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3 No.1 pp.77-99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8.23.1.5

The Effects of Interaction Training of Single Mothers Using the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Eun-Hwa Park, Jin-Ah Lee
Graduate School of Child Welfare &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04310, Korea
Corresponding Author: Jin-Ah Lee, Graduate School of Child Welfare &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nunaya07@naver.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single parents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of help to single mother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With this aim, training using the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that can promot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in a single parent family was given and the details of the Single Parent Family Support Act and support information necessary for effective parenting by single parents was taugh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training program, a total of 30 single par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 (CICAIO) and a pre-test were conducted for the two groups. After carrying out a total of 6 hours of training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raining was undertaken for 21 days in the families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training system of the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Two weeks after the 21st day, the same scales as those of the pre-test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rough a post-test, and the effect of the test was analyzed through a paired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of the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of the pre-test,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sequently, from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training using the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in accordance with a coaching approach was discovered to promot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a single parent and her child.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한부모 어머니의 상호작용 훈련 효과

박 은화, 이 진아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가족은 결혼을 시작으로 형성되었으나, 가족에 대한 가치관과 인식의 변화로 인해 가족 구성 역시 다양해졌다[26, 51]. 과거 한부모가족의 급증사유는 배우자 사망이었으나, 최근 이혼과 별거로 인한 한부 모가족이 늘어나고 있다[45]. 그 가운데 한부모가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6년에는 전체 가구의 약 10%였으며, 한부모가족 중 모자가족(75%)이 부자가족(22%)과 조손가족(2%)에 비해 훨씬 높은 비율 을 차지하고 있다[45].

    2015년 여성가족부[44]에 의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에서는 한부모들이 자녀양육에 있어서 ‘양육비・ 교육비 부담’과 함께 자녀의 생활지도에 대한 어려움이 증가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미취학자녀를 둔 한부모는 ‘자녀를 돌볼 시간의 부족’, ‘양육・교육관련 정보 부족’, 취학자녀의 경우 ‘대화가 잘 되지 않음’으로 인한 어려움이 크다고 응답하였다[44]. 이는 한부모가 경제적인 어려움과 함께 자녀와의 관 계에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생계와 양육을 책임지는 한부모들은 자녀의 행동과 관련된 문제와 함께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한다[50]. 실제로 부모와의 원활하고 친밀하며 지지적인 의사소통을 할수록 아동은 삶에 대한 만족과 다양한 관계 속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한다[30]. 그러나 가족의 형태와 관계없이 부모 와 자녀의 소통의 부재나 잘못된 방식의 소통은 부정적인 감정이 쌓이게 하여 관계적인 문제 뿐 아니 라 자녀의 사고방식과 자존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3, 48]. 현실적으로 생계와 양육을 동시에 책 임지는 한부모 역시 자녀와의 소통능력은 그들의 행복도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한부모들은 한부모가 정지원센터의 여러 사업 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한부모들이 부모로서 심리 적・정서적 준비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자녀와 소통하고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경제력만큼이나 중요하게 여긴다[47, 54]. 이에 따라 자녀와의 대화 시간이 부족한 한부모들에게 있어서 자녀와 정서적인 유대감 형성을 위해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부모 교육은 경제적인 지원만큼이나 중요 한 것임을 알 수 있다[8].

    관계증진을 위해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코칭이 활용되고 있다. 코칭이란 한 개인 이나 그룹이 그들이 바라는 곳으로 나아가도록 돕는 상호관계의 대화 기술이자 행위이다[7]. Lee[35]는 코칭을 “매일 멋진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지하는, 사랑과 지혜의 대화시스템”이라고 정의하면서, 부모 가 효과적이고 지혜로운 양육을 하는데 있어 코칭은 자녀에게 긍정적인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양육 방 법이 될 수 있다고 말하였다[21, 32]. Lee[35]는 아동에게 있어 의미있는 성인과 아동의 상호작용을 증진시 킬 수 있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부모와 교사가 모두 쉽게 익히고 편리하 게 활용할 수 있는 코칭대화기술이다[35]. 또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은 아동의 성장에 목적을 둔 것으로 놀이방식을 적용하여 아동 중심에서 대화를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코칭학에서의 새로운 접근방식이다[36]. 실제로 이 코칭모델을 적용한 선행 연구들은 아동과 부모, 아동과 교사의 상 호작용의 코칭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18, 21, 38, 52].

    본 연구는 한부모 어머니들의 자녀 양육에 도움이 되도록 TREASURE Talk 코칭모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부모-자녀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의사소통 증진에 대한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나아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이 일반 부모와 일반 교사 뿐 아니라, 한부모들에게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아동에게 의미 있는 다양한 성인 집단들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교육과 훈련 에 범용화 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가능성을 보고자 한다.

    2.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들의 실제 자녀 양육에 도움을 주고자 실천적 차원에 서 부모교육과 훈련을 하고, 그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1.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한부모 어머니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한부모 어머니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효과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한부모의 자녀 양육과 상호작용

    1) 한부모의 자녀 양육

    한부모가족이란 부모 중 한사람과 자녀로 구성된 가정을 의미하며 이혼, 별거, 사별, 유기, 미혼모‧ 부로 인해 만들어진 가족형태이다[1]. 결혼관 및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가족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여성 뿐 아니라, 가족과 연관된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한부모가족 역시 늘어나고 있다[19, 58]. 한부모 가족이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12년에 1,796천 가구로 총가구의 9.9%였으나, 2015년에는 10.8%를 차지하면서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49]. 전체 가구 중 10분의 1을 차지하는 한부모가족 에게 가장 시급한 문제는 경제적인 자립이다. 과거에도 한부모가족의 빈곤율은 양부모가족보다 높았 는데, 특히 여성 한부모가족의 빈곤문제는 더 심각했다[19, 27]. 최근 한부모가족의 경제활동은 활발해지 고 소득과 순자산은 증가하였지만, 한부모가 일하는 시간도 늘어 한부모의 48.2%가 하루 10시간 이상 긴 근무를 하면서도 짧은 휴일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44]. 초등 자녀를 둔 한부모들은 그들이 일을 하는 낮에 방과후 교실이나 지역아동센터에 보내고, 미취학 아동을 자녀를 둔 한부모들의 경우에는 어 린이집이나 유치원 등 시설보육을 많이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한부모들은 자녀와의 여가활동도 적고, 하루 중 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이 1시간 미만으로 자녀를 돌볼 수 있는 시간 부족하여 자녀들의 생활지 도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볼 수 있다[44].

    한부모가족은 경제적인 어려움 뿐 아니라, 사회적 편견 및 자녀양육과 관련하여 심리・정서적인 어 려움을 경험하는데, 이러한 문제가 고착되는 것은 한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 다[11]. 더욱이 한부모가족의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어려움은 한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경제적인 문제만 큼이나 중요한 일상의 문제이다[8, 9]. 따라서 한부모가족의 생계 문제를 비롯한 정서적인 어려움과 한 부모의 양육에 대한 고충을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해 야기된 문제로만 인식하기보다는 가족 구성원 간 의 역할과 관계의 중요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수 있는 가족체계관점이 필요하다. 가족체계관점(family system)1)은 한부모가족이 겪는 다양한 문제들을 한부모가족이라는 가족의 구조로 인해 생긴 특별한 문제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구조나 구성에 상관없이 모든 가족들이 갖는 특징으로 본다[23]. 가족체계관점에서는 가족의 구조의 변화 속에서 정체성의 과업, 가족의 경계를 규정하는 과업, 정서 적인 분위기의 관리하고 가정을 유지하고 관리해야하는 과업 그리고 변화를 관리해야할 과업 등 가족 모두의 과업을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성취해 나아가야 한다고 말한다[56]. 이는 한부모와 자녀가 직면 하는 정서적인 문제들이 한부모가족이라는 가족 구조 자체로 인해 야기된 문제라는 인식보다는 부모- 자녀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기능적이고 관계적인 측면에서 해결되어야할 문제라는 인식이 필요함을 강 조하고 있는 것이다.

    2) 한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

    한부모가족에게 정서적 혼란, 자녀양육의 문제, 경제적 빈곤, 사회적 편견 등의 어려움이 사실상 서 로 연계되어 발생하며, 이는 부모의 리더십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9, 10]. 또한 한부모들 스스로 현실 적으로 충분한 경제적, 시간적 여유가 없는 양육환경으로 인해 그들의 자녀들이 양부모가정의 자녀들 에 비해 뒤떨어지거나 미래가 어두워질 것을 염려하고 현실적으로 자신들이 갖는 한계에 대해서 무력 감을 느끼기도 한다[58]. 따라서 한부모와 자녀에게는 함께 있는 시간의 양보다 짧은 시간동안이라도 교감하고 상호작용의 질을 높임으로써 부모-자녀 간의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37].

    자녀에게 있어서 가족체계의 변화는 정서적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부모는 자녀의 상실감, 우울,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리사회적 환경이기 때문에, 부모와 자녀와의 관 계 변화와 같은 가족체계의 변화는 자녀에게 불안감을 준다[6, 17, 46]. 따라서 부모와 자녀의 충분한 소통 은 중요하다. 부모와 자녀 간의 대화부족은 자녀의 우울증과 같은 정서적인 문제 뿐 아니라 일탈행동 및 학교부적응 문제 등 자녀의 일상에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16, 58]. 그런데 한부모는 생계에 대한 부담으로 자녀의 말을 들어주고 정서적으로 지지해주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자녀와의 관 계에서 의사소통의 부족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등 자녀양육에 어려움을 느낀다[8, 24, 40].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의 방식은 자녀의 인지, 정서, 사회성에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부모와 자 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중요하다[3, 14, 25, 41, 42]. 부모의 대화 방식과 태도 및 내용은 중요한 의미를 갖 으며, 이는 자녀의 성격 발달 뿐 아니라 사회성과 환경에 대한 적응력 및 자아실현에 핵심적인 요인이 된다[29]. 부모와 자녀에게 친밀한 감정적 유대는 감정과 생각을 서로 지속적으로 교환하는 과정 가운 데에서 이루어지며, 이렇게 부모의 사랑에 의존하는 정서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녀를 개성 있 는 존재로 인정하며, 자녀들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지속적으로 표현해야 한다[12]. 다시 말해 부모와 자 녀의 의사소통 방식에 따라 부정적인 관계를 만들 수도 있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 다[38].

    한부모가 겪는 양육에 대한 어려움들은 상당 부분 부모와 자녀 간에 생길 수 있는 관계성의 문제로, 이 문제가 양질의 의사소통을 통해 해결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선행 연구들이 있다. Min 등[43]은 한부모 자녀가 갖는 심리적 소외감이 한부모와 자녀 간의 의사소통으로 중재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Bang 등[2] 역시 한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높고 일상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문제행동이 낮다 고 기술하였다. 이는 한부모와 자녀와의 원활한 소통을 통한 정서적 만족감이 한부모가족에게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자녀를 인격체로 대하지 않는 부모의 권위적인 양육방식 과 ‘성취지향적인’ 내용의 대화는 자녀의 인성과 사회성 함양에 악영향을 주며, 자녀의 자존감과 자율 성을 위해 무조건 감싸거나 ‘좋은 학교를 보내고 좋은 직장을 구하는 것’에 초점을 둔 의사소통 역시 부모-자녀 간의 올바른 의사소통과 관계형성에 역기능적 기능을 하게 된다[31]. 전술된 논의들은 한부 모가족의 자녀들의 심리적・정서적・사회적인 문제와 행동이 부모의 양육방식, 의사소통의 방식 및 대 화 내용과 밀접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부모와 자녀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 대화는 한부 모가족의 일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한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을 돕는 교육프로그램 으로 구체화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2. 코칭활용과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구성 및 실천 체계

    1) 코칭의 개념과 코칭활용

    코칭이란 한 개인이나 그룹이 그들이 바라는 곳으로 나아가도록 돕는 상호관계의 대화 기술이자 행 위로, 상담이 문제해결에 목적을 두는 것에 비해 코칭은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다[7]. Lee[35]는 코칭을 “매일 멋진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지하는, 사랑과 지혜의 대화시스템”이라고 정의하였다. 코칭은 긍정 심리학의 이론적 철학을 가지고 있다. 긍정심리학의 창시자인 Seligman[57]에 따르면, 행복한 사람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과 성취에도 적극적이고 더 긍정적이며 생산적인 삶을 만들어 가는데 관심을 두고 자신의 잠재력을 위해 행복과 성장을 추구하는 존재라고 하였다[38]. 코칭은 코칭프로세스를 통해 서로 의 반응을 끌어내고 코치이의 잠재된 가능성과 정보를 서로 공유하며, 격려하고 지지함으로써 서로의 대한 신뢰와 유대감을 높인다[39]. 코칭의 훈련방법에 따라 코칭의 깊이가 더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코치이의 잠재된 욕구와 강점도 찾을 수 있다.

    Jung[15]은 21세기 부모-자녀 관계 정립과 부모 교육과정으로서 코칭을 활용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자녀양육 상황에서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코치와 코치이의 상호작용 관계 시스 템으로 본다면, 부모가 코치가 되고 자녀는 코치이가 된다. 부모가 자녀로 하여금 잠재력을 최대한 발 휘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코칭은 부모와 자녀가 서로를 지지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인 것 이다[28]. 코칭을 활용한 선행연구들은 코칭이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고 설 명하고 있다. Do & Chae[5]는 부모 자녀관계에 코칭기법을 적용한 기초연구에서 자녀의 성장과정에 부모의 코칭이 중요함을 강조하였고, 부모교육실천을 위한 부모코칭 모형개발을 탐색하고 연구한 Park & Kang[55]은 코칭이 새로운 부모교육의 실천방법임을 제시하였다. Kim[20]은 모-자녀의 친밀감 형성, 자기인식, 공감 수용이라는 주제로 모-자녀의 상호작용의 변화를 설명하였다. Do[4] 역시 아동 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인성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녀의 존중과 부모의 역할, 상호작용의 긍정적 효과를 검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코칭을 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코칭 대화기술이 사용된다. 코칭 대화기술이란, 코칭이라고 하는 특수한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구체적인 대화방법의 행동 기술을 의미한다[35]. 코칭 성과를 내기 위해 각 세션마다 효과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고안된 대화 기술을 코칭대화모델이라 하며, 이는 코칭의 전개 과정을 예측하면서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20].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코칭모델에는 Lee 등[32, 33, 34, 35]이 구성한 COACH모델, MAGIC모델, MOSAIC모 델, TREASURE Talk 코칭모델이 있으며, Park[53]의 STAR모델 등이 있다. 각 코칭모델의 명칭은 코칭에 서 추구하는 의미와 과정, 요소, 방법 등에 사용된 특정한 용어를 이니셜로 표기한 것으로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35].

    위의 코칭모델 중 Lee[35]의 TREASURE Talk 코칭 모델은 아동에게 의미 있는 성인이 아동의 성장에 목적을 둔 코칭대화모델로 아동과 부모, 아동과 교사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교육 효과가 있음이 보고 되고 있다. Kang[18]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TREASURE Talk 코칭모델 프로그램이 상호작용의 효과 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Park[53] 역시 영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TREASURE Talk 코칭 모델의 훈련효과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검증하였고, Lee 등[38]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 용한 유아기 교사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을 교육・훈련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이로써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활용은 아동과 의미 있는 성인 즉, 어머니와 교사의 상호작용 기술을 향 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서 범용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2)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구성

    Lee[35]가 개발한 TREASURE Talk은 아동에게 의미 있는 성인과 아동의 상호작용 증진 훈련을 위한 코칭모델이다. TREASURE를 이루는 카테고리는 T-R-E-A-S-U-R-E의 8가지 단어의 약어로 T(Tracking), R1(Reflecting), E1(Encouraging), A(Asking), S(Say nothing), U(Understanding), R2(Reminding), E2(Enjoying)의 의미로 구성된다. 이는 각각의 상호작용의 방법을 의미하는 단어를 이니셜화하여 코칭기술을 표현한 것이다. 또한 각 카테고리별로 코딩규칙이 있는데 그것은 각각 3개씩, 단, Asking(A)은 6개로 총 27개 코딩규칙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코칭을 구체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8가지 각 카테고리별 코딩 규칙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⑴ Tracking) - 아이의 행동에 최대관심을 가지고 따라가기

    TREASURE Talk 코칭모델에서 Tracking은 첫 번째 순서에 해당된다. 그 뜻은 ‘따라가며 관찰하 기’이며 약어 (T)로 표기된다. Tracking의 목적은 성인이 아동의 노는 모습을 계속 따라가며 관찰함과 동시에 그 모습을 언어 및 비언어적으로 그대로 묘사해 줌으로써 아동이 성인으로부터 긍정적인 관심 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다. 이는 다시 세 가지 규칙으로 구성된다. 아이와 함께하겠다는 의도로 다가가기(T-a), 아이가 움직이는 대로 온몸을 따라가기(T-b), 아이가 행동하는 모습을 그대 로 말로 묘사하기(T-c)이다.

    ⑵ R1(Reflecting) - 아이가 한 말을 거울 보듯 반영하며 공감하기

    TREASURE Talk 코칭모델에서 Reflecting은 두 번째 순서에 해당되며, 그 뜻은 ‘거울보듯 반영하 기’며, 약어 (R1)로 표기된다. Reflecting의 목적은 아동에게 의미 있는 성인이 아동이 놀면서 하는 말 에 대해 절대긍정의 태도로 임하며, 인정하는 추임새를 넣음과 동시에 그 말을 그대로 뒤따라 말해 줌 으로써 아동이 성인으로부터 전폭적인 수용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다. 이는 다시 세 가지 코딩 규칙으로 아이가 하는 말에 고개를 끄덕이기(R1-a), 아이가 하는 말에 인정하는 추임새 넣기 (R1-b), 아이가 하는 말을 그대로 따라 말하기(R1-c)로 구성된다.

    ⑶ E1(Encouraging) - 아이가 한 언행을 구체적으로 격려하기

    TREASURE Talk 코칭모델에서 Enjoying은 세 번째 순서에 해당되며, 그 뜻은 ‘격려하며 즐기기 로’, 약어 (E1)으로 표기된다. Enjoying의 목적은 성인이 아동의 놀이에 내재된 긍정적 의도와 놀이 특성을 찾아내어 구체적으로 격려함으로써, 과정의 즐거움을 함께 누리고 이후의 놀이가 더 풍성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다시 세 가지 코딩 규칙으로 아이가 한 언행에 내재된 긍정적 의 도를 읽어주기(E1-a), 아이가 한 언행에 대해 구체적인 말로 칭찬하기(E1-b), 아이가 한 언행에 대해 구체적인 행동으로 지지하기(E1-c)로 구성된다.

    ⑷ A(Asking) - 아이가 넓고 깊은 생각을 키우도록 질문하기

    TREASURE Talk 코칭모델에서 Asking은 네 번째 순서에 해당되며, 그 뜻은 ‘키우는 질문하기’이 며, 약어는 (A)로 표기된다. Asking의 목적은 아동의 행동을 통제하는 수단이 아닌, 아동에 대한 지속 적인 관심을 바탕으로 하여 아동의 마음을 알고 확장하기 위한 탐색적 질문, 아동의 오감에 대한 질문, 아동의 인지적・논리적 사고를 키우는 질문, 창의성을 키우는 질문을 통하여, 아동 자신에 대한 탐색과 함께 논리적 사고와 창의성을 키우고 인지적 사고과정을 확장시키는 것이다. 이는 여섯 개의 코딩 규 칙으로 이루어져있고, What을 사용하여 질문하기(A-t), Where를 사용하여 질문하기(A-e), When 을 사용하여 질문하기(A-n), Who를 사용하여 질문하기(A-o), How를 사용하여 질문하기(A-w), If 를 사용하여 질문하기(A-f)가 포함된다.

    ⑸ S(Say nothing) - 아이가 대답할 때까지 무한존중하며 기다리기

    TREASURE Talk 코칭모델에서, Say Nothing은 다섯 번째 순서에 해당되며, 그 뜻은 ‘말없이 바라 보며 기다리기’이며, 약어 (S)로 표기된다. Say Nothing의 목적은 성인이 아동에게 빨리 답하도록 재 촉하지 않고 말없이 바라보고 기다려 줌으로써 아동이 더 잘 생각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는 세 가지 코딩규칙으로 아이를 부드럽게 응시하기(S-a), 입술만 움직이며 self talking하기(S-b), 손 가락으로 약 3-5초간 1,2,3을 세면서 아이의 답을 기다리기(S-c)로 구성되어 있다.

    ⑹ U(Understanding) - 아이의 어떠한 대답에도 절대긍정으로 이해하기

    TREASURE Talk 코칭모델에서 Understanding은 여섯 번째 순서에 해당되며, 그 뜻은 ‘이해하며 더하기’로, 약어 (U)로 표기된다. Understanding의 목적은 성인의 질문에 따른 아동의 모든 언어적・ 비언어적 대답을 수용함과 동시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풍부한 정서적 경험과 지식 의 폭을 넓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는 세 가지 코딩 규칙으로, 아이가 답한 것을 그대로 인정하고 수용하기(U-a), 아이가 대답한 것을 요약하고 명료화하기(U-b), 아이에게 추가적인 정보제공하기 (U-c)로 이루어진다.

    ⑺ R2(Reminding) - 아이가 완전 몰입한 상황을 기억하고 표현하기

    TREASURE Talk 코칭모델에서, Reminding은 일곱 번째 순서에 해당되며, 그 뜻은 ‘그 순간 떠올 리기’이며, 약어 (R2)로 표기된다. Reminding의 목적은 성인이 아동의 전 놀이과정을 통해 기억에 남 는 그 순간의 느낌과 생각을 말함으로써 아동이 자신의 놀이과정을 긍정적으로 피드백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세 가지 코딩 규칙으로, 아이가 기억나는 것을 말하도록 해보기(R2-a), 아이에게 기억나는 것을 말해주기(R2-b), 성인인 내 마음 표하기(R2-c)로 구성된다.

    ⑻ E2(Enjoying) - 아이와 함께 한 시간을 축하하며 즐기기

    TREASURE Talk 코칭모델에서 Enjoying는 여덟 번째 순서에 해당되며, 그 뜻은 ‘서로 인정하며 축하하고 즐기기’로, 약어 (E2)로 표기된다. Enjoying의 목적은 아동의 전 놀이과정을 통해 나타낸 태 도와 성취에 대해 성인이 구체적으로 인정하고 축하하며 함께 즐거워함과 동시에 아동의 경험을 다양 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제안함으로써 마무리 놀이를 통한 재창조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응 원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세 가지 코딩 규칙으로. 아이에게 구체적인 언행으로 축하하기(E2-a), 아이에 게 구체적으로 보상하기(E2-b), 아이에게 포트폴리오를 만들도록 제안하기(E2-c)가 포함된다.

    3) TREASURE Talk 코칭의 교육・훈련 방법

    TREASURE Talk 코칭의 교육과 훈련 방법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구성하는 각각의 카테 고리별로 8가지 의미와 하위영역에 해당하는 코칭규칙을 연습하는 것이다. 코칭규칙을 연습하기 위해 특정한 놀잇감이 사용된다. 놀잇감은 성인이 아동의 일상의 이야기를 적용하여 상호작용을 이끌 수 있 도록 돕는 도구로 활용되며, 이는 놀이방식을 적용한 코칭의 새로운 접근 방식이다[36].

    놀잇감을 사용하여 3R(Reading, Writing, Role Playing)2)의 방법으로 코칭모델을 연습하고, 실제 코칭 대화를 보여주는 동영상 교육을 받게 된다.

    교육 대상자들은 TREASURE Talk의 교육과 훈련을 받은 후, 가정에서도 코칭 연습을 하도록 21일 동안 TREASURE Time을 설정하여 지도 관리를 받게 된다. TREASURE Time은 TRE-3분 과정, AS-2분 과정, URE-3분 과정으로 총 8분으로, 매일 가정에서 과잉연습(over learning)3)을 목표로 코칭이 습관화 될 수 있도록 훈련하는 TREASURE Talk의 특별한 교육 방법이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연구 대상을 모집하기 위하여 먼저 사단법인 한국한부모가정사랑회의 협조를 받고, 사단법인 한국 한부모가정사랑회의 공식카페[59]를 통하여 교육 주제와 날짜, 장소, 중요 내용을 안내하여 지원자 모 집을 하였다. 선정된 한부모 어머니 30명에게 2017년 7월 26일부터 8월 25일까지 1개월 동안 연구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선정된 한부모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이상이고 연령은 30세 이상에서 50 세 이하로 유아 및 초등자녀를 둔 한부모 어머니로, 연구진행 전 개인정보를 연구 및 교육 목적 외에는 사용하지 않겠다는 보안서약서를 작성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2. 연구과정

    1) 사전검사

    한부모 어머니 30명을 무선 할당 방법으로 15명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15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였 다. 무선 할당 되었지만, 실험에 앞서 두 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사를 먼저 실시하였다. 동질성 검사의 내용은 연구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고 대상자들의 참여도를 높이고자 한부모지원법에 관한 정보인지 의 지필검사와 TREASURE Talk 상호작용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2) 측정도구

    첫 번째로 TREASURE Talk 코칭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Lee[37]가 개발한 ‘관찰을 통 한 아동-성인 상호작용 척도로 CICAIO(Coaching Inventory of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 도구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구성하고 있는 성인의 행동을 코칭 기술의 특성 모습 으로 관찰하며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구 내용은 ‘따라하며 관찰하기’, ‘거울 보듯 반영하 기’, ‘격려하며 즐기기’의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TRE’ 17문항과 성인의 행동 중 ‘이해하며 더하기’, ‘그 순간 떠올리기’, ‘서로 인정하며 축하하고 즐기기’의 특성을 묻는 문항으로 ‘URE’ 17문항을 포함한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 앞서 이 검사 도구의 산출된 신뢰도(Cronbach α)는 각 하위 요인에서 ‘TRE’가 .883, ‘URE’가 .923, 전체 .93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 <Table 1>과 같다.

    위의 <Table 1>에 의하면 TRE 실험집단의 사전검사 점수의 평균은 65.933,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 평균은 63.867으로, 그 차이는 2.067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 다. 그리고 URE 실험집단의 사전검사 점수의 평균은 57.733,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 평균은 55.733으로, 그 차이는 2.000으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TREURE 전체 실험집단의 사전검사 점수의 평균은 123.667,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 평균은 119.600으로, 그 차이는 4.067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두 번째로 연구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고 대상자들의 참여도를 높이고자 한부모지원법에 관한 정 보인지의 지필검사를 실시하였다.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대한 지필검사는 한부모가족지원법의 지식을 측정하는 것으로 한부모가족의 현황과 실태 3문항, 한부모가족지원법 5문항, 한부모가족 복지정책 4 문항, 현 정부 정책의 문제점 5문항, 향후지원방안 3문항 등 20문항으로 배합형, 선다형, 진위형으로 구성하였다. 한부모 관련 연구전문가 박사 1인과 한부모가정지도사 2급 자격을 취득한 아동복지전공 석・박사 3명으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지필검사의 정답은 1점, 오답은 0점으로 채점하였으 며, 도구의 신뢰도(Cronbach α계수) 750으로 높게 나타났다.

    3) 연구설계

    본 연구의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group design)방법을 적용하였으 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Table 2>와 같다.

    4) 프로그램 처치

    본 연구는 연구 목적에 맞게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상호작용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한부모 어머니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참여도를 높이고자 한부모가족지원법 의 정보 교육내용을 추가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2017년 8월 26일 실험집단 15명의 한부모어머니로부터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받고, 교육・훈련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교육・훈련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검사 점수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교육・훈련 과정은 1단계 이론 및 교육・훈련, 2단계 과잉연습(over learn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연구자의 교육・훈련 안내와 프로그램 개발자의 TREASURE Talk 코칭 모델의 철학과 이론 교육을 100분 동안 실시하였다. 그 다음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FT 자격을 가진 TREASURE 연구소장이 TRE, AS, URE 모듈별로 150분 동안 교육・훈련을 진행하였다.

    넷째, 교육・훈련 전 과정에 참여한 한부모 어머니들에게 2017년 8월 27일~2017년 9월 16일까지 가 정에서 자녀와 매일 8분씩 21일(총 168분)동안 과잉연습을 할 수 있는 과제를 부여했다.

    다섯째, 과잉학습이 이루어지는 21일 동안 연구자는 전화와 문자를 통해 자녀와 상호작용의 중요성 을 알리고 매일 8분씩 과잉연습을 실천하도록 강화하고 모니터하였다.

    5) 사후검사

    교육의 효과가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2017년 9월 16일 과잉학습이 끝난 2주 후(2017년 9월 30일) 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2가지 t검증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첫째, 실험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사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상호작용 효과로 CICAIO 검사 도구를 사용해서 대응표본 t검증하였고,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대한 지필검사를 실시하여 t검증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처치 후, 실험집단과 비 교집단의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상호작용 효과의 사후검사를 위해 CICAIO 검사 도구를 사용 해서 독립표본 t검증하였다.

    Ⅳ. 연구결과

    1. 한부모 어머니의 자녀 양육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1) 프로그램의 전제

    첫째,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위해 코칭활용 도구로 아동의 일상 이 야기를 표현할 수 있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공식 놀잇감을 선정하였다. 놀잇감은 아동의 연 령, 흥미, 동기유발, 상상력 및 창의성에 도움을 주되 안전을 고려하였다.

    둘째,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크게 3 모듈(TRE, AS, URE)로 구성되 어 있으며, 3 모듈에 맞는 상호작용 스크립트를 제작하였다.

    셋째, 이론을 포함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을 기초로 하여 실제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놀잇감을 가지고 TREASURE Time을 연습할 수 있도록 스크립트를 제작 제공하였다.

    2) 프로그램의 내용

    본 연구를 위해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코칭활용을 위한 놀잇감 PLAYMOBIL 5491(엄마와 유모차)을 선정하여 스크립트 사례를 구성하였으며, 실제 코칭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샘플 동영상을 제작하였다.

    첫째,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대표 놀잇감으로 제시되어 있는 PLAYMOBIL 5491(엄마와 유 모차), PLAYMOBIL 9080(카페 컵케잌), PLAYMOBIL 9079(베이비 놀이방)의 3 개를 예비 놀잇감으 로 선택하였다. 예비 놀잇감 3개 중에서 TREASURE Talk 코칭모델 개발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FT 3 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PLAYMOBIL 5491(엄마와 유모차)를 최종 선정하였다.

    둘째,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훈련용 워크북에 TREASURE의 8개 카테고리 의 코딩규 칙에 따라 3R 훈련지에 스크립트 사례를 구성하였다. 이 중 5점 만점 중에서 3.5점 이상인 스크립트 사례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놀잇감과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제작된 동영상에 대하여 TREASURE Talk 코칭모델 전문가 FT 3인에게 3차에 걸쳐 논리적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셋째, 놀잇감과 스크립트를 활용한 동영상은 한부모 어머니가 시청하면서 직접 따라 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T-R-E-A-S-U-R-E의 8가지 카테고리별로 순서화하 여 제작하였다. 교육용 비디오영상은 TREASURE Talk FT자격을 가진 전문가와 아동이 직접 놀잇감 과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촬영하였다. 이 동영상은 TREASURE에 해당하는 8가지 카테고리의 하위영 역인 ‘코딩규칙’ 27가지 기술을 8분 동안 연습할 수 있도록 TREASURE Time 설정 목적에 따라 TRE-3분 과정, AS-2분 과정, URE-3분 과정, 총 8분으로 제작되었다. 참가자는 3R 훈련지와 코딩 지에 코딩 규칙에 따라 참가자 스스로가 체계화하고 습관화하기 위한 과잉연습을 하도록 하였다.

    넷째, 교육・훈련 및 과잉학습은 총 418분으로 구성되었으며, 1단계 교육・훈련 250분, 2단계 과잉연 습 168분으로 진행되었다. 1단계 250분은 50분씩 5단계로 진행되었다. 처음 50분 동안 프로그램의 전 체 진행과정을 안내하고, 참여자에게 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다음 50분 동안 프로그램 개발자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철학과 배경이론을 설명하였으며, TREASURE 연구소장이 대화 사례를 직접 시연하였다.

    다섯째, TREASURE 연구소장의 진행으로 TRE, AS, URE의 모듈별로 각각 50분씩 150분 동안 진 행되었다. TRE 모듈 50분 동안 ppt를 통해 세부 활동을 설명하고, TRE 동영상 시청, TRE 세부 활동 3번 말하고, 1번 쓰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TRE의 카테고리 코딩 규칙의 사례를 2인 1조로 한 번 말 하고 한 번 쓰기를 하였다. 그 다음으로 T-FT와 FT보조가 시연하는 role playing을 관찰하고, 스크립 트를 읽고 1회씩 코딩 훈련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참가자가 직접 role playing을 하였다. AS 및 URE 모듈도 TRE 모듈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여섯째, 2단계 168분은 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매일 8분씩 21일 동안 과잉학습을 하는 시간이다. 한 부모 어머니의 상호작용을 위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구체적인 교육・훈련 워크숍 프로그램 은 다음 <Table 3>과 같다.

    2.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1)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비교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효과를 위한 실험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위해 사용된 CICAIO도구의 점수를 대응표본 t검증한 결과는 다음 <Table 4>와 같다.

    위의 <Table 4>에 의하면 TRE 사전검사 점수 평균은 65.933, 사후검사 점수 평균은 74.80으로 그 차는 8.867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URE 사전검사 점수 평균은 57.733, 사후검사 점수 평균은 65.667로 그 차는 7.933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REURE 전체 사전검사 점수 평균은 123.667, 사후검사 점수 평균은 140.467로 그 차이는 16.80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비교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효과를 위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를 독립표본 t검 증한 결과는 다음 <Table 5>와 같다.

    위의 <Table 5>에 의하면 TRE의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 평균은 74.800,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점수 평균은 61.400로 그 차이는 13.40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URE의 실험집 단의 사후검사 점수 평균은 65.667,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점수 평균은 52.400, 그 차이는 13.267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REURE의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 평균은 140.467, 통제 집단의 사후검사 점수 평균은 113.800, 그 차이는 26.667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 논의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 어머니를 대상으로 그들의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 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이론적・방법론적・실천적 측면에서 논의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목적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한부모 어머니의 상호작용 교육과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연구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먼저 본 연구의 이론적 측면에서 이와 같은 연구 결과의 의미는 한부모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인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을 위한 교육과 훈련이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선행 연구의 논의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2, 43]. 긍정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하여 유아 교사를 대 상으로 연구한 Kang[18],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효과를 연구한 Park[52], 유아교사와 유아부모들을 대상으로 그 효과성을 재검증한 Lee 등[38]의 선행 연구 결과와 맥 락을 같이하며, 본 연구 과정을 통해 경험적으로 그 효과가 재검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의 결과는 한부모와 자녀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의 실효성을 입증한 것이다. 즉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한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긍정성을 높였다는 것을 통해 긍정심리학과 코칭학을 근거로 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교육적 효용성을 재확인하 였다.

    두 번째 방법적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과정에서 일반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의 효과가 입증된[53]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한부모 어머니’를 대상으 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전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 TREASURE Talk 코칭모델이 한부 모 어머니에게도 그들의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적합한 교육임이 재입증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한부모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의 효과 검증이 지만,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한부모 어머니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실제 자녀 양육에 도움이 되는 한부모지원법교육을 추가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한부모 어머니에게 상호작용을 위한 코칭 교육을 실시한 후, 그들이 실제 가정에서도 자녀와의 상 호작용에 적용하며 습관화할 수 있도록 과잉연습의 훈련을 지도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확 인할 수 있었다. 많은 시간을 자녀와 보낼 수 없는 한부모 어머니에게 짧은 시간에도 부모-자녀의 효 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코칭대화 방법을 훈련시킴으로써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검 증이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천적 의미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가정에서 한부모 어머니들이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활용할 수 있도록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통한 부모와 자녀 간의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는 코칭 교육과 훈련을 지원함으로써 한부모-자녀 간의 정서적 유대감이 형성・강화되 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부모와 자녀의 관계성은 사회생활과 일상의 전반적인 행복도에 큰 영향 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한부모가족 자녀들에게 생길 수 있는 부정적인 문제를 한부 모와 자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내적인 힘으로 작용한다[16, 17, 58]. 이러한 점에서 한부모 어머니들로 하여금 스스로 상호작용의 변화를 인지하는 과정까지를 포함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교육이 정보 전달 교육의 효과성 검증 뿐 아니라, 부모-자녀와의 일상적인 관계에서 그 교육내용을 적용할 수 있 도록 지속적인 지원 및 연계 시스템의 필요성까지 검증하게 된 연구라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의 효과는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통해 한부모 어머니들에게 자녀양육에 필요한 의사소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한부모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구성원 스스로가 행복을 추구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부모교육 사례를 제시했을 뿐 아니라, 이를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체화할 수 있는 가 능성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이 일반 부모와 일반 교사 뿐 아니라, 한부모들에게도 효과가 있 음을 보여준 본 연구 결과는 아동에게 있어 의미 있는 다양한 성인 집단들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교육 과 훈련에도 범용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수행과 논의에 한계점과 향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부모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 코칭모델을 적용하여 한부모 어머 니와 자녀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나 연구대상의 참여도와 연구대상들의 참여여 건상 30명으로 제한하여 그 효과의 양적인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따라서 더 많은 한부모들이 참여하 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한부모 어머니에 한정하여 교육효과를 검증하였으나, 한부모 부자 관계에서 상호 작용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조손・조부가족에서와 같이 자녀 에게 의미 있는 성인 역시 다양해진 상황을 고려하여 실제 한부모가족에게 도움이 되는 교육 내용과 방법도 다각적인 측면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정서적・심리적 측면에서 가족의 유대감을 높이는 상호작용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양적인 연구로 진행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한부모들이 자녀 양육에 필요한 부모교 육 내용을 삶에서 적용한 결과 가족의 행복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것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 와 영향력을 갖는지에 대해서 질적인 연구가 병행되어 다양하고 질 높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igure

    Table

    Homogeneity 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model
    O<sub>1</sub>, O<sub>2</sub> : 사전검사(CICAIO) 및 한부모가족지원법 지필검사
    X : 처치(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교육·훈련)
    O<sub>3</sub>, O<sub>4</sub> : 사후검사(CICAIO)
    Single Parent Education/Training Workshop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of CICAIO in the Experimental Group
    Post-test results of CICAIO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ference

    1. A. Billingsley , J.M. Giovannoni (1971) Children of Storm: Black Children and American Child Welfare., Harcourt Brace Jovanovich,
    2. Andrew Billingsley , Jeanne M. Giovannoni (1971) Children of Storm: Black Children and American Child Welfare, Harcourt Brace Jovanovich,
    3. I.H. Choi (2013)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family-of-origin experience of par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4. M. H. Do (2016) Parent personality coaching for preventing child maltreatment.,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Vol.9 (2) ; pp.81-102
    5. M.H. Do , G.S. Chae (2006) A Basic Study on coaching Appilcation for relationship of parents-Children., Journal of Korean Parent Education Association, Vol.3 (2) ; pp.69-89
    6. S.J. Dong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Stress Coping Behavior, and Depression and Anxiety of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7. R. Collins Gary , Seoyeon (2004) Christian Coaching, IVP
    8. E.S. Hwang (2006) A Study of Single-Parent Families in Seoul., Journal of Korean Single Parent Families Research Institute, Vol.1 (1) ; pp.1-34
    9. E.S. Hwang (2009) Social support for single parent families to adapt to reality: Focusing on the support project of the Korean Single Parent Families Research Institute., Collection of dissertations for a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n Welfa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0. E.S. Hwang (2010) Anti-bais Education about single parent families., Korean Single Parent Families Research Institute,
    11. E.S. Hwang (2015) Current Status and Agenda for Single-Parent Family Support Services., Journal of Korean Single Parent Family Research Institut, Vol.8 (1) ; pp.1-33
    12. J.B. Brooks , L. Sun-rye , M. Yeon-sim , S. Geun-ho (2006) Parents and Children of a New Generation., Hakjisa,
    13. M.S. Jang (2016) Improvement Plan for the Legislation on Child Care of Single-Parent Family., Ewha Journal of Gender and Law, Vol.6 (1) ; pp.1-35
    14. J.M. Jeon , M.S. Yoo (2006) Social Competence: Effect of Moth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and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27 (3) ; pp.225-240
    15. J.W. Jeong (2005) Brand Coaching of My Child to be a Millionaire Dollar Leader., Asian Coaching Center,
    16. Y.S. Jeong (2016) Children Problem of Single-parent Families and Psychotherapy - Based on the Theory of A. Adl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Theology, Vol.52 ; pp.339-361
    17. S.H. Joo , S.W. Cho (2004) Impact of Conflict and Nurturing Factors for the Divorced Parents on the Behavioral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56 (4) ; pp.215-238
    18. E.S. Kang (2015) An Effect of the Interaction Technology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the Utilization of a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 J.W. Kang (2009) Korea's Policy on Single-parent Household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Journal of Korea Institute for Healthy and Social Affairs, Vol.29 (2) ; pp.30-54
    20. C.M. Kim (2012) Parent-Child Interactions for Change Effects of Parent Coach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disciplnary., Therapy, Vol.4 (2) ; pp.55-79
    21. E.S. Kim , S.H. Lee (2008) An Approach for Being Teacher as Parents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neagram Personality Inventory for Teacher with Parent Role., Korea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5 (2) ; pp.5-26
    22. I.B. Kim , S.H. Lee (2016)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Training of Early Childhood Parents Using the Method of Mentor Coaching and the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1 (3) ; pp.489-521
    23. J.H. Kim , S.J. Yang (2013) The Influence of Parental Gender on Adolescent Depression in Single-Parent Families :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Functional Communication.,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Youth Welfare, Vol.15 (1) ; pp.1-22
    24. J.S. Kim (2011) The influence of ego-identity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University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5. K.H. Kim (2013) Effects of Mothers’ Communication on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University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26. S.G. Kim (2005)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the Emergence of Diverse Forms of Famil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pp.5-23
    27. E.J. Koh , J.W. Kim (2009) A Study on the poverty of single parent familie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Vol.36 (2) ; pp.219-236
    28. Korea Parent Coaching Center (2005) Parent coaching for multi-intelligence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29. H.J. Lee , K.W. Kim (2000)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dolescents Self-Esteem, and Social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9 (3) ; pp.283-295
    30. J.S. Lee , E.J. Kim (2013)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s, and Pe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Happines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22 (5) ; pp.433-445
    31. K.E. Lee , H.C. Choi , R.Y. Kim (2017) [20 Years of Hardships-Found the answers from citizens] Parents claiming for 'success over personality'., The Segye Times, https://goo.gl/GMj6n5
    32. S.H. Lee (2008) Cheerleading Coaching., Shinjeong Press,
    33. S.H. Lee (2012) Magic9 Parent Coaching Manual., Korea Parent Coaching Center, a
    34. S.H. Lee (2012) Mosaic9 Teacher Coaching Manual., Korea Creative Character Coaching Center, b
    35. S.H. Lee (2014) The Research for Developing a TREASURE Talk Coaching Model(1).,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Vol.7 (1) ; pp.5-35
    36. S.H. Lee (2015) The Research for Developing a TREASURE Talk Coaching Model(2).,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Vol.8 (1) ; pp.5-40
    37. S.H. Lee (2015) Development of Coaching Inventory for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Vol.8 (2) ; pp.5-23
    38. S.H. Lee , G.M. Kim , H.J. Park (2016) Effect of Interaction EducationA Training of Teacher-Mother during Early Childhood Utilizing the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Vol.9 (2) ; pp.5-28
    39. S.H. Lee , G.J. Song , G.M. Kim , H.J. Park (2013) A Study on the Follow-up Effects of a 6Y Coaching Program for Par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8 (4) ; pp.625-656
    40. S.Y. Lee , O.G. Lee , J.H. Kim (2005) Predicting internalizing problems of Korean children of divorce: The role of self-efficacy, peer attachment, parent-child communi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23 (1) ; pp.99-111
    41. Y.H. Lee , H.J. Kim (2001) The Effects of the Communication and Confidence between Mother and Child on Children ?(tm)s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the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8 (1) ; pp.103-119
    42. M.H. Lim (2003) How to affect Self-Openness and Mother-Child Interaction for Group Art Therapy. University Master’s thesis,
    43. H.Y. Min , Y.J. Lee , K.H. Kim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s' Alienation in Single Mother-Headed Family and Two-Parent fami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26 (3) ; pp.15-23
    4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5) A Survey of the Current Condition of Single Parent Families in 2015,
    4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7) A Guide of the Support Project of Single Parent Families in 2017,
    46. G.J. Moon , G.J. Oh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behaviors and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and anxiet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1 (1) ; pp.29-43
    47. M. K. Moon (2017) An Analysis of Parenting Values and Demand for Childcare Support of a Single Parent Family., Issue paper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 pp.299-313
    48. E.Y. Na (2015) Human Communication and Media: Expansion of Communication and Space., Hannarae,
    49.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7) Estimation of future households : 2015-2045,
    50. J. Nelson , C. Delzer (1999) Positive Discipline for Single Parent: Nurturing Cooperation, Respect and Joy in Your Single Parent Family., Crown, ; pp.93-97
    51. B.J. Park (1996)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Korean Family., Korean Studies Quarterly, Vol.19 (2) ; pp.39-58
    52. E.H. Park (2016)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for mother with infa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53. J. Y. Park (2010) 3Cs: Basic Core Coaching Competencies, Bomyung books,
    54. S.J. Park (2015) The Realities of Single Parent Education and Needs of Parent Education Content of Single Parent., Journal of Korea Women's Research, Vol.17 ; pp.99-127
    55. S.S. Park , K.J. Kang (2008) The Study of Parenting Coaching Model Development for Parent Education Practice., Korea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5 (2) ; pp.27-55
    56. R.M. Sabatelli , S.E. Bartle (1995) Survey Approaches to the Assessment of Family Functioning: Conceptual, Operational, and Analytical Issues., J. Marriage Fam., Vol.57 (4) ; pp.1025-1048
    57. M.E.P. Seligman (2004)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Atria Books,
    58. H.S. Seo , M.J. Jin , Y.R. Do (2014) A study on Parental Engagement and the crux of the education for child in Single-parent famil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4 (2) ; pp.181-201
    59. Korea Single Parent Cafe http://cafe.daum.net/hanbumo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