유아 의 건강한 발달과 가족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일한 가족형태만을 추구하는 것 보다 다양한 가족형태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태도가 적극적으로 요구된다.

    가족가치관이란 개인이 가족과 관련된 삶의 방식을 판단하고 선택하는데 주체적인 원리로 작용하 는 지속적인 신념체계로 잠재적 태도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26], 가족주의, 가족의식, 가족주의가 치, 가족주의가치관 등 다양한 형태로 연구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가족가치관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결혼관, 성역할관, 자녀관, 부양 및 효도관, 가족주의가치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10]. 특히 혈연의 식에 기초한 가족주의가치관은 한국사회를 설명하는 주요 개념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러한 가족 가치관의 개념은 사회문화적 배경의 영향으로 지속적인 변화가 이루어지는 가치개념이다. 따라서 변화하는 사회에 맞추어 가족에 대한 가치관도 함께 변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우리의 의식이 빠르 게 적응하기란 쉽지 않다.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많은 사람들이 남녀가 평등하므로 동등하게 대우하 고 지도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관찰해 보면, 교사가 자신도 의식하지 못 하는 순간에 차별적인 발언이나 행동을 하는 경우를 발견하게 된다[12]. 이것은 우리의 무의식 속에 오랫동안 성차별적인 생각이 내재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교사의 태도는 유아의 가치관 형성 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교사의 가족에 대한 가치관은 유아의 가족가치관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할 것이다. 가족가치관에 대한 변인은 다양한데 특히 ‘가족’에 대한 기본 적인 결혼과 자녀에 대한 태도를 통해 현재 보육교사들의 가족가치관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보육기관은 유아가 가정을 떠나 최초로 접하게 되는 낯선 환경으로, 기관에서의 안정적인 적응은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보육교사란 유아를 보호하고 교육하는 교사로, 유아와 부모를 지원하여 가족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사람이다. 유아기는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시 기로, 교사는 교육의 중요한 인적 환경이 되며, 이 시기의 경험은 일생의 기초가 되므로 보육교사는 일생의 가장 중요한 시기에 그 기초를 닦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22].

    유아기 발달은 자신의 역량보다 환경의 영향이 크며, 초기 아동기 일수록 환경의 질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고 있다[19]. 교육기관에서 유아의 적응을 촉진하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대 상은 교사이다. 교사는 교육현장에서 교육의 주체로 교육에 대한 방향을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 을 하며, 실제적인 교육활동을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교사가 가지고 있는 개념이나 가치관은 유아 에게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전달되므로, 교사의 가치관은 유아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교사의 가치관은 개인의 행위뿐만 아니라 교육과 관련된 판단과 행위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보육의 질적 향상과 국가의 공적책임이 강조되면서 만0-5세 영유아를 대상으로 어린 이집에서 운영해야 할 보편적 보육내용을 제시하는 표준보육과정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다[9]. 표준 보육과정은 만0-1세 보육과정, 2세 보육과정, 3-5세 보육과정으로 구분되는데, 3-5세 보육과정은 누리과정으로 모든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유아들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교육과정이다. 0-2세 표준 보육과정은 기본생활, 신체운동,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회관계영역의 세부내용은 나를 존중하고 나와 다른 사람의 감정알기, 더불어 생활하기로 ‘내가족 알기, 자신이 속한 집단을 알기, 사회적 가치를 알기’로 구성되어 있다. 만3-5세 보육과정 은 신체활동, 의사소통, 사회관계, 탐구활동, 예술활동 총 5개 영역으로 나뉘며, 사회관계 영역은 나를 알고 존중하기, 나와 다른 사람의 감정 알고 조절하기, 가족을 소중히 여기기, 다른 사람과 더 불어 생활하기, 사회에 관심 갖기로 세분화된다. 그 중 ‘가족’ 관련 주제를 주로 다루는 영역은 ‘가족 을 소중히 여기기’ 영역이다. 이 영역에서는 가족의 의미와 소중함 알기, 가족구성원 알아보기, 가 족 구성원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기, 다양한 가족구조에 대해 알아보기, 가족을 위해 내가 할 수 있 는 일 알아보고 실천하기, 가족과 화목하게 지내기 등으로 세분화된다. 이처럼 사회관계 영역에 가 족이라는 주제와 가족에 대한 세부주제가 제공되어져야 하므로 보육교사는 가족에 대한 개념과 사 회변화가 반영된 가족인식과 교육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족관련 주제 이 외에도 모 든 주제영역에서 유아와 상호작용하면서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반영되기 때 문에 보육교사의 가치관은 유아의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됨은 자명하다.

    보육교사는 수업시간에 전달해야 하는 정보에 대해 정확한 인지와 현대사회의 변화를 반영한 가 치관으로 학습을 도움으로써 유아에게 정확한 지식과 가치관을 전달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 에도 불구하고, 보육교사 대상 교육과정에서 가족형태의 인식이나 가족관련 가치관에 대한 교육의 적극성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Jeon[7]의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가족’에 대한 개념 이해에 관한 연구결과, 교사들은 가족의 정의를 내릴 때 동일한 거주공간과 구성원 간의 관계성에 근거한 전통적 가족 개념을 주로 보이고, 구체적 사례에 대해서는 전통적 관점에서 벗어난 판단을 내리는 등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였으며, 가족개념 자체는 주로 상식에 근거한 불명확한 개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금까지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 및 가족가치관에 대한 연구는 대학생이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주 로 진행되었으며[1, 8, 14, 20, 25], 특정 대상으로는 예비가정과 교사, 중학교 가정과교사, 청소년을 대상 으로 진행되었고[3, 12, 13, 17, 26, 27],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Jeon[7]의 ‘가족’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 이해 및 특징을 인터뷰한 연구 이외에는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가족의 개념이 변함에 따라 가족인식도 함께 변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가족에 대한 개념을 가족에 대 한 이미지나 가족형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들로 진행되어 왔다.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은 가족의 특정한 모습에 대해 가족이 맞다, 아니다라고 판단하는 것이라면, 가족수용성은 어떤 가족형태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개인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가족형태의 인식과 구별하고자 한다. 즉, 가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을 분리하여 연구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혼재되어 있는 현대사회에서, 보육교사가 지니고 있는 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 가족가치관의 현 지점을 파악하고, 현대사회 변화를 잘 수용하고 적응할 수 있는 보육교사들에 대한 가족 관련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 가족수용성, 가족가치관은 어떠한 경향을 보이는가?

    1. 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은 어떠한가?

    2. 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에 따른 유형은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가족가치관은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가족형태 인식, 가족수용성, 가족가치관에 차이가 있는가?

    II.이론적 배경

    1.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

    한국사회는 전통적으로 혈연중심 핵가족을 전형적인 가족으로 인식하였으나, 사회구조의 변화, 개인주의 가치관의 확대 등으로 가족의 형태와 관계가 다양화되었다. 가족은 고정불변의 개념이 아 닌 사회와 시대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가변적인 개념으로, 현재 다양한 가족으로의 변화는 되돌릴 수 없는 흐름이다. 이제는 달라진 가족의 모습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는가와 관련된 가족에 대한 인 식, 이에 대한 수용 및 가치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가족개념이란 가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으로, 가족이 어떤 관계의 사람들로 구성 되었나 하는 형태적 의미를 포함한다[18]. 가족개념을 연구하는 방법으로 가족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 볼 수 있는데, 이는 현실적이고 이상적인 구성요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요인들은 이미지를 창출 하는 자신과, 가족자체를 반영한다[26].

    가족개념에 관한 선행연구를 보면, Kim[11]의 연구에서는 혈연성, 동일거주성, 부계성, 경제성, 소 득 공동관리로 설명하고 있으며, Cho와 Oh[3]의 연구에서는 혈연과 부계혈통을 가족의 기준으로 제 시하였다. Yang[25]의 연구에서는 가족에 대한 정의로 ‘혈연’보다 ‘사랑’과 ‘운명’ 이라는 정서중심으 로 개념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가족형태 인식관련 연구는 대부분 결혼관, 자녀관, 부부관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8, 10, 16, 21], 실제 다양한 가족형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20, 26]. Yoo와 Yoo[26]의 연구에서는 핵가족, 입양가족, 재혼가족, 친인척관계 가족, 무자녀 가족, 비혈연가족, 공동체가족 등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가족개념을 연구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핵가족 형태는 99.3%로 가장 높았고, 한부모가정(78.6%), 재혼가족, 입양가족(77.8%, 76.3%) 순이었다. 그러나, 독신(5.1%), 조상(15.6%), 애완견(20.6%), 비혈연(24.4%)에 대해서는 가족이라는 비율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는[20], 핵가족(99.0%), 입양(91.9%), 재혼 (91.4%), 한부모(87.6%) 순으로 전형적인 핵가족형태 뿐만 아니라 입양, 재혼에 대해서도 비교적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입양, 재혼보다도 한부모 가족에 대한 인식이 더 낮게 나타난 것은 인상 적이다. 마찬가지로 가족형태로 독신(18.7%), 조상(28.2%), 비혈연(37.8%), 애완견(39.7%)은 낮 게 인식하였다.

    가족이다 아니다라는 인식과 달리, 여러 형태의 가족에 대해 실제 자연스럽게 자신이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수용성은 태도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가족형태 인식과 구별될 수 있다. 인식은 한 개인의 태도를 결정하는 선행 요인으로 작동되기도 하지만, 인식과 태도가 별개로 움직이면서 불일 치적인 모순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가족개념 연구는 주로 가족에 대한 인식만 초점으로 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가족개념을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과 수용성이라는 두 가지 하위영역으로 파악해 보고자한다.

    2.가족가치관

    가족에 대한 논의에서 빠지지 않는 개념으로 가족가치관을 들 수 있다. 가족가치관이란 가족에 대한 신념체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바람직한 가족에 대한 사람들의 지속적인 신념을 의미며, 결혼 관, 성역할관, 자녀관, 부양 및 효도관, 가족주의가치관 등으로 설명된다[4]. Duvall[5]은 가족원을 하 나로 연결하는 이념, 태도, 신념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가족의 목표와 행동방향을 제시한다고 하였 다. 또한 가족가치관이란 가족이 어떻게 형성되는가, 관계가 어떻게 유지되는가 등으로 결혼, 출산, 양육에 대한 개인의 가치와 신념, 그리고 태도로 정의하기도 한다[6, 20]. 이는 사회와 시대의 변화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정된 개념이 아닌 가변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15]. 이렇게 가족가치관은 시 대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개념이지만, 한 시대와 사회에서 전체적으로 통용되는 가치관은 존재한다. 한국사회의 가족가치관은 가족중심주의와 가부장제 중심에서 개인중심주의와 성평등으로 변화되고 있다. 현재 젊은 세대들을 중심으로 결혼과 출산을 개인의 선택으로 바라보고, 직업노동과 가사노동 이 특정한 성별에서 담당해야하는 문제가 아니라, 남녀가 함께해야하는 영역으로 보고 있다. 그러 나, 변화된 가족가치관은 성, 연령 등 개인의 인구학적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다[6]. 현재 한국사회의 가족가치관은 전통적 관점과 현대적 관점이 혼재되어, 중심된 두 가치관이 충돌하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가족가치관관련 연구들은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비교적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대부분 성 역할, 자녀관, 결혼관, 가족주의 가치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2, 10, 14, 15, 20, 27]. 90년대 가족가 치관의 세대별 비교연구 결과를 보면[10], 여성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 중년세대 여성은 노년여성에 비 해 근대적 경향으로 변화를 보였다. 2005년과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미혼남녀의 가족가치관 추세연구에서 결과[2], 미혼남녀 모두 자녀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낮게 인식 하였으나 성역할 태도는 보수적으로 변화하였다. 결혼을 꼭 해야한다는 결혼관에 동의하는 정도가 여성은 높아졌으나 남성은 낮아졌다. 최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14] 남녀대학생 모두 가족가치관 점수가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며, 결혼관은 중간보다 낮아, 자녀에 대한 가치를 더 중요하 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가족가치관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시대와 대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현재 보육교사들의 가족가치관이 어떠한지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III.연구방법

    1.연구대상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전라북도 보육교사 직무교육 위탁기관 인 W대학, J대학 부속 보육교사교육원에서 실시하는 2015년 보수교육에 참여한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체 350부의 설문지 중 332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충실히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 통계분석이 불가능한 극소수 남성 응답자를 제외한 총 303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대상 의 연령은 22세부터 59세까지로 10대 단위로 분류하였고, 근무기간은 1개월부터 98개월까지로 1년 단위로 재분류하였고,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Table 1>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40대(42.1%)가 가장 많았으며, 30대(36.4%), 20대(15.6%). 50대(5.0%) 순이었고, 출생순위는 가운데(47.5%), 첫째(31.0%), 막내(21.5%) 순으로 분포하였다. 이들 대부 분은 시(83.7%)에 거주하였으며, 종교는 무교(42.3%)가 가장 많고, 개신교(34.3%) 순이었다. 연 구대상자는 대부분 배우자(76.6%)와 자녀(76.2%)가 있으며, 학력은 전문대(50.5%), 4년제 대학 (32.6%) 순으로 나타났다. 가계평균 월소득은 200만원 이하(24.8%), 401만원~500만원(23.5%), 301만원~400만원(20.4%) 순이었다. 이들이 현재 근무하는 보육시설 유형은 민간어린이집(41.7%) 이 가장 많았고, 가정어린이집(31.9%), 법인어린이집(21.0%) 순이었고 이들의 근무개월수는 1년 미 만(46.1%)이 가장 많고, 1년 이상~2년미만(16.8%), 2년이상~3년미만(13.1%), 3년이상~4년미만 (12.5%)순으로 나타났다.

    2.연구도구

    1)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

    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척도는 Yoo와 Yoo[26]이 구성한 다양한 가족구성원 및 관계에 대한 20문항을 기초로, 연구자들이 현대사회의 또 다른 형태의 가족(조손가 족, 성인자녀와 이혼한 부모, 친족가족)을 포함하여 총23문항을 사용하였다. 가족형태 인식은 응답 자가 제시된 23개의 형태에 대해 ‘가족이 맞다’, ‘가족이 아니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점 수가 높을수록 제시된 가족형태에 대해 가족이라고 생각하는 인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가족수용성 은 같은 23문항에 대해 ‘매우 거부감이 든다’ 1점, ‘거부감이 든다’ 2점, ‘보통이다’ 3점, ‘자연스럽 다’ 4점, ‘매우 자연스럽다’ 5점인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제시된 다양한 성원들의 구성 및 관계를 자연스럽게 가족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수용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가족형 태 인식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763, 가족수용성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871로 나 타났다.

    2)가족가치관

    가족가치관은 Nam[16]의 척도 14문항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후 신뢰도가 낮은 3문항을 제외한 11문항을 사용하였다.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하위요인을 결혼에 대한 태도, 동거에 대한 태도, 성역할에 대한 태도, 자녀에 대한 태도로 명명하였다.

    각 문항은 ‘매우 그렇다’ 1점부터 ‘매우 그렇지 않다’ 5점을 부여하는 5점 리커트 척도로, 혼전동 거에 대한 문항은 역채점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결혼, 자녀에 대한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고, 혼 전동거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성역할에 대해서는 성평등한 가치관을 가진 것을 의미한다. 가족가 치관 척도의 신뢰도 Cronbach’ Alpha는 .709로 나타났으며, 하위척도별로는 .638~.734로 나타났다.

    3.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사회인 구학적 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 수용성, 가족가치관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보육교사들의 가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에 따른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은 비위계적 군집분석인 K-means 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가족형태 인식, 수용성, 가족가치관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해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IV.연구결과

    1.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 수용성, 가족가치관

    1)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 및 수용성

    제시된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 대한 인식과 수용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2>. 먼 저 제시된 형태에 대해 가족이 ‘맞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 64.0%로,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형태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부와 그들이 낳은 자녀’라는 전형적인 핵가족형태(1번) 에 대해서는 거의 모든 응답자가 가족으로 인식하고 있었고(99.7%), ‘입양가족(2번, 6번)’, ‘한부모 가족(5번)’, ‘재혼가족(4번)’, ‘한부모 3대가족(3번)’에 대해서도 ‘가족이 맞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90%가 넘었다. 이는 전형적인 핵가족형태 뿐만 아니라 혈연이 아닌 입양, 재혼, 반드시 부모가 아 닌 조부모로 구성된 형태도 가족이라고 생각하는 인식도 비교적 높았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가족으 로 인식하는 비율이 가장 낮은 문항은 ‘독신’(23번, 10.6%), ‘공동체가족’(22번, 22.2%), ‘동성애가 족’(21번, 25.8%) 순으로, 다수 구성원이 없거나, 혈연 또는 법적으로 맺어지지 않은 형태에 대해서 는 가족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족개념의 기준에는 구성원, 이성간의 결합, 법적 으로 묶여진 제도적인 측면을 중요시 여기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 Yoo와 Yoo[26]의 연 구(49.9%)보다 높은 개방성을 보이고 있어 15년 동안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Park[20]의 연구(64.1%)보다는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어 보육교사들이 대학 생보다는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이 조금 더 보수적임을 알 수 있다. 보육교사의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은 총 23문항 중 10개 문항의 가족형태(1번, 2번, 3번, 4번, 5번, 7번, 9번, 14번, 15번, 18번)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지만, Yoo와 Yoo[26]의 연구에서 4문항의 가족형태(17번, 20 번, 21번, 22번), Park[20]의 연구에서 10문항의 가족형태(6번, 12번, 13번, 16번, 17번,19번, 20번, 21번, 22번, 23번)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여, 항목간에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략적인 범주로 보면, 입양, 재혼, 조부모, 미혼모, 이혼가족 등에 대한 인식은 Yoo와 Yoo[26]의 연구결과에 비해, 전체적으로 20% 이상 동의하는 비율이 상승하여 80% 이상이 가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상당한 변화임을 알 수 있다. 기존연구에서는 ‘단군시대까지 거슬러간 조상들 (18번)’이 가장 낮은 인식정도를 보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동성애가족’(21번, 25.8%), ‘공동체가 족’(22번, 22.2%) ‘독신’(23번, 10.6%)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어, 상징적으로 현재에 존재 하지 않은 조상들보다도 오히려 이들에 대한 기준이 더 엄격하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다음으로 제시된 형태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수용성이 어떤지를 보면, 역시 전형적 인 핵가족 형태인 ‘부부와 그들이 낳은 자녀’ (M=4.78, C.S=95.6)에 가장 높은 수용성을 보였으며, ‘어렸을 때 자신을 입양한 노모와 함께 사는 52세의 중년여성’ (M=3.85, C.S=76.9), ‘입양한 아들 과 며느리, 손자와 함께 사는 노부부’ (M=3.66, C.S=73.1), ‘남편을 잃은 딸과 외손자와 함께 사는 할아버지’ (M=3.61, C.S=72.2)순으로 나타나고 있어, 앞서 제시된 가족형태 인식의 기준인 입양, 조부모 등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전형적인 가족형태에 비해 수용성 점수는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반면, 동성애가족(M=1.90, C.S=38.1)에 대한 수용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우리사회 에서 보육교사들은 가족의 기준으로 이성간 결합을 비교적 엄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의 일치성을 비교해보면 ‘부부와 그들이 낳은 자녀’에 대한 응 답은 인식과 수용성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의 문항에서는 인식과 수용성이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독신’에 대해 가족으로 인식하지 않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반면 가장 수용하기 어려운 형태는 ‘동성애가족’이었다. 개괄적으로 보면, 제시된 형태 순에서 1번 ~ 13번 문 항의 형태에 대해서는 비교적 가족이 맞다라는 인식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수용성보다 높게 나 타났고, 14번 ~ 23번 문항의 형태까지는 반대로 가족이다라는 인식에 비해, 오히려 자연스럽게 받 아들이는 수용성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가 가족이라는 인식의 잣대와 자연스 럽게 받아들이는 수용성하고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이는 가족이라고 생각되는 기준과 삶의 형태로 받아들이는 수용성의 기준은 다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에 따른 유형

    보육교사의 가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을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으로 구분하여 두 가지 가치가 연합하는 경우로 4가지 유형이 나타날 수 있어, 4개의 군집을 지정하여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각 유형의 양상에 따라, 가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 모두 높은 집단인 군집 1은 43명(14%), 가 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이 중간인 집단인 군집 2는 98명(33%), 가족형태 인식은 높으나, 가족수 용성은 중간정도인 집단인 군집 3은 113명(38%), 가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 모두 낮은 집단인 군집 4는 47명(16%)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군집 1은 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이 모두 높은 집단, 군집 2는 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이 중간정도인 집단, 군집 3은 가족형태 인식은 높으나, 수용성이 중간정도인 집단, 군집 4는 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 모두 낮은 집단이라는 특성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들 유형에 대한 분포도는 [Figure 1]과 같다. 비교적 본 연구대상의 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의 전체 분포는 아주 낮은 점수의 지형이라기보다는 약간은 오른편으로 치우쳐져 있는 지형으로, 가족 형태 인식과 수용성이 높은 점수로 분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3)보육교사의 가족가치관

    보육교사의 가족가치관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Table 4>와 같다. 보육교사의 가족가치관은 전체 평균 3.39점(C.S=67.8)이었으며, 하위 요인은 성역할에 대한 태도(M=3.93, C.S=78.6)이 가장 높 았고, 결혼에 대한 태도(M=3.72, C.S=74.4), 자녀에 대한 태도(M=2.86, C.S=57.2), 동거에 대한 태도(M=2.48, C.S=49.6)순으로 낮아졌다. 보육교사들은 성역할에 대해 양성평등적 가치관을 가지 고 있으며, 결혼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나, 자녀의 필요성은 높으며, 동거 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2.가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 차이

    가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그 결과 핵가족형태는 가족이 맞다라고 인식한 연구대상자들의 수용성은 5점 척도에서 평균 4.78 점으로 높게 나타났고, 거의 모두 가족이 맞다라고 응답하여 t검증은 실시하지 못하였다. 22개의 가 족형태(한부모, 입양, 재혼, 조손, 비혈연, 애완견, 조상, 독신 등)에 대해 가족이 맞다고 응답한 집 단과 아니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가족수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다시 말해, 제시된 가족형태에 대해서 가족이 맞다고 동의한 사람들이 그들을 자연스럽게 여기면서 받아들이는 수용성 또한 높다는 것이다. 평균점수를 보면, 대부분의 가족형태에서 가족이 맞다고 인식한 집단은 중간점수 이상으로 보통보다 높게 가족으로 받아들여 수용성이 높고, 아니다 라고 인식한 집단은 중간점수 이하로 받아들이지 못하여 수용성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친구와 함께 사는 할머니(비혈연 동거가족, 14번)는 가족형태로 인식하는 집단과 인식하지 않는 집단의 가 족수용성의 평균점수는 중간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재혼 후 생모의 사망한 계부와 아이(17번), 레즈비언커플과 함께 사는 아이들(동성애 가족, 21번)에 대해서는 가족형태로 맞다고 인식한 집단과 아니라고 인식한 집단 모두 평균점수가 중간점수 이하로 낮은 가족수용성을 보였다.

    3.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형태 인식, 수용성, 가족가치관 차이

    1)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 차이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배우자 유무, 자녀 유무, 거주지, 종교, 출생순위, 연령, 학력, 월 소득수준, 근무기간, 어린이집 형태)에 따른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과 가족수용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Table 6>과 같다.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수용성은 배우자유무, 출생순위, 근무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p<.05). 배우자 없는 경우가 가족수용성이 높았으며, 출생순위에서는 첫째가 다른 형제순위 에 비해 높은 가족수용성을 보였다. 또한 근무기간에 따른 가족수용성은 2년 이상 ~ 3년 미만인 그 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년 이상 ~ 2년 미만인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가치관 차이

    연구대상자들의 사회인구학적 배경(배우자 유무, 자녀 유무, 거주지, 종교, 출생순위, 연령, 학력, 월소득수준, 근무기간, 어린이집 형태)에 따라 가족가치관과 그 하위변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 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보육교사의 종교와 연령에 따라 가족가치관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가 없 고, 20대인 보육교사의 가족가치관이 높게 나타났다. 가족가치관의 하위요인 중 성역할에 대한 태도 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이 없었다. 보육교사의 종교와 월소득은 결혼에 대한 태도에 유의 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동거에 대한 태도에는 종교, 자녀관에는 배우자유무, 자녀유무, 종교, 연령, 월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종교가 없고, 월소득 500만원 이상보다 401만원~500만원 의 보육교사들이 결혼에 대한 필요성을 대해 낮게 인식하였다. 동거에 대해서도 종교가 없는 사람이 수용하는 태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태도는 배우자유무, 자녀유무, 종교, 연령, 월 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배우자와 자녀가 없고, 종교가 없으며, 20대이고, 월소득이 200만원 이하인 보육교사들이 자녀에 대해 꼭 필요하지 않다는 태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V.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가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 가족가치관에 대해 파악하고, 가 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에 따른 유형을 분류해 보고, 가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의 차이가 있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우리사회에서 전형적인 가족이라고 생각 하는 부부와 그들이 낳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뿐만 아니라, 입양가족, 한부모가족, 재혼가족도 가 족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어느 정도 현실이 반영된 가족유형에 대한 인식을 가지 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핵가족만을 가족으로 인식하는 단일 개념에서 벗어나 입양, 재혼, 이혼 등 으로 형성된 관계도 가족으로 인식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이들은 동성애가족, 공 동체가족, 독신 등에 대해서는 가족이 아니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가족개념을 판단하는 데 있어서 구성원의 수, 이성간 결합인 생물학적 유대, 그리고 법적관계를 중요하게 생각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보육교사의 가족수용성을 살펴본 결과, 핵가족 형태에 매우 높은 수용성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입양가족, 한부모가족, 재혼가족을 가족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는 경향이 비교적 높았다. 그 러나 동성애에 대한 수용성은 다른 형태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수용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 한 결과, 가족형태 인식과 가족수용성간에 미세한 차이는 있으나 가족수용성도 가족형태 인식과 유 사하게 이성간 결합과 법적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가족가치관을 살펴본 결과, 성역할과 결혼에 대한 태도는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으나, 자녀와 동거에 대한 태도는 중간 이하의 점수를 보여 자녀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 으며 동거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선행연구과 비교해 보면, 대학생의 가 족가치관[1, 14]이나 중학교 가정과교사[17]의 가족가치관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가치관 의 하위변인 중 자녀에 대한 태도와 동거에 대한 태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여, 보육교사들 이 자녀에 대한 태도와 동거에 대해서는 전통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 교사의 특성상 다른 직업에 비해 유아에 대한 관심과 책임감이 높아 자녀의 존재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동거 또한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 므로 이와 관련하여 보수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다양한 가족형태 인식과 수용성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 보육교사의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이 높을 때, 수용성이 보통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재혼 후 생모가 사망하고 함께 사는 계부와 아이, 레즈비언 커플에 대해서는 가족 이 맞다고 응답하였으나, 그 가족들에 대한 수용성은 보통이하의 점수를 보였다. 다시 말해, 보육교 사들은 특정한 가족형태(동성애, 비혈연 재혼가족 부모-자녀관계)에 대해서 가족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으로는 보육교사들은 어릴적 친구와 함께 살고 있는 할머니에 대해 서는 가족형태로 인식한 집단과 인식하지 못한 집단 모두 가족수용성이 보통이상 점수를 보였다. 이 는 보육교사들은 가족을 인식하고 수용하는데 부부와 혈연적 부모자녀관계, 법적관계를 중요하게 여기기도 하지만, 관계를 맺고 함께 살아간다는 것을 가족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형태 인식, 가족수용성, 가족가치관과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가족형태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나, 가족수용성, 가족가치관과 그 하위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배우자유무, 출생순위, 근무기간에 따라 가족수용성에 차이가 있었고, 가족가치관의 하위변인인 결혼에 대한 태도는 종교유무, 소득에 따라, 동거에 대한 태도는 종교유무 에 따라, 자녀에 대한 태도는 배우자 유무, 자녀유무, 종교유무, 연령, 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가족수용성의 경우 기존 연구에서 첫째가 협조적이고 순응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성격특성이 반영된 결과임을 예측할 수 있으며[23], 근무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수용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보육교사로서 현장에서 실제 영유아와 학부모를 경험하면서 다양 한 가족에 대한 수용성이 증가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가족가치관의 경우 모든 하위변인에서 종교가 없는 사람들이 가족에 대해 더 개방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대부분의 종교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가치관들이 현대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기보다 전통을 유지하려는 특성이 반 영되어 본 연구에서도 종교를 가지고 있는 그룹이 가족에 대해 전통적인 관점을 유지하려는 성향이 강함을 확인할 수 있다. 자녀에 대한 태도에서 배우자가 없는 경우, 자녀가 없는 경우, 연령이 어릴 수록 자녀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자녀에 대 한 가치관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득이 적을수록 자녀에 대해 꼭 필요하지 않다는 태 도를 보였는데, 이것은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는 현대사회의 사회적인식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의 많은 일반인들이 가지 고 있는 가치관과 일치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특히 현대 젊은이들의 가치관과 일치한다. 다시 말해, 가족가치관은 보육교사라는 직업적 특성이 반영되었다기보다는 사회 전반적인 흐름과 맥락을 같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가족형태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열린 의식이 필요한 시 점이라고 볼 때, 제시된 일부 문항의 가족형태에서 오랜 전의 선행연구와 비슷하거나 더 낮은 인식 수준을 보이는 문항(계부와 그가 동거하는 여성과 함께 사는 아이, 사별한 남편의 육촌 여동생과 한 집에 같이 사는 미망인, 레즈비언 커플과 함께 사는 그들의 아이들, 서울근교에서 공동체 생활을 하 는 6명의 성인과 12명의 아이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과 수용성이 편 의적으로 수용되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과 수용성이 일치하지 않는다 는 것은 교사가 유아와 함께 할 때 교사의 말과 행동의 불일치성으로 현장에서 보육교사들이 가족에 대한 개념을 다룰 때의 어려움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이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가족개념에 대한 질 적 연구를 실시한 Jeon[7]의 연구에서도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보육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이나 보육 교사에 대한 직무교육을 실시할 때, 현대사회의 변화를 반영한 다양한 가족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 을 통해 교사들의 다양한 가족에 대한 인식과 수용성이 일치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유아에 게 일관적인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 대한 개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추후 보육교사 양성교육과 직무교육 시 가족에 대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며, 다양한 가족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명확하고 일관된 가족개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교 육과정과 다양한 가족에 대한 인식변화와 수용을 위한 적절한 지침들의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에 덧붙여, 본 연구결과에서 시사 받을 점은 가족에 대한 정의와 이에 대한 교육의 방향이다. 여기에서 제시되고 있는 여러 형태를 ‘다양한 가족’의 한 형태로 받아들이는 것으로의 교 육 방향을 설정하는 것에 대한 고민과 고려가 필요하다는 문제제기를 해 볼 수 있다.

    연구결과를 보면, 전형적인 핵가족, 입양가족, 재혼가족, 한부모가족 등은 이미 가족이라는 인식 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이러한 형태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수용성 이 떨어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가족개념에 대한 열린 의식의 교육이 필요한 지점이라 하겠다. 한편, 동성애, 독신, 공동체에 대해서는 가족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은 낮지만 이를 받아들이는 수용성이 인 식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지점에서 다양한 형태를 ‘가족’이라는 기준의 강조가 아 닌, 다양한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삶의 형태로 논할 수 있는, 오히려 가족학자들의 열린 의식이 필 요한 지점이 아닌가라는 반문이 필요하다 하겠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제언 해보도록 한다.

    첫째, 가족의 의미는 형태적 의미와 기능적 의미[27]로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인식과 수용성을 보는데 있어서 주로 형태적 의미에만 집중하여 보육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기능적 의미에 대한 인식과 수용성에 대한 통찰이 부족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의 보육교사만을 대상으로 한 지역적 특징이 있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점이 있다.

    셋째, 본 연구는 가족형태 인식 및 수용성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 기술적 통계방법으로 이에 영 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입체적 분석을 하지 못하였다. 또한 질문지로만 이루어진 연구이므 로 질적 연구를 통한 보육교사들의 가족 관점에 관한 더 풍부한 자료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보육교사의 가족개념과 가치관에 대한 시간적 흐름에 따른 변화과정에 대한 관련연구의 축 적은 보육관련정책이나 직무연수 교과과정 구성을 반영하는 데 필수적이므로 이에 대한 주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Figure

    KJFW-21-4-743_F1.gif

    Group analysis on cognition about nursery teachers’ family form and acceptability

    Tabl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factors N=303

    Nursery teachers’ Cognition and acceptability of family form N=303

    *Converted Scores

    Group analysis on cognition about nursery teachers’ family form and acceptability

    Nursery teachers’ family value

    *Converted Scores

    Nursery teachers’ family value

    ***p < .001

    Differences in family acceptabili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p < .05

    Differences in family valu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p < .05
    ***p < .001
    ※only Those variabl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values and sub-factor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background are presented in the table

    Reference

    1. Bae M.J , Park S.J (2013) Consciousness of Filial Piety and Family Values in College Student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3 (5) ; pp.275-285
    2. Chin M.J , Chung H.E (2010) The Effects of Family Values on Intentions of Marriage and Expected Age at First Marriage ,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y Society, Vol.33 (3) ; pp.31-51
    3. Cho M.S , Oh S.J (1999) Family Relation Variable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ir Family Values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4 (1) ; pp.67-89
    4. Choi Y.C , Cho E.S , Nam Y.J , Song M.S , Kwon H.K (2012) Family Images and Healthy Family Images Perceived by Certified Healthy Family Specialists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16 (4) ; pp.3-28
    5. Duvall E.R (1971) Family development, Lippincott & Co, ; pp.77-78
    6. Eun K.S , Lee Y.S (2004) Family Values in Korea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28 (1) ; pp.107-132
    7. Jeon J.H (2015)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s of family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5 (5) ; pp.451-473
    8. Kim J.R , Kim K.S (2009) The Influence of Family Functioning and Familism on Awareness of parent-Supporting in College Students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13 (4) ; pp.133-149
    9. Kim J.Y , Kim D.R (2016) Toddler Teachers’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f the 3rd Standard Educare Curriculu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6 (5) ; pp.318-326
    10. Kim K.S (1998) The family value orientations among adolescent, middle and old generation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36 (10) ; pp.145-160
    11. Kim K.W (1995) Dynamic Relationship and Critical Mind of Family: cognition and Value of Family concept , Family and Culture, Vol.7 ; pp.213-255
    12. Lee J.S , Cheon H.J (2005) A Study on the Family Concept and Values among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9 (4) ; pp.63-80
    13. Lee S.H , Jeon G.Y , Han E.J , Cho G.W (2012) Family Welfare, Paranmaum,
    14. Lee Y.S , Kim H.N , Lee J.W (2016)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Childbirth according to the Types of Family Values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20 (1) ; pp.109-140
    15. Moon S.H (2012) Effects of Marriage and Family Values on the Marriage Intention and Expected Marriage Age of Unmarried Young Women ,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7 (3) ; pp.5-25
    16. Nam J.H (2007) Factors Affecting to Family Values : focused on the attitude towards marriage, cohabitation, gender roles, and childre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7. Oh Y.H , Chae J.H (2005)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Family Value and Needs on Learning Objectives of Family Life Area according to the Three Systems of Ac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Vol.17 (2) ; pp.239-255
    18. Park M.J (1995) Family Policy, Family, woman , Duksung Women's University Journal, Vol.24 ; pp.145-166
    19. Park S.K , Lee S.H (2015) Multicultural families' parenting environments and children's developmental status: Toward a plan for supporting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in Jeollabuk-do , Jour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dhood Education, Vol.20 (1) ; pp.159-188
    20. Park S.S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ncept and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14 (1) ; pp.37-55
    21. Sohn Y.S , Kim E.J (2010) A Study of the Gender and Generation Differences of the Family Values and Perception of Low Fertility in Korean Society ,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Vol.34 (4) ; pp.169-200
    22. Sung M.Y , Kim J.K , Suh J.H , Min M.H , Kim Y.M (2015) Introduction to Childcare Teachers, Hakjisa Seoul,
    23. Susan K.W (2012) The search for fulfillment: revolutionary new research that reveals the secret to long-term happiness ,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7 (1) ; pp.72-74
    24. Weigel D.J (1992) The concept of family: an analysis of laypeople's view of family , Journal of Family Issues, Vol.29 (11) ; pp.1426-1447
    25. Yang O.K (2001) Study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Family , Korean Journal of Familiy Welfare, Vol.7 ; pp.175-198
    26. Yoo G.S , Yoo Y.J (2002) A Survey on the Family Concepts and Values among the Citizens of Seoul ,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0 (5) ; pp.79-94
    27. Yoo S.H , Sung J.M , Kim T.D (2006) A study on the value of familism of the residence of apartments- With a focus on the comparison with rental and non-rental apartment residents- , The Study of clinical social work in Korea, Vol.3 (3) ; pp.129-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