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2 No.4 pp.717-730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7.22.4.9

A Study on Research Trend i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from 1996 to 2015

Mi-hee Byun, Seo-yeong Yeom
Department of Child Welfare, Baekseok University, Cheonan, 31065, Korea
Dept, of Child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University, Seoul, 04310, Korea

* This article was presented at the 2017 Annual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family welfare Association.

Corresponding Author: Seo-yeong Yeom, Department of Child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University (igig6000@naver.com)

Abstract

This study was analyzed in 54 journals and 496 papers which were published by the Korean Family Welfare Association from 1996 to 2015 to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Family Welfare Association. For this, the papers published at the Korean Family Welfare Association were searched and collected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The paper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subject of study, topic of study and method of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research trend for subject of study, it presented parents with 106(19.5%), family with 86(15.8%), and child and adolescent with 77(14.2%) respectively. Secondly, as a result of research trend for topic of study, it showed that papers about welfare service for subject with 428(85.4%) were the highest, papers about practice method and skill were 39(7.8%), and papers about institution & policy were 29(5.8%). Finally, as a result of methodological trend, it showed that quantitative research was 288(57.5 %), qualitative research was 187(37.7%), and mixed study was 24(4.8%).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cluding duplication in methodological study, it accounted for quantitative study with 543(72.0%), qualitative study with 187(24.8%), and mixed study 24(3.2%).


한국가족복지학 연구 경향 분석에 관한 연구

변 미희, 염 서영

초록


    Ⅰ.서 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한국가족복지학회는 국내 최초로 가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계 전문가들과 현장전문가들이 모 여서 1996년 10월에 창립하였으며, 같은 해 11월에 ‘한국가족복지학’ 창간호를 시작으로 2015년까 지 20년 동안 54개 학술지, 총 496편의 논문을 발간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가족복지학회 창립 20년 주년을 기념하여 한국가족복지학회의 주요 연구업적인 ‘한국가족복지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고, 향후 ‘한국가족복지학’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 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경향 분석에 관한 연구는 다른 학술지와 연구 분야에서도 진행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사회복지학 학술지, 가족학 학술지, 가족치료학 학술지 등에서 발행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전체 또 는 특정 주제에 관한 연구경향을 분석한 논문이 있다[3, 5, 10]. 그리고 국내에 발행되는 모든 학술지 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 부모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분야에서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조 손가족에 관한 연구, 알코올 상담에 관한 연구, 아동성적 학대에 관한 연구 등 특정주제에 관한 연 구경향을 분석한 논문들도 있다[1, 2, 6, 9, 11].

    한편 가족은 결혼, 혈연, 입양에 의해 형성되며,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기능을 수 행하며, 사회의 유지와 존속기능을 하는 사회의 기본단위이다. 그리고 자녀에게 인격형성과 사회화 교육을 시켜주는 훈련장이며, 사회와의 교량역할을 해주는 사회집단이기도 하다. 가족을 구성하고 있는 가족성원들은 대부분 동거, 동고, 동락하는 공동운명체이고, 생활공동체이기 때문에 가족은 어 떠한 사회집단보다도 구성원간의 유대관계가 친밀하고, 가족 관계는 대부분 일생동안 영구히 계속 되는 관계이다[7]. 이와 같이 가족의 역할과 기능은 매우 중요하며, 개별 가족들이 역할과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가족복지정책과 복지서비스가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제공된다면, 우리 사 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가족 내에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고, 가족으로부터 보호와 돌봄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사회적 보호비용도 감소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에서는 영유아, 아동, 청 소년, 노인, 장애인, 조손가족, 다문화가족, 입양가족 등 다양한 욕구와 특성을 가지고 있는 가족들 이 존재하므로, 이들을 위한 가족복지정책과 서비스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특히 부모 자녀관계, 부부관계, 고부관계 등 가족관계의 연구도 필요하다.

    이에 본 ‘한국가족복지학’은 지난 20년 동안 가족이 제 역할과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가족 복지정책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 다양한 가족들의 특성과 욕구를 분석하고, 이들의 삶의 질과 가족관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게재하여 왔다. 지금까지 한국가족복지학에 게재된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 하고 ‘한국가족복지학’ 학술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려는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1996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가족복지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대상의 특성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1996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가족복지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방법의 경향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3. 1996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가족복지학’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주제의 경향은 어떠한가?

    2.학술지의 역사와 구성

    한국가족복지학회는 1996년 11월에 ‘한국가족복지학’ 창간호를 발간하였으며, 2015년까지 20년 동안 총 54개 학술지와 496편의 논문들을 발간하였고, 그 발자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창립한 지 10년이 지난 2005년부터는 가족복지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가족에 관심이 있는 모든 연구자들이 비용 부담 없이 빠르고 편리하게 본 학술지에 게재된 모든 논문을 무 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본 학회지 홈페이지에서 무료 원문제공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두 번째로 한국연구재단에서 실시하는 학술지평가에서 생활과학 학문분야 내 가족복지 및 정책으 로 2006년에는 등재후보지로 선정되었고, 2009년에는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으며, 이후 2차례에 걸친 계속평가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아 2017년 현재까지 등재학술지로 유지되고 있다.

    세 번째로 본 학술지는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의 연구자들도 논문을 투고하거나 본 학술지에 게재 된 논문을 인용할 수 있도록 2013년부터 모든 논문의 표, 그림, 참고문헌 등 주요내용을 영문으로 표기하기 하도록 하였으며, 국내 연구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2017년부터는 표와 그림은 영문과 국문을 모두 표기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네 번째로 본 학술지는 외국의 연구자들도 본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하거나 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편리하게 인용할 수 있도록 2013년에는 한글로 운영되는 본 학회 홈페이지와는 별도로 영문 으로 학술지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2015년부터 논문투고와 심사를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온라인 논문투 고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아래 <Table 1>에 연도별 발간현황을 제시하였다. <Table 1>에 제시된 연도별 발간현황을 살펴보면 1996년에는 창간호 1호만 발간하였으며, 1997년부터 2004년까지는 매 년 2호씩, 2005년부터 2007년까지는 매년 3호씩 2008년부터 2015년까지는 매년 4호씩 발간하여, 매년 발간하는 학회지 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매년 발간한 논문 편수를 살펴보면 2003년까지는 10~19편이 발간되었고, 2004년부터 2007년은 21편에서 28편이 발간되었고, 2008년 이후에는 29편에서 42편이 발간되어서 매년 발간되는 논문편수도 꾸준히 증가하였다.

    3.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1996년 창간호부터 2015년에 발간된 22권 4호까지 게재된 총 496편의 논 문이며, 2017년 8월 1일부터 10일 30일까지 한국가족복지학회 홈페이지에서 각 논문의 원문을 다운 로드 받아서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경향 등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연구자 2인이 함께 분석대상 논문을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따라 내용 분석한 후에 빈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내용분석은 특정 학문 분야의 연구 경향 연구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학술지의 기존 정보들을 유목화하고 요약, 비교가능하게 해줌으로써 학문분야의 정체성과 발전을 위한 통찰력을 제공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다[4, 8].

    Ⅱ.연구대상별 연구경향 분석

    연구대상별 연구경향을 분석하면 부모는 106편(19.5%), 가족은 86편(15.8%), 아동과 청소년은 각 각 77편(14.2%), 여성은 76편(14%), 노인은 36편(6.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래 [Figure 1]에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을 시기별로 볼 때 먼저 부모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두 번째로 가족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11편에서, 2006년부터 2010년까 지 29편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여 2006년을 기점으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아동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2010년 이 전보다 2011년부터 2015년에 다소 감소하였는 데, 이러한 경향은 동일한 시기에 부모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증가하였으므로, 아동을 대상 으로 한 연구는 부모와 가족이라는 맥락에서 연구되었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다.

    네 번째로 여성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76편으로 2006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 것은 다문화 여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발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다섯 번째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은 21편, 장애아동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6편으 로 소수만 게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학술지에는 가족복지 대상 이외에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자원봉사자 등 서비스 제 공자를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도 59편으로 나타났다. <Table 2>에 시기별 연구대상의 경향을 제시하 였고, 자료를 분석할 때 두 집단 이상을 연구대상으로 연구한 논문들은 중복으로 체크하였다.

    Ⅲ.연구주제별 연구경향 분석

    ‘한국가족복지학’에 게재된 논문들의 연구주제별 연구경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제도 및 정책, 실천방법 및 기술, 대상별 복지서비스의 세 개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아래 [Figure 2]에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족복지 대상별 복지서비스에 관한 논문들이 428 편(85.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천방법 및 기술에 관한 논문들은 39편(7.8%), 제도 및 정책 관련 논문들은 29편(5.8%)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별 연구경향 분석은 자료를 분석할 때 두 영역 이상을 연구주제로 연구한 논문들은 중복 으로 체크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먼저 가족복지 대상별 복지서비스에서는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복지서비스에 관한 논문들이 272편으로 가장 많았고, 노인복지서비스 32편, 아동복지서비스 및 청소년복지서비스가 각각 27편 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실천방법 및 실천기술에 관한 논문들은 프로그램·모형개발과 효과검증에 관한 논문들 이 28편, 사례관리 5편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제도 및 정책 관련 논문들은 아동복지 제도 및 정책 관련 논문이 14편, 가족복지 제도 및 정책 관련 논문이 6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를 시기별로 볼 때, 대상별 복지서비스에서 가족복지의 논문편수가 큰 폭으 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01년부터 2005년까지 43편, 2006년부터 2010년까지 91편으로 2배가 넘게 증가하여 2006년을 기점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경향은 ‘한국 가족복지학’에 투고하는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특성과 욕구를 가지고 있는 개별 가족구성원의 삶 의 질과 행복에 가족의 역할과 기능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대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한편 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아쉬운 점은 실천방법 및 실천기술과 관련 된 논문들이 부족하였다는 점이고, 구체적으로 프로그램·모형개발과 효과 관련 논문은 소수 게재 되었고, 사례관리, 상담, 치료 등 다각적인 접근에 관한 논문은 극소수만 게재되었다.

    Ⅳ.연구방법별 연구경향 분석

    연구방법별 연구경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연구로 분류하였 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 [Figure 3]과 같다. 구체적으로 전체 496편 가운데 양적 연구가 285편 (57.5%), 질적 연구는 187편(37.7%), 혼합 연구가 24편(4.8%)으로 나타났으며, 양적 연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하였다.

    두 개 이상의 분석 방법을 활용한 논문들을 중복 체크한 결과 먼저 양적 분석방법은 543개 (72.0%), 질적 분석방법은 187개(24.8%), 혼합 분석방법은 24개로(3.2%)으로 나타났으며, <Table 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양적 연구에서는 한 편의 논문에서 다양한 분석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양적 연구 논문에서는 분석방법은 차이검증분석방법 177개, 회귀분석방법 146개, 상관관 계분석방법 126개 순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 논문에서 분석방법은 문헌연구 및 고찰방법 80개, 면접 조사방법 53개로 나타났으며, 혼합연구 논문은 실험연구방법 12개, 내용분석방법 8개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연구방법을 시기별로 볼 때, 양적 분석은 2011년~2015년 사이에 잠재성장모형분석, 군집분석, 로짓분석 등 다양한 방법이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질적 분석은 2005년을 기점으로 면접 조사(심층면담)가 두드러졌는데, 이 시기에 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양적으로 팽창을 하면서 이 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가 이뤄진 것으로, 가족 내 역동을 알고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 된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방법의 경향과 관련하여 아쉬운 점은 대부분의 연구가 양적 연구에 치중되어 있어서, 다양한 질적 분석 방법으로 연구한 논문이 부족하였다는 점이다.

    Ⅴ.결론 및 발전방향

    본 연구는 한국가족복지학회 창립 20년 주년을 기념하여 1996년부터 2015년까지 20년간 한국가 족복지학회에서 발간한 한국가족복지학 54개 학술지와 496편 논문의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 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도별 발간현황을 살펴보면 1996년에는 창간호 1호만 발간하였으며, 1997년부터 2004년까 지는 매년 2호씩, 2005년부터 2007년까지는 매년 3호씩 2008년부터 2015년까지는 매년 4호씩 발 간하여, 매년 발간하는 학회지 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매년 발간한 논문 편수를 살펴 보면 2004년까지는 10~19편이 발간되었고, 2005년부터 2007년은 21편에서 28편이 발간되었고, 2008년 이후에는 29편에서 39편이 발간되어서 매년 발간되는 논문편수도 꾸준히 증가하였다.

    두 번째로 연구대상별 연구경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06편(19.5%), 가족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86편(15.8%),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각 각 77편(14.2%), 여성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76편(14%),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36편(6.6%)의 순으로 나타났고, 영유 아, 장애아동·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소수 게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분석하면 부모 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논문들은 꾸준히 증가하였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아동만을 대상으 로 한 논문과 부모와 가족이라는 맥락에서 함께 연구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연구주제별 연구경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복지 대상별 복지서비스에 관한 논문들이 428 편(85.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천방법 및 기술에 관한 논문들은 39편(7.8%), 제도 및 정책 관련 논문들은 29편(5.8%)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족복지 대상별 복지서비스에서 는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복지서비스에 관한 논문들이 272편으로 가장 많았고, 아동복지서비 스와 노인복지서비스가 각 각 27편으로 나타났다. 실천방법 및 실천기술에 관한 논문들은 프로그 램·모형개발과 효과검증에 관한 논문들이 28편으로 나타났고, 제도 및 정책 관련 논문들은 아동복 지 제도 및 정책이 14편, 가족복지 제도 및 정책이 6편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학술지에 게재된 논 문의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아쉬운 점은 실천방법 및 실천기술과 관련된 논문들이 부족하였다는 점 이고, 구체적으로 프로그램·모형개발과 효과 관련 논문은 소수 게재되었고, 사례관리, 상담, 치료 등 다각적인 접근에 관한 논문은 극소수만 게재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경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496편 가운데 양적 연구가 285편 (57.5%), 질적 연구는 187편(37.7%), 혼합 연구가 24편(4.8%)으로 나타났다. 양적 연구 논문들은 2011년~2015년 사이에 잠재성장모형분석, 군집분석, 로짓분석 등 다양한 방법이 활발하게 사용되 었고, 질적 연구 논문들은 2005년을 기점으로 면접조사(심층면담)가 두드러졌는데, 이 시기에 가족 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양적으로 팽창하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가 이뤄진 것으로, 가족 내 역동을 조사하고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된 것으로 보여진다. 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방법의 경향과 관련하여 아쉬운 점은 대부분의 연구가 양적연구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과 다양 한 질적 분석 방법으로 연구한 논문이 부족하였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가족복지학 학술지의 발전방향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연도별 발간현황을 살펴보면, 1년에 발간되는 학술지 수가 1회, 2회, 3회, 4회로 증가 하여 왔고, 학술지 발행 횟수가 4회로 증가한 2008년부터 2015년까지 각 학술지에 발간되는 논문의 편수가 안정적으로 29~42편으로 나타나. 앞으로도 년 4회로 학술지를 발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두 번째로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경향을 분석한 결과 아동, 청소년, 부모, 가족, 여성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영유아, 장애아동,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들이 소 수 게재되고 있어서, ‘한국가족복지학’ 학술지가 보다 전문적인 학술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아동과 가족을 대상으로 한 논문들로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세 번째로 연구주제별 연구경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복지 대상별 복지서비스에 관한 논문들이 다 수인 것으로 나타나서, ‘한국가족복지학’ 학술지가 가족복지학 분야에서 정책적, 실천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천방법 및 기술과 관련 논문, 제도 및 정책 관련 논문들이 게재될 수 있도록 노 력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로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경향을 분석한 결과 최근 들어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한 논문 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양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고,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모두 활용한 혼합연구도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가족복 지학’ 학술지가 가족복지학 분야에서 학문적,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주로 활용되 었던 연구방법과는 다르게 새롭게 시도되는 다양한 연구방법에 대해서 개방적인 태도를 취할 필요 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가족복지학’ 학술지가 아동과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기 위해 서는 전통적인 의미의 가족복지 정책과 가족복지 서비스에 국한된 연구 주제를 다룬 논문보다는 인 공지능시대에 맞게 미래지향적인 주제를 다룬 논문, 가족의 다양한 측면을 다룰 수 있도록 다학문적 접근으로 진행된 논문, 세계화 시대에 맞게 다양한 국가와 인종들을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들이 게재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igure

    KFWA-22-717_F1.gif
    Research trend for subject of study
    KFWA-22-717_F2.gif
    Research trend for topic of study
    KFWA-22-717_F3.gif
    Research trend for method of study

    Tabl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Yearly Publications
    Research trend for subject of study
    *The sum of this table is only for vertical lines.
    **The number of trend for topic of study was duplicated.
    Research trend for topic of study
    *The sum of this table is only for vertical lines.
    **The number of methodological trend was duplicated.
    Research trend for method of study
    *The sum of this table is only for vertical lines.
    **The number of methodological trend was duplicated.

    Reference

    1. JungE.M. (2015) Trend Analysis Studies on Multicultural Parents. , Korea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12 (1) ; pp.5-16
    2. JangY. J. JungS. W. (2014) Trends Analysis of Program Evaluation Studies Using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elfare Literatur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45 (4) ; pp.325-356
    3. KimM.O. (2015) A Critical Analysis on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es in Kore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67 (4) ; pp.153-180
    4. KimS. K. (2013) Research Trend on Runaway Adolescents by Content analysis: 2001-2010 in journal. , Korean Journal of Youth welfare, Vol.15 (3) ; pp.1-22
    5. KimS. Y. (2008) Research Trend of family research in Korean Journal of family. , Korean Journal of family, Vol.20 (4) ; pp.143-182
    6. KimW.K. JeonJ.A. (2010) Research Trends Concerning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in Korean Journals 1991~2010. ,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15 (4) ; pp.653-671
    7. LeeC.S. (2009) Social welfare dictionary., Bluefish,
    8. MahoneyK.T. BuboltzW.C. JrSoperB. DoversikeS. SimoneauxB.J. (2008) Content Analysis of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Vol. 44-59). , Consult. Psychol. J. Pract. Res., Vol.60 (3) ; pp.246-258
    9. ShinC.H. (2016) The Analysis of Trends for Alcoholism Counseling Research in Korea.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17 (3) ; pp.89-103
    10. SuhJ.H. (2008)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 Research Trend 1993~2008. ,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16 (2) ; pp.1-30
    11. YoonH. M. (2010) Trends in Child Sexual Abuse Literature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08.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Vol.32 ; pp.129-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