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2 No.1 pp.125-141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7.22.1.6

A Study on Fair Parental Role Model and Parental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Couples and Korean Couples

Min-Jung Kim

Corresponding author : Min-Jung Kim, Dept. of Child Development & Guidance, Hannam University (mjkim@hnu.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ir parental role model and the parental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couples and Korean coup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6 multicultural fathers and mothers (28 couples) and 52 Korean fathers and mothers (26 cou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the fair parental role model and parental satisfac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couples and Korean couples is that the multicultural couples showed more satisfaction with their spouse’s parental role than the Korean couples. Secon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fair parental role model and parental satisfaction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multicultural couples, when self-parental satisfaction was higher, the multicultural fathers and mothe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spouse’s parental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Korean couples, when they had higher fair parental role model, the couples showed higher parental satisfaction. Also, when self-parental satisfaction was higher, the couple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spouse’s parental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the fair parental role model on parental satisfaction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multicultural couples, the fair parental role model had no effects on parental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Korean couples, the fair parental role model had an effect on self-parental satisfaction and their spouse’s parental satisfaction.


다문화 부부와 한국부부의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과 부모역할 만족도*

김 민정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Guidance, Hannam University, Daegeon 34430, Korea

초록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사회는 1990년대 전반까지만 하더라도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전통적 역할로 아버지는 가 족을 부양하고 생계를 책임지는 도구적 역할을, 어머니는 가사와 자녀양육을 맡는 표현적 역할 담당 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에는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과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로 인한 사회의 경제 및 구조의 변화를 가져왔고 이는 가족 안에서 부부간 그리고 부모로서 아버지와 어머니 의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왔다. 즉, 사회의 변화에 따라 부부 중심의 가족기능과 수평적 관 계로서 가정 안에서 수행해야 일들에 배우자의 역할과 참여를 강조 하고 남녀역할에 대한 평등의식 이 고조되어 부부역할은 물론 아버지와 어머니 역할수행에 있어서도 양성평등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인식으로 변화 하였다[15, 35, 36].

    이러한 결과로 그간 우리 사회에서 자녀양육의 많은 부분이 어머니 역할로 간주되어 오던 것이 이제는 자녀양육은 성인으로서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게 부여된 중요한 발달과업이인 동시에 아버 지가 함께 수행해야 하는 공동의 과업임이 강조되었다[6, 8, 12]. 이와 더불어 나타난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에도 보다 더 적극적 변화를 가져왔는데 과거와 달리 이제는 부모역할 수행에 있어서 어머 니 뿐 아니라 아버지도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역량과 자녀를 양육해야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는 인 식이 확산되고 있다[21]. 이에 이제는 가정 안에서의 아버지의 역할이 도구적 역할을 넘어서서 자녀양 육을 보다 적극적으로 담당하는 역할의 필요가 강조되기 되기 시작했다. 즉, 자녀양육에 있어 아버 지, 어머니 모두의 참여와 책임 분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자녀를 능동적으로 돌보고 양육하는 측면 까지 아버지의 주요 역할로 관심받기 시작하면서 양육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7, 27, 34]. 즉, 이제는 아버지 역할이 단순히 어머니의 역할을 도와 자녀를 훈육하고 교육하며 자 녀가 능력있고 독립된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넘어서서 자녀 양육에 보다 더 적극적·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상호작용하는 아버지 역할을 제안하고 있 다[17, 26]. 이러한 현상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부모역할 수행에 있어 아버지만이 또는 어머니만이 고유 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과업을 고려하되, 자녀양육은 부부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기대의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 개념이 대두하게 되었다[6].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한국가정 부부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를 보면 자녀양육 분담의식은 과거 보다 높아졌으나 실제 양육의 많은 부분이 아직까지 어머니의 몫으로 남 아 있으며 선행연구에서 다룬 주제들도 부모역할 수행에 대하여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이 필요한 영역,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에 참여하는 시간, 상호작용 유형, 질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결과들 을 중심으로 보고하고 있다[3, 6, 9, 18, 22, 32, 35].

    이는 사회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양육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과는 다 소 거리가 있는 것으로 이제는 자녀양육과 관련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에 대한 의식과 가치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요구에 적절한 부모역할에 대한 방향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라 사 료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최근 아버지 역할수행과 관련 있는 변인을 밝힌 선행연구들이 제시한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에의 참여가 부모로서의 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8, 12, 21].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아버지와 어머니가 양육에 함께 많이 참여 할수록 부모로서 느끼는 만족도와 자신감이 더 향상된다고 하였다.[21] 이는 아버지와 어머니 둘 모두 양육과정에의 적 극적 참여는 자녀나 배우자에게 뿐 아니라 본인의 부모로서 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뿐만 아니라 부모역할 만족도에서 자신의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배우자의 평가는 자기 자 신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배우자의 긍정적 평가나 높은 만족도는 자기 가치에 대해 보 다 확신하게 하며 양육자로서의 역할 수행에서 필요로 하는 인내심을 증가 시킨다[21]. 더우기 부모역 할에 대한 배우자의 긍정적 평가와 지지는 부모역할에 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 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부모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함께 제시하고 있다[4, 21, 30, 39].

    한편, 우리사회는 1990년대 이후부터 결혼이민자 가정의 꾸준한 증가세와 더불어 다문화가정이 증가 하였다. 다문화가정은 문화와 사회적 배경, 가치관 및 교육관 등에 있어서 다소 이질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2,38]. 이러한 이유로 다문화가정은 상대적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다문화 가정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수행에 대한 부부 간 서로 다른 가치관과 역할 기대에 대한 문제이다[20, 24, 37]. 특히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은 대부분 한국인 남편과 결혼이주 여 성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은데[38] 이러한 가정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조율하는 과제들을 가지 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과제들 중 하나가 자녀 양육관 및 이에 따른 자녀양육방법을 부부가 맞추어 나가는 것이다. 다문화가정은 각자가 살아왔던 사회의 양육가치와 방법,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규정들이 상반되거나 이질적일 때 부부 갈등, 가족갈등, 아동학대[5], 자녀 학교적응 등의 문제 로 이어지고 있어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공평한 가치관과 역할에 대한 강조 의 필요가 요구되고 있다[13, 24].

    특히 우리 사회의 다문화가정 사회 인구학적 특성 및 지역사회 배경은 도시지역보다는 농촌이나 도농 복합지역에 주로 많이 분포하고 있어 아직까지 가부장적 의식이 강한 특성이 남아있는 경향이 있다.[24] 이에 결혼이주 여성 외국인 어머니의 경우 자신이 살아온 사회와는 다른 낯선 한국문화와 한국어에 적응해야 하는 과업에 대한 부담뿐 만아니라 가사 관리 전반은 물론 주 양육자로서의 역할 까지 오롯이 담당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어머니 역할에 대한 부담감이 한국가정 어머니의 경우보다 더 높다고 할 수 있다[1].

    반면,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측면에서도 살아온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른 외국인 아내와 가정을 꾸 려 나가면서 기본적인 생활 습관이나 관습, 자녀양육방법, 자녀에게 한국음식을 만들어 먹이기 보다 는 어머니 국가의 음식 중심으로 제공하는 등의 영양관리나 청결교육과 같은 위생 및 식습관 지도에 대한 불만족과 갈등을 한국 부부 가정 아버지 보다 높게 느끼고 있다.[5] 그러나 다문화 가정 아버지 의 경우 다문화 가정이기에 느끼는 갈등과 불만족을 느끼면서도 실제 자녀양육에 대해서는 아버지 와 어머니가 함께 해야 한다는 부모역할 공평 의식을 가지기 보다는 아직 까지도 자녀양육은 어머니 가 담당할 몫이라는 의식이 한국가정 부부에서 보다 더 높다[1]. 이러한 부모역할 수행과 관련한 다문 화 가정의 이중적 의식은 다문화 가정 부부 의 부모역할 갈등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 이 되고 있다[1].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볼 때 자녀양육에 있어서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과 부모역할 만족도와의 관계를 다문화부부와 한국 부부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은 다양한 가족 형태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 에서 이에 맞는 바람직한 부모역할 제안에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부모역할 만족 도에서 자신 스스로의 만족도 뿐 아니라 배우자에 대한 부모역할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은 자신의 아 버지 또는 어머니로써의 역할만족도 뿐만 아니라 자녀 양육의 공동 과업을 함께 수행하는 파트너로 서 배우자의 아버지 또는 어머니 역할에 대한 자신의 만족도와 인식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 모역할 공동 과업 수행에 적절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목적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2.연구문제

    <연구문제 1.> 다문화 부부와 한국부부의 부모역할공평성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다문화 부부와 한국부부의 부모역할공평성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이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Ⅱ.문헌고찰

    1.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에 대해 Han과 Kim[6]의 연구 외에 선행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바, 우리사 회의 부모역할 변화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1990년대 이전 까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는 가정 안에서 자녀에게 엄한 아버지와 자애로운 어머 니로 상징 되는 부모역할을 개념화 하여 왔다. 이것이 상징하는 바는 아버지는 가정 전체를 책임지 는 존재이며 경제활동이 장이 아버지 역할의 중심 체계이고 가족을 부양하는 도구적 역할을 중시하 는 반면 가정 안에서 아버지로서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해서는 선택적, 보조적인 의식을 가지고 있 었다[32]. 즉,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서 자녀양육은 어머니의 몫으로 여겨져 어머니가 주 양육자 로 표현적 역할을 담당해 왔고 아버지는 양육에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지금도 자녀양육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표현적 역할을 부인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과거와 비교해 보면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아버지들이 가지는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과 개념에 변화가 일어났다. 이제는 어머니 뿐 아니라 아버 지도 자녀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와 그 역할에 대한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그것이 다[6, 18]. Han과 Kim[6]의 연구에서 제시한 바에 따르면, 아버지의 부모역할 수행은 사회 인구학적 요 인 뿐 아니라 부모의 의식체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맞벌이 증가는 가족 내의 모든 역할 차원에 대해 부부가 동등하게 참여하고 수행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부부간의 공평성 문제가 관심 있는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현대사회의 부모역할은 가족 내의 모든 역할 차원에 대해 부부가 동등하게 참여하고 수행해야 한다는 공평성의 개념을 가지고 부-모간 부모역할 수행 을 이해하는데 적절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가족구조의 소규모화와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 및 사회참여 활동의 증가는 가족 안에서 아 버지 역할 수행에 변화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Kim[18]은 아버지가 자녀를 훈육 및 건강을 관리하고 자녀로 하여금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가지게 하며 좋은 인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잘 수 행한다고 하였다. Choi는[3] 아버지는 훈육자로서의 역할, 긍정적인성격 형성, 정서적 안정감을 가지 게 하는 역할, 가정을 잘 이끌어 나가는 역할을 중시하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즉, 과거와 달리 이 제는 아버지가 도구적 역할을 넘어서서 표현적 역할을 함께 수행하고 어머니의 경우에도 단지 표현 적 역할 수행을 넘어서 보다 양성 평등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요구받고 있다[3, 18, 21].

    이러한 사회적 요구들은 우리사회에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전통적 개념의 부모역할에 대한 패러 다임에는 변화를 가져오게 만들었지만 아직까지도 가정 안에서 남성과 여성이 아버지로서 어머니 로서 양성평등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이루어 가는 과정에 있다. 즉, 부모로서의 양 성평등역할에 대한 인식이 실제 양성평등 역할 수행보다 더 높게 나타나고 있어 가정 안에서 부모의 양성 평등적 역할로의 인식이 변화되고 있으나 실제 양성 평등적 역할수행은 아직 그 인식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부모는 역할갈등을 해결하고 역할 정체성에 대한 정립을 요 구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3, 15].

    이에 본 연구는 부모역할에 대한 양성평등적인 시각의 사회적 요구가 실제 가정 안에서 부모의 가치관 변화로 이어졌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의미 있는 시도라 사료된다.

    2.부모역할만족도

    부모역할만족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부모의 배경특성 요인, 부모역할 수행과 관계된 가치관, 배우자 지지요인과 부모역할 만족도를 살펴보고 있다.

    먼저 부모의 배경 특성요인과 부모역할 만족도는 부모의 연령, 소득 정도, 교육수준, 맞벌이 여 부, 자녀 수와 자녀성별 및 자녀 연령 등과 같이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가정적 요인에 따른 부 모역할 만족도 중심의 연구로 진행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부모연령과 양육경험에 따라서는 고령일 경우 자녀를 양육한 경험이 많거나 그 기간이 길수록, 자녀들의 터울이 길수록 부모역할만족도가 높 았다. 또한 부모의 교육 및 소득수준과 부모역할만족도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 과[19.,29]와 부모 교육수준과 부모역할 만족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고 있 는 바,[23] 부모의 교육 및 소득수준과 부모역할만족도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일치하지 않는 연구결 과를 보이고 있다. 자녀연령과 부모역할만족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으나[29] 자녀 수와 성 별에 따라서는 외동이 부모가 다자녀 부모보다 남아보다는 여아 부모의 역할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 났다[19].

    이상과 같이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은 부모역할만족도를 부모의 관계적 특성에 의한 만족도 보다는 객관적·외적 요인을 통해 부모역할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하는 하였으며 부모의 특성변인이 같더라도 연구결과들은 다소 다른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10, 11, 16, 19, 29, 31].

    이러한 흐름 속에서 최근 들어 부모가 실제로 자녀양육에 적극성을 가지고 참여하는 정도 와 부 모역할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들에서는 부모가 자녀양육에 대한 공 평한 가치관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부모로서의 역할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제시하였 다. 이는 부모가 자녀양육에 보다 양육자로서 균형있는 역할을 수행할 때 자녀와의 긍정적 관계형 성을 이룰 수 있으며 이는 다시 부모역할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 다[6, 21].

    배우자지지 요인과 관련한 연구에서는[25, 28] 배우자의 지원이나 지지를 많이 받는 다고 지각한 부 모의 경우에서 배우자의 지원이나 지지를 적게 받는 다고 지각한 집단의 부모들 보다 부모역할 만족 도가 높게 나타나, 배우자의 지원과지지, 격려, 인정은 부모역할 만족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자녀양육과 관련한 배우자의 부모역할을 가치 있게 여기고 양육에 대한 판단과 의사 결정을 존중하며 부부가 자녀양육에 대한 소통이 잘 이루어질 때, 부모역할에 대한 배우자의 역할 기대가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7.,25]. 부부는 자녀를 잘 양육할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대상으로 배우자의 지지와 격려를 통한 만족은 다른 사회적 지지체계나 관계망의지지와 지 원을 통해 받는 만족과는 질적으로 다르기에[21] 배우자로부터 받는 부모역할에 대한 지지는 부모로 하여금 자신의 부모역할 효능감을 높게 해 줄뿐 만아니라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에도 영향을 미친 다.[8, 12, 21, 30]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부모의 양육참여와 부모역할만족도[2, 8, 12], 부모역할만족도와 배우자의 지원 [28],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 및 배우자의 지지와 부모역할 만족도를 살펴본 연구는 있었으나[21] 부 모역할 수행에 있어서 공평한 가치관과 부모역할 만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부모의 양육참여 정도는 부모역할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볼 때[12, 21] 자녀양육에 대한 부 모의 공평한 가치관과 이에 대한 부모역할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는 연구라 사료된다.

    Ⅲ.연구방법

    1.연구대상 및 절차

    본 연구는 한국인 아버지와 어머니 52명(26쌍)와 다문화가정 아버지와 어머니 56명(28쌍)을 대상 으로 하였다. 한국인 부부는 어린이집, 학교의 협조를 받아 자녀를 통해 가정에 배부하여 부모가 가 정에서 개별적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다문화 부부는 대학 부설 한국어 학당에 한국어 수업을 듣는 다문화 부부에게 배부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전체 200부의 설문지 가운데 108부(54%)의 설문지 가 회수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은 다음 <Table 1> 과 같다.

    2.측정도구

    1)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은 Han과 Kim[6]의 연구에서 사용한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 척도를 사용 하였다. 이 척도는 아버지와 어머니 양 편의 부모역할 가치관에 해당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우 그렇지 않다(1) ~ 매우 그렇다(4)의 4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답하도록 하였다. 점수가 높 을수록 부모역할에 대한 공평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 관 신뢰도 계수(α)는 .95로 나타났다.

    2)부모역할만족도

    부모역할만족도는 Shields[33]의 연구에서 사용한 Kansas Parental Satisfaction Scale(KPS) 척 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부모로서의 역할에 대한 본인의 만족도와 배우자의 부모역할 수행에 대 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 척도가 5점 척도인 것을 4점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매우 그렇지 않다 (1) ~ 매우 그렇다(4)의 리커트 척도에 답하도록 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로서의 역할에 만족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신뢰도 계수(α)는 .85 로 나타났다.

    3.자료처리 방법

    다문화 부부와 한국 부부의 부모역할공평성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t 검 정을 하였다. 다문화 부부와 한국 부부의 부모역할공평성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이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Ⅳ.연구결과

    1.다문화 부부와 한국부부의 부모역할공평성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 집단간 차이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모역할공평성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자신의 역할만족도, 배우 자역할만족도)에 대한 다문화 부부와 한국부부의 집단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역할만족도에서 배우자에 대한 부모역할만족도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 부 부가 한국부부 보다 배우자에 대한 부모역할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역할공평성 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자신의 역할만족도, 배우자역할만족도)를 남편과 아내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다문화 부부와 한국부부의 부모역할공평성 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

    1)다문화 부부의 부모역할공평성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

    다음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문화 부부의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과 부모역할만족도(자 신의 역할만족도, 배우자역할만족도)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역할 만 족도에서는 자신의 부모역할만족도와 배우자에 대한 부모역할만족도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편과 아내로 구분해서 살펴본 결과에서도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과 부모역할만족도(자신의 역 할만족도, 배우자역할만족도)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역할 만족도에 서는 자신의 부모역할만족도와 배우자에 대한 부모역할만족도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다문화부부는 자신이 부모로서의 역할에 만족할수록 배우자에 대한 부모역할에도 만족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한국부부의 부모역할공평성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

    다음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국 부부에서는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과 부모역할만족도 (자신의 부모역할만족도, 배우자역할 만족도), 부모역할 만족도에서는 자신의 부모역할만족도와 배 우자에 대한 부모역할 만족도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편과 아내 로 구분해서 살펴본 결과, 부모역할 만족도에서 남편과 아내 모두 자신의 부모역할 만족도와 배우자 에 대한 부모역할 만족도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 부부의 경우 부모역할에 대해 공평한 가치관을 가질수록 부모로서의 역할에 만족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자신이 부모로서의 역할에 만족할수록 배우자의 부모역할에도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남편과 아내로 나누어서 부모역할만족도를 살펴본 결과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이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부부에서는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이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나 한국부부의 경우에서는 다음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이 자 신의 부모역할만족도와 배우자에 대한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 해 볼 때 부부사이에서 부모역할에 대한 공평한 가치관은 부모로서의 역할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 인일 것으로 사료된다.

    Ⅴ.논의 및 제언

    이 연구는 다문화부부와 한국 부부에서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과 부모역할 만족도를 살펴보고 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들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역할공평성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에 대한 다문화 부부와 한국부부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 부부가 한국부부 보다 배우자의 부모역할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다문화 부부에서는 갈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양육분담에 대한 부부간 가치관이나 인식의 차이 이며[1] 이에 대한 Kang,[14] Daejeon CPS Center[5], Kang,[13] Kim[20]에서 제시한 결과를 통해 보면 다문화가정 부모는 전혀 다른 문화에서 살 다온 또는 살아온 배우자의 문화를 이해할 기회나 시간적 충분함 없이 가정을 이루는 것이 대부분이 어서, 자녀양육과정에서 더 많은 갈등이 유발되고 이 결과 배우자의 부부만족도는 물론 부모역할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결과와는 다소 다른 결과이다. 이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은 다문화 가정의 한국인 남편과 결혼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남편과 아내 중 어느 한쪽 배우자만을 대상으로 부모역할만족도 를 제시한 결과인데 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부 모두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1, 14, 24]. 또한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적·정책적 관심과 지원 증가와 다문화가족을 위한 적극적 교육 의 결과라 여겨진다. 즉, 다문화 부부의 살아온 배경이 다른 배우자의 생태체계 환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배우자의 양육행동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돕는 지원과 교육의 결과가 배우자의 부모로서의 역 할을 이해하게 됨으로서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추후 우리 사회의 다문화 가족에 대한 교 육이 체계적·전문적으로 접근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체계로서의 부부 사이에 부모역할 에 대한 상호만족도는 가족 체계 안에서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의미있는 동기로 작용할 것으로 예견 되는 바, 남편과 아내로 나누어 각자의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을 넘어서서 체계로서의 부부가 지각하 는 부모역할만족도 살펴보고 가족복지적 차원에서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 부부의 부모역할공평성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역할 만 족도에서 자신의 역할만족도가 높을수록 배우자역할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남편과 아내로 구분 해서 살펴본 결과에서도 부모역할 만족도에서 자신의 부모역할만족도가 높을수록 배우자에 대한 부 모역할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부부의 부모역할공평성가치관,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부모역할 공평 성 가치관이 높을수록 부모로서의 역할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역할 만족도에서는 자신의 부모역할만족도가 높을수록 배우자에 대한 부모역할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남편과 아내 로 구분해서 살펴본 결과, 부모역할 만족도에서 남편과 아내 모두 자신의 부모역할 만족도가 높을수 록 배우자에 대한 부모역할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남편과 아내 모두 자신이 부모로서의 각자 역할에 만족할수록 배우자의 부모역할을 유연하 고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따라서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역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아버지와 어머니가 각자 자신 스스로가 가정 안에서 부모로서의 역할 을 잘 수행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려는 일차적인 노력과 시도가 부모 모두의 역할 수행이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주요 요인일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Nam[31]과 Kim[15]의 연구에서 제 시한 바와 같이 부모역할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는 부모역할 효능감, 부모로서의 자존감, 부모로서 자신의 양육신념과 같은 양육의 인지적 측면에 대한 건강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하고 있는바, 부 모역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포괄적 변인들에 대하여 부모 스스로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실제적,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이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 부부에서 는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이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 부부의 경우에서는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이 자신의 부모역할만족도와 배우에 대한 부모역할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부모역할에 대한 공평한 가치관은 부모로서의 역할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 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양육에 대한 공평한 의식을 가지고 양육분담, 가사 분담, 교육 분담 등을 실제적으로 함께 수행함으로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게서 부모역할에 대한 효 능감과 자신감을 가지게 하고 이를 통해 본인들의 부모로서의 역할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일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다문화 부부에서는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이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 대해서는 후속연구를 통해 이러한 결과를 나타낸 다문화가정 부부 가정의 배경이나 양육의식 등 다문화 가정의 배경 요인들에 대한 면밀한 고려를 통하여 그 이유를 밝히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다문화 부부와 한국부부 모두 자신의 부모역할만족도가 높을수록 배우자에 대한 부모역할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난 바, 부모역할만족도는 부모의 문화적 상대성이나 특수성 보다는 오히려 범문화적 속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Moon[29]과 Shields[33]에서 제시한 결 과와 유사한 것으로 즉, 부모역할만족도는 부모의 인종이나 문화와 같은 외적·객관적 요인 보다는 오히려 주관적·인지적 요인이 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는 다문화가가족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으로써 다양한 가 족 형태 및 부모역할 변화가 요구되는 현실에서 이에 적합한 부모역할 제안에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부모역할만족도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통해서 제시되어 온 결 과와 본 연구의 결과에서 다소 차이가 있는 결과를 통해 전반적으로 자녀양육에 있어서 부부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우리사회에서도 일어났으며 특히 이 변화를 다문화 부부에서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그동안 우리사회가 다문화가족에 대한 지원과 교육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음을 확인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연구문제 변인을 부모역할 공평성 가치관과 부모역할만족도 만으로 제한하여 살펴본 바, 부모역할 수행과 이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보다 다양하고 포 괄적으로 변인들을 다루지 못함으로 이론적 측면에 그 함의를 강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연 구대상자의 측면에서 다문화부부와 한국부부간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차이를 최소화하고자 연구대 상자의 생태체계 기반이나 지역사회 특성을 맞추려고 하는 시도를 하였으나 이들에 대한 상세한 인 구사회학적 특성 배경 모두에 대해서 까지 고려하지는 못하였다. 이 부분은 후속 연구에서 부모역할 수행과 이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보다 다양하고 포괄적으로 변인들을 다루어 살펴봄으로 서 이론적 측면의 함의는 물론 실천적 함의부분에도 발전적 제안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Figure

    Tab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08)
    *N(%) : Except Missing Values
    Fair Parental Role Model, Parental Satisfaction
    *p<.05
    The relation of MultiCultural Couple’s Fair Parental Role and Parental Satisfaction
    **p<.01
    The relation of Korean Couple’s Fair Parental Role and Parental Satisfaction
    *p<.05 ,
    **p<.01
    The effect of Korean Parents’s Fair Parental Role Model on Parental Satisfaction
    *p<.05 ,
    **p<.01

    Reference

    1. Ahn M.S. (2015) Comparison between Multi-cultural Mothers' and Korea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2. Bae M.S. (2012) Effects of Group Program on Multi-Cultural Mother's Parent Efficacy and Empathy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3. Choi S.E. (2009) Parent'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Father's role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4. Choi S.K. (2004) The Relation among Young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Prosocial Behaviors, and Mother’s Discipline 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5. (2015) Unpublished Case Conference Report,
    6. Han E.G. , Kim S.A. (2007) A Study on Fair Parental Role Model of Dual Earner Couples, their Expectation for Parental Nursing Capability and Real Nursing Practices , Journal of Korean Family Management, Vol.25 (2) ; pp.39-48
    7. Hong S.M. (2005) Positive/Negative Perception about Fathering and Father’s Role Performance among Men in Transition to Parent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8. Hwang S.Y. (2004) Relationship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Role Satisfaction & Children’s Social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9. Jang Y.A. , Lee Y.J. (2009) A Study of Prosocial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and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ing Involvement of Mother and Father, Incheon, Korea,
    10. Jeong H.M. (2014) Influencing Factors on Parental Satisfaction of Mother with Pre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University,
    11. Jeong I.K. (2013) The Relating Factors on Parenting Satisfaction among Mothers of Preschool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12. Jo H.S. (2005) Factors Associated with Fathers' Parenting Invovement in Young Children & Paternal Parenting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3. Kang J.H. (2012) The Rela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Family Father's Participation in Rearing of Children and the children's Adaptability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14. Kang S.G. (2014) The Rela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Family Father’s Participation in Rearing of Children and the children's Adaptability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15. Kim M.J. (2011)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Beliefs and Expectation on Parenting Intelligence. The Korean , J. Fam. Welf, Vol.16 (3) ; pp.155-170
    16. Kim N.J. (2014) The Study of the Effect of The Marital Dissatifaction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on their Prenting belief and Parenting rol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17. Kim J.J. (2009) Effect of Socio-Psycological Characteristicsand Childhood Experiences on the Fathering Practi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18. Kim J.W. (2011) A study of Fathers' Perceptions on the Primary Roles and the Role Practices of Fathers with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19. Kim S.J. (2014) A Qualitative Study on Rearing Stress and Parenting Satisfaction of 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 Kim Y.O. (2011) A Study of Anxiety on Interracially Married Wom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aekSuk University,
    21. Lee E.S. (2007)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Spousal Supoort and Parental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2. Lee H.K. (2007) A Study on the Role Cognition and Upbringing Participation Behavior of Fathers with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23. Lee M.J. (2008) A Comparative Study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enting Stress, Parental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s between delayed and young Par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24. Lee J.H. (2014) Effect of the marital conflict and anxiety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on child rear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 Chai University,
    25. Lee J.S. (2006)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in relation to their childhood experiences, satisfaction as parents and their spousal supoort on pare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esi University,
    26. Lee S.H. (2006) The Fathering of Blue-Collar Workers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11 (1) ; pp.133-150
    27. Lee S.M. (2009) A study on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experience about first-being fat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28. Lim K.A. (2004) The Relation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pousal Supoort with Role Satisfaction among Men in Transition to Parent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9. Moon H.J. (2001) An ecological analysis of variables associated with parental disciplinary practi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State of Michigan United States of America,
    30. Moon Y.O. (2004) Paternal Perception of Childrearing and Factors Associated with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in Pre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31. Nam Y.I.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mothers' awareness of their children's value and their sense of effectiveness in bringing up children on satisfaction with their parental ro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32. Park Y.S. (2012) A Study of Mothers' Perceptions on the Role Practices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33. Shields M.B. (2008) African –American Mothers with serious and persistent mental ilness: Social Support Parenting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y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ward University,
    34. Sin Y.G. (2008) Father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A Literature Review, Dongduk Womens University,
    35. Song H.R. , Ko S.G. , Park J.Y. , Kwon H.J. , Kim Y.K. , Jin M.J. (2010) Men's Father-Role in the Context of Family Friendly Environment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Vol.14 (4) ; pp.341-361
    36. Song Y.H. , Hyeon O.G. (2006) Children's Perception on Fathering Practice and Their Soci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37. Woo H.S. (2011) A Case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in a Multicultural Mentoring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38. Won J.Y. (2011) Effects of Emotional Health of the Family-of-Origin and Differentiation of Self of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Conflicts with Spou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Baekseok University,
    39. Yoon J.Y. (2004) Development of Pregnant Women-Fetus Interaction Program and its Effects on enhancing Mother-Newborn Baby Inter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