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2 No.1 pp.169-184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7.22.1.8

A Study on the Expected Roles of Middle Managers of Child care Centers

A-Ra Mo, So-Hyun Lee

Corresponding author : So-Hyun Lee, Posco Child care Center (ababae@naver.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middle managers of child care center. The research targeted five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study period was from January 3rd to 25th, 2017. All directors had in-depth interviews. The data was then collected and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the study, the director general of the research team expects to have five roles in middle management. The five roles included: a spokesman for the director and teachers, a moderator between the director and teachers, a good example for teachers, a counselor for teachers, and problem solvers. First, the directors had concerns about the misunderstandings in the child care centers. Therefore, through the middle manager, directors hoped to clearly convey the position of the teachers as well as of the directors. Second, there was also the need for middle managers to mediate between the differing views of the directors and the teachers. Third, since the director had to set an example for teachers, the middle manager was expecting an exemplary role model for the teachers. Fourth, the directors thought counseling was an efficient way to manage effectively, and the middle manager thought fit to be a consultant. Finally, the directors considered the middle managers as suitable managers for the problems and the conflicts that arose in the child care centers, and were expected to be able to deal with the situations in advance.


어린이집 원장이 기대하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탐색

모 아라, 이 소현
Dept. of Social Welfare, Yeonsung University, Anyang-si 14011, Korea
POSCO Work Child care Center Director, Seoul 06194, Korea

초록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은 사회적 요구에 따라 제정된 1991년 영유아보육법을 계기로 탁아행정이 보건복지부로 일원화되면서 단순 ‘탁아’ 개념을 벗어나 보호와 교육을 통합한 ‘보육’사업으로 확대발 전 되었다[32]. 이후 ‘보육’은 30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는데, 2004년에는 평가인증제, 표 준교육과정이 포함된 영유아보육법 전면 개정이 이루어지는 등 시대의 요구에 맞게 변화를 거듭하 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은 지방자치제가 강화되면서 각 지역마다 특성화된 보육정책이 시행되 고 있다. 지방자치제 강화이후 서울시의 보육정책이 타지역의 보육정책을 선도하는 경향을 보이는 데, 일예로, 서울시에서 2009년부터 ‘서울형어린이집’을 시행하였고 이것을 본보기로 각 지자체에 서 유사한 제도를 시행해나가고 있다. 따라서, 서울시의 정책방향을 살펴보는 것은 전체 보육정책의 미래를 가늠하는 주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서울시 보육중장기 종합계획(안)을 살펴보면, 서울시보육서비스지원센터 중장기 계획의 주요 정 책목표 두 가지는 어린이집 운영 품질강화와 보육교직원 품질강화이다. 이중 보육교직원 품질강화 에 따른 정책과제에 직급·경력에 따른 전문성 강화 교육이 있고, 직급·경력에 따른 전문성 강화 교육 의 세부 추진과제 중 심화과정인 세 번째 단계로 중간관리자 교육과정 강화가 포함되어 있다[32].

    이를 통해 미래 보육정책의 방향을 예측해보면, 현재 원장과 보육교사로만 나뉘어져 있는 직무교 육이 세분화되어, 점차 중간관리자의 별도 교육이 강화되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울시보육서비스지원센터가 조사한 중간관리자 운영 실태를 보면[29] 교직원수에 관계없이 5명 이하의 조직에서도 최소 1명 이상의 중간관리자를 두고 있었으며, 그 명칭은 주임, 선임, 원감, 수 석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었다. 법에 정해진 바는 없으나, 대체적으로 1년 이상~5년 미만의 중간관 리자를 주임교사, 5년 이상~10년 미만을 선임교사, 10년 이상을 원감으로 칭하고 있는 추세다. 중 간관리자를 선출하는 기준은 별도로 정해진 바는 없으나, 주로 원장이 선출하고 있으며 선출 기준은 대체적으로 학력과 경력의 영향력이 크다.

    이상의 자료에서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역할이 어린이집이라는 조직에서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유치원의 ‘원감’과 같이 어린이집도 중간관리자의 지위와 역할을 법제화 할 필요 성도 있다.

    전통적인 조직적 관점에서 중간관리자는 최고관리자가 수립한 이념이나 정책을 중간에서 관여하 는 연결고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중간관리자는 발생한 문제해결을 위한 상황판단 역할을 실행하는 유일한 책임자이며 그들의 판단, 의견, 가치와 평가는 전략을 형성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행사한다[1].

    일반적으로 어린이집의 경우 중간관리자(주임, 선임, 원감, 수석)는 명시적으로 지위나 위치, 자 격, 역할에 대한 근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어린이집 필요와 원장의 주관에 따라 임명되며 원장 개개인의 성격이나 의견에 따라 주임교사의 역할이 달라지기도 한다[2]. 더욱이 유아교육법에는 원감 (주임교사)에 대한 역할과 자격에 대한 근거는 명시되어 있으나, 영유아보육법에 원감(주임교사)에 대한 역할이나 자격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다[24].

    유아교육법 제 79조에 따르면 유치원의 원감은 ‘교장, 교감, 원장, 원감은 별표 2의 자격기준에 해 당하는 자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교육부 장관이 수여하는 자격증을 받은 자라야 한 다.’는 규정과 ‘유치원 정교사(1급) 자격증을 가지고 3년 이상의 교육경력과 소정의 재교육을 받은 자, 또는 유치원 교사(2급)자격증을 가지고 6년 이상의 교육경력과 소정의 재교육을 받은 자’에게 자격이 주어진다. 또한 동 법률 제 75조 3항, 제21조에 의하면 ‘유치원에는 원장ㆍ원감과 교사를 둔 다.’ 라는 규정과 ‘원감은 원장의 명을 받아 원무를 장리하며, 원아를 교육하고 원장 유고시에는 원 장을 대리한다.’ 라는 규정이 있고, ‘원감은 원장을 보좌하여 원무를 관리하고 원아를 교육하며, 원 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대행할 수 없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라고 교직원의 임무를 규 정하고 있다. 따라서 원감은 원장ㆍ교사와 더불어 독립된 법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원장을 보 좌 또는 대리하는 지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유치원 원감의 직무역할을 분석하여 볼 때 어린이집 중간관리자도 다음 세 가지 직무를 수행하는 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17].

    첫째, 최고관리자인 어린이집 원장을 보좌하여 원의 모든 업무를 관리, 감독, 운영하는 책임과 권 한이 부여된 차위의 행정가로서의 직무이다.

    둘째, 직접 원아를 보육하고 교육하여야 할 전문가로서의 직무로 구체적 내용은 연간, 월간, 주간 및 일일 교육계획안 수립, 원아보육 및 교육 활동의 지도, 감독 및 조언, 유아의 영양, 건강 및 안전 에 대한 대책과 관리, 연구 행사 계획의 수립 진행, 각종 학습 자료의 관리 등이 있다.

    셋째, 원장 유고시 원장의 대리권을 행사하는 법정 대리권자로서의 직무로 ‘대리·대행권’ 행사 이다.

    한편 그 동안 유아교육기관의 중간관리자와 관련된 연구는 극히 적으며,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에 대한 연구는 더욱 적은 실정이다. 그동안의 연구는 중간관리자의 역할과 관련된 연구[7, 8, 10, 11, 14, 16, 21, 28, 31, 33, 34, 35, 36], 중간관리자와 교사간의 인식 및 지각에 관한 연구[2, 4, 13], 중간관리자와 교사간의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5, 6, 15, 19, 20, 26, 37, 38], 중간관리자의 리더십과 관련된 연구[3, 9, 12, 18, 24, 25, 30]가 있을 뿐이다[27].

    기존의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원장이 기대하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 다. 따라서 어린이집을 총괄하고 있는 원장이 기대하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중 간관리자에 대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원장의 입장에서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 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린이집 원장이 기대하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은 무엇인가?

    Ⅱ.연구방법

    1.연구 참여자

    본 연구자들은 모두 6학급 이상으로 구성된 어린이집 원장으로 재직하였고 10년 이상 보육관련학 과 및 보육현장에서 강의를 해오고 있으며, 현재 보육관련학과에 재직중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보육관련 경험을 통해 어린이집에서 중간관리자의 역할이 큰 것에 비해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린이집의 교사 체계는 원장과 보육교사로만 직위가 구분되어 있으므로 원장 과 보육교사를 중간에서 연계해 줄 수 있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 에 본 연구자들은 중간관리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교직원이 5이상인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5년 이상의 원장 경력을 가진 현직 어린이집 원장이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목적 표집[23]을 통해 어린이집 원장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경기지역 어린이집 원장 경력 5년~30년을 가진 5명으로 구성되었다. 어린이 집 유형별로는 직장어린이집 원장 2명,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2명, 민간어린이집 원장 1명이었으며, 원장의 연령은 37세에서 60세로 다양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Table 1>과 같다.

    2.자료 수집 방법

    연구에 대한 허락을 받기 위해 어린이집 원장님들과 개별 연락을 했고, 직접 방문을 통해 사전 면 담이 이루어졌으며, 연구동의서 확인을 받았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하였으며, 각 1시간에서 2시간씩 2회에서 4회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을 하였다. 형식적 면담과 비형식 면담을 병행하였으며, 미리 준 비한 질문을 참고로 하여 상황에 맞추어 변형된 질문을 하였다. 또한 최대한 융통성과 개방성을 유 지하기 위해 특정한 답을 유도하거나 암시하지 않았고, 자연스러운 면담 분위기를 조성하여 연구주 제와 관련된 내용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면담장소는 원장들이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어린이집의 원장실이나 상담실에서 이루어졌다. 연 구 참여자의 이야기가 시작되면 참여자가 자신이 경험한 내용을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도록 격려 하고 경청하여 자연스러운 분위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월 4일부터 2월 17일까지였으며, 이 기간 동안 공식적인 면담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수 집된 자료는 오직 본 연구의 목적으로만 활용되며, 연구 참여자의 소속기관과 이름 등은 실명을 사 용하지 않는다는 것과 함께 어떠한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는 점, 연구 도중이라도 연구 참여자가 참 여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다는 점 등을 공지하였다.

    3.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자들은 질적 연구를 통한 다수의 연구경험이 있으며, 본 연구자 중 1인은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학위논문을 작성한 경험이 있다. 또한 보육분야에 대한 다수의 연구와 실무경험이 풍부하여 본 연구의 수행에 적합한 준비가 되었다고 사료된다.

    자료 분석은 자료 수집 절차에서부터 동시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면담을 통해 얻은 녹음된 자료는 필사 작업이 이루어졌고, 필사한 자료는 수차례 읽기를 반복하며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사한 자료들 중 사적인 내용을 삭제한 후 의미있는 진술들을 추출한 후, 유사한 단어들을 상위개 념과 하위개념으로 나누어 분류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분류된 유사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내용을 명명화 하였으며, 개념이 명료하지 않은 범주는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거쳐 최종적으로 범주화 목록 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의 참여 자 2명에게 분석한 내용을 보여주고 그들의 경험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22]. 그리고 이에 대한 피드백으로 자료 분석 작업을 마무리하였다. 질적연구는 연구자의 주관성을 배제하고 신뢰도와 타 당성을 확보해야 가치있는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자료 분석 결과는 보육관련학과 교수 2인 에게 자료를 검토 받고 협의하는 과정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Ⅲ.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어린이집 원장이 기대하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은 교사들의 대변자 역할, 원장과 교사 들 간의 중재자 역할, 교사들의 본보기 역할, 교사들의 상담자 역할, 문제 및 갈등 상황 해결자 역할 로 나타났다.

    1.원장과 교사의 대변자 역할

    어린이집 원장들은 중간관리자에게 원장 뿐 아니라 교사들을 대신해서 서로의 입장을 명확하게 전달해 줄 수 있는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행 오전 7시 반부터 오후 7시 반 까지 운영되어야 하는 어린이집의 바쁜 일상 속에서, 원장과 교사가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이 극 히 제한된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원장과 교사라는 상하 관계의 직위 속에서는 자신의 솔직한 이야기를 털어놓기 어렵지만, 어린이집 원장들은 교사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듣고 싶 은 마음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겠다.

    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교사를 대변할 수 있는 사람이면 더 좋을 것 같긴 해요. 너무 원장님 편에 서면 선생님들을 볼 수가 없잖아요. 원장님은 선생님의 표면적인 면만 보지 그 이면적인 것을 보지 를 못한단 말이예요. 원장님 앞에서는 ‘네’ 라고 하고 어떤 부분들이 힘든지를 이야기 하는 사람이 대부분은 없어요. 그런 부분은 교사들끼리 있을 때는 이야기를 하게 되잖아요. 원장님은 이런 행사 를 준비하라고 하는데, 선생님들과 있을 때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이런 부분이 힘들다고 하더라’ 라 고 원장에게 이야기를 해주면 원이 원활하게 잘 돌아가죠.

    (2017. 1. 5. A어린이집 원장)

    원장들은 교사들의 겉으로 보이는 상태보다는 진실된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어린이집 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내면의 이야기를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간관리자에게 이 내면의 이야기를 진실되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다.

    원장인 나는 어린이집 상황을 쭉 설명을 하고 일을 시키는데 원장 앞에서는 ‘네’ 라고 하고, 교 사들에게 가서는 원장의 뜻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관리자가 ‘우리 원장님 말이 안되는 일을 하라고 시키시지 않냐? 라고.... 이거는 이렇게 말씀하시면 안되는데....’ 라고, 원장의 뜻도 왜곡해서 전달을 하는 중간관리자도 한 분 봤어요. 본인이 하기 싫으니깐요. 그래서 교사들의 오해로 인해서 제가 더 힘든 적도 있었어요.

    (2017. 2. 17. E어린이집 원장)

    어린이집 원장들은 자신의 이야기가 왜곡되고 오해가 쌓이는 부분에 대한 우려와 걱정이 있었으 며, 중간관리자를 통한 명확한 의사전달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2.원장과 교사 간의 중재자 역할

    어린이집 원장들은 중간관리자에게 원장과 교사의 업무 특성으로 인한 서로 다른 입장의 차이를 조율할 역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중간관리자에게 원장과 교사 간 중재자의 역할을 기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관리자라는 것은, 중간의 위치에서 업무를 관리하는 사람으로서 주임교사, 원감이죠. 원장을 보필 하고 교사들 관리를 해야 하는 입장인데, 원장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 하고 중간에서 전달도 하고 조율 도 해야하죠. 이쪽저쪽에 치우치지 않고, 원이 잘 돌아가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2017. 1. 12. C어린이집 원장)

    원장은 일방적인 지시를 하면 선생님들은 그에 부당함이나 불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일방 적으로만 일을 하게 되고 그러면 스트레스를 받게 되니깐요. 그런 거를 잘 중간에서 해 주시는 중간 관리자가 필요한 것 같아요.

    (2017. 1. 3. E어린이집 원장)

    저도 보육교사부터 시작해서 주임을 거쳐서 원장이 되었기 때문에, 주임의 마음을 전적으로 이해해 요. 하지만, 저의 철학과 가치를 이해하고 운영방식도 이해 해주면 좋겠어요. 우리 주임선생님이 대 나무 같이 올곶은 모습으로, 원에서 원장과 교사의 오해로 생기는 불상사가 생기지 않도록 중간의 역할을 제대로 해주면 좋겠어요.

    (2017. 2. 2. D어린이집 원장)

    어린이집 원장들은 상명하달식 의사전달이 될 경우 교사들의 입장에서 받게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었다. 보육교사의 스트레스는 영유아의 보육과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민감한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보인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어린이집 원장들은 중간관리자 에게 쌍방의 소통을 통한 중재자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교사들의 본보기 역할

    보육현장에서 원장과 교사는 업무 내용이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원장의 직무를 통해 원장이 직접 교사들에게 본보기를 보여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 보다는 같은 업무를 하고 있는 중간관 리자를 통해 교사들에게 모범적인 본보기가 보이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시나 중간관리자가 아무래도 평교사 보다는 월등하게 반 운영을 잘합니다. 아무래도, 평교사보다 는 스스로를 장학하거나 다른 구성원들과의 세미나, 외부 교육 등을 통해 꾸준히 연구하는 중간관 리자들이 대부분입니다. 중간관리자도 유아반도 운영해보고 영아반도 운영을 해 본 경험이 있으면 더 좋겠더라고요. 유아반만 했었다거나, 영아반만 했었던 선생님이라면 안 해본 반의 선생님의 의견에 동의가 되지 않고, 경청이 안 되게 마련입니다. 이렇게 다양한 경험들은 중간관리자 위 치에 올라갔을 때에 호봉수(연차)만큼 전문성도 함께 따라와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 같습니다.

    (2017. 1. 10. C어린이집 원장)

    실제 중간관리자들은 오랜 보육 경험과 함께 자기 개발을 통해서 모범적인 모습을 교사들에게 보 여주고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중간관리자의 위치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연간 운영방안 수립하기, 반 구성하기, 보육계획안 수립하기, 연간행사 계획하기 등 자기 할 일 을 먼저 잘 해 내주고, 평교사들이 잘하고 있는지 이끌어가 주면 더 이상 뭐 바랄게 있겠습니 까? 자기 것만 하는 것이 아니고, 못 따라 오는 선생님까지 챙기시는 선생님이 제가 바라는 중 간관리자죠. 중간관리자는 교실 밖의 일도 해야하고, 3월엔 많이 바쁘잖아요. 그래서 주임은 주 임대로 반에서도 힘들고, 지친모습이 역력할 때도 있더라고요. 교사들이 중간관리자처럼 잘 하 고 싶은 입장에서, 늘 중간관리자를 지켜보고 있다는 걸 인지하고 있으면 좋겠어요.

    (2017. 1. 17. C어린이집 원장)

    하지만 일부 중간관리자에게서는 교실 밖에서의 업무 과중으로 인하여 정작 교실 내에서 충실하 게 보육 업무에 임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초임교사를 비롯한 다른 교사들에게 본보기를 보여주 기 어려운 경우도 나타났다. 이러한 부정적인 모습으로 인하여 교사들의 본보기로서의 역할을 수행 해야하는 중간관리자의 중요성에 대해서 더 생각해볼 수 있었다.

    원장이 따라다니면서 전부 잔소리할 수는 없잖아요. 일반 평교사들은 따라하거든요. 복장도, 말투 도, 행동도. 솔선수범 해주는 게 필요하죠. 예를 들면 주임교사가 지각하면서 교사에게 지각하지 말 라고 하면 안되잖아요. 먼저 모범을 보여야......

    (2017. 1. 18. B어린이집 원장)

    또한 복장, 말투, 행동 등 교사로서 가져야할 기본생활 태도에 대해서도 어린이집 원장들은 중간 관리자의 모범적인 본보기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다.

    중간관리자 본인 반 부모님들은 물론이고, 다른 반 부모님이 상담을 해 올 경우에도 본인이 답 변 가능한 정도 선에서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봤습니다. 전문적인 지식을 토대로 건강한 양육 지침을 제공해준다거나, 상담을 진지하게 해 준다거나, 혹은 육아종합지원센터나 건강가정지원 센터 등 요즘은 관내에 무료로 부모 상담을 해 주는 곳들도 있으니 전문적인 상담을 받아보시 라고 정보를 드리는 등... 일반 평교사들보다는 확실히 다르게 대처하시는... 모범을 보여주시는 데 고맙기까지 하더라구요.

    (2017. 1. 23. A어린이집 원장)

    4.교사들의 상담자 역할

    보육교사 관리에 있어서 어린이집 원장들은 교사 상담이 효율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상담 자 역할의 적임자로 원장보다도 중간관리자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도 원장보다는 (교사와) 친밀한 관계잖아요. 자기 일만 잘하는 주임교사보다는 후배 교사들이 힘든 일 있고 할 때 언니로서 이야기도 좀 해주고 다독여줄 수 있는 따뜻한 마음도 있고, 여유 로운 마음도 있어야 중간관리자라고 할 수 있는 거 같아요.

    (2017. 1. 12. E어린이집 원장)

    나보다도 주임교사가 상담 멘토 이런 걸 좀 잘 알면 확실히 도움이 될 것 같아요. 그래도 원장은 아무래도 어렵잖아요. 가까운 사람이, 잘 아는 사람이 이야기도 해주고 하면 제일 도움이 되는 거잖아요.

    (2017. 1. 25. B어린이집 원장)

    교사 상담에 있어서 중간관리자는 직위 및 업무에서 원장보다는 일반 교사들과 더 가까울 수 밖 에 없으므로 상담에서도 자신의 이야기를 더 편안하고 솔직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 었다.

    원장이 해봐도 안되는 게 있잖아요. 신입교사가 3월 달에 그만두고 싶어 할 때 이럴 때 자연스럽게 주임교사가 이야기도 좀 해주고 그러면 좋겠어요. 마음도 좀 잡아주고... 제가 말하는 거 하고 다르 더라구요. 같은 교사의 입장에서 얘기도 좀 하고 그러면 쉽게 풀리는 경우가 있어요.

    (2017. 2. 7. B어린이집 원장)

    제가 선생님과의 관계에서 오해가 생겨서 풀려고 하면 할수록 더 선생님이 저를 피할때가 있더라고 요. 아무래도 원장이니깐 어려워하는 것 같아요. 그럴땐 제가 직접적으로 나서는 것보다 주임 선생님 이 저녁에 식사나 차라도 하면서 응어리진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이 훨씬 낫더라고요.

    (2017. 1. 20. D어린이집 원장)

    어린이집 원장은 보육교사의 잦은 이직 및 퇴직과 관련된 문제의 해결책으로 교사 상담을 생각하 고 있었고, 중간관리자가 상담자의 역할을 할 때 더 효율적이라고 보았다.

    5.문제 및 갈등상황 해결자 역할

    긴 시간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경우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인하여 문제 및 갈등 상황이 불가피하게 발생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장이 해결자 역할을 할 경우, 겉으로는 잘 해결된 것처럼 보이지만 내면의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여 더 큰 불씨를 품고있게 되는 경우도 있 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어린이집 원장은 중간관리자에게 문제 및 갈등 상황의 해결자 역할 을 기대하고 있다고 보인다.

    사실은 10명도 넘는 사람들이 하루 종일 같이 있는데 문제가 생길 수가 없잖아요. 의견도 다르고. 특히 행사 때처럼 바쁘고 힘들 때 더 그런 거 같아요. 동료교사들끼리 얼굴 붉히고 그럴 때 원장이 나서면 일이 더 커지고 그러잖아요. 주임이 좀 이런 부분을 챙겨주면 수월하죠.

    (2017. 2. 14. A어린이집 원장)

    행사를 위한 준비할 시간이 부족한 어린이집의 경우 과도한 업무로 교사들이 예민하게 반응하고, 서로의 의견이 달라서 갈등이 발생될 경우가 있었다. 어린이집 원장은 이러한 문제 및 갈등 상황의 해결자 역할에 대한 기대를 중간관리자에게 가지고 있었다.

    요즘은 더구나 팀티칭을 많이 하잖아요. 정말 제 가족하고 보내는 시간보다 더 오래 같이 지내는데, 둘이 서로 전달 안 되고 오해도 생길 수 있고, 이럴 때 풀 수 있는 사람이 중간관리자라고 생각해요.

    (2017. 1. 9. B어린이집 원장)

    최근 어린이집의 경우 한 학급에 2명 이상의 담임교사가 함께 근무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 는 상황은 갈등 상황이 발생할 위험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얼굴 붉히고 다투는 교사 있죠. 요즘 젊은 선생님들이 자기주장이 강하시죠. 다툼으로까지 가 기 전에 풀어줘야 하는데 사실 원장이 그렇게 자세히 알기가 참 어렵잖아요. 아무래도 교사들 의 동태는 주임교사가 더 잘 아니까, 그렇게까지 되기 전에 해결할 수도 있고...

    (2017. 1. 23. C어린이집 원장)

    어린이집 원장은 중간관리자가 초임교사를 비롯한 교사들과 더 가깝게 지내기 때문에 문제 및 갈 등 상황의 해결자 역할 뿐 아니라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미리 대처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Ⅳ.논의 및 결론

    지금까지 연구 참여자들과의 면담을 통한 연구에서 어린이집 원장이 기대하는 중간관리자의 역할 5개(교사들의 대변자 역할, 원장과 교사들 간의 중재자 역할, 교사들의 본보기 역할, 교사들의 상담 자 역할, 문제 및 갈등 상황 해결자 역할)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들은 중간관리자에게 원장 뿐 아니라 교사들을 대신해서 서로의 입장을 명확 하게 전달해 줄 수 있는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들의 겉으로 보이는 상태 보다는 진실된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어린이집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내면의 이야기를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중간관리자에게 이 내면의 이야기를 진실되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다. 그리고 자신의 이야기가 왜곡되고 오해가 쌓이는 부분에 대한 우려와 걱정이 있었으며, 중간관리자를 통한 명확한 의사전달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들은 중간관리자에게 원장과 교사의 업무 특성으로 인한 서로 다른 입장의 차이를 조율할 역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중간관리자에게 원장과 교사 간 중재자의 역할 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린이집 원장들은 상명하달식 의사전달이 될 경우 교사 들의 입장에서 받게 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었다. 보육교사의 스트레스는 영유아의 보육과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민감한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보인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어린이집 원장들은 중간관리자에게 쌍방의 소통을 통한 중재자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고 볼 수 있었다.

    셋째, 보육현장에서 원장과 교사는 업무 내용이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원장의 직무를 통해 원 장이 직접 교사들에게 본보기를 보여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 보다는 같은 업무를 하고 있는 중간 관리자를 통해 교사들에게 모범적인 본보기가 보이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제 중간관리자들은 오랜 보육 경험과 함께 자기 개발을 통해서 모범적인 모습을 교사들에게 보여주고 있었고, 그러하였기 때문에 중간관리자의 위치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일부 중간 관리자에게서는 교실 밖에서의 업무 과중으로 인하여 정작 교실 내에서 충실하게 보육 업무에 임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초임교사를 비롯한 다른 교사들에게 본보기를 보여주기 어려운 경우도 나타 났다. 이러한 부정적인 모습으로 인하여 교사들의 본보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하는 중간관리자의 중요성에 대해서 더 생각해볼 수 있었다. 또한 복장, 말투, 행동 등 교사로서 가져야 할 기본생활 태도 에 대해서도 어린이집 원장들은 중간관리자의 모범적인 본보기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다.

    넷째, 보육교사 관리에 있어서 어린이집 원장들은 교사 상담이 효율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상담자 역할의 적임자로 원장보다도 중간관리자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상담에 있어서 중간관리자는 직위 및 업무에서 원장보다는 일반 교사들과 더 가까울 수밖에 없 으므로 상담에서도 자신의 이야기를 더 편안하고 솔직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또한 보육교사의 잦은 이직 및 퇴직과 관련된 문제의 해결책으로 교사 상담을 생각하고 있었고, 중 간관리자가 상담자의 역할을 할 때 더 효율적이라고 보았다.

    다섯째, 긴 시간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경우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인하여 문제 및 갈등 상황이 불가피하게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장이 해결자 역할을 할 경우, 겉으 로는 잘 해결된 것처럼 보이지만 내면의 상황을 파악하지 못하여 더 큰 불씨를 품고 있게 되는 경우 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어린이집 원장은 중간관리자에게 문제 및 갈등 상황의 해결자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고 보인다. 그리고 행사를 위한 준비할 시간이 부족한 어린이집의 경우 과도한 업무로 교사들이 예민하게 반응하고, 서로의 의견이 달라서 갈등이 발생될 경우가 있었다. 어린이집 원장은 이러한 문제 및 갈등 상황의 해결자 역할에 대한 기대를 중간관리자에게 가지고 있었다. 최 근 어린이집에서 한 학급에 2명 이상의 담임교사가 함께 근무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상황 은 갈등 상황이 발생할 위험도 또한 높아지고 있는데, 중간관리자가 문제 및 갈등 상황의 해결자 역 할 뿐 아니라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미리 대처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논의한 것을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이 기대하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은 교사들의 대변자 역할, 원장과 교사들 간의 중재자 역할, 교사들의 본보기 역할, 교사들의 상담자 역할, 문제 및 갈등 상황 해결자 역할로 나왔 다. 모든 운영의 총괄을 해야 하는 원장의 입장에서는 원감 또는 주임교사인 중간관리자가 원장의 입 장과 보육교직원의 입장을 잘 조율해줌으로써 원 운영이 원활하게 운영이 될 수 있도록 해주는 중간 관리자의 역할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임교사들이 인식하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연구 한 기존의 연구[33]와 중재자 및 대변자(전달자) 역할이라는 부분에서는 비슷한 결과가 나왔지만, 주임 교사 자신의 역할 범위를 담임교사부터 운영관리자까지 폭넓게 인식하는 것에 비해 어린이집 원장들 은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중재자, 본보기, 갈등 상황 해결자 등 보다 좁은 의미로 인식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은 자기와 같거나 비슷한 사람을 중간관리자로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 자신과 같은, 원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최대한 도와주는 멘토로서의 역할 또한 본인이 해야 하는 임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시보육서비스지원센터의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연구에서는 “보육교직원 관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일반운영지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직원 관리가 중요하다 는 점에서는 원장들의 관점과 일치하였으나 일반운영지원과 같은 운영관리 측면에서는 원장들의 관 점과 다소 다른 의견을 보이고 있다.

    후속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 어린이집 원장 5인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이다. 따라서 후속연구 에서는 보다 폭넓게 다양한 지역과 유형을 대상으로 하고, 원장의 경력을 좀 더 세분화하여 원장경 력에 따른 중간관리자에게 기대하는 역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5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더 많은 대상의 연구와 함께 양적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셋째, 원장과 보육교직원이 기대하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맞추어 국가 정책에 반영하여 교육 과 정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Reference

    1. Bower J.L. (1970) Managing the Resource Allocation Process, Harvard Business School,
    2. Choi I.S. (2011)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 Role of Nursery School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3. Han M.K. (2009) A Study of one Child-Care Center Principal’s teaching exper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nkuk University,
    4. Hwang J.K. (1992) A Comparative Study on the wongam between the wongam and the Teacher of the Kindergart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5. Im S.J. (2012) The relationship of head teachers’ styles for handling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hild-care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6. Im S. J. , Jo H. J. (2012) The Relationship of Head Teachers’ Styles for Handling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hild-care Centers , Korean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8 (4) ; pp.185-206
    7. Im T.Y. (2000) Study of the vice-principals’s role conflict in Kindergart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8. Kim D.U. , Kim N.H. (2010) An Analysis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7 (1) ; pp.405-426
    9. Kim H.J.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 Vice-principal's Leadership Type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10. Kim H.J. , Kim N.Y. (2009) A Analysis on the Role Execution and the Role Difficulty of the Head Teacher in ,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3 (5) ; pp.5-26
    11. Kim H.J. , Park S.K. (2016) Exploring Necessary Factors for Successful Role Performance by Head Teachers in Child-care Center with Concept Mapping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20 (3) ; pp.126-159
    12. Kim J.A. (2012) Effects of master teachers’ leadership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nkuk University,
    13. Kimm D.W. (2010) An Analysis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14. Kim N.H. (2010) A Study of Head Teachers’ Role Conflict in Child-Care Centers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14 (1) ; pp.235-258
    15. Kim N.H. , Seo Y.M. (2010) The Relationship of Child-Care Centers’ Organizational Climate and Head Teachers’ Job Satisfaction ,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4 (4) ; pp.315-337
    16. Kim N.H. , Sohn S.M. (2010) The Relationship of Head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Role Conflict in Child-care Centers ,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4 (2) ; pp.235-258
    17. Kim O.L. (1997) Kindergarten and Management, Kyoyookbook,
    18. Kim Y.J. , Kimm D.W. (2015) The Changes in the Leadership of Child Care Center Middle Manager Based on Coaching Leadership Program ,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9 (5) ; pp.501-524
    19. Lee J.S. (1999)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Vice-Princip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20. Lee M.J. (2015)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tress on the role performa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21. Lee S.H. (2004) study on the level of role expectation for public kindergarten’s principals in the curricular administration and their performance lev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ju University,
    22. Lincon Y.H. , Guba E.G. (1985) Naturalistics inquiry, Sage,
    23. Merriam S.B. (1994) Car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Huh. M. H. Trans), YSWPUB, (Original work published 1988)
    24. Mo A.R. (2005) A Study on the Leadership of Master Teacher and Job Satisfac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5. Mo A.R. (2006) A Study on the Leadership of Master Teacher and Job Satisfac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3 (1) ; pp.45-66
    26. Mo A.R. (2012)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Head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Vol.10 (1) ; pp.23-40
    27. Mo A.R. (2014)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of middle manager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using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8. Mo A.R. , Shin H.K. (2015) A Head Teacher's Role Expectations and Role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 Care Staff ,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Vol.13 (1) ; pp.23-36
    29. Park E. M , Kim S, R. (2016) A Study on the Long-term Planning of the Elderly Care Centers in Seoul, Seoul Foundation of Women & Family,
    30. Park J.I. , Kim S.G. (2016) The Development of an Emotional Leadership Scale for Middle Manag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101 ; pp.217-243
    31. Park Y.I. (1999) Role perception and role performance of kindergarten’s vice-princip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32. (2006) Map out the future blueprint of the Seoul city government」 childcare panel discussion (2016-Business data-15), Seoul Foundation of Womes & Family,
    33. Song M.S. (2016) Exploring the Roles and Rewarding of Head Teachers at Day-care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 Chai University,
    34. Yeo M.S. (2001) Study of the vice-principals’s role execution and conflict in public kindergart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35. Yeon H.J. (2011)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he Qualification and Roles of Teachers in Char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36. Yeon H.J. (2013)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of intermediary managers in private kindergart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37. Yoo C.O. (2002) Principal, the Vice Principal and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 Vice Principal’s Role and the Principal’s Occupational Stress in the kindergart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38. You J.H. (2015) An exploration into the Meanings of Happiness in the Life of Head Teachers at Childcare Centers as Childcare staff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