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4 No.2 pp.221-250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9.24.2.6

A Validation of the Personality Leadership Checklist for Middle Manager

Eun-Hwa Park
Doctoral student, Graduate School of Child Welfare &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Eun-Hwa Park, Graduate School of Child Welfare &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E-mail : weun7942@hanmail.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hecklist development of the middle manager of daycare centers. By applying the golden circle model developed by Lee, the checklist was developed based on open survey response results and prior research based on the criteria of 24 personality factors, which include four types of leadership and sub-sections, and has been verified by experts. As a result, a total of 72 checklists were developed into three questions for Inseong Deokmok, a sub-section of the four types of leadership, and 22 mid-level managers who were field experts were given content addition plans. Studies show that the contents of affirmation, confidence and patience in subtype of the followership leadership are very high, and the modesty content is rather low. In the self-leadership subtype, the content of challenge, persistence was shown very high, and the content of imagination, honesty and courage appeared rather low. The content of forgiveness and allocation appeared rather low, although it was generally high in the subtypes of the servant leadership. The content of order and self-restraint appeared rather low, although it was high in the transformation leadership subtype. However, items of the subtype contents, which were somewhat lower, were also higher than the criterion of judgement (.42), so all of them could be considered reasonable.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the mid-level manager’s personality leadership program development study.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인성리더십 Checklist 개발

박 은화

초록


    Ⅰ. 서 론

    정보화 및 무상보육이 정착되면서 어린이집에 대한 질 높은 보육과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다양 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사회 변화에 따른 복잡 및 다양화로 예측불허의 삶을 살기 때 문에 상황을 자신의 삶 속에 지혜롭게 적용시켜서 시너지효과를 내는 인재가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 다[29]. 이와 같은 흐름에 따라 어린이집의 교사도 개인의 지적 성장 뿐 아니라 잠재적 능력 계발이 요구 됨은 물론 어린이집에도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이 요구 된다[2]. 특히 어린이 집은 영유아의 발달을 촉진하는 곳으로 영유아 발달에 영향을 주는 보육은 어린이집의 교직원 수준에 따라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9, 29, 40, 45, 52]. 다시 말하면 효과적인 보육을 하기 위해서는 원장, 주임교사, 그리고 교사들에게 맞는 각자의 역할이 따로 있으며, 이 때 그들 스스로의 역할을 잘 인식하고 잘 수행 할 수 있어야 한다[35]. 그러나 원장의 능력과 자질만으로는 능률적인 원 운영이 어려워지면서,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전문성과 업무분장의 체계적인 운영이 요구되고 원활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간 관리자의 역할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어린이집 업무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보육문화를 활성화 시켜 조직구성원 스스로가 자기를 계발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새로운 시각에 대한 패러다 임을 갖도록 자극이 될 수 있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16].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에는 인성함양의 방향성에 대한 고민과 현대사회가 원하는 리더들이 갖추어야 할 특성에 물음이 맞물려 리더십과 인성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움직임이 국내학계에서 나타나고 있으 며, 바른 인성을 갖추고 그러한 인성 요소들이 역할수행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48]. 이에 Kim[20]은 인성적 리더십이란 도덕적 품성을 바탕으로 능력, 정보와 기술, 재능, 경험을 지니며, 구성원들을 효과 적으로 이끌면서 협력을 창출하는 힘을 발휘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인성리더십에 대해 Lee[29]는 자신과 다른 사람의 마음을 모으고 움직이는 멋진 힘이라고 정의하고, 인성리더십의 구성요 소를 순종리더십, 자기리더십, 섬김리더십, 변환리더십 4가지로 정리하였으며, 각각의 리더십에 포함 되어야 할 인성 덕목으로 24가지(긍정, 신뢰, 인내, 존경, 약속, 겸손, 상상, 도전, 성실, 정직, 용기, 끈 기, 경청, 공감, 용서, 배려, 나눔, 봉사, 책임, 솔선, 협력, 절제, 질서, 감사)를 제시하였다.

    그런데 어린이집의 중간관리자는 원장과 교사들 사이의 의사소통 역할에서 많은 고충을 겪게 된다. 특히 자신의 리더십 부족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스스로 개선하고자 하지만 어린이집의 과다한 업무로 힘들어 한다. 이처럼 당면한 상황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과 조직 내에서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서는 많은 인내심과 수행기술이 필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인성리더십에 대한 재교육과 매뉴얼이 제공 된다면 중간관리자들은 역할수행에서 문제와 갈등을 감소시키고 미리 예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린 이집 내에서 무엇보다 자신의 인성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학습 태세의 전환이 필요하 다[49]. 그러나 중간관리자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선행 연구 는 역할수행, 대인관계 어려움, 중간관리자와 교사간의 인식 및 지각에 대한 비교, 중간관리자의 직무 만족과 스트레스, 리더십 등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충분하다고는 볼 수 없다[37]. 인성리더십에 대한 연구 또한 유아 [43], 부모[48]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가 있었지만, 어린이집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Checklist나 척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또한 내용면에서도 인성리더십이 현장에서 어떻게 발휘되 고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하는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 중간관리 자의 인성리더십을 점검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중간관리자가 어 린이집에서 어떤 인성을 적용하여 리더십을 발휘하는지 확인하여 인성리더십에 대한 checklist를 개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Lee[29]의 4가지 인성리더십과 24가지 인성덕목에 근거하여 어린 이집 중간관리자에게 필요한 인성리더십 Checklist를 개발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정하고자 한다. 이러 한 연구 결과는 어린이집의 구성원들의 의사소통에 기여하고, 영․유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 으로 기대하며, 보육현장에 소중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문에서 중간관리자란 어린 이집에서 원장과 일반교사 및 기타 보육교직원을 제외한 주임교사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인성리더십 요인 구성은 타당한가?

    • 연구문제 2.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인성리더십 Checklist는 무엇인가?

    Ⅱ. 이론적 배경

    1.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일반적으로 어린이집의 경우 중간관리자(주임교사)는 법적으로 지위 또는 위치, 자격, 역할에서 근 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어린이집에 원장의 필요와 주관에 따라 임명되고, 원장개개인의 성격과 의 견에 따라 주임교사의 역할이 달라지기도 한다[5]. 특히 유아교육법에는 원감(주임교사)에 대한 역할과 자격에 대한 근거가 명시되어 있으나, 영유아보육법에는 원감(주임교사)에 대한 역할과 자격에 대한 법 적 근거가 없다[36].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어린이집의 중간관리자인 원감 또는 주임교사는 원장을 보좌 하고 동료 교사들을 관리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주축이 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말할 수 있 다. 또한 어린이집은 영유아보육법에 의해 설립, 운영되는 영유아를 교육하고 보호하는 기관이다. 관계 부처인 보건복지부와 각 시·군의 행정지도를 받으며 운영되고 있는데, 어린이집 또한 하나의 보육 조 직체를 형성하므로 이에 따르는 업무나 역할의 분담, 위계질서, 업무의 흐름 등이 잘 이루어져야 효율 적인 조직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37].

    한편, Kwak[23]의 연구에서 조직의 3대 관리요소가 사람, 재정, 물자이지만 조직의 목표를 성취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의 관리라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조직이란 공동목표를 세우고 이를 위한 업무를 분담하고 그에 따라 권위와 위치가 적절히 부여되는 잘 체계화된 인간의 집단을 의미 한다[8]. 위와 같은 맥락에서 어린이집도 소규모인 조직 문화의 특성을 갖고 있다[5]. 그러므로 구성원들의 원활한 의사소통 을 위해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각자가 맡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보육의 목적 달성에 필수적이다[34]. 그러나 구성원들의 과중한 역할수행으로 교육활동의 효과와 능률이 쉽게 저하되기 때문에 교사의 자질 향상과 전문성 신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51]. 이러한 영향은 역할 수행에 있어서 구성원들 간 의 갈등과 어려움에 처한다. 이때 원장과 교사들 간의 중재를 하는 중간관리자가 필요한데, 여기서 중간 관리자는 발생한 문제해결을 위한 상황판단에 대한 역할을 실행하는 중요한 책임자이며 그들의 판단과 의견, 가치와 평가들은 전략을 형성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2]. 또한 전통 적인 조직적 관점에서 중간관리자는 최고관리자인 원장이 수립한 이념이나 정책들을 중간에서 관여하는 연결고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36]. 그러므로 교사의 인성수준을 높이는데 실제적인 교육현장인 어린이집 조직에서 중간관리자의 역할 뿐 아니라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관점에서 중간관리자의 중요한 역할 수행에 있어서 어떠한 인성리더십이 필요하고, 그리 고 올바른 인성을 갖추고 역할 수행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그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인성리더십

    인성 함양에 대한 시대적 요청으로 교육부는 “인성교육”을 학교에 도입하면서 인간다운 삶을 누리며 세계와의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현대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고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실천적 인 인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4, 10,]. 인성과 리더십의 관계를 주제로 한 연구 등, 다양한 인성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정리하면 다음 <Table 1>과 같다.

    위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설명하자면, Namgung[39]는 성품을 사람의 성질과 품격이라고 하였고, Covey와 Stephen[7]는 좋은 성품이 좋은 리더십을 만든다고 하였다. 또한 Yukl[53]는 리더십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고 합의하기 위해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다. Lee[26]는 학력, 리더십, 정직성, 청렴성, 결단력, 비전, 경영능력, 조직 융화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대외 섭외 능력, 신뢰성 등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해 인성교육을 하는 것과 리더 십 교육을 하는 것은 결국 같은 목적과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49]. 인성리더십이란 성공적인 발 달 성취를 함양하기 위해 역할 수행을 하는데 리더십을 발휘하여 자신과 의미 있는 타인을 이끌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말한다[48]. 결국 인성리더십은 인성과 리더십을 통합한 개념[1], [18], [29]으로 가야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인성리더십의 개념이 도입되어 연구에 적용된 것은 2011년 이후[30, 43]로, 특 히 실천현장의 한 예로 한국영리더십센터[29]에서는 영유아와 아동·청소년을 직접적인 대상으로 인성 리더십 프로그램과 교재 및 교구를 개발하여 유아교육 및 보육현장에 보급하였으며, 간접적인 대상으 로는 유아를 둘러싼 의미 있는 부모, 조부모, 원장 및 교사 등을 대상으로 인성리더십 강의를 실시하고 있다[43]. 이와 같이 인성리더십이란 주제로 국가차원에서는 기업 뿐 아니라 유아교육 및 교육기관, 가 정에서 지속하게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실천중심인 현장에서는 교사들의 인성교육에서 신념과 교수-학습 방법 및 정보의 부족으로 다양한 정의, 교육내용에 대한 혼선, 중요한 인성덕목의 교육적 수 행이 미비하다. 특히 인성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전략의 부족과 현장의 인성교육의 토대를 구축을 위한 경험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22].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성리더십교 육에 필요한 실천 중심의 인성리더십 프로그램의 도구가 요구된다.

    위와 같이 어린이집의 구성원 개개인이 효율적이고 전문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성리더십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원장과 교사들의 중간자적 입장인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인성리더십을 살펴보고 이를 점검해 볼 수 있는 Checklist가 필요하다.

    3.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와 인성리더십

    어린이집에서 보육교직원의 품질강화를 위한 과제로 ‘중간관리자를 위한 교육과정’이 직급·경력에 따른 전문성 강화 교육에 포함되어 있다[47]. 서울시 보육중장기 종합계획안에 따르면, 중간관리자에 대 한 중요성을 새로이 인식하고 있으며, 최근 인성리더십을 주제로 한 연구[11,19,21,29,42,43,46,48] 들의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14]의 연구에서 어린이집 중간관리자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책임자로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원장의 업무를 대행하고 보좌하는 역할을 하는 주임교사는 각 원내의 내규에 의하여 업무분장을 하여 운영관리하며 동료교사들 간의 인화적인 역할을 하며 신입교사를 이끌어 주는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51]. 특히 중간관리자는 갈등이 발생한 문 제해결을 위한 상황판단 역할을 실행하는 유일한 책임자이며 그들의 판단, 의견, 가치와 평가는 전략을 형성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행사한다[2].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역할에서 어린이집의 중간관리자는 인성리더십 부족으로 문제해결 능력과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실제로 [38]의 연 구 결과에서도 ‘리더십 부족’, ‘갈등 관리 문제’, ‘문제 상황의 대처 미흡’으로 나타났다. Kim[20]은 인성 적 리더십을 도덕적 품성을 바탕으로 능력, 정보와 기술, 재능, 경험을 지니며, 구성원들을 효과적으로 이끌면서 협력을 창출해 내는 힘을 발휘하는 능력이라 하였다. 또한. Kim와 Lee[21]는 리더십을 인성적 기반, 수행기술, 상황적인 변인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인성과 리더십의 관계를 주제로 한 연구 결과들[3, 6, 10, 13, 17, 41, 44]을 통해 성공적인 리더들의 개인적 특 질과 특성, 집단이나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리더의 행동유형이 인성의 하위요소와 중복되는 것을 확 인하게 되면서 인성과 리더십을 각각 별도의 것으로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성을 기반에 둔 리더십 즉 인성리더십의 차원에서 재해석되어 실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Park[43]은 내면의 변화는 인성의 변화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리더십의 구성요소로 인성이 들어가야 하는 필요성을 주지시키고 있으 며, 리더십의 방향이 개인의 변화를 시작으로 타인과 사회의 변화로 가야 한다는 의미를 제공 해 준다 고 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인성은 습관화 된 마음과 행동을 말하며 리더십은 나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 한 습관화 된 마음과 행동을 말한다. 다시 말해, 인성의 덕목을 통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으며 새로운 생각과 방법을 통해 그 리더십을 통한 멋진 성과를 낼 수 있기[5] 때문에 어린이집에서도 중간관리자의 인성리더십이 적용되며 매우 중요하다. 또한 능력면에서도 중간지도자를 목표지향성능력, 방법발견능 력, 조직능력, 전달능력, 동기부여능력, 육성능력, 자기혁신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 하였는데, 이는 어린이집 주임교사에게도 해당되는 능력이다[31].

    다시 말해서, 개인의 자기 관리 역량과 내적인 동기부여에 초점을 맞추어 열정과 창의성을 높이고 자 발적으로 능력 발휘를 촉진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33]. 위와 같 은 관점에서 어린이집의 공동목표와 발전을 위해 중간관리자와 인성리더십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 할 수 있다.

    III. 인성리더십 Checklist 개발

    본 연구의 checklist 개발 과정을 크게 나누면 4단계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checklist를 구체화하여 제시하면 다음 <Table 2>와 같다.

    <Table 2>의 첫 단계는 순종리더십(긍정, 신뢰, 인내, 존경, 약속, 겸손), 자기리더십(도전, 상상, 성 실, 정직, 용기, 끈기), 섬김리더십(경청, 공감, 용서, 배려, 나눔, 봉사), 변환리더십(책임, 질서, 솔선, 협력, 절제, 감사)의 각각 4문항씩 24문항으로 총 96개의 문항이 제작되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96문 항에 대한 타당화를 위하여 5명의 전문가 집단에게 일치도를 평정하게 하여 일치도 계수 .6 이하 24문항 을 제외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최종적으로 72문항의 Checklist를 완성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어린이집의 중간관리자들로부터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CVR))을 구하였다.

    1. 연구대상

    1) 전문가집단

    본 연구에서 개발한 Checklists의 타당화를 위하여 전문가집단을 다음 <Table 3>과 같이 구성하 였다.

    전문가집단은 석·박사이상 학력을 가진 전문가들로 영유아 관련 교수 1명, 유아 창의·인성리더십 전문가 1명, 어린이집 원장 1명,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2명으로 구성되었다

    2)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본 연구에서는 중간관리자들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배포하고 재회수하여 선행연구와 함께 문항을 만 들고, 다시 중간관리자들에게 본 연구에서 개발한 Checklist의 현실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경기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22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중간관리자 22명은 다음 <Table 4>와 같다.

    어린이집의 중간관리자 22명의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경력은 5년 미만 6명, 5~10년 7명, 10년 이상 9명, 연령은 40세 미만은 3명이며, 41세~50세는 12명이고, 51세 이상은 7명, 학력은 고졸이 2명, 전 문대졸 7명, 4년제 졸업이상 13명으로 구성되었다.

    2. Checklist 일치도

    중간관리자 Checklist는 문헌연구와 데이터를 통해 사례를 분석하여 정리한 내용과, 어린이집에서 중간관리자가 인성을 언제 발휘하는지에 대한 설문지의 응답 내용을 정리하여 구성하였다. 그것은 Lee[29]의 4가지 리더십과 24가지 인성덕목을 근거하였다. 이것의 개념들을 살펴보면 순종리더십은 의 미 있는 사람을 따르는 리더십으로 하위요인은 다른 사람의 생각과 행동에 대해 옳다고 인정하는 긍정, 다른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믿고 따라 할 수 있는 신뢰, 자신이 하기에 어려운 일도 포기하지 않고 지속 하는 인내, 다른 사람의 성품과 능력을 인정하고 높여드리는 존경, 자신이 앞으로 하겠다고 결정한 것 을 반드시 지키는 약속, 자신이 잘 한 행동에 대해서도 우쭐대지 않고 낮추는 겸손이 있다. 그리고 자기 리더십은 자기를 스스로 세우는 리더십으로 하위요인은 자신에게 어렵다고 생각되는 일에도 시도해 보 려는 도전, 현재는 없지만 장래에 일어나기를 바라며 생각해보는 상상, 자신이 시작한 일을 한결 같은 마음과 자세로 실천하는 성실, 자신이 한 행동의 잘잘못에 관계없이 그대로 인정하는 정직, 자신에게 손해가 나고 위험이 닥칠 수 있어도 시도해보는 용기, 자신이 계획한 일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 보 는 끈기이다. 섬김리더십은 다른 사람을 섬기는 리더십으로 하위요인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있는 그 대로 온전히 듣는 경청, 다른 사람이 느낀 것처럼 같이 느끼고 받아들이는 공감,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한 잘못에 대해 관대하게 대하는 용서, 다른 사람이 편안한 마음을 지닐 수 있도록 보살피고 도와주는 배려, 다른 사람에게 대가를 바라지 않고 자신이 가진 것을 주는 나눔, 다른 사람을 위해 대가를 바라지 않고 나의 강점을 쓰는 봉사등이다. 마지막으로 변환리더십은 더 좋게 변화시키는 리더십으로 하위요 인은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완수하는 책임,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신 이 먼저 앞장서서 해나가는 솔선,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한방향정렬하여 노력하는 협력, 공동의 유익을 누리기 위해 자신의 욕구를 조절하는 절제, 공동의 유익을 누리기 위해 순서와 방법을 지키는 질서, 더 나은 세상으로 변화시킨 사람에게 고마움을 전하는 감사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의 <Table 5> 는 전체 96문항의 일치도 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위의 표에서 적합도는 전문가집단이 판단한 일치도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5명 중에서 3명이상 일치한 문항(일치도 계수 .6 이상)을 선정하였다. 따라서 전체 96문항에서 24문항을 제외하여 최종 72문항으로 Checklist를 완성하였다.

    3. 자료 분석

    1) Checklist 일치도

    본 연구에서 개발한 Checklists의 적합도는 전문가 의견의 일치도로 분석하였다. 일치도는 분류의 유사성을 추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치도는 다음과 같이(일치된 문항의 사람 수) ÷ (전체 전문가 수)로 계산된다[24].

    일치도=(N11+N22+…+NJJ )/N

    2) Checklist 타당도

    어린이집 중간관리자들로부터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CVR))을 구하였다. CVR은 내용 유효성을 측정하는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C.H. Lawshe가 개발하였다[25]. CVR은 특정 항목에 대해 ‘적절하다’ 또는 ‘매우 적절하다’라고 응답한 평정자들의 비율 을 나타낸다. CVR은 최고 +1.0부터 최저 -1.0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CVR이 양수인 경우는 평정자들 의 절반 이상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Likert 5점 척도 상에서는 4점 또는 5점으로 평정하였음 을 의미 한다[27]. 전문가 사례 수에 따라 그 비율이 다르지만, <Table 6>과 같이 20명일 때 임계값이 .42이상이면 타당하다고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 에 .42이상이면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CVR의 계산하는 수리적 공식은 다음과 같다.

    *내용타당도 비율(CVR) = N e N / 2 N / 2

    • - Ne: 적절하다고 응답한 패널의 수

    • - N : 전체 패널 수

    Ⅳ. 연구결과

    1. Checklist 내용타당도

    1) 순종리더십 Checklist

    순종리더십 하위 유형의 모든 문항들은 내용타당도 비율이 .42보다 높게 나타나 모두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6가지 하위 유형에서 긍정, 신뢰, 인내의 내용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겸손의 16, 17번 내용은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타당도의 지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 순종리더십 하위 유형의 내용타당도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 <Table 7>과 같다.

    2) 자기리더십 Checklist

    자기리더십 하위 유형의 모든 문항들은 내용타당도 비율이 .42보다 높게 나타나 모두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6가지 하위 유형에서 도전, 끈기의 내용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상상, 정직, 용기의 내 용은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타당도의 지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 자기리더십 하위유 형의 내용타당도 결과를 살펴보면 <Table 8>과 같다.

    3) 섬김리더십 Checklist

    섬김리더십 하위 유형의 모든 문항들은 내용타당도 비율이 .42보다 높게 나타나 모두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6가지 하위 유형 모두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용서와 배려의 내용은 다소 낮게 나 타났으나, 전체적으로 타당도의 지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 섬김리더십 하위유형의 내용타당도 결과를 살펴보면 <Table 9>와 같다.

    4) 변환리더십 Checklist

    변환리더십 하위 유형의 모든 문항들은 내용타당도 비율이 .42보다 높게 나타나 모두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6가지 하위 유형 모두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질서와 절제의 내용은 다소 낮게 나 타났으나, 전체적으로 타당도의 지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 변환리더십 하위유형의 내용타당도 결과를 살펴보면 <Table 10>과 같다.

    2. 최종 Checklist

    1) 순종리더십 Checklist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전문가의 판단(CVR .42이상 선정)을 거처 최종 확정한 순종리더십 하위유형 의 대표문항들을 살펴보면 긍정에서는 ‘나는 원장님을 이해하기 힘들 때도 좋은 방향으로 생각하려고 한다’, 신뢰는 ‘나는 원장님이 영유아들에게 사랑과 열정을 갖고 있을 때 더욱 믿고 따른다’. 또한 인내 에서는 ’나는 원장님의 어려움을 동료교사들과도 공유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존경은 ‘나는 교사들과 갈 등 시, 원장님이 나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해 주시면 위안이 된다’, 약속에서는 ‘나는 원장님이 지시한 일 은 기간 내에 반드시 성과를 낸다’, 마지막으로 겸손에서는 ‘나는 원장님의 도움을 받기 보다는 도움을 드리는 것이 더 편하다’ 등으로 나타났다. 순종리더십의 하위유형별 3문항씩 총 18문항의 최종 Checklist는 다음 <표 11>과 같다.

    2) 자기리더십 Checklist

    전문가의 판단(CVR .42이상 선정)을 거처 최종 확정한 자기리더십 하위 유형별 3문항 중에서 대표 문항들을 살펴보면 도전에서는 ‘나는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일은 기꺼이 나선다’, 상상은 ‘나 는 경험하지 못한 것을 적극적으로 배운다’, 성실은 ‘나는 누가 시키거나 관리하지 않아도 스스로 일을 한다’, 정직의 ‘나는 옳고, 싫은 것을 솔직하게 표현한다’ 이며, 용기는 ‘나는 바른 결정이 아니다 싶으면 원장님에게도 솔직하게 말한다’, 끈기에서는 ‘나는 시행착오가 있어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준비하여 성과를 낸다’ 등을 확정하였다. 자기리더십의 총 18문항의 최종 Checklist는 다음 <표 12>와 같다.

    3) 섬김리더십 Checklist

    전문가의 판단(CVR .42이상 선정)을 거처 최종 확정한 섬김리더십 하위 유형들을 살펴보면 경청의 ‘나는 회의 시, 원장님과 동료교사의 생각을 존중한다’, 공감, ‘나는 동료교사가 힘들 때 위로해 주고 따 뜻하게 안아준다’, 용서에서는 ‘나는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탓하지 않는다’, 배려는 ‘나는 나의 도움을 받아서 동료교사들이 성장하기를 바란다’, 나눔, ‘나는 동료교사들의 강점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일을 시킨다’, 마지막으로 봉사에서는 ‘나는 원장님과 동료교사들을 도울 때는 보람되고 기쁘다’ 등으로 확정 하였다. 하위유형별 3문항씩 총 18문항의 최종 Checklist는 다음 <표 13>과 같다.

    4) 변환리더십 Checklist

    전문가의 판단(CVR .42이상 선정)을 거처 최종 확정한 변환리더십 하위 유형의 대표문항을 살펴보 면, 책임에서는 ‘나는 강한 추진력으로 공동에게 이익을 이끌고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한다’, 질서, ‘나는 문제를 발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분명하고 현실적으로 생각 한다’, 솔선, ‘나는 앞장서서 어려운 일을 다른 선생님에게 미루지 않고 직접 하려고 노력한다’, 협력, ‘나는 발전적인 공모전에 출품 할 작품을 함 께 만들자고 제안한다’. 절제, ’나의 공동의 목표를 위해 자기조절과 절제를 통해 협력하지 않는 교사를 이끈다’, 감사,‘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 해 낸 동료교사에게 고맙다고 말한다 등을 확정하였다.’ 변 환리더십의 하위문항별 3문항씩 총 18문항의 최종 Checklist는 다음 <표 14>와 같다.

    Ⅴ. 논의 및 제언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인성리더십 Checklist 개발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 향후 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이론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는 인성과 리더십 차원에서 인성리더십의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해 보았다. 그 예로 인성과 리더십 관계의 특성 연구 Lee[26], Shin, Lee[49], Covey와 Stephen[7], Shin[48], Park[43]들의 리더십 특성과, 인성부분이 많이 중복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Kim[20]과 Lee[29]에서 도덕적 품성이나 인성에 기반을 두고 리더십을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인 성과 리더십을 별도로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인성리더십의 차원에서 함께 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특히, 어린이집에서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실천중심에서 필요한 인성리더십의 이론을 보다 적극적 으로 가시화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급변하는 사회적 변화로 인간다운 삶을 누리며 세계와의 경 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변화에 적응하고 변화를 주도하는 실천적인 인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데 [8, 16], 이는 본 연구에서는 인성을 갖춘 리더의 필요성을 이론적으로 지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또한 Checklist의 개발과 타당화 과정은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인성리더십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모색하고 구조화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이는 어린이집 중간관리자를 주 대상으로 ‘인성리더십’이라는 용어가 포 함된 Checklist의 사용은 시대적인 상황에서 인성리더십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는데 힘을 갖게 될 것 이다. 다시 말해서 최근 사회변화로 예측불허의 삶을 살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상황에 이끌려 가는 사람보다는 상황을 자신의 삶 속에 지혜롭게 시너지를 내는 인재가 절실히 필요[32]하다는 이론에서 뒷 받침하고 있으며, 바른 인성을 갖추고 그러한 인성 요소들이 역할수행에서 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등 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49]는 선행연구가 이를 지지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방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Lee[29]의 인성리더십의 개념에 근거하여 어린이집에 서 중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서면 인터뷰결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서면인터뷰를 통 한 연구결과는 중간관리자가 실제적으로 4가지 유형의 리더십과 하위항목인 24가지 인성덕목을 다양 하게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는 체크리스트 72문항에 대한 내용의 유효성을 측정하는 방 법으로 Lswshe[25]가 개발한 내용타당도비율(Content Validity Ratio(CVR)로 산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Checklist의 현실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경기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22 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실천현장의 중간관리자의 생각을 묻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어린이집 중간관리자로부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위와 같이 Checklist를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중간관리자의 위치에서 인성리더십 개념을 인지하고 접근하는데 의의가 있었으며, 중간관리자의 인성리더십은 어린이집의 공동목표를 향한 한방향정렬을 위해 변화 등 능력함양을 지향한다는 것을 시사 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천적 측면에서는 교사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학습 방법 및 정보의 부족과 구체적 실천전략, 경험 부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22].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천 중심의 인성을 기반으로 하는 인성리더십 Checklist가 개발되고 적용이 요구된다. Han[11]의 연구결과 에서 부모의 ‘인성리더십’ 이 중요한 변인으로서 작용하려면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증되어 개발된 이론과 실천 영역에서 활용가능한 척도 및 검사도구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하였다[43]. 이는 본 연구를 지지하는 선행연구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인성리더십 Checklist는 관련 선행연구와 실천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간관리자의 의견을 참고하여 문항선정을 하였기 때문에 중간관리자에게 적용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매우 의미 있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Checklist 개발은 현재, 중간관리자의 위치에서 스스로 변화를 인지하고 자신을 확인하는데 의미 가 있고, 인성리더십 역량강화와 정보 전달 검증 뿐 아니라 어린이집의 공동의 목표와 발전을 위해 실 천현장에 좀 더 접근하는 연구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과정에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인성리더십 Checklist 72문항에 대해 중간관리자와 원장들의 응답결 과에 대한 차이 분석한 결과를 t검증으로 확인하여 중간관리자와 원장이 인식하는 인성리더십의 차이 를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중간관리자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인성리더십을 위한 연구이지만 어린이집의 예비 중간관리 자인 일반 교사들에게도 리더십특성을 검증하는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급변하는 사회적 변화로 역량 있는 부모의 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어린이집의 질 높은 보육을 위해 미래 중간관리 자인 일반교사도 갖추어야 할 상황을 고려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4가지 유형의 리더십과 24가지 인성덕목의 구인타당도를 위해서는 더 많은 사례를 가지고 요 인분석을 통해서 밝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인성리더십의 개념을 근거하여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인성리더십을 확인하는 Checklist 를 만들고, 타당도를 검증받기 위한 연구였다. 추후 중간관리자에게 인성리더십 특성 Checklist가 현 장 적용에서 도움은 물론 그들의 역할수행에 영향력을 주고 자신과 직장,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 고 보급되기를 기대한다.

    Figure

    Table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Scholars in Personality Leadership

    Research process

    Panel of experts

    Middle managers

    Characteristics of middle manager personality leadership characteristic checklist

    CVR Thresholds by Number of Experts (Number)

    Content equivalence ratio of followership subtype (Yes (4), very yes (5) respondent count)

    The ratio of content equivalence to the type of self leadership subtype (Yes (4), very yes (5) respondents)

    The ratio of content equivalence to subtype of Servant leadership (Yes (4), very yes (5) respondents)

    Content equivalence ratio of the trans formational leadership subtype (Yes (4), very yes (5) respondents)

    Checklist of the Followership

    Checklist of Self leadership

    Checklist of Servant leadership

    Checklis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ference

    1. Adjibolosoo, S. B. K. (Ed.). (2000). The human factor in shaping the course of history and development. University Press of Amer.
    2. Bower, J. L. (1970). Managing the Resource Allocation Process. Harvard Business School. Boston. M.A.
    3. Bradford, D. L., & Cohen, A. R. (1998). Power up: Transforming or ganizations through shared leadership. J. Wiley.
    4. Cha, G. A., & Na, O. H. (2016). Effect of infant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n infant personality development: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3 and 5 years of age. Journal of Future Infant Education, 23(4), 279-303.
    5. Choi, I. S. (2011). Awareness of the role of principal teachers in daycare centers. A master's thesis at Ajou University, Suwon Korea
    6. Covey, S. R. (1989). The seven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NY: Simon & Schuster.
    7. Covey, S., & Stephen, R. (1990). Principle-centered Leadership. New York: Fireside Books.
    8. Cropley, J.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and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s. London: Kogan Page.
    9. Do, M. H. (2012). Child welfare. Seoul: Community.
    10. Greenleaf, R. K. (1997). Serveant leadership: A joureny into the nature of legitimate power and greatness. NY: Paulist Press.
    11. Han, M. S. (2016). The effect of parents’ personality leadership on self-regulation and behavioral problem of early childhood and a mediation effect of children’s personality. Journal of the Korean Nursing Society, 6(1), 121-140.
    12. Jo, I. S. (2005).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child care facilities. A doctoral dissertation at Deo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3. Jung, W. S., & Han, S. I. (2010).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leaders and their perception and practice. Educational Comprehensive Study, 8(2), 117-139.
    14. Kang, M. Y., & Cho, H. J. (2017). Analysis on the education needs for the job trade of the middle manager of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s learning self-centered textbook. Education Research, 17, 81-99.
    15. Kang Min-jeong. (2015). The Effect of Infant Playability on the Adaptation of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Teacher-infant Mediation Effect. Journal of Future Infant Education, 22(3) 271.
    16. Kang, S. K.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ole performance and infant personality development. graduate school Master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7. Kim, M. S. (2009). KEXI Youngjae leadership program: Basic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Genius and Gifted Education, 8(2), 171-195.
    18. Kim, E. J. (2015). A study on the concept of creative and personality leadership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vention' parental. Education Research, 12(2), 45-63.
    19. Kim, I. B. (2017). Development and effect of training program for empowerment of teacher's interaction in early child character-leadership education : Using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A doctoral dissertation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 Kim, S. J. (2007). Moral character as a leader: Centered on the people's sentiment. A Study of Fatal Leadership, 5, 143-159.
    21. Kim, J. H., & Lee, J. M. (2005). Exploring primary education courses for leadership education. Primary Moral Education, 18, 317-348.
    22. Kim, C. G., & Chae, Y. R. (2013).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7(6), 305-333.
    23. Kwak, D. Y. (1993).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Seoul: Yangji.
    24. Kwon, S. D., & Oh, S. S. (2015). Education evaluation. Seoul Gyeonggi Province: Yangseowon.
    25.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26. Lee, K. R. (2004). A Study on the brand name of CEO image. PR Studies, 8(1), 165-166.
    27. Lee, S. M., Ko, E. H., Lee, M. A., Yang, H. S., & Kim, B. H. (2016). A Delphi Study on the Outcome Criteria of Workplace Counseling.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7(5), 531-549.
    28. Lee, S. H. (2005). Child care theory. Seoul: Grand Prince.
    29. Lee, S. H. (2009). Wonderful people every day. Seoul: Korea Young Leadership Center.
    30. Lee, S. H. (2011). Infant's creative humanity program-electable young leader FT manual. Korean Young Reader a ten-centre center.
    31. Lee, S. H. (2016). Training to strengthen the expertise and competence of daycare centers' middle managers. Seoul Women's Family Foundation Research Report, 1-40.
    32. Lee, S. H., Jung, N. M., Kang, E. J., Park, H. S., Kim, G. H., Yoo, Y. Y., Park, S. H., Kim, S. S., Jeon, Y. S., Choi, Y. K., & Kim, B. J. (2009). Theory and practice of infant leadership education. Seoul: Changsha.
    33. Lee, S. H., Kang, K. J., & Park, Y. R. (2010). Development of childhood magnetic leadership scale by observation. Children's Research, 23(1), 17-32.
    34. Lim, J. T. (1995).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Seoul: Yangseowon.
    35. Mo, A. R. (2005). A study on the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primary teachers of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ased on 4RL research. A master's thesis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6. Mo, A. R. (2006). The principal teacher of an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based on the four roles of a successful leader (4RL): A study on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Parent Education Research, 3(1), 45-66.
    37. Mo, A. R. (2014). Analysis of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middle managers of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using the personality type of an enneagram. A doctoral dissertation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8. Mo, A. R., & Lee, S. H. (2017). A study on the interpersonal difficulties of daycare center median. Childhood Education, 26(2), 173-185
    39. Namgung, D. H. (1999). Personality education theory. Seoul: Munumsa.
    40. No, W. H. (1997). A Study on the Types of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the head of daycare center. A master's degree thesis at Kyunggi University. Suwon, Korea.
    41. Park, M. H. (1998).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by virtue. A master's thesis at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2. Park, W. S. (2011). Modern personality leadership. Seoul: Saxes tv.
    43. Park, Y. R. (201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fant personality leadership scales. A doctoral dissertation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4. Park, H. J. (2000). Extracting morality concepts and virtues for measuring morality in Korean society. The Korean Association of Curriculum and Education RB 2000-2.
    45. Park, H. S. (2007). An analysis of the trends of research in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child teachers and education. Children's Education Research, 27(5), 211-232
    46. Seo, G. N. (2008). A study on variables related to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Focused on individual variabl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 doctoral dissertation at the Catholic University. Bucheon, Korea.
    47. Seoul Women's Family Foundation: http://www.seoulwomen.or.kr/
    48. Shin, C. H. (201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arents in early age and experts-recognized parental leadership. A doctoral dissertation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9. Shin, C. H., & Lee, S. H.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10 personality leaders of parents with infant children using expert delphi technique. Parental Education Research, 14, 21-40
    50. Shim, H. J., Kim, H. J., & Kim, N. Y. (2009). A study on the role and difficulties of the principal teacher of the daycare center.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3(5), 5-26.
    51. Song, K. S. (2006). The study of the life and culture of nursery school teachers. A doctoral dissertation at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52. Spodek, B. (1973). Early childhood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53. Yukl, G. (2004). The theory of leadership in modern organization Lee Sang-work (reverse). Seoul: Sigm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