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2 No.3 pp.521-542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7.22.3.7

An Exploratory on Middle Manager Roles Performance Ability Recognized by Middle Managers

A-Ra Mo, So-Hyun Lee
Dept. of Social Welfare, Yeonsung University, Anyang-si 14011, Korea
POSCO Work Child care Center Director, Seoul 06194, Korea

Corresponding Author: Lee So-Hyun, Posco Child care Center, 440, Teheran-ro, Gangnam-gu, Seoul, Korea (ababae@naver.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abilities required to fulfil the role of middle managers. The research targets were eight middle manag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a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amend and supplement the interview. The abilities to fulfil the role of a middle manager was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ability appeared in human comprehension ability, leadership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Second, the conflicts control ability appeared as an emotional control ability, neutrality ability, and stress control ability. Third, job processing ability appeared as a classroom management ability, the ability to divide the task equally, information collection and edu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ory, this study is important to provide an academic base for organizing the educational content suitable for the background of middle managers. In the study method,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middle managers analyze their ability to perform their role in depth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child care center middle managers in the future.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스스로가 인식한 중간관리자 역할 수행 능력 탐색

모 아라, 이 소현

초록


    Ⅰ.서 론

    모든 조직에는 중간관리자가 있고, 중간관리자는 조직의 허리에 해당한다. 2017년도 7월 보육사 업통계에 따르면, 어린이집 수 40,330개, 보육교직원 수 311,947명으로 나와 있다.[28] 대부분의 어 린이집에는 주임 또는 원감이라는 직책의 중간관리자가 있으므로 중간관리자의 수도 어린이집의 수 와 비슷하다고 예측할 수 있다. 보육교직원들의 의식은 어린이집의 정책이나 목표보다도 직속 상사 인 중간관리자로부터 더 큰 영향을 받는데, 원장이 세운 어린이집의 정책이나 목표도 중간관리자를 거쳐 보육교직원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렇듯 중간관리자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많으므로 원장 과 교사 사이에 올바른 가교 역할을 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중간관리자가 제 역할을 못하면, 어린 이집은 원활하게 운영되기가 어렵다. 조직의 성패에 영향력을 줄 정도로 어린이집에서 중간관리자 의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역할(役割)이란 사회에서 특정 지위의 사람들이 의식적으로 수행하고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도 지 지를 받고 있는 포괄적인 행동 양식을 의미하며[13], 한 제도 내의 특정한 지위를 가진 자가 그 지위 에 요구되는 규범적인 권리와 의무를 수행하는 것이다[4]. 역할은 신분적 지위, 지위와 관련된 행동, 기대되는 직업적 활동 등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14].

    보육교사의 역할은 보육교사라는 지위를 가진 보육교사에게 사회가 요구하는 생각, 행동 및 태도 를 의미한다[24]. Katz(1980)[8]은 보육교사의 역할을 단순 보호자 역할보다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을 겸비한 교수자, 상담자, 연구자 등 다양한 역할을 하여야한다고 하였으며, Saracho(1988)[26]은 네 가지 보육교사로서의 역할로 진단자로서의 역할,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역할, 교수구성자로서 의 역할, 상담자 및 조언자로서의 역할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Spodek(1985)[31]은 보육교사의 역할 을 양육 역할, 교수 역할, 인격함양 역할, 의사결정 역할로 제시하였는데, 양육 역할은 부모를 대신 하여 아이를 돌본다는 전통적인 역할이며, 교수 역할은 직접적인 지식전달에서부터 교육환경조성까 지의 간접적인 형태의 교수까지를 포함한다. 인격함양 역할은 유아의 지도자와 안내자로서 유아와 상호작용을 하는 측면을 말한 것이며, 의사결정 역할 역시 유아를 안내하고 도움을 주기 위해 유아 와 상호작용 하는 것을 말한다.

    어린이집에서 중간관리자의 역할은 영유아보육법에는 구체적인 근거가 없으나[18] 유아교육법에 기대어보면 중간관리자는 원장을 보좌하는 역할, 각종 교육 및 행사에 관한 전문가로서의 역할, 원 장 유고시 원장을 대행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19]. 역할인식에 관한 연구를 보면[20, 30] 어린이 집 중간관리자 자신은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담임교사, 보육과정 운영관리자, 교육 관리자, 운영자 (원장)와 보육교사 사이의 전달자 등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원장들은 교사들의 대변자, 원장과 교사 들 간의 중재자, 교사들의 본보기, 교사들의 상담자, 문제 및 갈등상황 해결자로 생각하여 담임교사 의 역할과, 운영자의 역할에 대해서는 그 견해를 달리하고 있다.

    중간관리자의 역할수행을 위한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중 Kim & Park의 연구[11]에서는, 주임교사 는 ‘개인적·직무적’ 차원에서 리더십, 긍정마인드, 배려, 희생, 전문지식, 업무수행능력, 문제해결 능력, 상담능력, 의사결정 같은 주임교사 개인의 자질과 능력, 어린이집의 환경과 업무공간, 업무시 간, 업무체계, 동료교사들의 업무능력과 같은 직무환경을 주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인간관계적’ 차원 중 조직적인 측면에서는 조직의 특성과 조직에 대한 주임교사의 헌신을 필요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간관계적 측면에서는 관리자, 보육교직원, 유관기관과 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원만한 관계유지를 필요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Song[30]은 어린이집 중간관리 자는 운영자의 교육철학과 운영방향을 이해하고 운영 목표 달성을 위해 성공적인 운영계획을 수립 하고 효율적인 운영과정을 진행해가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 Choi[2]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대해 어린이집 운영관리, 보육과정 운영관리, 교직원 인사관리, 지역사회 연계활동관리로 설정하였 고, 설문결과 보육교사 및 중간관리자의 네 가지 역할로 설정하여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 중간관리 자의 역할을 주임교사 자신 보다 보육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보육교사 및 주임 교사 모두 사무관리에 대한 역할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어린이집 운영관리에 대해서는 주임교사 가 높게 인식하였으나 보육교사는 낮게 인식하였고, 지역사회 연계관리, 교직원 인사관리에 대해서 는 보육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였으나 주임교사는 보다 낮게 인식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보육교사나 원장의 그것과는 다소 다른 부분이 있으며, 이에 중간관리자 스스로가 인식한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느 껴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역할’에 대한 인식은 그 지위에 필요한 ‘역할수행 능력’에 대한 인식 이 모여 형성되는 것으로 ‘역할’의 하위개념인 ‘역할수행 능력’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이 본질에 더 가깝게 접근하는 것이라 판단되어 최종적으로는 중간관리자 스스로가 인식한 중간관리자 역할수행 에 필요한 능력에 대한 탐색으로 연구의 방향을 잡았다. 또한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스스로가 인식한 중간관리자 역할수행에 필요한 능력 탐색에 대한 연구는, 중간관리자를 위한 교육 및 훈련과정 개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심층적인 연구결과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역할수행 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연구문제 1.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스스로가 인식한 중간관리자의 역할 수행 능력은 무엇인가?

    Ⅱ.선행연구 고찰

    1.자기 인식

    자기인식은 “자신의 동기, 감정, 욕구 및 자신과 관련된 정보를 인식하고 신뢰하는 것”으로[9], 진 정한 자기인식은 자신의 장⋅단점에 대하여 명확히 인식하고, 자신의 목표, 핵심가치, 믿음과 욕망 등을 지속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6]. 특히, 긍정적 자아를 가진 사람은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자아가 긍정적인 사람일수록 높은 수준의 자기인식으로 더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15]. 리더가 될수록 높은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능력이나 한계에 대한 이해수준이 높고, 자신에 대한 평가를 알기 때문에 타인에 대한 이해 수준 역시 높아진다. 진정한 리더는 자신의 행위가 남에게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자신의 행동을 결정한다. 때문에 리더의 자기인식이 높을수록 구성원에게 강한 신뢰를 주는 리더가 된다[23].

    2.중간관리자의 역할 수행 능력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역할과 역할수행능력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보면, Decker와 Decker [3] 는 10가지 항목을 제시하였는데, 그 능력은 ①전반적인 운영계획의 수립과 운영관리, ②교육목표 설정 및 교육과정의 계획과 관리, ③교직원 채용 인사관리, ④원아의 모집 및 관리, ⑤시설⋅설비 의 관리, ⑥비품 교재⋅교구의 구입 과 관리, ⑦재정 관리, ⑧행정 업무 처리 기록의 보관 유지, ⑨ 부모교육 및 부모와의 관계 유지, ⑩행정 당국, 지역사회 관련 기관 및 단체들과의 관계 유지이다. Lee[17]는 크게 세 영역의 역할 수행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하였는데, 그 세 가지는 중간관리자는 원 무 관리 능력, 교육과정 운영 능력, 교육활동 및 교직원에 대한 관리 감독능력이다.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에게 필요한 능력을 두 가지 역할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이는 인화적 역할과 대외적 역할이다[21]. 인화적 역할이란 조직 구성원들 간의 인간문제를 해결하고 좋은 인간관계를 형 성하기 위한 관리자의 수단을 가리키는 말로 현대 조직 사회에서 중요시 되고 있다. 교사 상호간의 인간관계 개선은 어린이집 교육과정의 목표 달성을 극대화 한다[22]. 대외적 역할이란 어린이집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사회, 지역사회 기관, 관련 행정기관과 좋은 관계를 맺어야한다는 것이다. 어린 이집은 원아모집이 학부모에 의해 좌우되고,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교육을 전개해 나가는 경우 가 많으므로 대외적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16].

    Ⅲ.연구방법

    1.연구 참여자

    본 연구자들은 어린이집 교사의 직위 체계는 원장과 보육교사로만 이분되어 있으므로 원장과 보 육교사를 중간에서 연계해 줄 수 있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수행능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서울·경기·인천지역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8인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를 진 행하였다. 보육교직원이 7인 이상인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고, 보육교사 경력이 5년 이상이면서 현재 중간관리자 업무를 하고 있는 주임교사가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목적 표집을 통해 이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전 모임을 가졌으며, 사전 모임의 참여자는 어린이집 주임교사로 근무하고 있 는 중간관리자 28명이었다. 이들 중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흥미를 보이는 본 연구에 적합한 대상 8명을 선정하여 개별 면담이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 8명의 일반적인 특성은 5년에서 15년의 보육교사 경력을 가진 8명이었으며, 어린이 집 유형별로는 직장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각각 2명씩이었다. 또 한 이들의 연령은 28세에서 42세로 다양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Table 1>과 같다.

    2.자료 수집

    본 연구를 위해 먼저 어린이집 원장에게 사전 양해를 구한 후, 방문 허락과 함께 어린이집의 중간 관리자에게 본 연구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동의한 중간관리자와는 날짜와 시간을 정하여 직접 방 문하였고, 인터뷰 전에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 또한 확인 받았다.

    본 연구는 심층면담을 통해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1회 면담 시간은 각 1시간에서 2시간 30분 정도였으며, 면담 내용이 비슷해지는 시점에서 면담은 종료되었는데, 개 인별로 각 1회에서 많게는 3회의 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은 어린이집 영유아가 모두 귀가한 이후 부터 시작하여 어린이집 업무에 최대한 지장이 없도록 하였다. 면담 장소는 중간관리자들이 원하는 장소였으며, 주로 어린이집 상담실과 근처 카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7년 1월 9일부터 4월 20 일까지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들은 미리 질문목록을 준비하였지만, 면담 상황에 따라 자연스럽게 질문내 용을 변형하여 질문하였으며, 면담 분위기는 최대한 편안하게 하여 연구 참여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에게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오직 본 연구의 목적으로만 활용될 것이며, 조사한 내용은 비밀이 보장되며, 본 연구의 참여 를 원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참여로 인해서는 어 떠한 불이익을 받지 않을 것임을 강조한 후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심층 면담 전체는 녹음 되었고, 녹음 자료 전체는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면담을 위한 질문 목록은 <Table 2>와 같다.

    3.자료 분석

    연구자들은 심층면담을 통해 인터뷰한 녹음 자료 전체를 전사하였고, 질적연구를 위한 분석 방법 으로는 Colazzi(1978)[1]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사한 자료는 반복 읽기를 바탕으 로 의미 있는 진술들을 찾아내는 작업이 이루어졌고, 의미 있는 진술들은 다시 주제별로 코딩하였 다. 이때 연구자는 선입견을 최대한 배제고자 하였으며, 의미 있는 진술들에는 필요한 경우 논평을 포함한 메모를 포함하여 유사한 주제별로 묶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유사한 주제들은 묶어서 추상화하여 주제 모음으로 완성하였다. 최종 완성된 주제모음과 주제들은 연구참여자 2인에 게 그들의 진술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거쳐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보육관 련학과 교수 2인에게 자료를 검토 받고 협의하는 과정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는 <Table 3>과 같다.

    Ⅳ.연구결과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나타난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스스로가 인식한 중간관리자의 역할에서 의 미있는 진술은 148개였으며, 10개의 주제로 분류되었다. 10개의 주제는 다시 3개의 주제모음으로 범주화되었는데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스스로가 인식한 중간관리자 역할 수행에 필요한 능력은 대인 관계 능력, 갈등 관리 능력, 업무 처리 능력이었다. 이는 <Table 4>와 같다.

    1.대인관계 능력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대인관계 능력에 대한 주제모음은 타인 이해 능력, 통솔 능력, 의사소통 능력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원장과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도모하여 어린이집이 원활히 운영되 기를 바라는 어린이집 중간관리자들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중간관리자들은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을 바탕으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이해하고 교사들에게는 리더십을 발휘하 여 어린이집 업무가 원활하게 수행되기를 원하였고, 이러한 능력을 중간관리자로서 갖추어야 할 역 할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1)타인 이해 능력

    중간관리자들은 원장보다는 교사들의 입장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원장의 경우 교사들보다 여러 가지 관점에서 더 깊이 생각하며 어린이집의 운영을 모색하기 때문이라 생각 할 수 있는데, 경험이 많은 주임교사는 더 많이 이해하고 따르려는 의지 때문에 원장보다는 교사와 의 관계와 이해 등을 더 어렵게 생각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중간관리자들은 교사들을 이 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노력은 근무시간 외의 범위로도 이어지고 있었다. 또한 중간 관리자들은 교사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그들을 이해하는 데에서부터 시작한다고 생각 하고 있었다.

    원장님과의 갈등도 그렇고 별 문제 없는 것 같아요. 왜냐하면 원장님이 임명하셨으니 되도록 교사 들 앞에서 저를 세워주시려고 하시죠. 그러나 교사들과는 (웃음) 말도 안 되는 일들이 종종 생기죠. 요즘 선생님들이 좀 그렇잖아요. 자기 입장에서만...(2017. 2. 28. H어린이집 중간관리자)

    그 선생님이 자꾸 (잘못된 행동이) 반복되니까 다른 선생님들이 불만이 자꾸 나와요. 저도 미혼이 라. 결혼한 그 선생님을 100% 이해하기에는 힘든 부분이 있고, 그래서 저 역시도 그 선생님이 너무 힘들고...(2017. 3. 13. G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우리 원에서 제 속을 썩이는 선생님이 있으세요. 좀 많이 독특하세요. 이렇게 하라면 저렇게 하고, 저렇게 하라면 이렇게 해오고, 청개구리처럼 행동하시는 선생님이세요. 이 분에게는 제가 있는 그 대로 온전히 들으려고 해도 잘 안되고요, 이 분이 하는 행동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려고 해도 잘 안돼요. 저는 선생님들과 정말 안 싸우고 잘 지내고 싶어요(웃음).(2017. 3. 28. E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솔직히 원장님은 저희들보다 경력도 많으시고 어린이집을 더 많이 생각하시는 입장이시잖아요. 처 음에는 말도 안 되는 거 같다가도 다시 생각해 보면 맞는 말씀인 경우가 더 많아요. 아... 그래서 원 장님이시구나 하는.(2017. 4. 4. A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주임교사의 입장이라는 것이 제가 생각하는 것보다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있는 직책인 것 같아요. 저는 그래도 선생님들을 잘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선생님들과 밥도 같이 먹으며 사적으 로라도 자리를 갖으려고 노력해요. 선생님들이 불편해할 수도 있겠지만요. 그래도 이런 자리를 가 지니 서로에 대한 성격에 대해 잘 알게 되어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먼저 상대방을 알아야 뭐든 일이 되잖아요.(2017. 4. 7. D어린이집 중간관리자)

    2)통솔 능력

    중간관리자들은 원장과 함께 교사들을 통솔하여 함께 일을 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 간관리자는 본인과 경력이 비슷하거나 학력이 높은 교사들에게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통솔 능 력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신입교사들은 괜찮은데 저와 경력이 비슷한 교사나 저보다 학력이 높은 교사가 입사하게 되면 충돌 이 많아요. 힘들다거나 기존에 다녔던 어린이집과 다르다는 등의 이야기를 많이 하면서 원장님의 교육관이 자신의 생각과 다른 것을 틀린 것으로... 제 딴에는 이해시키려고는 하지만... 그런 불평불 만 있는 교사도 이끌고 가야 하는데 저는 따라오고 싶어 하지 않은 사람은 정말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그냥 제가 해버리고 말지 싶다가도 이건 아니고... 제가 생각해도 제게 주어진 일은 잘하지만, 리더십은...(2017. 4. 7. C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선생님들이 제가 같은 평교사 선생님일때는 속이야기도 많이 하고 친하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주임 교사가 되니 제게 자기 마음속 이야기도 잘 안하고 제가 통솔하고 어느 부분은 지시도 하고 해야하 는데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 갈등이 생겼어요. 권한은 없고 책임만 있다고 해야할까요.(2017. 4. 5. B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저보다 2년 먼저 들어온 선생님이 있으신데, 공교롭게도 제가 주임이 되었어요. 그래서 사적으로는 존경하고 친언니처럼 제가 잘 따랐었는데 제가 주임이 되는 바람에, 어색해졌죠. 말로 설명하기 어 려운 심리적인 어려움들이 발생을 하더라고요. 그 선생님 입장에서도 많이 불편하실거라고 생각은 해요. 하지만 저는 또 일을 리드해 가야 하는 입장이다보니, 함께 일을 함에 있어서 공평하게 분배 하고 업무를 체크 하는 역할은 다른 선생님들과 똑같이 대할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2017. 4. 4. A어린이집 중간관리자)

    3)의사소통 능력

    중간관리자들은 대인관계에서의 갈등이나 문제의 해결책으로 의사소통을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어려운 대인관계의 문제일수록 원장이나 다른 사람의 도움 보다는 솔직한 대화라고 생각하고 있었 으며, 의사소통 능력을 중간관리자가 갖추어야 할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이러한 역할을 갖추 기 위해 본인 스스로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는 교사일 때에 문제가 생기면 혼자서 해결하기 보다는 주임교사하고 이야기해서 해결했었어요. 제가 주임교사가 되고난 후에도 사소한 문제들은 잘 해결하는 편이지만 골이 깊어진 교사와의 문제 는 해결이 어렵더라고요. 그때는 다른 교사들 모르게 원장님에게 자문을 구하며 같이 얘기해서 해 결방안을 찾아보고 그랬는데, 그것보다는 처음에는 하고 싶은 말을 다 하면 속상하긴 해도 좀 터놓 고 이야기했던 방법이 (기본이긴 해도) 제일 효과적이었던 것 같아요.(2017. 2. 25. G어린이집 중간 관리자)

    중간관리자의 역할은 소통이 중요한 것 같아요. 그런데 그게 참 어렵죠. 노력한다고 되는 게 아니더 라고요. 그래서 저는 이번학기부터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심리를 공부하고 있어요. 주변에서 보육관 련학과를 왜 안 갔나 하시는데요, 저는 현재 주임교사이고, 향후 원장이 된다는 가정 하에, 점점 제 가 위로 갈수록 중요한 건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인 것 같아요. 그러기 위해서는 제 자신도 돌아보고 부모들 심리도, 아이들 심리도 알 수 있어서 상담심리 공부가 유익한 것 같아요. 다른 사람들로부터 조언도 들을 수 있고요, 무엇보다 저도 잘 몰랐던 제 자신을 발견해 나가는 것 같아요. 요즘에는 진 작 공부할 걸 그런 생각을 합니다.(2017. 3. 20. F어린이집 중간관리자)

    2.갈등 관리 능력

    중간관리자의 갈등 관리 능력에 대한 주제모음은 감정 조절 능력, 중립 유지 능력, 스트레스 조절 능력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어린이집 대부분이 일반 회사나 학교와는 달리 협소하고, 10명 이내의 교사들로 구성되어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어린이집 내에서 갈등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지 만, 갈등 상황이 발생되면 어린이집의 원활한 운영에 치명적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중간관리자 들은 원장과 교사들 모두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갈등 발생을 줄이고, 갈등이 원만히 해결되기 를 바라고 있었다.

    1)감정 조절 능력

    12시간 이상 영유아의 보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들은 항상 좋은 감정과 좋 은 표정일 수는 없었다. 물론 이는 중간관리자에게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중간관리자의 이러한 감 정 조절의 미숙은 더 큰 갈등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런 이유로 중간관리자들은 일시적일지라도 생 각과 마음을 전환할 수 있는 기회와 함께, 교사들의 마음을 감싸줄 수 있기를 희망하였으며, 이러한 능력을 통해 인정받는 중간관리자가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중간관리자로서 아무리 배우고 노력을 해도 안 되는 점은 항상 있더라고요. 저는 감정적인 부분이 그래요. 좀 감춰야하는데... 제가 주임교사를 하면서 저보다 나이가 많지만 경력이 적은 선생님들을 상대하는데 조금 어려움이 있어요. 그 선생님이 같은 실수를 반복하게 되면 화가 나고 그 모습이 제 얼굴에 다 드러나고... 또 흥분하지 않고 좀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 저도 무언가 불편한 마음이 얼굴 에... 그런데 그 선생님들도 표정이 좋지 않아 충돌이 생기기도 해요. 이럴 때 모든 교사를 끌고 가 야 한다는 게 너무 어려워요.(2017. 2. 27. A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어린이집은 작은 공간에서 여러 선생님들과 하루 종일 거의 9시간 이상을 함께 있다 보니깐, 마음 의 전환, 생각의 전환을 할 기회가 없잖아요. 사실 점심시간이 제일 바쁘고요. 그러다보니 서로 간 마음의 여유가 없다보니. 갈등의 원인은 별것 아닌데, 감정적인 문제로 확대되어지는 것 같아요. 사 람의 마음을 다룰 줄 아는 기술을 익힌다면 선생님들이 저를 좀 더 좋아해주고 따라 주지 않을까 요? (웃음) 저부터 좀 제 마음이 여유로워야 된다고 생각해요.(2017. 4. 5. G어린이집 중간관리자)

    2)중립 유지 능력

    어린이집에서 원장은 주로 지시를 하는 입장이고, 교사들은 이러한 지시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 는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 차이로 인하여 원장과 교사들 사이에 대한 적절한 중재가 없이 무리한 지 시가 있었다면 이들 간에는 갈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교사들은 이러한 갈등상황 발생 시 주로 주임교사에게 도움을 구하고 있었고, 주임교사들은 중립을 지켜 이러한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 고자 하였다. 하지만 원장과 교사 사이에서 중립을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에 중간관 리자들은 이러한 역할을 중간관리자의 주요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교육적인 지원도 요구 하고 있었다.

    원장 선생님하고 어떤 교사가 문제가 생겼을 때, 저는 한 쪽에 치우쳐서 이야기하지 않으려고 하지 만 막상 설명을 해주면 자신의 편을 들지 않는다고 아쉬운 소리를 양쪽에서 들을 때가 많아요. 저의 의사소통 방법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 싶었어요. 어린이집은 아무튼 좀 그래요. 여자들이 일단 많 고... 저는 원장님들도 연합회 모임 같은 모임이 있으시잖아요. 주임교사들도 모아서 한 번씩 점검 해 주는 멘토링 프로그램 이런 게 있으면 좋겠어요.(2017. 3. 31. B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저는 따로 중간관리자 교육이 마련되면 좋을 것 같아요. 원장님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교육 들이 있다면 말 그대로 중간에 있는 관리자가 한 쪽 방향으로 치우쳐지는 것이 아니라 좀 더 객관 적이고 소신을 가지고 있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지금보다 더 전문성을 키워 소신과 철학을 담은 중간자적 역할을 제대로 하고 싶어요.(2017. 3. 6. E어린이집 중간관리자)

    3)스트레스 조절 능력

    학급운영과 함께 주임교사 역할까지 해야 하는 중간관리자들은 일반적으로 과중한 업무량을 가지 고 있다. 그 뿐 아니라 원장님의 지시를 바탕으로 교사들을 이끌어야 하는 역할까지 해야 하기 때문 에 스트레스는 많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영유아의 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에게 스 트레스는 영유아들에게는 자칫 위험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중간관리자들은 이러한 스트레스 조 절에 대해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고,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었다.

    주임교사가 된 뒤부터는 화가 나면 감정이 컨트롤이 안 되는 것 같아요. 처리해야 하는 일들은 많은 데, 계획대로 안되니깐요.... 아무래도 교사 때보다는 스트레스가 많거든요. 그래서 아침에 일어나 서, 명상이나 요가로 하루를 시작해요. 그렇게 시작하면 한결 기분도 상쾌해지고, 원에 와서도 제가 저를 좀 더 내려놓게 되는 것 같아요. 편안한 상태가 유지되니깐요, 다른 주임선생님들도 한번 해보 시라고 추천해드려요.(2017. 3. 24. B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스트레스 말도 못하죠. 어린이집 안에서 들어도 모른 척 알아도 모른 척 정말 저는 입이 무거운 것 때문에 어쩌면 사람들이 좋아하는지도 몰라요. 그러다보니 정작 제 자신에게 스트레스가 되더라고 요. 어린이집 안에서는 너무 바빠서 스트레스 풀 시간조차 없고요, 주말에 여행을 간다거나 책을 읽 는다거나 지인들 만나서 수다를 떤다거나 그러면서 스트레스도 풀려고 노력해요. 안 그러면 오랜시 간 주임교사를 못 했을 거예요.(2017. 3. 24. H어린이집 중간관리자)

    3.업무 처리 능력

    대부분의 중간관리자들은 원장으로부터 능력을 인정받아 주임교사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중간관 리자는 일반 교사들에 비해 경력, 학력 등이 높았다. 하지만 중간관리자들은 이러한 능력에도 불구 하고 중간관리자로서의 업무가 추가되고, 다른 교사들에게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부분에서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학급운영 능력

    중간관리자들은 다른 교사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믿고 따르려면 자신이 먼저 모범을 보여줄 수 있 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여러 가지 업무 중에서 자신의 학급운영에서 나타나고 있었으며, 중간관리자 자신이 먼저 학급운영을 잘 해야 다른 교사들에게 모범이 될 수 있고, 이는 중 간관리자의 능력으로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저는 가정어린이집 주임교사이면서 투담임 반에 소속되어 있어요. 저와 같이 투담임을 운영하시는 A선생님께서는 저보다 나이가 많고, 아이도 키우셨지만. 저보다는 경력이 짧으시고... 제가 잘하고 완벽해야 그분한테도 할 얘기를 할 수 있더라고요. 제 말발이 서려면 일단 우리 반부터 제가 잘 해 야 해요.(2017. 3. 13. G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저는 솔선수범을 하는 중간관리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모범을 보이고, 다른 선생님들에게도 알려주면서 함께 가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제가 먼저 시작을 해야 다른 선생님들이 따라오죠. 그 런데 어린이집에서 제가 선생님들한테 보여줄 수 있는 건 교실이잖아요. 주임되기 전에는 일지도 좀 밀리고, 환경 구성도 계절 바뀌고 다음 주제여도 좀 놔두고 그랬는데, 주임 되고서는 정말 안 그 래요. 아니 다른 선생님들이 볼까봐 더 신경을 써서 환경을 자주 바꿔줘요.(2017. 2. 28. E어린이집 중간관리자)

    2)업무분장 능력

    어린이집에서 많은 일을 효율적으로 하려면 역할이 적절하게 세분화 되어야 하는데, 대부분의 업 무분장은 주로 주임교사를 통해서 전달되고 있었다. 중간관리자들은 개개인의 특성과 특별한 상황 등을 파악해서 이를 고려한 업무분장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있었지만, 교사들의 입장에서 때로는 불 공평하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중간관리자들은 이에 따른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선생님께서는 공동업무인 행사준비를 하는 날만 되면, “아이가 아파서 일찍 들어가야 해요”, “오늘 시어머니가 집에 오신대요”, “집에 정수기 필터 갈아야 해요” 등 정말 말도 안 되는 다양한 이유를 말하며 공동업무를 거의하지 않으려 합니다. A선생님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여러 번 교사들 의 양해를 구하고 선생님들을 설득을 했고, 다행히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배려해 주었습니다. 그러 나 어떤 선생님은 자꾸 그러고... 선생님들은 공동일 할 때 그 선생님만 자꾸 빠지고... 공평해야 불 만이 없는 건데. 저는 이런 건 정말 주임이 해야 하잖아요. 제가 일을 좀 효율적으로 나눠주고 그러 면 퇴근도 빨리할 수 있는데... 저는 이런 게 중요한 일 같고 어렵고 그래요.(2017. 3. 13. G어린이 집 중간관리자)

    영유아를 보육하는 일과 어린이집의 여러 서류나 환경 구성 등... 보육교사로서 해야 하는 일들이 과중하다고 여길 때가 많아요. 주임교사로서 선생님들이 자신의 업무를 해결하지 못할 때는 열심히 안한다고 여겨질 때가 있고요. 업무의 결과만을 보고 이야기할 수 없는 일도 많잖아요. 객관적으로 개개인 선생님의 성향이나 성격특징을 파악해서 원장님과 함께 강점이나 성향에 맞는 업무 분장을 해줄 수 있도록 교육을 받아보고 싶어요. 이렇게 일을 나누면 선생님들도 좋아할 것 같아요.(2017. 3. 21. C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신입선생님들은 학부 때 막연하게 생각했던 것보다 힘든 업무에 쉽게 지치고 퇴사하고 싶다는 표현 을 학기 중에도 하는 경우가 있어요. 힘든 업무 중에도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하는 방법이나 지원해 줄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못해서 단순히 업무의 내용을 가벼운 것으로 바꿔주거나 다른 교사들도 겪는 것이라고 밖에 설명하지 못할 때가 많아요.(2017. 4. 5. B어린이집 중간관리자)

    3)정보 수집 및 교육 능력

    중간관리자들은 그들의 업무 수행에 있어 새로운 정보나 교육 자료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이 러한 것들은 다른 교사들에게 전달하여 그들의 업무 수행에 도움 주기를 원하고 있었다.

    젊은 교사들을 컨트롤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 같아요. 요즘은 학교에서 근로기준법, 노동법을 다 배우고 나오기 때문에 저보다도 더 휴게시간이나 초과근무 시간외수당에 대해서 더 잘 알고 조목조 목 물어봅니다. (한숨) 근로기준법과 노동법도 제가 공부를 해야겠지만..... (중략) 또 교육도 마찬가 지에요. 어디서 좋은 교육이 있는지 이런 것도 좀 알고 들어서 새로운 것도 좀 알아서 선생님들한테 도 알려주고 그러면 저도 그렇고 선생님들도 그렇고 보람도 되고 즐겁고 그렇지요.(2017. 4.10. A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요즘은 전달 교육이 많잖아요. 원장님이 직접 하실 때도 있고, 돌아가면서 교육을 받고 오면 하기도 하는데, 그래도 제가 할 때가 제일 많은 것 같아요. 또 면담인 행사 같은 거 하면 교육도 교육이지 만, 좋은 정보도 찾아서 알려주고도 싶고 주임교사인데, 이런 건 좀 해줘야지 하는 게 있어요.(2017. 3. 23. D어린이집 중간관리자)

    4)문제해결 능력

    중간관리자들은 어린이집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다. 어린이집 내에서 발 생하는 문제들은 어린이집 업무에서 발생되는 문제 외에도 대인관계로 확대된 문제까지 광범위하고 다양하였으며, 중간관리자들은 본인들의 효과적인 문제해결 능력으로 어린이집이 원활하게 운영되 기를 원하고 있었다.

    원장님과의 갈등은 교사들과의 갈등보다는 잘 일어나지 않는 것 같아요. 원장님이 보시기에 제가 주임교사로써 잘할 거라고 믿으시고 임무를 주셨을테니까요 되도록 교사들 앞에서 저를 잘했다고 격려해 주시죠... (중략)...그런데 교실에서 문제가 크고 작게 자꾸 생기잖아요. 원장님한테까지는 이 야기할 건 아니고 원장님이 해결할 수도 없는 교실 안에 일들... 그럴 때 교사들이 저한테 물어보는 데... 아무튼 그런 소소한 문제들은 제가 도움을 주고 해결해 줄 수 있어야 교사들이 저를 좀 인정해 주는 것 같아요. 그런데 워낙 별의별 일들이 다 있어서. 매번 똑같은 문제들도 아니고... 또 선생님 들끼리의 문제도 있고... 어떤 때는 제가 해결사 같다고도 생각해요.(2017. 2. 28. H어린이집 중간 관리자)

    저는 요즘 신입선생님에 대해 말씀드리고 싶어요. 본인이 필요한 휴가, 휴게시간 등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어요. 휴가와 같은 건 어린이집에서는 다른 교사의 배려가 있어야 가능한데, 어린이집 상황 이나 동료교사와의 소통 없이 일방적인 통보형식으로 이루어 질 때가 많아요. 한편으로 자기의 것 도 잘 챙기고 똑똑하네 생각하다가도 본인이 해야 할 업무에 대해 놓치는 경우 그것도 한 번도 아 니고 자주 그러면, 예를 들어 금요일 오후에 부모님께 전달되는 낮잠이불 세탁물, 영유아 개인 물 컵 등 가정에 보내야 하는 물건을 챙기지 않아 부모님께 민원전화를 받으면 그 담임교사한테 이야 기를 해서 부모의 민원처리를 해야 하고 다음에는 안 그러도록 해야 해결되는 건데... 특히 몇 번 똑같은 일로 반복되고 그러면 그 선생님도 학부모님도 기분 좋게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워 요.(2017. 4. 4. E어린이집 중간관리자)

    Ⅴ.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스스로가 인식한 중간관리자의 역할수행을 위해 필요한 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중간관리자 스스로가 인식한 중간관리자의 역할수행 능력은 <대인관계 능력>, <갈등 관리 능력>, <업무 처리 능력>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대인관계 능 력>은 <타인 이해 능력>, <의사소통 능력>, <통솔 능력>으로, <갈등관리 능력>은 <감정 조절 능 력>, <중립 유지 능력>, <스트레스 조절 능력>으로, <업무 능력>은 <학급운영 능력>, <업무 분장 능 력>, <정보 수집 및 교육 능력>, <문제해결 능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 의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인관계 능력>은 중간관리자에게 필요한 능력으로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원만한 인간관계가 기반이 되어야 중간관리자로서의 성공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중간관리자들은 대인관계 능력에 대해서 타인 이해 능력, 의사소통 능력, 통솔 능력을 중간관 리자의 역할에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항목인 <타인 이해 능력>에서는 중간관리자들은 원장보다는 교사들의 입장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원장의 경 우 교사들보다 여러 가지 관점에서 더 깊이 생각하며 어린이집의 운영을 모색하기 때문이라 생각할 수 있는데, 경험이 많은 주임교사는 더 많이 이해하고 따르려는 의지 때문에 원장보다는 교사와의 관계와 이해 등을 더 어렵게 생각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중간관리자들은 교사들을 이해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노력은 근무시간 외의 범위로도 이어지고 있었다. 또한 중간관 리자들은 교사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그들을 이해하는 데에서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하 고 있었다. <통솔 능력>에서 중간관리자들은 원장과 함께 교사들을 통솔하여 함께 일을 하는 역할 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경력이 비슷하거나 학력이 높은 교사들을 대상으로는 어려움을 느끼 고 있었고, 통솔 능력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에서 중간관리자들은 대 인관계에서의 갈등이나 문제의 해결책으로 의사소통을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어려운 대인관계의 문제일수록 원장이나 다른 사람의 도움 보다는 솔직한 대화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의사소통 능력 을 중간관리자가 갖추어야 할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이러한 역할을 갖추기 위해 본인 스스로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im & Park[11]과 Son[29]의 연구결과에서 원장, 보육교직원 유관기관과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원만한 관계 유지가 주임교사의 성공적인 역할수행에 필요요인이 라는 점에서 일치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주임교사는 원장이 직접 임용한 경우이므 로 원장과의 관계는 교사들과의 관계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원장의 입장에서도 중간관리자에게 는 우호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따라서 중간관리자에게 있어서 대인관계 능력은 교사들과의 관 계에 더 초점이 맞춰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중간관리자의 대인관계 능력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은 Park & Kim[25]의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의 감성리더십 척도개발 연구에서 감성리더십 하위요인으로 ‘관계관리 능력’을 언급한 것과 Kim & Kim[12]의 코칭 리더십 활동을 통해 본 어린이 집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변화 탐색에서 구성원의 의사소통의 강조한 것 등과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 된다.

    연구참여자들은 특히 중간관리자에게 필요한 능력으로 <갈등 관리 능력>을 강조하였으며, 하위 항목으로 감정 조절 능력, 중립 유지 능력, 스트레스 조절 능력을 포함하였다. 이는 어린이집에서 보 육교사들이 업무를 함에 있어서 불가피하게 발생될 수밖에 없는 갈등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갈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능력이라는 점에서 중간관리자가 갖추어야 할 역할로 생각할 수 있겠다. 또한 중간관리자들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여 더 큰 갈등으로 이어지거나 감정적 인 문제로 번지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었으며, 갈등 해결을 위해서는 중립을 유지하여 누구에게나 공 평한 문제 해결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갈등 관리는 학급운영을 포함한 중 간관리자의 과중한 업무와 함께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어 중간관리자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방 안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생각해야 할 것이다. 하위 항목인 <감정 조절 능력>에서는 12시 간 이상 영유아의 보육이 이루어져야 하는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사들이 항상 좋은 감정과 좋은 표정 일 수는 없다. 물론 이는 중간관리자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중간관리자의 이러한 감정 조절 미숙은 더 큰 갈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런 이유로 중간관리자들은 일시적이라도 생각과 마음을 전환할 수 있는 기회와 함께, 교사들의 마음을 감싸줄 수 있기를 희망하였으며, 이러한 능력이 있어야 인정받 는 중간관리자가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중립유지 능력>에서는 원장은 주로 지시를 하는 입장 이고, 교사들은 이러한 지시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 차이로 인하여 원장 과 교사들 사이에 대한 적절한 중재가 없이 무리한 지시가 있다면 이들 간에는 갈등이 발생할 수밖 에 없을 것이다. 교사들은 이러한 갈등상황 발생 시 주로 주임교사에게 도움을 구하고 있었고, 주임 교사들은 중립을 지켜 이러한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원장과 교사 사이에서 중립 을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에 중간관리자들은 이러한 역할을 중간관리자의 주요 역할 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교육적인 지원도 요구하고 있었다. <스트레스 조절능력>에서는 학급운 영과 함께 주임교사 역할까지 해야 하는 중간관리자들은 일반적으로 과중한 업무량을 가지고 있다. 그 뿐 아니라 원장의 지시를 바탕으로 교사들을 이끌어야 하는 역할까지 해야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 는 많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영유아의 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들이 받는 스트레스는 영유아들에게도 자칫 위험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중간관리자들은 이러한 스트레스 조절에 대해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고,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었다. 국공립학교나 회사 가 부서이동이나 발령 등으로 자연스럽게 근무지나 구성원이 바뀌는 경우와는 달리 어린이집 대부 분이 10명 내외의 교직원이 협소한 장소에 모여서 지속적으로 근무한다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갈등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갈등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어린이집의 원활한 운영에 치명적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중간관리자들은 원장과 교사들 모두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갈등 발생을 줄이고, 갈등이 원만히 해결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는 Jung & Lee[5]와 Kim[10]의 연구 에서도 영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가 많은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는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겠다.

    중간관리자들은 <업무 처리 능력>을 중간관리자에게 필요한 능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대부분 의 중간관리자들은 원장으로부터 자질과 능력을 인정받아 주임교사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중간관리 자는 일반 교사들에 비해 경력, 학력 등이 높았다. 하지만 중간관리자들은 이러한 능력에도 불구하 고 중간관리자로서의 업무가 추가되고, 다른 교사들에게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부분에서 부담을 느 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항목인 <문제 해결 능력>에서 중간관리자들은 원장과 일반교사 사이에서 또는 교사들 사이에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 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ang & Cho[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 로 Kang & Cho[7]은 중간관리자들은 어린이집 내에서 다양한 문제해결의 책임자로서 그들의 상황판 단이나 의견은 기관의 운영전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하여 중간관 리자의 문제해결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위영역인 <학급운영 능력>에서 중간관리자들은 다른 교사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믿고 따르려면 자신이 먼저 모범을 보여줄 수 있어 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여러 가지 업무 중 자신의 학급운영에서 나타나고 있었 으며, 중간관리자 자신이 먼저 학급운영을 잘 해야 다른 교사들에게 모범이 될 수 있고, 이는 중간관 리자의 역할로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업무분장 능력>에서는 어린이집에서 많은 일 을 효율적으로 하려면 역할이 적절하게 세분화 되어야 하는데, 대부분의 업무분장은 주로 주임교사 를 통해서 전달되고 있었다. 중간관리자들은 개개인의 특성과 특별한 상황 등을 파악해서 이를 고려 한 업무분장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있었지만, 교사들의 입장에서 때로는 불공평하다고 생각하고 있 어서 중간관리자들은 이에 따른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수집 및 교육 능력>에서 는 중간관리자들은 그들의 업무 수행에 있어 새로운 정보나 교육 자료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이 러한 것들은 다른 교사들에게 전달하여 그들의 업무 수행에 도움을 주기를 원하고 있었다. <문제해 결 능력>에서 중간관리자들은 어린이집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어린이집 업무에서 발생되는 문제 외에도 대인관계로 확대된 문제까지 광범위하고 다양하 였으며, 중간관리자들은 본인들의 효과적인 문제해결 능력으로 어린이집이 원활하게 운영되기를 원 하고 있었다. 이는 Kim & Park[11]의 연구에서 ‘주임교사는 동료교사들에게 모델링이 될 수 있도록 솔선수범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이는 일반교사에게 모범을 보여 주는 것을 기반으로 이들을 이끌어감으로써 업무를 포함한 원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를 희망 하고 있었다.

    중간관리자들은 어린이집 업무와 관련된 전문적 지식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본인들 스스로 교육 에 참여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있었으며, 이를 일반교사들과 함께 나누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Kim & Park[11]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간관리자로서 보람을 느끼고 있었다. 중간관리자들은 업무 처리 능력 뿐 아니라 대인관계 능력, 갈등관리 능력 등 인간관 계나 조직적 차원에서의 능력에 대한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능력을 업무 처리 능력 이상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중간관리자 본인에게 역할수행에 필요한 능력이라고 하였다.

    대부분의 중간관리자는 학급운영과 함께 병행하여 중간관리자로서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이 는 Shim, Kim & Kim[27]이 얘기하는 어린이집 중간관리자는 영유아보육법에 직무, 직위 등에 있어 서 법적인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보육과정 운영자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 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중간관리자는 일반 교사보다 과중한 업무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을 위한 효율적인 업무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시보육 서비스지원센터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필요한 전문성 및 역량에 대한 욕구” 연구를 살펴보면, 중간 관리자로서 필요한 전문성은 갈등관리가 가장 높게 나왔고, 그 다음으로 어린이집 연간행사 계획, 보육과정 계획 수립 및 운영, 보육교직원 멘토링, 수업 컨설팅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보육교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을 한 결과로써,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 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으므로 중간관리자를 위한 교육에 반영되어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방법론적, 실천적 의의를 갖는다.

    이론적 측면에서 어린이집에서 중간관리자의 훈련 및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에 중간관리자의 경력 에 맞는 차별화된 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학문적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방법론적 측면은 중간관리자 스스로가 인식한 중간관리자 역할 경험의 의미를 중시하여 중간관리 자의 주관적인 의식과 행동을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해 심도 있게 알아봄으로써 중간관 리자의 역할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실천론적 측면은 어린이집 현장에서 중간관리자로서의 역할수행 능력을 인지하고 역할을 잘 발휘 할 수 있도록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함으로써 국가나 교육기관에서 중간관리자만을 위한 차별화된 지원방법을 모색할 수 있도록 향후 프로그램 개발이나 방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 서 그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경기·인천지역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인 8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폭넓게 다양한 지역과 어린이집 유형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 이다.

    둘째,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의 서울시보육서비스지원센터에서는 2016년도 시범 사업으로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전문성 및 역량 강화교육을 시작하였으며, 경력에 따라 세분화된 교육들도 함께 시행될 예정이다. 이렇게 경력별 교육이 세분화되어지고 있는 시점이기에 중간관리자만을 위한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보다 많이 필요하다.

    Figure

    Table

    Background of research participants
    Unstructured questions
    Data analysis method
    Theme clusters and Themes

    Reference

    1. Colazzi P.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Oxford University press,
    2. Choi I.S. (2011) A Study on Teachers ' Perception and Teachers ' Perception on the Role of Nursery School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3. Decker C.A. , Decker J.R. (2001)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 childhood programs., Prentice-Hall,
    4. Getzels J.W. , Limpham J.M. , Campbell R.F. (1968) Educational administration a social process: Theory, pratice, and research., Haper & Row Publisher,
    5. Jung S.Y. , Lee D.K. (2010) A Study on the Difficulties, Joys, and Hope of Private-Kindergarten Vice-Principals. ,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Vol.9 (1) ; pp.105-122
    6. Jung Y.J. , Lee S.J. , Kim M.J. (2012) Transformational Leader vs. Authentic Lead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visited. ,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Vol.41 (3) ; pp.539-573
    7. Kang M.Y. , Cho H.J. (2017)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Middle Managers Job Competencies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 Journal of Lea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7 (2) ; pp.81-99
    8. Katz L.G. (1980) Mothering and teaching: some significant distinctions. , Curr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 ; pp.47-63
    9. Kernis M.H. (2003)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optimal self-esteem. , Psychol. Inq., Vol.14 (1) ; pp.1-26
    10. Kim N.H. (2010) A Study of Head Teachers’ Role Conflict in Child-Care Centers.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14 (1) ; pp.235-258
    11. Kim H.J. , Park S.K. (2016) Exploring Necessary Factors for Successful Role Performance by Head Teachers in Child-care Center with Concept Mapping.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20 (3) ; pp.125-159
    12. Kim Y.J. , Kim D.W. (2015) The Changes in the Leadership of Child Care Center Middle Manager Based on Coaching Leadership Program. ,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9 (5) ; pp.501-524
    13. Kwark Y.W. , Kwon S.H. , Seo J.H. , Shin D.C. , Choi S.L. , Ha S.I. , Hwang H.I. (1997) Teacher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 Kyoyookbook,
    14. Lee K. (2002) 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15. Lee S.C. (200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behavior in public sector :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16. Lee Y.J. , Kwon Y.R. (1998)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Rating Scale for Kindergarten and Lower Grade Levels of Elementary School. ,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12 (1) ; pp.63-80
    17. Lee Y.S. (1999) The theory on the encouragement of learning-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yookbook University,
    18. Mo A.R. (2005) A Study on the Leadership of Master Teacher and Job Satisfac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 Mo A.R. (2014)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of middle manager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using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 Mo A.R. , Shin H.K. (2017) A Study on the Role of the Middle Manager who Expects the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2 (1) ; pp.169-184
    21. Mo A.R. , Shin H.K. (2015) A Head Teacher’s Role Expectations and Role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 Care Staff. ,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Vol.13 (1) ; pp.23-36
    22. Nam J.K.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effectivenes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Dankook University,
    23. Park B.S. (2017) The linkage between issue leadership,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case on awareness of the public officials in Kyungsanapook-do. Unpublished Doctoral thesis, Kyungpook University,
    24. Park E.H. (2013)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hanjisa,
    25. Park J.I. , Kim S.G. (2016) The Development of an Emotional Leadership Scale for Middle Manag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Vol.101 ; pp.217-243
    26. Saracho O.N. (1988) An evaluation of an earil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 Early Child Dev. Care, Vol.38 ; pp.81-101
    27. Shim H. J. , Kim H. J. , Kim N. Y. (2009) A Analysis on the Role Execution and the Role Difficulty of the Head Teacher in Day-Care Center ,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Vol.l13 (5) ; pp.5-26
    28. (2017)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ervice, http://www.ssis.or.kr, July 2017 Childcare Statistics.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ervice
    29. Son H.K. (2015) The difficulty that head teacher in child care center has in the human relation and the effort to overcome 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30. Song M.S. (2016) Exploring the Roles and Rewarding of Head Teachers at Day-care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chai University,
    31. Spodek B. (1985) Teaching in the early years.,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