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3 No.2 pp.263-282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8.23.2.6

Effect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s on Children’s Happiness: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Mi Jeong Seon, Won Mi Jung
*

This article was presented at the 2017 Community Child Centers Forum and presented as a poster at the 2017 Annual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child and family welfare Association.


Corresponding Author: Mi Jeong Se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mjseon1004@gmail.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systems involving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and the service effect of community child centers, on the happiness of childre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community child center 2nd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6. A total of 662 children in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data units genera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regression and Sobel test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ervice effect of community child centers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happiness of children. and we found that support from parents and friend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ile support from the teachers had no such effect. Based on the results, community child centers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reflect the multidimensional and needs of children.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child case management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community child centers should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that connect children to their friends and parents, as well as devise social welfare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to ensure delivery of quality service promoting the happiness of children.



지역아동센터서비스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선 미정, 정 원미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Korea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Korea

초록


    Ⅰ 서 론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 연구’[53]에 따르면, 한국 아동 및 청소년의 행복지수는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국가 중 가장 많이 그리고 지속적으로 최하위에 랭크되었다. 또한 아동의 성장과정에 주요하게 고려돼야 할 소유상태, 서비스 및 각종 기회 충족 여부 등 아동의 빈곤상태를 측정하는 ‘아동결핍지수’ 경우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22]. 최근 더욱 심각한 것은 국제통화기금(IMF)의 아시아 불평등보고서[55]에 따르면 한국의 소득상위 10%가 전체소득 45%를 차지하 는 소득 불균형이 가장 심한 나라로 불명예를 얻었다. 빈곤문제로 개인의 발달이나 교육의 어려움, 가족구 성원들의 경제적인 문제 외 심리・사회적인 측면도 부정적이며, 지역사회 환경도 열악하고 행복감도 상대 적으로 낮다. 더하여 아동 시기의 빈곤 경험이 성인기의 빈곤 경험보다 더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 한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19]. 아동의 빈곤과 열악함이 지속적으로 대물림 될 수 있다는 우려스러움과 아동이 느낄 낮은 행복감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최근 소득수준이 높아져도 행복하지 않을 가능성과 소득 향상에만 집중하는 정책은 실패할 것 이라는 제언과[28] 경제발전과 소득증가가 행복의 전부가 아니라는 인식이 높아져 물질적 풍요를 넘어 정신적 풍요로움과 삶의 질, 행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태이기에[14] 우리사회는 아동의 종합적인 행 복에 대한 대안을 다시 제시해야 할 것이다. 즉, 경제적인 부분과 정서적인 부분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 으로 행복을 향상시킬 요소들을 심도 있게 모색해 궁극적으로 아동 행복에 대한 탐색을 실시해야 할 것 이다.

    행복이란 자신의 삶 속에서 기쁘고 즐거우며 만족한 상태를 타나내는 것으로, 인류의 가장 궁극적 인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한 사람의 질 높은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복의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요인이 탐색되어야 하며, 특별히 아동 시기는 부모와 환경에 의해 보다 많은 영향을 받기에 반드시 다양 한 지표를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9]. 행복에 대한 영향 요인은 학업성적, 가족 및 지역 환경, 경제수준, 진 로, 건강, 스트레스, 효능감, 자아존중감 등 다양한데[50], 그 중 행복과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부각한 연구와[3] 가족이나 친구 등의 긍정적 지지가 상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에[38] 비추어 보면 사회적 관계는 행복의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 내에서 갖게 되는 소속감이나 유대감은 개인의 발달이나 행복감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고[42], 최근 Kim[23]의 연구에서 도 이를 지지하고 있다.

    특별히 경제적 취약 계층 아동이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는 인적 물적 자원뿐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 제공의 사회적 안전망이자, 부모의 역할까지 보완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아동복지서비스 전달기관 이다[35]. 이러한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내에서 빈곤아동들과 가장 밀접하고 긴밀하게 유대 할 수 있 는 곳이며, 센터 내 활동과 이용 서비스 및 상호작용은 아동들에게 소속감과 친밀감을 주고, 여기서 얻 어지는 긍정 효과는 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에 밑거름이 된다. 이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자아존중 감, 생활습관, 학업성취, 진로 기대감 등을 높게 하고[44]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아동의 행 복감과 상관관계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32]. 또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부모관계나 또래관계 등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어[49,54],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행복에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유추 할 수 있다. 그 럼에도 지역아동센터서비스와 행복에 대한 정보가 다각적인 방법을 통해 지속적으로 누적될 필요성이 있고, 행복에 대한 심도 있는 접근이 요청된다. 여전히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아동의 행복, 사회적지 지의 매개 연구는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증하고자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 연구문제 2.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사회적지지(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에 영향을 미치는가?

    • 연구문제 3.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사회적 지지(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를 매개로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아동의 행복감

    행복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이 추구하는 삶의 최종 목적으로 이를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 울이며 살아간다. 그러나 행복에 대한 기준과 평가는 서로 다르고, 형이상학적이며 추상적인 개념으로 명확히 통일된 용어로 사용되지 못하고 안녕감, 복지감, 삶의 질, 삶의 만족도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되 고 있다[45]. 행복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면, 행복은 타인에 의해 정해지거나 좌우되는 객관적인 결과라기보다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경험이며[11], Bradbum[4]은 개인의 삶에서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 를 경험하고 이를 비교하여 얻어지는 평가로 행복을 느낀다고 설명하였다. 주관적 감정이나 경험을 중 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더해 행복은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가 추구하는 바람직한 가치 특성, 즉 사회적 속성 또한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5]. Lee[31]는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하 고, 이를 개인이 해석하는 것에 따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Shin[50]도 행복은 개인의 평 가와 환경의 영향을 통해 새로운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하였다. 즉, 행복은 개인과 환경의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여러 영역이 관계하여 나타내는 종합적 만족감이라 할 수 있다.

    아동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경제수준, 성적,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 교적응, 양육태도, 또래 관계, 교사지지등과 더해 최근에는 지역사회 차원의 요인인 지역사회의 신뢰, 유대감, 공동체 의식 등을 꼽고 있다[23, 41].

    2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 연계 등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 제공(아동복지법 제52조 제 11항 제8호)하 는 곳으로 1960년대부터 도시빈민들의 저소득 아동을 보호하는 비제도권의 공부방 형태로 활동하였 다. 그 후 취약계층 아동 및 청소년의 문제를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인 문제로 받아들이려는 아동청 소년복지정책체계의 일환으로 2004년에 법제화 되었다[30].

    지역아동센터의 역할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게 지역사회 일선에서 보호, 교육, 문화, 복지서 비스를 제공하는 이용시설이며 예방적 아동복지시설로서 기능해왔다[36]. 이러한 기능과 역할을 더해 현 재 2017년 보건복지부의 지역아동센터 지원 안내사업을 살펴보면 지역아동센터는 다음과 같은 운영 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첫째, 아동의 생존권・보호권・발달권・참여권 보장을 위해 아동권리교육 및 아동권리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여 아동의 권리 보장의 기초적 역할을 한다. 둘째, 안전교육 실행의 의무기관으로써 아동의 연령과 특성을 고려하여 매년 아동의 안전교육을 실시 및 보고하며, 사회복지 사업법에 따른 안전보호체계와 보건위생관리를 통한 아동의 안전하고 건강한 보호 및 지원을 한다. 셋 째,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영역은 보호・교육・문화・정서지원・지역사회 영역으로 구성되며, 특화 프 로그램은 지역사회 특수성 및 주요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운영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세부 프로 그램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보호영역에서는 생활과 안전을 중심으로 일상생활관리, 위생관리, 급식 지도,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영역에서는 학습(국, 영, 수 등의 교과지도 및 숙제지도), 특기 적성(미술, 음악, 체육 등 예체능교과와 진로 및 적성교육 등), 인성교육, 사회성 교육, 자치회의 및 동 아리 활동지도 등을 하고 있으며, 문화영역에서는 체험과 참여활동(캠프, 여행, 견학, 관람 등 외부 활 동), 정서지원영역에서는 상담과 가족지원을 통한 아동 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연계하여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별히 2013년부터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강점인 접근의 용이성, 개별화, 제공의 지속성, 통합 성에 부합한 서비스 개선을 위해 아동 사례관리가 도입되어 아동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고 효율적 서 비스를 전달하고자 했다[27]. 그러나 실제적 지역아동센터의 재정 및 인력, 운영비 불충분등의 어려움은 아동의 욕구와 문제를 다루기에 부족하거나 효과적이지 못한 부분도 야기되었다. 현재 사례관리는 아 동개별지원영역의 아동 관리 방안의 한 부분으로 사례관리 요소를 많이 축약하여 다소 제한적인 개입 만 이뤄지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아동센터는 빈곤아동이 이용할 수 있는 종합 적인 서비스 제공역할의 일선을 감당하고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3 사회적 지지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 불리며, 사회 안에서 많은 관계들과 교류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간의 지 지 속에서 살아간다. 특별히 아동은 발달 단계상 부모, 또래, 교사, 형제와 친척, 의미 있는 이웃과 사랑, 보호, 수용 등의 사회적지지를 받고 성장하게 된다[40].

    이러한 사회적지지가 관심을 받게 된 것은 1970년대 예방심리학이 대두되고 인간의 사회심리적응에 중요한 요인으로 설명되면서 부터이다[7]. 다만, 사회적지지라는 용어가 이론적 도출에서 시작한 것이 아니기에 연구자 마다 개념과 정의를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48]. Cobb[6]은 사회적지지란 개인이 외부로 부터 보살핌과 사랑을 받고,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위기 때 적응하고 변화할 수 있는 완충적인 기능이 라 설명하였고, Cohen과 Hoberman[7]은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받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인 사랑이나 존중, 인정, 물적 도움 등을 이야기 하였다. Kahn과 Antonucci[18] 역시 애정, 긍정, 도움 중 하나 이상 의 요소를 포함한 인간관계라 정의했다. 또한 Cohen과 Wills[8]는 사회적 지지를 구조적인 측면과 기 능적 측면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는데 구조적 측면은 의미 있는 사람과의 동거 여부, 사회 접촉 빈도, 사 회 활동 참여도 등과 같은 사회적 활동에 대한 빈도, 크기 등에 대한 사회 관계망에 대한 틀이라고 설 명하였고, 기능적 측면은 개인이 실제적 대인 관계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평가하는 질적인 부분에 초 점을 맞추고 있다.

    국내연구에서도 사회적 지지는 사회관계 안에서 얻을 수 있는 사랑, 신뢰, 존중, 인정, 상징성, 물질적 원조 등을 포함한 긍정적인 자원을 의미하고[12], 개인 발달은 물론 사회적 욕구 충족과 삶에 대한 만족을 높여주는 요소로 설명하며, 사회적 관계 안에서 긍정 정서로 느끼게 되는 모든 형태의 자원을 사회적지 지로 정의하였다[43]. 이러한 사회적 지지로 설명되는 지지원은 부모(가족), 친구, 교사, 친척, 이웃 등을 제시하였다[19].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아동의 삶에서 중요한 타인들과 상호작용으로 얻어지는 긍정적인 자원의 총체로 보며, 특별히 아동의 발달상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부모, 친구, 교사의 지 지에 관심을 갖고 각각을 사회적지지 체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4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사회적지지 및 아동 행복감의 관계

    지역아동센터는 지역 내 빈곤아동에게 학습지도 및 학업 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다양한 자원 연계로 경제적 도움과 보조, 일상생활의 안전과 보호 및 상담 등의 심리・정서적 서비스 제공, 건강하 고 다채로운 문화생활을 누리도록 공동체놀이, 체험학습, 견학, 캠프 등 문화 활동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더하여 아동과 부모의 문제를 지역사회 기관과 연계하는 역할을 포함한 사회복지통합서비스기 관으로서 자리매김 하고 있다[25].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중 지역아동센터 시설 만족이 행복감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서비스 만족도를 매개하여 생활만 족도가 높아진다는 연구가 보고 된 바 있다[34]. 또한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은 아동의 위생, 급식, 영양, 안전, 돌봄과 보호, 교육, 문화, 연계 활동 등에 실제적으로 도움의 역할을 하고[26], 이는 빈곤 아동에게 우울, 불안, 위축, 비행, 공격성, 스트레스, 주의산만 등과 같은 심리사회 적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과[16, 33]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문제해결능력 향상, 사회성 발달[47, 49]과 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행복과 부적 상관이 있는 아동의 우울과 불안, 스트레스, 사회적 위축 등 의 심리 사회적 위험 요인을 감소하게 하고, 반면 아동의 행복감과 정적 관계인 자아존중감, 자아탄력 성, 사회성 등은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에 의하여 증진되는 효과가 있음이 설명된 것이며, 이는 지역아 동센터에서 실시되는 서비스가 결국 아동의 행복감에 유의미한 관계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각각 실행되어지는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이용이 긍정 혹은 부정적 영향을 타나 내거나 또는 단편적 서비스 만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뤄졌다. 지역아동센터 이용에 대한 전반적 서 비스의 영향이 아동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지역아동센 터 서비스가 아동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과제라 할 수 있다.

    더불어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영향이 본 연구의 매개변수인 사회적지지(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사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사회적 지지와 행복간의 관계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아동 시기에 받은 사회적 지지의 영향이 무의식적으로 심리적 변인에 스며들어 인간 행동의 가장 기본이 되며, 자 신의 가족이나 중요한 타인으로 부터의 사회적 지지를 어떻게 인식하느냐가 아동의 행복감 영향을 미 치고, 성인기 삶에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바 있다[43]. 지지관계는 어느 환경에서건 행복에 기여 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친밀한 대인 관계를 유지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행복감이 높고[41], 성공적 지지의 관계는 행복과 비례적인 관계를 갖는다. 아동의 경우 부모의 지지가 높을수록, 가족 간 의 화목한 분위기 일수록 행복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37], 부모 자녀간의 높은 질적 관계와 가족지지는 행복감에 직접 혹은 간접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아동은 학교를 다니면서 가정환경 외에 중요한 영향을 학교로부터 받는다. 이로 인하여 친구나 교사가 아동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이 들로부터 얻는 사회적 지지는 매우 중요하다. 친구 지지는 아동의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37], 친구들에게 수용과 인정을 받는 아동과 거부되는 아동은 관계의 질에서 차이가 있다[24]. 또한 학교 내 아동과 주요한 관계를 맺는 교사의 지지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증가된다는 것이 강조되어져 왔고[38], 교사의 지지는 아동의 행복을 지향한다. 결과적으로 부모지지, 친구지지와 교사지지는 아동의 행복감 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지역아동센터는 또래집단과 함께 활동하는 장(場)인 동시에 연계활동의 중요한 가교자로 아동에게 유의미한 보호자나 교육기관의 교사 및 공공기관 담당자들과의 상담, 교류 및 방문등의 다양한 프로그 램을 실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의 결과로 친구관계 증진, 사회성 향상, 공동체 강화 등 긍 정적인 기능을 했고,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또래 관계와 심리사 회적 적응 능력은 높게 나타났고[49], 환경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이 사회적 능력 특히, 아동의 유능성 과 부모와의 애정을 향상시킨다는 연구도 있다[54]. 결국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나 프로그램의 기능이 사회적 관계(부모, 친구, 교사)를 긍정적으로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예측 할 수 있다. 더불어 Kim과 Kim[21]이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에서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노인의 높 은 삶의 질을 야기 할 수 있고, Suk과 Cho[51]의 연구에서도 동아리 활동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학 교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한 것을 미루어 보아, 서비스나 프로그램의 만족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로 야기되는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분석자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된 취약 계층 아동・청소년 종단조사의 일환으로 지역아동센터 아동 패널을 구축하여 조사한 바 있다. 또한 2013년부터 보건복지부와 지역아 동센터 중앙지원단의 위탁을 받아 동 패널에 대한 조사를 지속해 왔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2기 패널을 구축하였다. 즉, 2011년부터 조사한 1기 패널과 2014년에 새롭게 추가된 두 집단을 대상으로 중다패널설계(Multiple Panel Design)를 하고 있으며, 대상자 선정은 무작위 추출을 원칙으로 층화 집락표집 방식으로 지역별 비례 배분하여 표본이 할당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최근 자료인 2기 패 널의 3차년도 자료인 2016년 초등학교 6학년 총 66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2 측정도구

    1) 종속변수: 아동의 행복감

    행복감은 ‘한국아동․청소년인권실태연구Ⅳ’ 문항으로 ‘현재 얼마나 행복합니까?’의 질문에 ‘전혀 행 복하지 않다 – 매우 행복하다’의 4점 리커트 척도로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의 행복감 문항이 단일 문 항으로 구성되어 이를 활용하였다.

    2) 독립변수 :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청소년정책연구원, 보건복지부 및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이 개발한 지역 아동센터 서비스 이용 영향 평가를 활용하였다. 서비스 이용 영향 평가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를 이용 함으로 학교성적, 학교생활, 자신감, 가족관계, 친구관계, 행동변화, 성격변화, 건강, 다양한 문화생 활, 특기개발, 남을 돕는 것, 미래의 꿈을 갖는 것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를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한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문항을 역코딩하여, 점수가 클수록 아동에게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도움이 되었고,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영향의 신뢰도(Cronbach's α)는 .952이다.

    3) 매개변수 : 사회적 지지

    (1) 부모지지

    본 연구의 부모지지는 Huh[13]가 제작한 부모 양육태도 척도 중 감독과 방임의 문항으로 부모가 아동 이 방과 후에 어디에 가고,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 외출 후 언제 들어오는지, 아동의 학교생활에 관심 을 갖는지, 아플 때 치료를 받게 하는지 등의 4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총 7문항을 사용하였고, 모든 문 항을 역코딩하여 점수가 클수록 부모가 아동에게 지지적 태도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척도 신뢰 도는 .79였고, 본 연구의 부모지지 신뢰도(Cronbach's α)는 .843이다.

    (2) 친구지지

    본 연구의 친구지지는 Armsden과 Greenberg[1]의 애착척도(IPPA)를 번안・수정한 Hwang[15]의 의 사소통, 신뢰 문항으로 친구들이 이야기 나눌 때 본인의 생각을 존중하는지, 귀를 기울이는지, 이해하 는지 등의 4점 리커트 척도로 총 6문항을 사용하였다. 모든 문항을 역코딩 하여 점수가 클수록 친구가 아동에게 지지적 태도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척도 신뢰도는 .82였고, 본 연구의 친구지지 신뢰 도(Cronbach's α)는 .874이다.

    (3) 교사지지

    본 연구의 교사지지는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가 교사지지를 정확히 측정할 특화된 문항이 없어, 최근 Lee와 Yang[29]이 패널 조사의 교사지지로 활용한 Min[39]의 학교생활적응 척도의 교사와의 관계를 나타낸 “담임 선생님을 만나면 반갑게 인사 한다”, “담임 선생님과 이야기하는 것이 편하다”의 4점 리커 트 척도의 2문항을 사용하였다. 모든 문항을 역코딩 하여 점수가 클수록 교사가 아동에게 지지적 태도 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척도 신뢰도는 .862이였고, 본 연구의 교사지지 신뢰도(Cronbach's α)는 .723이다.

    4) 통제변수

    빈곤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변수인 성별, 소득, 성적 만족, 건강상태를 통제변수로 활용하였 다. 성별은 남, 녀를 더미 변수화 하였고, 성적 만족과 건강상태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역코딩하여 통제 변수에 포함하였고, 가정경제수준은 ‘매우 못 산다’에서 ‘매우 잘 산다’의 1-7까지의 수준으로 나누어 측정되었고 기초생활수급자=1, 차상위계층=2, 사각지대=3, 보통수준=4, 5 보통이상=6, 7)로 코딩하 여 분석하였다.

    3 분석방법

    분석을 위해 사회과학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2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신 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 계수(Cronbach α)로 확인하였다. 더불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회귀 분 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한 매개 효과검증 후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의 2기 패널 중 2016년 3차년도의 초등학교 6학년 총 662명을 대상 으로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은 아래 <Table 1>과 같다. 응답자 중 남학생이 324명(49.1%), 여학생 이 337명(50.9%)을 차지하였다. 조상대상자의 성적 만족을 분석한 결과 ‘매우 만족 한다’가 162명 (24.5%), ‘만족하는 편이다’가 379명(57.3%), ‘만족하지 않는 편이다’가 115명(17.4%), ‘매우 만족 하 지 않는다’가 6명(0.9%)으로 나타났으며, 성적만족은 평균 3.05(SD=.67)이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의 건강상태를 분석한 결과 ‘매우 건강하다’가 277명(41.8%), ‘건강한 편이다’가 360명(54.4%), ‘건강하 지 못한 편이다’가 24명(3.6%), ‘매우 건강하지 못하다’가 1명(0.2%)으로 나타났고 평균 3.37 (SD=.56)다. 더불어 가정경제수준을 조사한 결과 ‘보통 이상’이 2명(0.3%), ‘보통 수준’이 305명 (46.1%), ‘사각지대’가 110명(16.6%), ‘차상위 계층’이 143명(21.6%), ‘기초생활 수급자’가 102명 (15.4%)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 아동의 53% 이상이 사각지대, 차상위계층, 기초생활수급자로 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황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주요 변인인 종속변수의 행복감과, 독립변수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영향, 매개변수인 교사지지, 부모지지, 친구지지의 기술통계의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먼저 종속변수인 행복감은 4점 만점으로 평균 3.36(SD=.63)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지역아 동센터 서비스 평균 48.30(SD=8.86), 매개변수의 교사지지 평균 20.35(SD=3.90), 부모지지 평균 23.71(SD=3.54), 친구지지 평균 6.26(SD=1.39)으로 나타났다.

    3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본 연구의 주요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인 아동의 행복감과 독립변수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간의 관계는(r=.276, p<. 01) 정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각각의 매개변수와의 관계는 부모지지(r=.323, p<. 01), 친구지지(r=.360, p<. 01), 교사 지지(r=.211, p<. 01)로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매개변수의 각각의 관계는 부모지지(r=.289, p<. 01), 친구지지(r=.348, p<. 01), 교사지지(r=.304, p<. 01)로 나 타났고, 부모지지와 친구지지(r=.414 p<. 01), 부모지지와 교사지지(r=.267, p<. 01), 친구지지와 교 사지지(r=.382, p<. 01)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모든 변수간의 상관계수 값이 .211 ~ .414 사이의 상관이 확인되었다.

    4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지역아동센터서비스와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검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이용에 따른 서비스 영향이 아동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와 이 관계에서 교사지지, 부모지지, 친구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확인 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2]가 제시한 매개효과 분석의 절차와 Sobel Test를 통한 효과 분석 4단계를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황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의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2단계에서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3단 계에서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변수가 유의미성을 살핀 후 마지막 4단계에서 Sobel Test를 통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총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거쳤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 대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R2 = .135로 약 14%의 설명력을 갖고(F = 20.441, p<.001), Durbin- Watson 계수가 1.967로 2에 가 까워 오차항의 자기상관성에서 각 독립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각 변수들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하였다. 분산팽창계수(VIF)의 범위는 1.005 ~ 1.099이며, 공차 허용도는 .910 ~ .995로 나타났다. 이는 분산팽창계수가 10이하, 공차허용도가 0.1 이상으로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 인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아동의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타나났다(β=.206, p<.001). 더불어 인구사회학적 요소인 통제변수에서 성적만족(β=.197, p<.001), 건강상태(β=.104, p<.01), 가정경제수준(β=.074, p<.05)은 유의미 하였고, 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교사지지, 부모지지, 친구지지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는 아래 <Table 4>와 같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부모지지(β =.216, p<.001), 친구지지(β=.290, p<.001), 교사지지(β=.254, p<.001)에 유의미한 값을 나타냈다. 즉,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에 모두 정적 유의미한 관계를 갖고 이는 지 역아동센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만족할수록 교사지지, 부모지지, 친구지지가 정적 관계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교사지 지, 부모지지, 친구지지를 포함시켜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교사지지, 부모지지, 친구지지 인 매개변수를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R²= .208로 독립변수를 분석한 결과 R²= .135보다 ΔR² = .073 상승되어 약 21%의 설명력을 갖는다. 또한 F=21.482(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 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영향(β=.110, p<.01)과 부모지지(β=.146, p<.001), 친구지지(β=.211, p<.001)는 각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교사지지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Figure 2

    즉, Baron과Kenny[2]의 매개효과 검정 절차에 따라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아동의 행복감에 유의미 한 영향이 있는 상태에서 매개변수 투입시 영향력이 감소(β=.206, p<.001 → β=.110, p<.01)한 것으 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아동의 행복감에 직접효과가 있고 더불어 부모지지, 친 구지지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지만 교사지지는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매개변수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Sobel Test는 z값이 절대값 ︱z > ±1.96︱을 만족하는 경우 매개효과가 있다고 본다. 효과분해를 통해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변수간 경로는 아래 <Table 6>와 같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부모지지를 거쳐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의 유의성은 Z= 3.117,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하며, 친구지지를 매개한 경로는 Z= 4.162,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하여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사회적 지지(교사지지, 부모지지, 친구지지)를 매개로 행복감 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직접효과는 .110, 간접효과는 .006(부모지지 = .002, 친구지지 =.004)이며, 총 효과는 직접 효과와 간접효과의 합인 .116로 나타났다. 단 간접효과는 부모지지(z = 3.117, p<.001), 친구지지(z = 4.162, p<.001)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교사지지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기 위하여 「지역아동센터아동패널」 2차 패널의 3차년도(2016년) 초등학교 6학년 총 662명을 대상 으로 회귀분석 매개효과검증 및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는 아동의 행복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로 지역아 동센터 서비스에 만족할수록 아동의 행복감은 증가한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이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만족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Lee 등[34]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의 다양한 서비스는 사회적지지(부모, 친구. 교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아동센터 는 아동들의 또래집단의 활동공간으로 친구 관계를 지지적으로 도모하는 역할과 공동체 강화를 가져온 다는 Seo[81]의 연구와 같은 맥락이며, 부모나 교사로부터 긍정적 자원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효과적이거나 만족될수록 아동의 행복감이 증가한다면 무엇보다도 지역아 동센터 서비스의 질적 강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아동 행복이 직결되려면 개 별 아동의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특성과 욕구가 반영되어 서비스가 이뤄져야 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 아동관리가 실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사정 도구나 욕구 반영 지표, 지원 계획, 실천 및 평가 등을 활용해 아동 개인을 넘어 가족 및 환경까지 확장 적용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 어야 할 것이다. 전문적 아동 관리 시스템 활용과 체계적 아동 관리를 담당할 전문사례관리 종사자가 추가적으로 활동한다면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아동 맞춤형으로 질적 향상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의 질적 강화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에 대한 검토가 시급한데 지역아동센터는 타 사회 복지 시설에 비해 근무환경이 매우 열악한 상태로 종사자의 소진과 이직이 많이 나타난다[10]. 또한 지역 아동센터 평균 법정 종사자가 2명밖에 배치되지 않는 실정과 전문 강사 파견으로 활동하는 아동복지교 사가 매해 교체 되며 근무형태도 파트 타임으로 활동하고 있어 서비스의 연속성과 전문성에 취약할 수 있다. 보다 수준 높은 서비스 질적 향상을 위해서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인력 재 배치와 보강이 우선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더하여 현재 지역아동센터 모든 기관이 의무적으로 실시하는 보호, 교육, 문화, 심리정서, 지역연계 서비스에 대한 내용과 구성이 적절한지 재조명 해 볼 필요성도 있다. 각 지역적 특성이 고려되고 아동 과 보호자의 욕구가 반영된 특성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운영 지침과 평가 양식에도 변화가 요청된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부모, 친구, 교사) 매 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지지와 친구지지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교사지지는 유의미 하지 않았 다. 이 연구결과는 부모지지[37]와 친구지지[62]가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와 동일한 결과 이며, 사회복지 서비스나 프로그램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행복(삶의질,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는 Kim과 Kim[21], Suk과 Cho[51]의 연구와 뜻을 같이한다. 반면 교사지지[38]가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아동기에는 부모와 더불어 다양한 대인관계가 확장되는 시점으로 관계기술, 사회성 향상이 매우 중 요한 과업으로 지역아동센터는 다양한 사회적 자원들과 교류 할 수 있는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특히 보호자가 아동의 적극적 지지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계몽과 교육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경각심으로 농촌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을 위협하는 요소의 질적 연구를 한 Park[46]에 따 르면 부모의 양육권 남용, 무지, 부재가 아동의 삶에 위태로운 영향을 미쳐 부모 양육에 대한 감독이 요 청되고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에 지역아동센터는 아동과 부모와의 긍정 관계 를 지향하는 연결자 일뿐만 아니라 아동이 부모의 피해로 부터 보호받도록 보다 적극적이고 의무화된 예방 교육과 가족개입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아동센터는 이용 특성상 비슷한 연령 또래나 같 은 형제가 함께 이용 할 수 있고, 규모가 작고 서로를 잘 알아 정감어린 분위기를 만들어 냄으로 여타 다 른 기관에서 받을 수 없는 긍정적 지지를 통해 사회적응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7]. 이처럼 지역아동 센터는 또래 간 통합하고 지지 할 수 있는 장(場)이 되기 때문에 이를 강화할 수 있는 또래 응집, 사회성 강화, 또래 상담 같은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보급화 될 필요성이 있고, 시설적인 부분에서도 보다 편안 하고 가정적 분위기를 도모할 수 있는 구조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아동의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 를 도출 하였으나 이는 아래와 같은 제한점 안에서 해석되어야 하며, 후속연구는 이를 극복하고 실시되 어야 한다. 본 연구는 패널 데이터 활용으로 변수가 원래의 개념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한 부분이 있다. 예를 들면 교사지지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측정한 문항이 없어 차선책으로 학교생활적응 척도 중 교사 와 관계된 문항을 뽑아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의 교사지지 결과가 다른 연구와 차이가 발생 했을 가능성도 있고, 지역아동센터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학교 교사와의 관계나 지지를 강화하는 부분 은 결여되었을 수도 있다. 또한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변수가 본 패널에 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 양한 매커니즘으로 해석되는 행복의 의미를 충분히 담고 있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측 정문항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인 기준과 내용을 검증 한 후 진행되길 기대한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서비 스와 아동의 행복은 시간적 추이를 살펴볼 수 있는 종단적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횡단의 한 시점과 대상 에만 국한하여 살펴본 것은 한계로 볼 수 있다. 이에 향후 연구는 종단의 발달 경과를 살펴보고 다양한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풍성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igure

    KFWA-23-263_F2.gif

    Standardized Coefficients for Hypothesized Model

    Tab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 = 662)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i>p</i><.05
    **<i>p</i><.01
    ***<i>p</i><.001

    Regression Analysis of Independent Variable

    *<i>p</i><.05
    **<i>p</i><.01
    ***<i>p</i><.001

    Regression Analysis of Dependent and Mediate Variable

    *<i>p</i><.05
    **<i>p</i><.01
    ***<i>p</i><.001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i>p</i><.05
    **<i>p</i><.01
    ***<i>p</i><.001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in Model

    Reference

    1. G.C. Armsden , M.T. Greenberg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 Youth Adolesc., Vol.16 (5) ; pp.427-454
    2. R.M. Baron , D.A. Kenny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 Pers. Soc. Psychol., Vol.51 (6) ; pp.1173-1182
    3. H. Ben-Zur (2003) Happy adolescents: The link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internal resources, and parental factors., J. Youth Adolesc., Vol.32 (2) ; pp.67-79
    4. N.M. Bradbum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 bing. Chicago : Aldine.,
    5. R. M. Coan (1977) Age and the satisfactions from work, hero, artist, saga.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6. S. Cobb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 Med., Vol.38 (5) ; pp.300-314
    7. S. Cohen , H.M. Hoberman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 Appl. Soc. Psychol., Vol.13 ; pp.99-125
    8. S. Cohen , T.A. Wills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s., Psychol. Bull., Vol.98 (2) ; pp.310-357
    9. H.J. Choi , H.K. Kim , J.H. Kim (2017) Factors having an effect on Well-being of youth living in Rural Area., Journal of Welfare and Counselling Education, Vol.6 (1) ; pp.331-351
    10. I.J. Chung , K.R. Lee , J.E. Lee (2010) The effect of the workers ?(tm) burnout on service outcom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33 ; pp.23-46
    11. E. Diener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 Bull., Vol.95 ; pp.542-575
    12. M.H. Han , A.J. Yoo (1996) The relation of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problem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17 (1) ; pp.173-188
    13. M.Y. Huh (2000)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4. M.J. Hwang , S.J. Shim (2008) Development of happiness index of Korea., Survey Research, Vol.9 (3) ; pp.93-117
    15. M.K. Hwang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peer attachment of multi-culture children and social anx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6. Y.M. Hwang (2017) Moderating effect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the child ?(tm)s depression on the aggressiveness and ego resilience., Korean JournalOf Clinical Social Work, Vol.14 (1) ; pp.51-70
    17. S.J. Jung , J.S. Kim (2012)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program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on socia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9 (8) ; pp.77-102
    18. R.L. Kahn , T.C. Antonucci , P.B. Battes , O.G. Brim Jr (1980)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s., Academic Press,
    19. H.J. Kim (2010)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to school adjustment of the poor children i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7 (12) ; pp.211-233
    20. H.J. Kim , E.Y. Choi (2014) Community child center users ?(tm) parents-child relationship, social capital, and self-esteem: application of mixed research method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 (1) ; pp.239-267
    21. K.U. Kim , Y.M. Kim (201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rogram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cusing on social support parameters.,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Vol.16 (4) ; pp.37-52
    22. M.S. Kim , J.A. Jeon , T.J. Ha , M.A. Oh , E.H. Jung , E.J. Choi , B.J. Lee , S.S. Kim (2013) Comprehensive survey of Childre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3. S.S. Kim (2016)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hildren’s happiness and their depression.,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Vol.34 ; pp.91-108
    24. S.Y. Kim (2006) Relationship of children’s quality of friendship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outcom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27 (4) ; pp.265-278
    25. Y.E. Kim , M.R. Park (2007) Research on the self-respect awareness of children in regional children’s centers.,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Vol.4 (3) ; pp.61-89
    26. S.H. Ko , K.Y. Lee (2014) A study on the food service quality factors and satisfaction of community children center.,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ol.27 (5) ; pp.914-920
    27. G.S. Kong , I.H. Seo (2009) A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4 (4) ; pp.155-178
    28. J.S. Kwon (2013) The context of happiness low-income households have experience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65 (2) ; pp.53-78
    29. C.K. Lee , H.R. Yang (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teacher-student and peer attachm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neglect, and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Youth Welfare, Vol.19 (1) ; pp.29-55
    30. E.S. Lee , S.Y. Lee , S.H. Hong (2016) The effects of community child-center service on school adjustment change trajectory: Using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50 ; pp.59-85
    31. J.S. Lee (2007)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A gender comparison to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life satisfaction1.,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59 (2) ; pp.89-11
    32. K.R. Lee (2007) A study on social support for children in poverty family and the effects on children's competence: Focused on the family types of children enrolled in community children cent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angnam University, Seoul, Korea.,
    33. K.R. Lee , I.J. Chung (2010) Service outcomes of night care program and children’s psycho social adjustment in community child center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34 ; pp.183-206
    34. K.R. Lee , Y.S. Park , J.A. Hwang , S.G. Ahn (2007) Factors affecting children’s satisfaction in local children ?(tm)s center characteristics: Service satisfaction in life satisfac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Leftovers Love Sharing Community,
    35. H.J. Lim , H.K. Choi (2016) A Study on the effects of economic status and sex on children’s happiness in community child centers., Journal of Women ?(tm)s Studies, Vol.27 ; pp.93-110
    36. J.G. Lim , H.S. Park , I.J. Chung (2015) Functions and roles of community child center recognized by practition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67 (2) ; pp.285-310
    37. M.H. Lim , Y.S. Park , U.C. Kim (2005) Indigenous psychology of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prim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14 (1) ; pp.205-222
    38. S. Lyubomirsky , L. King , E. Diener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 Bull., Vol.131 (6) ; pp.803-855
    39. B.S. Min (1991) effect of school adaptation and self-concept on academic performance.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40. S.T. Moon , M.B. Kim (2005) The Analysis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mong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djustment for Agricultur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37 (2) ; pp.37-56
    41. D.G. Myers , E. Diener (1995) Who is happy?, Psychol. Sci., Vol.6 ; pp.10-19
    42. E. Oberle , K.A. Schonert-Reichl , B.D. Zumbo (2011)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olescence: personal, neighborhood, school, family, and peer influences., J. Youth Adolesc., Vol.40 (7) ; pp.889-901
    43. H.C. Park , S.B. Kim , D.A.G. Hong (2011)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s and social supports on happiness: children’s perspectiv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16 (3) ; pp.167-193
    44. H. S. Park , I. J. Chung , J. E. Lee , J. M. Park (2010) Survey on satisfaction of children's service use at local children's center in 2010. Seoul: Regional children's information center. Sejong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45. J.E. Park (2016)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amo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25 (3) ; pp.75-93
    46. S.H. Park (2012) A Qualitative study about the endangerment of child ?(tm)s welfare in rural areas and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in regional care center.,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15 (1) ; pp.1-30
    47. Y.J. Park , J.S. Lee (2016) Study on the relationship regarding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happiness with self Esteem in community child center.,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20 (1) ; pp.31-52
    48. P.A. Thoits (1982)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in studying social support as a buffer against life stress., J. Health Soc. Behav., Vol.23 (2) ; pp.145-159
    49. W.K. Seo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rogram satisfaction, peer relation and psycho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Korea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11 (1) ; pp.5-34
    50. S.B. Shin (2016)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in Korean adolescents.,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Vol.17 (3) ; pp.1-50
    51. M.S. Suk , O.S. Cho (2016)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r clubactivity satisfaction on campus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3 (12) ; pp.481-508
    52. S.H. Yoon , Y.K. Jung (2012)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children’s accidents: Focusing on children attending a community center for childre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Vol.10 (2) ; pp.125-142
    53. Y.S. Youm , K.M. Kim , M.R. Lee , J.A. Lee (2014) Report on the results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Korea child and adolescent happiness index for 2014. Seoul: Yonsei University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Korea Bang Jung Hwan Foundation.,
    54. S.H. Yu (2006) Study on child's level of satisfaction and social ability among children sho attend to the local child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mseoul Digital Information Graduate School, Seoul, Korea.,
    55. J.U. Won , I.S. Jang (2015) Korea's income inequality forecast and implications for economic growth., Korean Social Security Association Academic Publications, Vol.2015 (2) ; pp.377-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