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4 No.4 pp.467-499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9.24.4.2

The Qualitative Study for Experiencing Web-Based Fathering Psycho-Education Program for the Fathers of Adolescent Children

Sung-Min Yoon
Professor,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Hanyang Cyber University Seoul 04763, Korea

Corresponding Author: Sung-Min Yoon,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Hanyang Cyber University (E-mail : ysmpsy@hycu.ac.kr)
November 12, 2019 ; December 1, 2019 ; December 5, 2019

Abstract


This study was purpos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web-based father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fathers of adolescent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8 participants. The 8 participants were the fathers of adolescent children. They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rough a purpose-sampling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first question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wo themes: (1) by his own voluntary needs, (2) by recommendation of others. The findings of the second question were categorized into the four themes: (1) chances of a new realization, (2) improvement of parenting competence and parenting efficacy as a father, (3) increase in satisfaction with life, (4) enhancement of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The findings of the third question were categorized into the two themes: (1) feedback on curriculum and operations, (2) feedback on contents of program. This study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for improving father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fathers of adolescent children in terms of curriculum, operation, and contents.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 웹기반 심리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윤 성민

초록


    Ⅰ. 서 론

    현대사회의 변화는 가족의 구조 및 가족 내 구성원의 역할에도 주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예를 들어, 전통적 가치관이 단절되어 아버지의 가장으로서의 권위가 축소되고 가족의 보호자로서의 기능과 경제 적 부양기능, 즉 아버지의 ‘도구적 역할’이 감퇴된 반면, 여성 교육의 증가 및 여권 신장 등의 영향으로 기혼여성의 사회활동 참여와 경제적 역할은 증가하였다[29, 31, 40]. 또한 이로 인해 과거가족에서의 부모 역할과는 달리, 현대가족의 부모 역할 분담도 변화하였다. 대표적 변화는 아버지의 자녀양육 역할 참여 에 대한 기대와 중요성이 커졌다는 점이다[4, 37, 56, 57].

    오늘날의 아버지들은 아버지역할의 이 같은 시대적 변화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좋은 아버지 역할 을 행하기 원하지만 적절한 양육방법과 바람직한 아버지역할에 대한 기준과 지침을 학습할 기회가 부 족하여[28, 45], 이상과 현실 사이에 괴리가 존재한다. 어머니들과는 달리 아버지들은 부모가 되기 전에 사회화 과정에서 부모역할에 필요한 기술을 배울 기회가 적으며 부모가 된 이후에도 일상생활 속에서 자녀와의 접촉 및 애착형성의 기회가 어머니들보다 적은 것이 현실이다[28, 56, 57]. 아버지교육은 이상과 현실 사이의 이러한 괴리를 좁힐 수 있는 효과적 수단으로 여겨진다. 이 같은 현대사회의 변화양상과 ‘양육자로서의 아버지’, ‘자녀의 정서적 지지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양질의 체계적 인 아버지교육의 필요성과 함께 보급도 꾸준히 증가하여 왔다[30, 56, 57].

    최근 국내외에서 다양한 아버지교육 관련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효과검증 및 시행되어오고 있다[20, 25, 47]. 선행연구의 결과들은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우, 아버지들의 양육활동 참여수준이 증가 하고[49], 일-가정 균형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며[45], 자녀의 문제행동 발생이 감소하고[20], 부-자녀 간 관계의 개선과 양육자신감이 증가[18], 양육스트레스의 감소[32] 등 다양한 긍정적 역할과 결과들이 있었 음을 지속적으로 보고하여 왔다.

    부모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자녀의 발달적 연령에 따라서도 제공하는 교육내용이 달라져야 하 고[21, 27, 28, 38, 47], 교육을 받는 자의 성별, 나이, 문화 등에 따라서도 전달방법과 교육내용이 달라져야한 다[27, 38, 56, 57].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의 아버지교육은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했던 내용을 아버 지에게 그대로 실시하거나, 부모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일반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 대체하는 경우 가 주를 이룬다[28, 30, 56, 57]. 아버지만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부족하 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아버지 대상의 교육프로그램은 주로 영유아 자녀 및 아동기 자녀의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이거나[30], 장애아동, ADHD아동 등 특수 아동의 아버지들을 위한 경우가 주를 이 룬다[7, 8, 30, 54, 56, 57]. 또한 우리나라의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은 주로 영유아 교육기관에서 아버지 참관수 업의 일환으로 운영되고 있어[24],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들을 위한 아버지교육은 매우 제한적인 것으 로 나타나고 있다[30, 56, 57]. 아버지들은 부모교육의 필요에 대한 인식과 참여에 대한 욕구는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어디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부족이나 현업으로 인한 시간적·공간적 제약 등 현실적인 이유 때문에 실제로는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28, 47, 56, 57], 이러한 시간·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웹 기반 교육이 권장 또는 활용되고 있다[18, 56, 57].

    웹 기반 부모교육이란,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기술 등 웹을 매체로 사용하는 혁신적인 교수-학습 방 법을 부모교육에 적용한 것으로[22, 56, 57] 비용절감 면에서 효과적이고, 시·공간적 접근성의 용이함, 다 각적 멀티미디어 요소를 통합하여 시청각적 학습효과를 향상, 다량의 정보 전달이 가능함, 기존의 정보 전달 위주의 하향식 방법이 아닌 이메일, 화상세미나, 게시판, 토론방 등을 활용한 개별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쌍방향적 학습 방식, 일대일 상담 가능, 부모들에게 학습에 대한 통제권을 줌으로써 부 모교육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도록 함, 구체적 사례 중심의 학습을 통한 이해 증대, 교육을 제공하는 기 관의 홍보 및 이미지 쇄신이 가능함 등의 특성을 갖는다[22, 26]. 이러한 장점 때문에 영유아 교육기관이 나 십대 임신, 안전하지 않은 성행동 등 위험행동의 잠정적 가능성이 높은 청소년 집단과 그들의 부모 등 직접적 접촉이 어려운 집단을 대상으로 한 예방목적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 로 고려되고 있다[15, 16, 17, 52, 53].

    아버지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이 증가하였지만 기존 연구들은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그 효 과검증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18, 25, 58].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사전 제작한 설문조사에 의해 프로그 램의 효과를 양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아버지들이 아버지교육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심리적 변화를 경험했고 어떠한 삶의 양상의 변화가 있었는지, 사전에 설정한 설문조 사에서 묻고 있는 내용들 외의 심도 있는 경험을 분석한 결과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소수의 연구들 이 아버지교육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질적 경험을 분석하였다[예: 19, 28]. Kwon[28] 의 연구는 아동기와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3명을 대상으로 아버지교육 참여자 경험을 분석하였지 만 피면접자 수가 3명이라 충분한 참여자의 경험을 수집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연구 참여자 중 1 명은 초등학교 1학년과 5세 아동 자녀를 둔 아버지 참여자이고 다른 2명은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 참 여자이므로 피면접자들의 자녀의 발달적 단계가 동질적이지 않아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만의 경 험이나 아동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만의 경험을 분화하여 제공해주지 못한다. Han과 Kim[19]은 두란노 아버지학교 교육에 참여한 아버지들 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아 버지들의 경험 내용과 구조를 알아보았는데, 두란노 아버지학교는 특정 종교단체에서 운영하는 프로그 램이므로, 참여자의 경험이 특정 종교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반영하고 있을 소지가 많아 타 종교 집단에 게는 일반화하기 어렵고 또한 참여자들의 자녀의 발달단계도 특정 발달단계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 아 특정 발달단계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알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위의 두 질적 분 석연구 모두, 오프라인 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연구이므로 웹 기반 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자료 를 제공해주지는 못한다. 웹 기반 교육은 오프라인 교육과는 다른 종류의 장점과 단점을 갖고 있어 참 여자의 경험에 대한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웹 기반 부모교육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선행연구는 국내엔 전무하고, 해외 논문 중에는 섭식장애나 안전하지 않은 성적 행동 문제가 있는 청소년 자녀[41], 특정 운동 훈련을 받는 아동기 자녀[50, 51], 조기 뇌손상이 있는 영유아, 소아당뇨 등 특수한 상황을 가진 자녀[35, 48]의 부모들을 위하여 특화된 내용으로 구성된 온라인 부모교육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가 소수 존재하지만, 일반적인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역할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웹 기반 부모교육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Yoon[58]은 부모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자녀의 발달상의 단계와 부모의 성별에 따라 차별적인 부 모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며 아버지들이 경험하는 시간적·공간적인 한 계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만을 위한 아버지역할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웹 기반 심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Yoon[58]은 효과검증을 위해 척도들을 사용 하여 양적 분석만 실시하였는데, 이를 연구의 제한점으로 언급하며 후속연구에서는 교육 참여자들에게 서 아버지교육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떤 경험을 했고 어떤 점이 도움이 되었고,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한 점이 무엇인지 심층적인 의견을 듣고 이를 향후, 프로그램의 내용, 과정 및 운영상의 개선에 반영할 것 을 제안하였다. 웹 기반 온라인 교육은 면대면 교육프로그램과는 달리, 교육 참여자들의 애로사항이나 경험을 현장에서 언어적, 비언어적 메시지로 즉각적으로 전달받을 수 없다는 점이 한계로 작용할 수 있 어,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면으로 만나 일대일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질적 분석을 통해 보완하는 게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은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기존 연구들과는 차별적으 로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들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그중에서도 특히 오프라 인 교육프로그램이 아닌, 온라인 웹 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 결과는 기존의 웹 기반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운영 및 교육내용 상의 한계점을 보완하 고, 그 활용과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 후 십대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를 위한 추가적 웹 기반 아버지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방식 선택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아래와 같다.

    • 연구 질문 1. 웹 기반 아버지교육에 참여하게 된 계기와 이유는 무엇인가?

    • 연구 질문 2. 웹 기반 아버지교육을 받는 도중과 그 이후 현재까지 이 교육과 관련하여 어떤 경험을 하였는가?

    • 연구 질문 3. 참여했던 웹 기반 아버지교육과 관련하여 견해는 무엇인가?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본 연구에서는 사례 표집을 위해 목적표집(purpose sampling)을 사용하였다. 목적표집은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모집단을 잘 대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대상들을 표본으로 추출하는 방법이다. 십 대(만 11세~만19세)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들을 위한 웹 기반 심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교육을 모두 마친 참여자들에게 심층면접에 대해 공지하여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자발적 참여를 신청한 아버 지들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에 소요된 시간은 50분~90분 정도였다. 면접 대상자의 수와 심층면접 소요시간은 연구 질문에 부합하는 의미 있는 자료의 포화가 이루어진 정도를 반영하여 결정하였다. 참여자들의 배경정보를 <Table 1>에 제시하였다.

    2. 연구절차

    연구의 목적과 절차 등에 대해 본 연구자가 속한 기관의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 을 거친 후, 참여자 선정 기준을 충족시키는 참여자들을 모집하였다. 참여자 모집은 만 11세~19세 연 령의 사춘기·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을 위한 웹 기반 심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교육을 모두 마친 참여자들에게 교육기간 종료 시, 심층면접에 대한 공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목적과 절차, 자 발적 참여, 예상 소요시간, 면담 내용의 철저한 비밀보장 등에 대해 모두 설명한 후, 본인이 자발적 참 여의사를 밝힌 경우에만 참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피면접자들이 참여했던 웹 기반 심리교육프로그램은 사춘기·청소년기(만 11세~19세)자 녀를 둔 아버지들의 아버지역할 증진을 목적으로 개발된 총 10주간에 걸쳐 진행되는 10회기 프로그램 이다. 각 회기별 내용은 1회기: 아버지의 역할참여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바람직한 아버지가 되는 길에 관한 내용, 2회기: 현대 가족의 변화 동향, 가족 역할의 변화와 관련된 문제에 관한 내용, 3회 기~4회기: 청소년기 변화의 특징을 뇌의 변화를 기반으로 이해하기에 관한 내용, 5회기: 체계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부부간의 갈등 및 대화 증진 등 금슬 좋은 부부가 되는 방법에 관한 내용, 6회기~8회기: 10대 자녀와 소통할 수 있는 양육방식과 부모의 반응 바꾸기, 자녀와 협력적으로 문제 해결하기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내용, 9회기: 아버지의 자기 정서 알아차리기 및 자신의 정서 표현하기, 정서조절 훈련에 관한 내용, 10회기: 중년기 아버지의 심리적 위기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설명을 기반으로 아버지의 행복감 증진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은 사전 제작된 웹 강 의 동영상 형식으로 진행되며 매 회기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 회기 강의 내용과 관련된 점검 및 적용을 위한 활동이 포함되어 있다.

    강의 수강자들은 중고교, 청소년 관련 시도 상담센터, 복지기관, 사이버 대학교 및 대학원 수강생, 교육대학원 수강생, 몇몇 기업 등을 통해 자발적 참여나 지인의 소개를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수료자들 중 모두 8명의 피면접자들이 신청하였다. 심층면접은 중간에 교육이 진행되는 기간을 포함하여 총 18개월에 걸쳐 이루어졌고, 본 연구자가 8명 모두를 직접 면접했다. 면접 장소는 참여자의 직장 또는 자택 근처의 편리한 음료카페 등에서 이루어졌는데, 모두 참여자가 원하는 곳으로 정하도록 하였다. 면접에 걸린 시간은 의미 있는 자료의 포화가 이루어진 정도를 반영하여 50분~90분 정도 진행되었다. 면접 실시 전, 본인에게 연구의 목적과 절차, 예상 소요시간, 자발적 참여, 면담 도중 불편하거나 불쾌한 점이 있을 시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다는 사실, 면담 내용의 철저한 비밀보장, 녹음 이 된다는 사실 등을 모두 설명한 후 서면동의서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심층면접을 위한 질문은 부모교육 참여자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문헌[예: 1, 16, 25]을 개관하여 본 연구자가 반구조화된 질문으로 작성한 후, 청소년 및 상담심리 관련학과 교수 2인의 자문을 거쳐 수 정·보완 후 최종 질문을 완성하였다. 개인 인적정보는 서면으로 제작한 질문지를 통해 얻었고 면접 참 여자들에게 사례로 소정의 선물을 제공했다. 녹취된 자료는 모두 축어록으로 전환하였다. 2명의 보조 연구자들이 나누어 축어록을 제작하였고, 이후 본 연구자가 다시 한번 검토하였다.

    3.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Strauss와 Corbin[46]의 지속적 비교분석(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방법에 따라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은 두 개 이상의 자료를 지속적으로 비교하면서 공 통되는 범주의 속성과 속성에 따른 하위영역들을 찾아내는 데 유용한 분석방법이다[36]. Strauss와 Corbin[46]에 의하면, 범주들과 하위영역들은 지속적 비교를 통해 체계성을 갖게 되며, 생성된 범주는 사례, 사건 등으로 구성된 정보단위를 대표한다[36]에서 재인용]. 1단계, 코딩단계에서는 참여자의 기술 내용을 전체적으로,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녹취록을 일단 통독하고, 다시 반복적으로 여러 번 읽으 며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어휘, 개념, 주제 등을 추출하여 일정한 코드를 부여하였다. 2단계, 개념 도출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추출된 개념이나 주제들을 지속적으로 비교, 검토한 후 상호관련 요소들을 통합하고 이에 대해서 의미 있는 이름을 부여하는 작업을 하였다. 세 번째, 개념의 범주화 단계에서는 도출된 여러 개념들 중 유사하거나 의미상 관련 있는 것들을 통합하여 중심 주제를 추출하고 이를 다시 범주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방법론적 엄격성 확보를 위해 검증(verification), 타당성(validation), 타당도(validity)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33]. 검증은 연구 설계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조치로[10], 이 기준은 충분한 사 전 문헌분석,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의 준수, 현장노트 기록, 충분한 표본 활용, 자료가 포화 상태에 이 를 때까지 면접하기 등을 통해 충족시켰다[14, 33].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면접당시의 상황과 분위 기, 특기할 사항 등을 관찰노트에 기록하여 자료 분석 시 활용하였고, 질적 연구 참여경험이 있고 질적 연구에 대해 수강 및 워크샾에 참석한 적이 있는 본 연구책임자가 직접 자료수집, 본 연구자로부터 질 적 연구 수행 및 분석방법에 대해 철저한 훈련을 받고 이전에도 질적 분석 수행에 참여한 경력이 있는 상담심리학 전공 석사과정 학생 2명의 보조연구자들에 의한 코딩, 연구 참여자의 검토, 필요시 감사받 을 수 있도록 녹음 파일과 코딩자료 남기기(audit trail) 등을 통해 달성하였다.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서는 코딩과정 및 주제들을 통합, 명칭부여, 분류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왜곡 및 편견을 방지하 고 연구자의 해석에 따른 타당도 검증을 위해 코딩은 우선 1개 사례를 연구책임자와 석사과정 연구생 2 인을 포함한 3인이 함께 실시하였고, 코딩, 주제의 수준 및 명명이 유사한지 확인하였다. 나머지 자료 는 2명의 보조연구자가 개별분석을 실시한 후 매 단계 분석 후 3명의 연구자가 모두 서로 교환하여 읽 고 분석회의를 개최하여 상호 교차분석 및 토론과 합의를 거쳤다. 이때 연구책임자가 원자료의 의미가 하위영역과 범주에 적절하게 분류되고 명명되었는지 검토하고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최종적으로 관련 학과 교수 1인의 검수를 통한 삼각측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8명의 참여자들의 공통적 경 험을 나타내는 단위로 묶어, 연구 질문 1에서 하위영역 6개, 범주 2개, 연구 질문 2에서 하위영역 22개, 범주 6개, 연구 질문 3에서 하위영역 6개, 범주 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 단계에서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참여자 검토를 통해 연구자의 해석과 참여자 진술의 일치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참여자 검토 를 통한 추가적 코멘트 등을 반영하여 초기 분석결과는 다시 맥락과 인과적 측면, 하위영역과 범주 간 의 위계적 관계, 상호배타성 등을 고려하여 내용의 본질로 통합되어 최종적으로 연구 질문 1에서 하위 영역 4개, 범주 2개, 연구 질문 2에서 하위영역 18개, 범주 4개, 연구 질문 3에서 하위영역 6개, 범주 2개로 축소되었다. 면접 진행 과정에서는 연구자의 의도나 편견, 특정 관점이 개입되지 않도록 폐쇄형 질문을 하지 않음으로써 참여자들의 경험의 실체가 그대로 드러날 수 있도록 했다.

    Ⅲ. 결과 및 해석

    심층면접 자료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연구 질문 1에서 범주 2개, 하위영역 4개, 연구 질문 2에서 범 주 4개, 하위영역 18개, 연구 질문 3에서 범주 2개, 하위영역 6개로 축소된 결과는 <Table 2>에 제시되 었다. 도출된 8개의 범주, 28개의 하위영역을 각 범주별로 구체적인 분석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질문 : 웹 기반 아버지교육에 참여하게 된 계기와 이유는 무엇인가?

    1) 본인의 자발적 필요에 의해

    (1) 자녀와 어려움이 있어서

    연구 참여자들이 웹 기반 아버지교육에 참여하게 된 가장 큰 계기와 이유는 십대 자녀와의 관계에서 실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실제적인 도움을 얻고자 신청한 것이었다. 사춘기가 된 자녀와의 소통에 서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도움을 얻고자 신청하였거나, 자녀가 아빠의 뜻대로 행동하지 않아 불만이던 차에 마침 공지를 보고 신청하기도 하였다. 자녀와의 관계에서 불만이 있거나 자녀가 뜻대로 행동하지 않을 때 아버지 스스로 자신의 감정조절에서 어려움을 느끼던 차에 교육 대상자 모집 공지에 아버지의 감정조절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다는 것을 보고 자발적 필요를 느껴 신청하기도 하였다. 다른 참여자는 본인의 어린 시절에 아버지 부재로 인해 현재, 자녀와의 소통이 미숙하다고 느끼던 차에 본 교육에서 실제적 도움을 얻기를 기대하며 자발적으로 신청하였다.

    딸과 의사소통이 잘 안 돼서 왜 이렇게 안 될까... 코드가 잘 맞는다고 생각했는데 대화가 예상외로 짧아요. 길게 못하고. 근데 딸이 저한테 가지고 있던 불만이 상당히 많았던 거죠. (참여자 1)

    계기는... 처음에는 이제 거의 대부분... 제가 어느 정도 머리로는 알고 있으니까 필요가 있을까 했는 데... 남자들이 좀 욱한다고 하잖아요. 평소에는 잘 얘기하다가 회사에서 스트레스 받거나 안 좋은 상황에서 오면 과하게 세게 나가는 경우가 있어요. 그런 부분이 있고 하니까 이거라도 받아보는 게 좋지 않을까... 퇴근하고 와서 애들 엄마가 애들이랑 티격태격하고 싸우면 제가 이제 갑자기 뚜껑이 딱 열리는 순간이 되 버리거든요. 그럴 때는 애들한테 좀 세게 들어가다 보니까... 그런 것들을 좀 줄여야 되지 않을까... (참여자 6)

    (2) 평소에 관심과 필요성이 절실하다가 마침 홍보를 통해 참여함

    연구 참여자들이 웹 기반 아버지교육에 참여하게 된 계기로 두 번째로 꼽은 것은 평소에 아버지교육 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을 절감(切感)하다가 마침 홍보를 보게 되어 참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요즘의 아빠들은 자녀에게 많은 투자를 하며 자녀에게 관심이 많다며, 이렇게 자녀에게 투자하고 싶지만 구체 적인 방법은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다. 그중 청소년 자녀와 대화하는 방법은 그 이전 발달단계 자 녀와의 대화법으로는 안 통하는 것 같아서 대화 방법을 배워야 할 필요성을 느껴왔다고 하였다. 올바른 아버지의 역할을 배우고 싶어서 신청하였다는 참여자도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자신이 어릴 적에 진로 결정에 오랜 시간이 걸렸고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청소년 시기인 본인 자녀들의 정체성 수립과 진로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신청했다고 하였고, 또한 이성 자녀에게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어떻게 하면 좋을 지 몰라서 필요성이 절실하던 차에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서 신청하였다고 하였다. 이전에 참여했던 아 버지 교육은 자녀의 연령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고 일회성 교육이라서 교육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아 본 인의 자녀에게 적용하기엔 세부적 내용이 많이 부족했다고 느끼던 차에, 채워지지 않았던 부분을 채우 고자 신청하기도 하였다. 사람의 심리에 대해 배우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상담 및 심리에 대한 관심과 경험을 쌓아 든든한 아빠가 되기 위해 공부의 필요성을 느껴서 신청한 참여 자도 있었다.

    ... 사이트에 공지가 떴고 제가 거기에서 관심을 가지고 그동안 못했던 것을 좀 이번 기회에 할 수 있겠는가 하는 생각에 적극성을 보였죠. (참여자 1)

    ... 홍보 전화 메시지... 그런 걸로 알게 되서 계속 저는 그런데 관심이 있으니까 그래서... 계속 관심 이 있던 차에 홍보도 들어보고 이거 한번 들어보면 좋겠다 해서 (참여자 2)

    요즘 아빠들은 의외로 애들에 대해서 많은 걸 투자해요, 마음적으로. 옛날 아빠 세대와는 달리 애들 이 서구적으로 변해가고 있어요. 애들에게 투자가 필요한 걸 아는데 방법을 몰라요. 어디 가서 배우 고 싶은데... (참여자 4)

    ...저는 아 내가 인생에서 가장 잘한 것 중 하나가 상담심리를 배운 거다. 저는 그 생각이... 그런 게... 하면서 좀 확실하게 이해가 되었습니다... 애들 크면서 저도 제 어린 시절을 조금 그 시기를 같이 생 각해 보면, 내가 무엇 때문에 그렇게 고민을 많이 했었나?.... 그 때 내가 왜 공부를 해야 되는지? 그 이유도 몰랐었고. 도대체 나는 누구인가? 이런 것들. 그런 것들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을 때 누 구한테도 한 번 이야기를 해본 적도 없고 그냥 친구들과 어울려서 그랬었고. 특히 고등학교 때는 방 황을 조금 많이 했었어요...그래서 저도 이제 애들한테도 그런 고민들을 다시 시작하게 할 필요가 없 이 내 자신에 대한 삶에 대한 가치관이 확고하다면 그런 것에 대해 흔들리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조금 더 일찍 애들한테 자기 자신의 길을 일찍 정하도록 해주고 싶었어요. (참여자 5)

    ...근데 제가 지금 직업이 교도관이거든요? 그래서 특히 범죄, 특히 성범죄. 또 딸을 범죄 대상으로 삼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성범죄의 대상을. 자기 친딸이나 계부가 그렇게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런 범죄자들. 얘네들은 과연 어떻게 해서 이런 생각을 할까? 혹시라도 나도 이렇게 되지 않을까? 그런 걱정도 들고... 그래서 나도 아버지로써 또 애가 크면 아버지로써의 역할뿐만이 아니라 남성 대 여성으로써도 역할이 있을 건데 그러면은 그 과정에서 내가 지켜야할 것도 있을 것이고. 그런 것도 배워야 될 것이다... (참여자 5)

    저희 수용자들한테 하는 아버지학교가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옛날에 **교도소에서부터 시작해서 전 국 거의 대부분의 교정기관에서 아버지 학교를 하고 있습니다. 이제 거기 하면서 거기는 발을 씻어 주는 세족식이라던가 이런 여러 가지 관련 프로그램들을 보고 처음에는 '저 프로그램이 과연 효과가 있나?' 그랬는데, 실제 이 하고 나서의 결과를 보면 효과가 있다고 그러더라고요. 아, 그러면은 저게 다 아버지뿐만이 아니라 가족과의 관계도 향상시키는 것인데 저런 프로그램도 한 번 할 필요가 있 겠다! 그 생각이 들더라고요. (참여자 5)

    (3) 전문적 지식과 방법에 도움 얻고자/ 이론적 근거 정립을 위해

    일부 참여자들은 아버지로서보다는 본인의 직업상의 이유로 청소년기의 특성과 이해 및 그들과의 소 통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방법에 도움을 얻고, 이론적 근거 정립을 위해 신청하였다. 참여자 중 몇 분 은 사설 학원교사 또는 부모교육 강사로 근무하고 계셨는데, 하고 계신 일의 실무에서 학부모 상담 및 학생 상담에 필요한 전문적인 실제적 도움을 얻고자, 또는 학부모들에게 조언 주기에 근거가 미약하여, 또는 아버지 교육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아버지역할 교육을 하는 중인데 본인이 갖추고 있는 이론적 근거가 미약하여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채우기 위해 신청하였다고 하였다.

    …근데 부모들이 여기 와서 얘기해주거든요. 그럼 이제 저는 뭐라고 해줘야 되나. 저희 애들도 아직 사춘기가 안 와서 모르는데 단지 십 몇 년 동안 수많은 중 2들이 거쳐 가면서 케이스를 보고 이렇게 하면 나아지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밖에는... 근거도 미약하고 몇몇 특수 케이스로 얘기하는 것 같 기도 하고... (참여자 4)

    ...왜냐면 그들은 아버지학교를 통해서 아버지가 어떻게 살아야 돼? 아버지의 의미가 뭐야? 자녀들 의 ... 이런 것들을 다 알아요, 하도 많이 들어서. 그렇지만 그냥 아는 거죠. 그냥 아는 것과 이걸 이 론적으로 학문적으로, 체계적으로 해서 누군가에게 ‘너 아버지가 뭐야?'라고 물어보면, 그걸 잘 정리 를 해서 누군가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으려면... 최소한 리더들은 아버지가 뭐고,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는 어떻게 해야 되는 건가에 대한 부분들은 조금 체계화할 필요가 있겠다... (참여자 7)

    2) 주변의 추천에 의해

    (1) 주변의 권유와 추천에 의해

    연구 참여자들 중에는 별생각 없이 그냥 주변 사람(부인, 지인, 딸 등)의 권유와 추천에 의해 신청하 기도 하였다.

    저희 아내가 카톡으로 저한테 링크를 줬어요. 그게 이 교육에 대한 그거였고... 어디 교육 관련된 커 뮤니티에서 누가 이 교육을 소개하는 게 있었어요. (참여자 3)

    제가 아는 친구가... 제가 평생교육원에서 사주 강의를 듣는데 같이 공부하는 친구가... 와가지고 ‘혹 시, 저, 선생님, 이런 강의가 있는데...가뜩이나 딸 바보같이 보여서 한 번 들어보시는 건 어떠세요?’ 그러기에 ‘뭔지 가르쳐 주세요’... 해서 (참여자 4)

    2. 연구 질문 : 웹 기반 아버지교육을 받는 도중과 그 이후 현재까지 이 교육과 관련하여 어떤 경험을 하였는가?

    1) 새롭게 깨닫는 계기가 됨

    (1) 부부간 관계가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침을 깨달음

    참여자들은 웹 기반 아버지교육 참여를 통하여 많은 것들을 새롭게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가장 우선 적으로 중요한 것은 부부간의 관계가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새롭게 깨닫는 계기가 되 었다는 점이다. 부부관계나 아버지의 역할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고 하였다. 한 참여 자는, 주변에서 지켜보는 부모님과의 관계도 있으므로 유교적인 한국 문화에서 평등한 부부관계를 유 지하고 실천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아버지 교육을 통해 평등한 부부관계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하였 다. 다른 참여자는, 그동안 몰았지만 평소에 자신이 아내에게 단호한 모습을 보여 왔고 이런 모습이 자 녀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이번 교육을 통해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또 다른 참여자는 부부관계도 자녀관계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중요성을 더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우리 부부는 그나마 100퍼센트 좋다곤 할 순 없지만 아직도 그렇게 맞추어가는 단계거든요. 서로 실 망도 불만도 있을 순 있는데 평등하단 이게 유교적인 베이스에서 커왔기 때문에 쉽지가 않더라구요. 이거를 깨는 게 양쪽 부부만의 문제도 아니고 시어머니, 시부모, 장인어른, 장모, 이런, 뒤에 가족들 과 연관성 있는 거라 (한국의 문화에서) 네 한국의 문화에서 평등한 부부관계가 쉽게 와닿지 않을 거 같아요. 우리 부부는 그런 쪽으로 갈려고 노력은 하고 있어요. (참여자 2)

    ...이번 교육을 받다 알게 된 건데 자식들은 부부관계에서 어떤 태도를 보고... 난 너네한테 화낸 적 없잖아 해도 집사람한테 화낸 걸 자기들한테 낸 걸로 알더라고요... 그런 게 있죠. 그래서 교육받고 나서는 애들 앞에서는 집사람과 얘기를 안 하죠, 안 좋은 얘기를 할 때... (참여자 3)

    애들 성장에 부부관계가 중요하다고 말씀 많이 하셨잖아요? 그 전에는 저도 상당히 좋지 않은 편이 었습니다. 그래서 애들이 원하는 것이 부부관계를 좋게 하는 것을 가장 원하는 거구나. 그거를 좀 깨달았었어요. (참여자 5)

    (2) 변화에 대한 자발적 동기가 있어야 삶이 달라짐

    참여자들은 아버지에게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스스로 자발적인 동기가 있어야만 삶이 달라진다 는 것, 즉 변화에 대한 동기가 없이는 배운 내용을 현실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경험하였다.

    바로 개선하고 개선 안되도 개선할 의지를 가지고 가야 강의가 흡수가 되는거지. 그렇지 않으면 월 요일에 강의 들어야 되는데 밀려있는 게 스트레스가 되면 강의 듣기가 쉽지 않더라고요. (참여자 1)

    ...이거를 내가 다 읽어보기에는 정말 그렇게 반복을 하거나... 그런 수고가 없는 한은 이 한 번의 교육으로는... 이걸 가지고 내가 깨달아져서 삶에 적용을 해서 ‘아, 내가 아버지 교육을 들었으니 이 렇게 해야겠구나. 자녀와의 대화도 이렇게 해야 되겠구나. 이런 방법으로 바꿔봐야겠구나.’ 라고 삶 의 변화까지 끌어내기에는 한계성이 있지 않을까...그런 생각을 많이 했어요... 왜냐면 이게... 자기 주 도적으로 하지 않으면.. 학점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그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참여자 7)

    (3) 가족 간 진솔〮·솔직함이 중요함을 경험함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 가족 간의 진솔함과 솔직함의 중요성을 경험하였다. 교육 강의내 용 자체가 진솔함을 통한 가족 간의 소통을 기반으로 10주간의 커리큘럼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서, 진솔·솔직해지지 않고서는 한 차시 한 차시를 마음으로 흡수하기가 어려웠다고 하였다. 과거엔 자 녀에게 불만이 있어도 표현하지 않았는데, 아버지교육 참여 도중과 이후에는 속으로 말하지 못했던 부 정적인 감정들을 자녀에게도 편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면서 마음이 편해지는 경험을 하였다. 이렇게 표 현을 해보고 나니, 우려하던 것과는 달리 자녀와의 관계가 더 편해졌고, 자녀에게 진솔했을 때의 장점 을 알게 되었다고 했다.

    10주간의 커리큘럼이 순서가 서로 다 연쇄적으로 연결되도록 짜여 있어요. 그리고 전체 흐름은 진솔 함을 통한 소통, 이게 전체 흐름이고요. 나 자신과의 진솔한 소통, 아내와의, 자녀와의... (참여자 1)

    솔직해진 것은 교육의 프로그램의 흐름을 보면... 솔직해지지 않고는 이 프로그램을 이어나가기 힘들 쟎아요. (참여자 1)

    (4) 아버지로서 부족한 점을 알게 됨

    연구 참여자들은 강의 수강을 통해 자신이 아버지로서 부족했던 점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예를 들 면, 자녀의 정서적인 부분에는 소홀했었음을 알게 되었고, 아버지 본인의 정서관리 스타일이 어떠했는 지 알게 되었다. 한 참여자는 그동안 자녀에게 휴대폰 사용의 한계를 정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허용적이 었음을 알게 되었다. 사춘기 자녀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음을 깨달았고 그들을 대하는 방법에 대해 몰라 조급했던 것임을 깨닫게 되었다. 한 참여자는 지금까지는 옳고 그름을 중시하는 본인의 원칙주의적인 태도 때문에 자녀들이 아버지를 어려워했던 것임을 깨닫는 계기였다고 했다. 즉 본인의 권위주의적인 태도 때문에 자녀와의 소통이 잘 안되었음을, 자녀와의 소통 부재의 원인이 아버지 자신이었음을 알게 되는 계기였다. 다른 참여자는 본인이 지금까지 감정조절을 잘 못하는 욱하는 경향이었음을 알게 되었 고 자녀의 방 정리 문제로 잔소리가 많았음을 깨달았다. 다른 참여자는 본인의 어린 시절에 아버지의 부재로 인해 아버지 역할이 부족했었음을 알게 되었다. 지금까지 자녀의 모습을 훈육의 잣대로만 바라 보았고 자신의 어린 시절에 대입해서 현재의 자녀를 대하는 실수를 범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그런 점이 부족하기 때문에 아버지로써 그런 게 부족하다는 걸 가지고 있죠. 왜냐하면 제가 커 오면 서 결혼하기 전까지 집에서 겪어야 될 아버지에 관한 내용들이 부족하다보니. 내가 이제 사회에서 통념적으로 경험하는 것은 듣고 간접경험은 할 수 있지만 직접 경험한 게 없잖아요. (참여자 1)

    무슨 얘기를 하면 제가 다 들어주는 편이라, 무리하지만 않으면... 도덕적으로 어긋나지 않으면... 그 래 네 생각대로 해라 하는데 핸드폰은 잘 안 되네요...그냥 자유롭게 해줬다는 거... 제지하지 못하고 (참여자 4)

    (5) 꾸준히 수강하는 게 중요함/ 동기 유지가 어려움

    연구 참여자들은 강의수강 과정을 통해, 꾸준히 수강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 하지만 동시에 꾸 준히 수강하는 것에 대한 동기 유지가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수강을 완료한 자들에게 수료증을 주지 만, 그 수료증이 주는 의미가 크지 않아서 동기부여가 어려웠다. 특히 직장인들에겐 웹 기반 교육을 매 일 꾸준하게 수강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며 웹 기반 교육은 자기주도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의 의지와 동기가 매우 중요하더라는 것을 경험하고 있었다.

    꾸준히 한다는 게 좀 필요한 거 같아요. 회식도 있고 주말에 어디 놀러가야 되고 여러 방해 요소들...그거 보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알기 때문에 그거를 누르고 이겨내고 할 수 있는 거죠. 피곤해도 듣고 이렇게... 힘들더라도 주저하더라도 아이들한테 있을 때 같은 공간에 틀어놓으면 좋을 거 같아요. (참여자 2)

    평가에 어떤 뭔가가 있다고 하면은 해야 되겠지만 이거는 뭐 그냥 러닝 타임 때 지나가서 시간만 채우면 끝나는 거잖아요? 그렇다고 이 수료증이 어떤 대외적으로 뭐를 해줄 수 있는 그런 수료증도 아니잖아요? 국가자격증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어떤 영향력이 있는 그런 것도 아니잖아요? 그렇 다보니깐 그렇게 집중해서 하지는 않을 것 같다…이거는 자기와의 싸움이에요, 솔직히... (참여자 7)

    (6) 웹 기반 교육의 장점

    참여자들은 웹 기반 아버지교육에 참여하면서 웹 기반 교육의 다양한 장점을 경험하고 있었다. 우선 적으로 이동 시간에 수강가능하다는 점, 시간 조절이 편리하며 시간이 많이 들지 않는 점이 만족스러웠 다. 또한 어디서든 수강 가능하며, 본인에게 도움이 된 부분이나 잊고 싶지 않은 부분만 선택적으로 반 복 수강 가능한 점도 만족스러워하였다. 일반 오프라인 교육과는 달리, 가족에게 교육 수강의 모습을 안 보이고 나중에 변화한 모습만 보일 수 있다는 점도 커다란 장점이라고 경험하고 있었다.

    웹 강의를 하게 된 계기는... 누가 그러더라고요. 어떤 남자분이, 아빠들은 자기가 문제가 있다고 느 껴도 가족들이 아는 게 싫다고... 내가 어디 가서 교육받는 거 아내나 애가 아는 게 싫다. 웹 강의는 몰래 들을 수가 있으니까... 그러고 나서 달라진 모습을 보이는 게 더 좋다. (참여자 1)

    요즘 아빠들은 의외로 애들에 대해서 많은 걸 투자해요, 마음적으로 ... 애들에게 투자가 필요한 걸 아는데 방법을 몰라요. 어디 가서 배우고 싶은데... 온라인은 그래도 괜찮은데 오프라인은 힘들죠. (참여자 4)

    2) 아버지로서의 양육역량·양육 효능감 증진

    (1) 개방적 의사소통 방식의 효과와 방법 습득함

    연구 참여자들은 웹 기반 아버지교육 참여를 통해 아버지로서의 양육역량 및 양육에 대한 효능감이 증가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자녀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실제 사안에 대해 실제적이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을 습득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과정을 통해 자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방식이 중요함과 그 구체적 방법을 습득하였다. 예를 들어, 십대 청소년 자녀의 행동 을 이해하고 ‘나-전달법’을 사용하여 자녀와 효과적으로 대화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자녀들에게 섭 섭한 부분을 전달할 때 ‘나-전달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 방법을 통해 자녀와 소통이 더 잘 되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과거엔 아버지 본인의 원칙주의적인 태도 때문에 자녀들이 아버지 를 어려워했던 것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교육에서 배운 대로 자녀의 이야기를 경청했더니, 자녀가 먼 저 아버지에게 다가오는 변화가 생기기도 하였다.

    자녀와의 소통이죠. 자녀와의 소통이 편해진 거죠. 솔직해지고. 솔직해진 게 가장 두드러진 거죠. 왜냐 하면 자녀가 했던 말을 제가 같이 이렇게 싫은 내색을 할 수 있고 좋으면 좋다고 반응을 하고... 이런 게 달라진 거죠. 그 때는 싫어도 그 자리에서 얘기 안 하고 며칠씩 생각하고 있다가. (참여자 1)

    표현할 때 구체적인 방법 중... 교육 중에 그런 게 있었어요. 나 표현방식?... 그냥 가만히 듣고 있더 라고요. 그런데 속으로 아, 이렇게 하면 그렇게 반감은 안 생기겠지? 하죠... 아, 얘도 이제 다가오는 구나. 자기 얘기 들어주면 하더라고요. 그럴 때면 좀... 그런 변화는 있는 거죠 (참여자 3)

    (2) 아버지 양육 효능감이 증진함

    연구 참여자들은 아버지교육 참여를 통해 십대와의 소통 방법에 대해 알게 되었고, 아이의 눈높이와 입장에서 생각하게 되는 등 올바른 양육방식에 대해 학습하고 확신을 얻게 되었다. 과거 다른 교육에서 청소년의 병리에 대해 배웠으나, 본 교육에서는 자녀와의 구체적인 대화방법에 대해 많이 배우게 되어 만족스러웠다. 또한 교육을 받고 난 뒤, 사춘기 자녀를 대할 때 어떻게 해야 할지 확신이 생겼고 자녀교 육의 방향이 잡혀서 조급함이 줄어들고 마음의 여유가 생겼으며, 마음이 편해졌다. 이를 통해 더 바람 직한 아버지가 되었다는 자신감이 생긴 것을 느낀다고 하였다.

    내가 좀 더 바람직한 아버지가 된 생각? 아직은 부족하지만... 조금 더 자신감 있으니까 어려운 부분 도 솔직하게... 그런 거를 이전에는 말을 못했다고 하면, 이제는 말을 할 수가 있는 거죠. 아이들한테 내 보기엔 나의 취약점이 있었다는 것을 쉽게 내보이게... 자신감이 있으니까 (참여자 2)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길을 가면 어디쯤 와있는지 어느 방향으로 가는지 몰라서 답답한데 지금 은 대충 어느 쪽으로 가는 게 올바른 방향인지 알게 되니까... 마음에서 일단 여유가 생기죠. 그리고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도 알게 되고요. 그러고 보니까 마음이 조금 편해졌어요. 전에는 조급했는데. (참여자 4)

    (3) 자녀 의사 존중의 중요성을 깨달음

    참여자들은 교육 참여 이전엔 자녀들의 행동이 걱정될 때 조언 밖에 할 수 있는 게 없었는데, 교육 참 여를 통해 자녀의 의사를 존중하게 되었고 존중과 격려가 중요함을 깨달았다.

    조금씩 이 강의를 듣고 상대의 생각과 진로에 관한 것을 존중하게...(참여자 1)

    근데 가장 큰 변화는요. 아이의 반응을 그전에는 머리로 생각해서 입으로 표현했었는데 지금 머리로 생각해도 입으로 표현하지 않아요... 맞든 틀리든 걔가 들을 수 있는 때가 있다는 거에요. 근데 대부 분은 들을 때가 아니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뒤로 물러나서 제가 하고 싶은 얘기 아무리 이 세상에 다 맞는 얘기라도 안 해야 될 때가 있다는 거. 알게 돼서 요즘엔 그 자리에서 다 표현하지 않아요. (참여자 3)

    십대 아이들의 생활에 대해서... 부모가 가장 실수하는 것이 본인의 어렸을 때 모습을 가지고 생각을 많이 하잖아요. 거기와 분명히 달라진 것을 인식한다고 하더라도 그 순간에는 까먹고 잊은 상태로 “나는 이랬다, 너는 왜 그러니” 이런 식으로 접근이 되거든요. 그런 면에서도 도움이 된 거 같아요. (참여자 6)

    (4) 청소년기 발달의 이해 증진· 자녀 행동의 원인 파악함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예를 들어 자녀가 들을 준비가 되어 있을 때 말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등 사춘기·청소년의 발달적 특징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였고, 그렇게 되니, 거슬리는 자녀 의 행동이나 말을 깊이 마음에 담아두지 않게 되었고, 이해하니 그들에 대한 대처법이 바뀌게 되는 것 을 경험하였다. 전에는 사춘기 자녀의 행동에 대해 왜 저럴까 이해가 되지 않던 것들이 교육 참여 이후, 자녀 행동의 원인을 알게 되었고 자녀 교육 및 훈육에 대한 근거, 확신, 자신감이 생기게 되었다.

    청소년들 이해하는데... 옛날에는 뭐 호르몬이 그래서... 막 그랬는데, 그게 아니었다... 걔네들이 자라 는 뇌가 애들을 그렇게 만드는 거다. 그리고 사실은 그 막연히 원래 중2는 그래~ 그거보다는 걔네 들이 왜 그럴 수밖에 없는가? 이런 것처럼. (참여자 4)

    우선은 애들에 대해서 많이 이해를 했고요. 청소년 성장과정에서. 그 다음에 또래관계가 중요하다는 거. (참여자 5)

    자녀의 지도에서 오는 어려움은 예상하지 못한 돌발 행동입니다. 과거 우리는 이해되지 않는 청소년 기를 지나쳐 왔기 때문에 역시 우리 아이들도 그럴 것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게 하는 좋은 내용이 었습니다. 3~4차시의 청소년 이해하기에서는 전체 강의 중 청소년 지도 중에 오는 어려움의 원인 을 알 수 있어 가장 도움이 되었던 부분입니다. (참여자 8)

    (5) 자녀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 증대

    참여자들은 교육을 통해 자신의 자녀 양육법에 대해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자녀 양육법에 대한 이 론적 근거를 배우게 되니, 더 확신을 갖고 해당 양육법을 사용할 수 있게 되더라고 하였다.

    그걸 왜 그래야 되는 가에 대한 부분들. 그러니깐 이제 교육의... ‘왜' 라는 게 해결이 돼야 되거든요, 교육에서. 내가 이걸 왜 해야 되지?... 마음속에서 그거에 대해, ‘그래! 이래서 해야 돼’ 라는 솔루션 이 해결이 안 되면 그게 교육의 의미가 없잖아요? ... 자녀와의 대화가 중요한데 왜 중요하나? 라는 부분에 대해서 이론적 근거들, 학문적 근거들을 말씀하셨잖아요? 그런 부분들이 저한테는 되게... 그 러니깐 예를 들어서... 아이들한테 경청해주고 공감해주는 거는 그냥 단순히 일차적으로 귀로하는 게 아니다. 라는 걸 서로 다 알아요. 하지만... (참여자 7)

    3) 삶의 만족도 증가

    (1) 사춘기 자녀 훈육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

    참여자들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사춘기 자녀 양육법들을 배우게 되고, 그것을 적용하게 되니, 자녀 와의 관계가 개선되는 것을 경험하였고, 자녀 훈육에 대한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경험을 하였다.

    특히 아들에게 섭섭했던 면도 다소 섭섭한 게 10이었으면 5정도로 반감되는... 자녀에 대한 거가 기 존에 섭섭했던 것이 덜 섭섭하게 느끼는 것 때문에 말하는 게 좀 편해졌고... (참여자 2)

    훨씬 더 바라보는 표정이 여유롭고 그 다음에 욱함이라던가 화라던가 이런 것들이 사실 좀 줄어들 었어요. 감정적으로 훨씬 더 누그러졌죠. (참여자 5)

    (2) 심리적으로 안정됨

    참여자들은 사춘기 자녀의 특성에 대해 알게 되니 마음이 여유로워짐을 경험했다. 즉 사춘기 자녀를 이해하면서 서운함이 감소했고 자녀의 특정 행동이 일시적임을 알고 마음이 여유로워졌으며 부모가 주 도적인 입장에서 지켜보며 기다려주게 되었다. 부모 자신에 대한 이해도 증가하게 되어 자신에 대한 수 용도 증가하는 등 심리적으로 안정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많이 좀 편해지더라고요. (참여자 1)

    ...내 스스로가 예전에는 아이들한테 섭섭하고 그렇게 생각했었는데 옹졸했다는 생각이 들구요... 아이들한테 내 보기엔 나의 취약점이 있었다는 것을 쉽게 내보이게 자신감이 있으니까 그렇지만 그것이 못났다하고 생각했으면 말을 못하는데 그게 못났다가 아니라 그럴 수 있다는 생각에... (참여자 2)

    음... 애에 대해서 보는 마음이 좀 편해졌어요... 그전에는 그게 영원할까봐 걱정했던 거 같아요. 그냥 저 때 저러다 만다, 그렇게 생각하니까 그냥 두게 되더라고요. (참여자 3)

    (3) 감정조절이 쉬워짐

    참여자들은 교육에서 배운 감정조절을 위한 여러 방법을 실제로 적용하고 시도해보니, 분노감정이 감소하는 경험을 하였고 마음에 여유가 생기는 등 도움이 된다고 느끼고 있었다. 자녀가 자기 방 정리 정돈을 하지 않을 때, 간섭과 잔소리를 덜 하게 되었고 마음에 여유가 생기는 것을 경험하였다.

    ...그 다음에 욱함이라던가 화라던가 이런 것들이 사실 좀 줄어들었어요. 감정적으로 훨씬 더 누그러 졌죠. (참여자 5)

    그러니까 감정조절이죠... 가끔 제가 봐도 아, 이렇게 화내면 안 되는데... 그렇다고 애들을 때리거나 욕을 심하게 하거나 그런 건 아닌데 언성이 좀 높아지죠. 차분히 얘기하고 해야 되는데 안 되니까. 내가 아직 감정조절하는 게 부족하구나... 그런 부분에 대해서 강의 내용이 나와 있잖아요. 그런 부 분이 도움이 되고. (참여자 6)

    4) 가족관계 만족도 증가

    (1) 수강 내용을 아내 및 자녀와 공유함

    참여자들은 수강 내용 중 일부를 아내 및 자녀와 공유하거나 함께 들으며 서로 의견을 나누기도 하였 는데, 이들 통해 아내 및 자녀와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어떤 내용은 아내도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아내도 함께 알면 자녀양육이나 부부간의 관계개선에 도움이 될 것 으로 여겨 함께 공유한 경우도 많았다고 하였다.

    아빠의 모습이 잘못 발현되는 모습을 저도 인제 마음에 걸리니까 그 내용에 와이프도 그 내용을 듣 고 ‘당신이 그런 모습이 있어’ 라고 이야기를 하고 하죠. 현시점에서의 경험과 삶은 자녀들도 같이 들었고, 이해가 깊어지는 거죠... 아빠, 나빠~! 하고 딸이 그렇게 많이 표현을 하는데, ‘봐봐 다른 아 빠들도 많아~!’ 하고 이해를 해달라고, 이해의 폭이 피차 자녀입장에서나 아빠입장에서나, 와이프도 마찬가지구요, 남자가 많이들 이렇다... (참여자 2)

    저는 대부분의 70% 내용을 공유했어요. 왜냐하면 제가 알아야할 내용도 있고 아내가 알아야할 내용 도 꽤 있었거든요. (참여자 3)

    (2) 자녀와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함

    참여자들은 교육수강 전과는 달리 자녀의 못마땅한 행동에 대해 호되게 혼내지 않고 아이의 눈높이 와 입장에서 생각하게 되고, 잔소리 대신 구체적 행동 방법을 정하는 등 배운 내용을 자녀와의 관계에 서 필요할 때 활용해보니, 자녀와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증진됨을 경험하고 있었다.

    제가 이렇게 공부를 할 때 보면 저녁에 와서 하니까 아이들이 각각 (아빠가) 뭐하나 보는 거죠. 강의 내용도 듣고 딸이 의견을 내기도 하고 아들이 의견을 내기도 해요. 똑같이 듣는 게 아니고 다른 일 하면서 아빠가 공부하고 있으면 들리니까 이렇게 옆에서... 그냥 스피커로 들으니까 이렇게 토론을 하게 되죠, 그런 주제에 대해서. ‘아빠는 안 그래, 저렇게 안 돼.’ 이런 식 이야기하기도 하고 아빠가 또 잘하는 거 있으면 저거는 또 하기도 하고. (참여자 2)

    ...그 때 저는 느끼죠... ‘아, 얘도 이제 다가오는구나.’... 자기 얘기 들어주면 하더라고요. 그럴 때면 좀... 그런 변화는 있는 거죠. 그게. 만약 그게 없었으면 대화가 많이 없어졌을 거에요. 단절까진 아니 더라도... (참여자 3)

    애들하고 관계는... 애들하고 뭐든지 놀러가도 애들하고 미리 한 이틀 전에 이야기를 하고. 이거 이 거 중에 골라라. 이렇게 해서 간다하면 가고. 애들이 안 간다하면 안가고... (참여자 5)

    (3) 부부간 관계가 개선됨

    참여자들은 교육을 통해 부부관계가 자녀양육보다 우선되어야 함을 깨닫고 부부관계 개선을 위해 노 력 중이며 수강 후 부부 간 의사소통이 증진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처가 조금. 와이프가 예전에는 말도 좀 잘 안하고 그랬었는데 지금은 조금씩 나아졌어요. 좀 그런 것 같아요... 가급적이면 그 전부터 하고 있었지만은, 토요일 일요일 되면. 금요일에는 제가 내려가서 부엌일은 제가 싹 다하거든요. 토요일, 일요일에는 이제 와이프는 손에 물 한 방울 안 뭍이고. 어떻 게 조금씩 처가 집에도 신경을 쓰려고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은 제가 좀 더 변화를 해야 된다. 그래가지고 우선은... 그 생각이 좀 들더라고요, 애들 앞에서는. 그래서 좀 관계 개선을 하려고 노력 하고 있습니다. (참여자 5)

    (4) 가족이 변화를 알아차림

    참여자들은 교육 수강을 통해 배운 것들을 가족에게 적용해 보니, 가족들이 아빠의 변화된 모습을 알 아차리게 되고, 이를 통해 스스로 뿌듯함과 만족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달라졌죠. 달라졌다고 합니다... (참여자 1)

    3. 연구 질문 : 참여했던 웹 기반 아버지교육과 관련하여 견해는 무엇인가?

    1) 교육 과정 및 운영 관련 피드백

    (1) 교육 과정·운영상의 만족사항

    참여자들은 웹 기반 교육의 과정 및 운영과 관련하여 만족하게 여겼던 것들이 있었다. 교육내용의 구 성 및 배치가 지루하지 않고 적절하게 분배되어 있어서 만족스러웠고, 강의 내용 중 자녀와의 관계에 관련된 내용들 사이에 부부 간의 관계와 관련된 내용이 중간에 포함되어 있어서 지루하지 않고 좋았다 고 하였다. 운영자가 SNS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강생 관리 및 독려를 했던 점이 수강을 포기하기 않고 지속적 수강에 대한 동기를 증진하고 수강완료에 도움이 되었다고 느끼고 있었다. 성우 음성으로 나레 이션이 녹음된 부분과 강의자가 직접 강의한 부분 중 강의자 직접 강의 부분이 집중도는 더 좋았지만, 이렇게 혼합된 방식으로 진행한 점이 지루하지 않고 적절히 안배되어있어, 만족스러웠다고 하였다. 강 의수료 후 받은 수료증을 자녀에게 보여주며 아빠가 평소에 자녀를 많이 생각하고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었던 점도 만족스러운 점 중 하나였다.

    성우가 읽는 것도 나쁘진 않았는데 아무래도 강의자가 많이 하시면 와 닿는 것이 있을지는 몰라도... 어떻게 들리실지는 모르겠지만 강의에 집중하다보니 성우든 강의자든 상관없이... (참여자 1)

    나레이션하는 성우의 목소리가 있었고 강의자가 하는 목소리가 있었어요. 나레이션은 목소리는 듣 기 쉬운데 강의자가 나와서 하는 게 집중력이 더 생기는 거 같으니까 그 차이가 있었던 것 같았고. (참여자 2)

    수료증을 주셨잖아요? 그래서 그걸 비닐에 껴서 저희 집 벽에 붙여놨었어요. 애들이 보고... 둘째 애 한테는 장난치듯이 “저거 봐 아빠가 받았어.” 이랬는데.. 큰 아이는 살짝 봤어요. 그러면서 자기와 아 빠와의 관계를 아빠가 생각하고 있다는 걸 아이도 알도록 붙여놨었어요. (참여자 3)

    전 동영상 교육 괜찮았던 거 같아요. 웹 교육이라 좋았죠. 구성 같은 것도 좋았어요. 전 그런 교육을 많이 들어봤거든요. 근데 중간 중간에 지겨울 만하면 강의자가 나오세요...적당했어요. 전 일부러 맞 추셨다고 생각했는데? 왜냐면 사람이 사진을 찍거나 영화를 찍어도 클로즈업이 나와야 될 때가 있 고 그런데... 아무리 좋은 교육도 자꾸 파워포인트만 나오면... 지겨울만할 때 나오세요. 그러다 어느 순간 사라지고... 집중이 떨어질 때쯤 나오고...그런 구성 좋았어요. 적당히 문자가 나오고 적당히 삽 화가 나오고 강의자가 나오고. 되게 좋았어요. (참여자 3)

    (2) 교육 과정·운영상의 불편사항

    아버지들은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및 운영과 관련하여 불편한 점도 경험하였다. 오프라인 교육에서는 질문을 바로 할 수 있지만, 온라인 교육에서는 궁금한 점을 바로 질문할 수 없는 점, 접근성이 좋아 편 리하긴 하지만 현장 토론이 불가능하여 현장감이 떨어지는 점에 대해서는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접근성은 아주 좋죠. 접근성은 좋은데 단점은... 질문이 있거나 할 때, 동료들이랑 얘기하면 해결책이 자연스럽게 나올텐데... 그게 어떻게 보면 온라인 교육의 한계이니까 (참여자 6)

    또 이렇게 짧은 시간에 수강을 하다보니깐 뭐 저는 뭐 이제 질문도 하고 싶고... 막 궁금한 것도 있 고 그런데 이렇게 일방적으로 지나가고, 또 다시 재수강을 하기도 쉽지 않잖아요? 시간적으로. 그러 다보니깐 그런 부분이 제일 아쉬웠어요. (참여자 7)

    (3) 교육 과정· 운영상의 제안사항

    모든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내용 중 도움이 되어 기억하고 싶은 내용들에 대해서는 재수강 기간이 충 분히 필요하지만 시간적 여건상 주어진 수강 기간 안에 반복 수강하기 어려운 경우들이 많았고 기억하 고 싶은 내용들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한번 수강만으로 기억할 수 없음에 대해 아쉬움을 표현하며 교 재의 필요성이 절실함에 대해 거듭 강조하였다. 또한 배운 내용 중 다시 듣고 싶은 내용에 대해서는 한 번 수강만으로는 모두 기억할 수 없고 복습이 필요하므로 재수강 기간을 충분히 주면 좋겠다고 제안하 였다. 또한 교육 수강을 하다 보니 부인들도 모르는 내용들이 많더라는 점을 지적하며 부부가 함께 교 육 내용을 공유하면 좋겠다고 제안하였다. 요즘은 맞벌이 어머니도 많으므로 온라인 어머니 교육도 필 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현 교육은 온라인 교육만으로 진행되었지만 첫 회기 시작, 중간, 종료 정도 에 오프라인 과정을 넣어 온-오프라인 교육을 병행하여 참여 동기를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 다. 오프라인 모임에서 삶의 변화된 부분에 대해 서로간의 교환과 피드백이 있기를 원한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수료증을 우편으로 보내기보다는 수료식만이라도 오프라인으로 한다면 그날 얼굴을 보기 위해서라도 더 열심히 수강하게 될 것 같다며 오프라인 수료식을 제안하였다.

    그 때 아쉬웠던 건, 책이 있었으면... 교재가 있었으면 좋았겠다...저는 동영상을 한 번 더 듣고 싶었 어요. 필요한 부분을 더 듣고 싶었는데 어느 기간 이후에는 못 들었잖아요. 그게 좀 아쉬웠어요. (참 여자 3)

    어차피 공부는 이제 복습하는 과정이니까요. 예를 들어서 제기 차기를 하면 교수님한테 방법은 배웠 는데 복습을 해야 열 개도 차고 백 개도 차는 건데... 듣기만 하면 딱 단절이 되니까. 알아야지 자꾸 써먹는데...엄마들 강의도 좀 있었으면... 할 때도 있어요. (참여자 4)

    2) 교육 내용 관련 피드백

    (1) 교육 내용상의 만족사항

    교육 내용과 관련해서는 다른 연령층, 또는 모든 연령층의 자녀들을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내용이 아 닌, 청소년기 자녀들에만 초점이 맞춰진 내용이었던 점이 매우 만족스러웠다. 또한 가정 내에서 소외되 어 있던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상기시켜준 점이 큰 도움이 되었고, 의사소통에 대한 강의내용은 비단 청소년 자녀와의 관계뿐 아니라 다른 대인간 의사소통에도 전반적으로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내 용구성이 어느 한쪽에만 치우지지 않고 부부간 관계와 아버지 개인의 심리적 안녕에 대한 부분까지 골 고루 다루고 있어서 내용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감을 표하였다. 특히 부부관계에 대한 내용과 아버지 의 자기 정서 다루기에 대한 내용에 만족스러워 하였다. 대부분의 내용에 대해 과거에도 이렇게 하면 좋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었으나 왜 그게 좋은지에 대해 이론적 근거는 미약했었는데, 이론적 정립을 간단히 시켜주니까 실천에 대한 동기가 부여되더라고 하였다. 또한 구체적 사례와 예시를 통해 상황극 시연을 보여준 부분이 실제적 도움이 되었음에 대해 만족감을 표시하였다.

    ...그 교육에 보면 그거 있잖아요. 너가 그걸 하면 이렇게 안 좋아질 거 같은데 그러면 아빠는 마음이 아플 거 같아... 이런 식으로... 나 전달법이었나요? 그걸 가끔 해요. 꼭 해야 할 얘기가 있을 때는 그 런 식으로... 하니까... 그냥 가만히 듣고 있더라고요. (참여자 3)

    일단은 제가 쉽게 접할 수 없는 아버지 교육이란 게 참 좋았고요. 감사하게 생각하고요. 제가 아버지 가 돼서 살아가는 데 이거에 대해 누가 얘기해 줄 사람이 없잖아요. 기껏 남자들 술 마시다가 우리 애 이랬는데... 뭐 이런 얘기 하면서 고 수준에서의 대화밖에 안 되는데 그게 위안 겸 털어놓고 대화하 는... 지금은 이걸 보면서 근거도 있고 방향도 알게 되고... 저한테는 살아가는 자체에 큰 응원군이 되 죠. 일단은 저한테는 참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이 되고요. 수업도 만족하고 있고요. (참여자 4)

    ...그걸 왜 그래야 되는 가에 대한 부분들...이론적 근거들, 학문적 근거들을 말씀하셨잖아요? 그런 부 분들이 저한테는 되게... (참여자 7)

    (2) 교육 내용상의 불편사항

    아버지는 상담자도 전문가도 아닌, 그저 아버지일 뿐이므로 어떤 일부 내용에 대해서는 지나친 학문 적인 접근 방식은 부담스러웠다.

    ... 일반 아버지들이라면 아마 좀 흡수가 잘 안되었겠다 싶은 부분도 있고요...(참여자 7)

    ...아주 가끔은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 진실도 있습니다. 지나치게 사실에 기인하여 학문적으로만 접 근하려는 태도가 조금은 부담스럽습니다...물론... 과학적이고 기술적인 태도만이 상담자의 오류에서 벗어나는 길임을 알고 있습니다만, 아버지는 아버지일 뿐 상담자는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주시는 것 도 중요하리라 생각합니다. (참여자 8)

    (3) 교육 내용상의 제안사항

    본 아버지교육의 내용에 만족하지만, 추후에 심화내용 등 단계별 시리즈로 추가 내용을 원한다고 하 였다. 추가로 원하는 내용은 청소년의 정체성에 대한 내용, 아빠가 이성 자녀를 대하는 방법 및 태도, 자녀와의 스킨쉽, 애정표현, 대화방법에 대한 다양한 상황에 따른 더 구체적인 실제 사례 및 상황극 등 을 좀 더 세부적으로 원한다고 하였다.

    이게 초급반 중급반 고급반 이렇게 있듯이 초급반이 있었으면 전혀 색다른 것이 아니고 겹치면서 하나 더 있었으면 좋겠어요. 왜냐하면 자꾸 복습에 대한 욕구가 크거든요. (참여자 3)

    그 다음에 말씀 드렸듯이 정체성. 어떤 정체성을 가지게 할 것인가. 그 2가지 정도는 내용상으로 좀 더 추가해야 하는 게 좀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그 생각을 좀 했어요... 특히 이성. 이성부모로써 해 줄 수 있는 것들. 동성 부모는 그래도 대화하기가 훨씬 더 편하겠지만 이성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그 런 내용들이 좀 더 보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소통하는 방식에 대해서 상황별로 좀 더 구체적으 로 알려주시면.. 왜냐면 저도 아이들과 놀아줄 때 어떻게 놀아줘야 될지 모르다 보니까... (참여자 5)

    Ⅳ. 논 의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을 위한 웹 기반 아버지교육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운 영 및 과정상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그 활용 가치와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 제 안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연구 질문 1에서는 2개의 범주와 4개의 하위영역 주제가, 연구 질문 2에서는 4개의 범주와 18개의 하위영역 주제가, 연구 질문 3에서는 2개의 범주와 6개의 하위영역 주제가 도출 되었다. 분석결과와 함께 시사점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이 웹 기반 아버지교육에 참여하게 된 계기와 이유는 크게 2가지 이유, 즉 전적으로 본인의 자발적 필요에 의해 참여하였거나 또는 주변의 추천에 의해서였다. 참여자들은 무엇 보다도 자녀와의 소통에서의 어려움, 아빠의 뜻대로 행동하지 않는 자녀에 대한 불만 등 평소 본인의 사춘기 자녀와 실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교육을 통해 아버지역할에 대한 실제적인 도움을 얻기 위 해 신청하였거나 본인의 직업상의 이유로, 청소년 이해 및 아버지역할에 관한 실제적 도움을 얻고자, 또는 이론적 근거 정립을 위해 신청하는 등 전적으로 자발적 필요에 의해 신청하였다. 또 다른 부류의 참여자들은 본인의 자발적 필요에 의해 참여했다기보다는 일차적으로는 부인, 지인, 딸 등 주변의 권유 와 추천에 의한 참여이다.

    참여 계기와 이유에 대한 이 같은 결과는 아버지교육 참여자들은 본인 스스로의 정보 습득과 스스로 의 자발적 동기나 필요에 의해 참여하기도 하지만, 가까운 지인의 추천과 권유에 의해 참여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홍보 계획을 세울 때,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홍보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아버지 본인 스스로의 자발적 동기와 필요에 의해 선택한 경우라 하더라도 본인이 자녀와의 관계에서 실제로 경험 하고 있는 어려움 때문에 실제적 도움을 얻기 위해 참여한 경우와 본인의 직업상의 실무에서 실제적 도 움을 얻기 위해 참여한 경우 간에는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얻는 효과가 매우 다를 것이다. 하고 있는 일 의 실무에서 실제적 도움을 얻기 위해 참여한 참여자의 경우, 교육 내용에 대한 학습 동기와 열의는 오 히려 더 높을 수 있고 이 또한 간접적으로는 청소년의 안녕 증진, 청소년자녀-부모 간 관계향상에 기여 하는 통로이므로 본 아버지교육프로그램이 바람직하게 활용된 경우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엔 부-자녀 관계 만족도 척도, 부모양육 효능감 척도, 부부관계 만족도 척도 등의 양적 척도로 측정한다면 점수가 높지 않을 수 있어서 이로 인해 교육의 개입효과가 낮게 평정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러한 직업적 목적의 참여자들을 걸러 내거나 막을 수 없으므로 부모교육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 램의 효과를 평가할 때 이점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웹 기반 아버지교육 참여를 통해 여러 가지를 새롭게 깨닫는 계기가 된 것으로 경험하고 있었다. 부부간의 관계가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새롭게 깨닫게 됨으 로써 평소에 자신이 아내에게 어떻게 대해왔는지 돌아보고 평등한 부부관계를 위해 노력하게 되는 계 기가 되기도 하였다. 교육 수강 기간 동안 아내와의 불화가 있을 경우, 교육내용의 흡수와 교육효과에 지장을 준다는 것을 경험하여, 교육효과를 위해 아내와의 화해부터 시도한 후 교육에 임하게 되기도 했 다. 참여자들은 가족 간에 진솔·솔직해지지 않고서는 교육내용을 마음으로 흡수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경험하여, 교육에서 배운 대로 자신의 진솔한 감정을 가족에게 표현하고 나니, 우려하던 것과는 달리 마음이 한결 편해지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고, 진솔·솔직했을 때의 장점을 경험하였다. 또한 아버지교 육 수강은 아버지로서의 자신의 부족했던 점들을 깨닫게 되는 계기였다. 아버지교육을 통해 배운 내용 을 현실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본인의 자발적인 동기가 있어야만 삶이 달라진다는 것을 경험 하는 계기였다. 참여자들은 강의수강 과정을 통해 강의를 꾸준히 수강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경험하 였지만, 동시에 직장인들에게는 웹 기반 교육을 매일 꾸준히 수강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으며 특히 웹 교육의 특성상 자기주도적인 속성을 갖고 있으므로, 스스로의 의지와 동기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Shawn과 Knudson-Martin[43]이 제안한 ‘반응성이 높은 아버지 모델’에서 강조하 는 ‘반응성이 높은 아버지’의 5가지 조건 중 일부와도 일맥상통한다[44, 58]. 이 모델에서는 ‘반응성이 높 은 아버지’의 조건으로 전통적인 성역할 고정관념을 벗어나 두 부부가 자녀 양육을 함께 분담하는 것, 즉 평등주의적 성별 이념, 아내와의 동등한 권력 및 아내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즉 여성의 일에 대해 존중하는 태도, 적극적으로 자녀 및 아내의 요구에 관여하는 등 주의 깊게 주파수를 맞추는 것, 돈을 많 이 버는 것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 이상으로 아내와 자녀의 필요에 늘 관심을 기울이는 것, 즉 남성의 정 서적 조율 등을 제안한다[44, 58]. 연구 참여자들이 아버지교육 참여를 통해 ‘반응성이 높은 아버지’의 조 건을 경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참여자들은 이동 시간에 수강이 가능한 점, 시간 조절이 편리한 점, 수강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는 점, 선택 수강과 반복 수강 가능한 점, 교육수강의 모습을 가족들에게 안 보이다가 나중에 변화된 모습만 보일 수 있다는 점 등을 웹 기반 교육의 장점으로 경험하고 있었다. 이는 웹 교육이 여러 한계점과 단점도 갖고 있지만, 시공간적 편리성, 접근성 등 편리한 점들을 갖고 있으므로,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오프라인 교육 참여에 대한 동기가 낮은 아버지들에게 유용한 방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던 Brown[6], Epstein[13], Merriam과 Caferella[34], Williams[54], Yoon[58]의 제안, Cook과 Rule[11], Deutelbaum[14], Epstein[21] 등이 제안[45에서 재인용]한 내용과도 맥이 통하는 결과이다. 이 같은 결과 는 웹 기반 온라인 교육이 아버지들의 부모교육에 대한 필요를 채워주는 데 유용한 대안적 수단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참여자들은 웹 기반 아버지교육 참여를 통해 본인의 아버지로서의 양육역량 및 양육에 대한 효 능감이 증가한 것을 경험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사춘기 10대 자녀의 행동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였 고 ‘나-전달법’을 사용하여 자녀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배워 실제로 적용해보았을 때, 자 녀와의 관계가 실제로 개선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10대 자녀의 눈높이와 입장에서 생각하게 됨으로 써 자녀를 대할 때, 무엇이 옳은 방법이고 무엇이 아닌지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을 갖게 되는 경험을 하 였다. 또한 교육 참여 이후 과거와는 달리, 자녀가 걱정되는 행동을 할 때도 자녀의 의사를 존중하게 되 었고 존중과 격려의 중요함을 깨닫는 경험을 하였다. 무엇보다 10대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발달의 특징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였고 10대 자녀의 행동의 원인을 알고 나니, 자녀 교육 및 훈계를 할 때 그에 대한 근거와 확신, 자신감이 증가하였다. 또한 과거에는 특정 양육법에 대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고 는 있었으나, 왜 효과가 있는지는 모르고 있던 양육법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함께 배우고 나니, 더 확신 을 갖게 되어 아버지역할에 대한 효능감이 증가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자들의 견해 및 선행 연구의 결과들과도 일치한다. Horn과 Amorse[23]는 특정 영역 에서 효능감이 높은 사람이 그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가 더 높다고 하였고, Dollahite과 Hawkin[12]은 아버지가 아버지역할에 대한 효능감을 갖고 있을 때 그 역할에 적극적인 동기를 갖고 참 여한다고 하였다[56]. 일반적으로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역할수행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그러한 스트레스에 더욱 신경을 쓰며, 스트레스를 받으면 문제를 직면하기 보다는 회피하는 경향이 있어서[24], 아버지역할 수행에서 자신이 느끼는 효능감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2, 39]. Yoon[56]의 연구에서 아버지들은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에서 자녀양육 및 아버지역할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법들, 즉 “how-to”를 전달해주는 것이 아버지역할에 대한 유능감을 높이고 이를 통해 아 버지들의 자녀양육 역할 참여에 좀 더 적극적인 동기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던 것과도 맥 을 같이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에서도 아버지교육에 참여하였던 참여자들은 교육 내용 중, 구 체적인 “how-to”와 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배움으로써 아버지역할에 대한 효능감을 얻은 것으로 경 험하고 있었다.

    넷째, 아버지들은 아버지교육 참여를 통해 삶에 대한 만족감이 증가하는 경험을 하였다. 교육프로그 램을 통해 실제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배우고 나니, 전에는 어렵게 느껴졌던 자녀와의 관 계, 거슬렸던 자녀의 행동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지 방법을 알게 되어 자녀 훈육에 대한 스트레스가 감 소하고 심리적으로 안정되며 마음이 여유로워지고 분노 감정 등 감정조절이 쉬워지는 경험을 하기도 했다.

    다섯째, 수강 내용 중 일부를 자녀 및 아내와 공유하거나 함께 들으며 의견을 교환하였고, 배운 내용 과 방법들을 자녀와의 관계 및 부부관계에 적용함으로써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 증진되고 관계가 긍정 적으로 개선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자기감정 알아차리고 감정조절하기 등 배운 내용과 방법을 본인 에게 적용하여 아버지의(남편의) 변화한 모습을 가족들이 알아차리게 되어 가족 간의 관계가 향상되기 도 하였다. 가족 간의 이러한 개선된 관계, 본인의 삶의 만족감 증진은 아버지역할에 대한 효능감을 더 욱 촉진시키고 이는 아버지역할에 더욱 적극적으로 개입하도록 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들이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우, 일-가정 균형에 대한 인식 개선[26], 양육활동 참여수준 증가[49], 부-자녀 간 관계 개선과 양육자신감 증가[18], 자녀의 문제행동 발생 감소 [20], 양육스트레스 감소[32] 등의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되었던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들의 결과와 도 일치한다. 또한 아버지역할에 대한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주장하는 Bronfenbrenner[5]의 입장 및 “능숙한 아버지됨을 위한 과정 모델”을 제안한 Belsky[3]의 입장과도 맥을 같이 하는 결과이다. Bronfenbrenner[5]는 아버지역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버지역할에 대한 엄마(부인)의 관여, 지지 및 태도 등 맥락적 요인을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Belsky[3]도 아버지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 정요인으로 아버지 개인의 특성뿐 아니라, 자녀의 특성, 스트레스, 결혼관계, 직장요인, 사회적 지지와 같은 맥락적 요인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즉 아버지가 아버지역할을 능숙하게 하려면 아버지 본인의 성 격, 심리적 요인과 행복도 중요하고, 결혼관계, 아내의 지지, 자녀의 성격이나 심리적 상태, 직장의 여 건 등도 모두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면접 결과에서도 아버지 들은 자녀 및 아내와 좋은 관계를 위해 노력할 때 가족과의 관계가 개선되는 것을 경험하였고, 이와 함 께 본인의 삶의 만족감이 높아지는 것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아버지로서의 유능감과 능숙감이 향상되는 것을 느껴 아버지역할에 대한 자신감과 확신이 생기게 되어 아버지역할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하 는 동기가 촉진되는 선순환의 경험을 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교육에서 가족과 의 관계에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how-to”의 방법을 알려주는 게 매우 중요함을 시사 한다. 이를 가족들에게 쉽게 적용함으로써 가족들과의 관계가 좋아지는 것을 가시적으로 체험하고, 가 족들의 긍정적 피드백이 아버지에게 전달되고, 이로 인해 아버지 본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삶의 만족감과 자신감이 높아진 아버지는 아버지역할 참여에 더욱 적극적으로 동기부여가 되는 선순환이 이 어되는 결과가 될 것으로 시사된다.

    여섯째, 본 연구의 세 번째 질문인 참여했던 웹 기반 아버지교육과 관련하여 견해는 무엇인가에 대해 참여자들은 크게 2개의 범주-교육과정 및 운영 관련 견해, 교육 내용 관련 견해를 표명하였다. 우선, 교육과정 및 운영 관련하여 만족한 점들을 표명하였다. 참여자들은 강의 내용 구성 및 배치에 있어서 자녀와의 관계 개선에 관련된 내용들 사이에 부부 관계 개선에 대한 내용을 중간에 넣었던 점이 크게 만 족스러웠고, 성우의 음성으로 나레이션을 녹음한 부분과 강의자가 직접 강의한 부분이 적절히 혼합되 어 있었던 점이 지루함을 줄이고 만족스러웠다. 운영자가 수시로 SNS를 통한 독려, 강의 수료자에게 수료증 부여에 대한 사전 공지와 수시로 알려준 점 등이 수강 동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격려와 지 지가 되었다.

    하지만 불편한 점과 제안사항도 있었는데, 오프라인 교육과는 달리, 질문이 있더라도 강의자에게 즉 시 질문할 수 없다는 점, 현장 토론이 불가능한 점 등은 불편사항이었고, 무엇보다 가장 불편했던 점은 교재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면접에 참여했던 모든 참여자들이 인쇄된 형태의 교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강의 내용 중 도움이 되어 기억하고 싶은 내용이나 한번 들어서는 완전히 기억할 수 없는 내용들을 다시 듣고 싶지만, 반복 수강 기간이 한정되어 있고, 아버지들은 반복수강을 위한 시간이 제 한적이므로 교재를 제공하여주길 거듭 강조하였다. 또한 한번 수강으로 중요한 내용을 모두 기억하기 어렵다며 반복수강의 기간을 넉넉히 줄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 내용 중 어머니들도 모르고 있어서 어머니들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내용들이 많더라고 하며 동일한 내용을 어머니들에게도 수강 허용 을 하거나, 유사한 내용을 어머니용 웹 기반 어머니교육 프로그램도 만들어 보급하여 주기를 제안하였 다. 요즘은 어머니들도 맞벌이인 경우가 많아서 오프라인 교육에 참여하기 어려운 경우들이 많다며, 어 머니들에게도 웹 기반 교육의 보급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처음부터 끝까지 온라인 교육만으로 진 행하면 참여 동기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하며, 첫 회기 시작, 중간, 종료 정도에 오프라인 회기를 병행하 여 운영함으로써 참여 동기를 높이고 수료식만이라도 오프라인으로 진행할 것을 권장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및 과정에 대한 참여자들의 이러한 피드백을 반영하여 웹 기반 아버지교육의 경우, 반드시 해당 내용에 대한 인쇄된 형태의 교재 보급, 충분한 재수강 기간 확보, 오프라인 회기와의 병행 등이 보완된다면 더욱 만족스러운 교육효과가 있을 것으로 시사된다. 또한 어머니도 함께 수강할 수 있도록 허용하거나, 때로는 동시 수강을 적극 권장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여성취 업과 맞벌이 여성의 증가 추세를 반영하여 웹 기반 어머니교육프로그램의 보급도 적극적으로 권장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시사된다. 또한 수강자의 지속적인 수강 동기 유지를 촉진하기 위한 SNS를 통한 수시 독려나 수료증 배부가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일곱째, 두 번째 범주인 교육 내용과 관련해서는 다음의 만족감을 경험하였다. 다른 연령층이나 모든 연령층 자녀들을 포괄적으로 다루지 않고, 오로지 십대 청소년기 자녀들에게만 초점을 맞추어 차별적 으로 내용을 구성한 점, 그리고 어머니와 혼합이 아닌, 아버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용을 구성한 점이 만족스러웠다. 또한 자녀와의 관계 또는 청소년기의 특성만 다루지 않고, 아버지 개인의 심리적 안녕과 부부간 관계까지 포함하여 내용을 구성한 점이 만족스러웠다. 실제적 방법을 알려주는 내용을 제공할 때 상황극 사례시연 방식으로 전달한 점이 크게 만족스러웠고, 해당 방법뿐 아니라 그 해당 방법이 필 요한 이유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함께 제공한 점이 크게 도움이 되어 만족스러웠다.

    하지만 내용 관련하여 만족한 부분 외에, 불편한 사항 및 제안사항도 있었다. 아버지는 전문가도 상 담가도 아닌, 그저 평범한 아버지일 뿐인데, 어떤 일부 내용은 너무 전문적이고 학문적인 내용을 알려 주었기 때문에 부담스러웠다. 본 아버지교육이 크게 도움이 되었지만, 일부 내용에 국한되어 있었고,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내용, 아버지가 이성 자녀를 대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태도, 자녀와의 스 킨쉽, 애정표현, 다양한 상황별 대화방법과 구체적인 실제 사례 및 상황극 등 심화된 내용으로 단계별 시리즈로 구성하여 추가 내용을 전달하여 주길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추후 아버지교육 의 내용을 구성할 때는 이론적 배경을 함께 제공하기는 하되 너무 전문적이거나 심화된 학문적인 내용 은 지양하고 좀 더 다양한 상황별로 청소년 자녀와의 관계에 실제로 바로 적용해볼 수 있는 상황극 형태 의 실제 사례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전달할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위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웹 기간 아버지교육을 실시할 때 교육 효과와 프로그램 활용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재의 보급, 충분한 재수강 기간 확보, 수강에 어머니 참여 적 극 유도, 수강에 대한 지속적인 동기유발을 위해 수시로 SNS를 통한 독려, 오프라인 모임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십대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들을 위한 추가적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내용구성과 운영 방법에 반영할 수 있으며, 기존 교육프로그램의 보다 효과적인 운영에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더불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십대 청소년 자 녀의 아버지들을 위한 웹 기반 아버지교육 참여자들의 경험만을 분석한 결과이다. 따라서 오프라인 아 버지교육 참여자들의 경험을 반영해주지는 못하며 또한 다른 연령대 자녀를 둔 아버지교육 참여자들의 경험을 반영해주지는 못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웹 교육만으로 실시된 교육프로그램에 참 여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자료라서 온-오프라인 병행 프로그램 참여자의 경험을 제대로 반영해 주지 못한다. 이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의 결과는 십대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참여경험에 대한 자료로만, 또한 웹 기반 아버지교육에 대한 자료로만 국한시켜 해석해야 한다. 따라서 추후연구에서는 동일한 프로그램을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실시한 경우 참여자의 경험은 어떠한지, 오프라인 교육만으 로 진행했을 경우 참여자의 경험은 어떠한지, 청소년기가 아닌 다른 연령층 자녀의 아버지들을 대상으 로 한 웹 기반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경험은 어떠한지 질적 경험을 분석하는 추가적 연구를 통해 분화 된 결과자료를 확보할 것을 제안한다.

    Figures

    Tables

    Participants’ Background Information

    Summary of Categorizing Constructs

    References

    1. Bae, J. H., Kim, S. Y., & Lee, S. Y. (2016). Fathers’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of father involve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6(2), 271-294.
    2. Baruch, G. K., & Barnett, R. C. (1986). Role quality, multiple role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life wom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3), 578.
    3.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4. Bem, S. L. (1981). Bem sex-role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5. Bronfenbrenner, U. (1989). Ecological system theory. Annals of Child Development, 6, 189-249.
    6. Brown, B. L. (2000). Web-based training. ERIC Digest No. 218. ERIC Cleaning house on Adul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olumbus, OH. ED 445234.
    7. Cho, S. H. (2004). Content analysis and research trend on father-adolescent relationship: Centering on theses published between 1970 and 2002. Journal of Youth Welfare, 6(2), 129-145.
    8. Cho, S. H. (2011). Analysis of trends in Korea research on father.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4(4), 1-27.
    9. Cook, R., & Rule, S. (2001). When face to face won't work: Internet-based groups. Growing Partnerships for Rural Special Education, Conference Proceedings, San Diego, CA, March 29-31.
    10. Cres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005. London: Sage Publications.
    11. Deutelbaum, W. (1995). Family support in cyberspace? Circulating on the multimedia and telecommunications highway, Family support reaching out. In Goetz, K. (Ed.), Family Resource Coalition. Chicago, IL. ERIC, ED390532.
    12. Dollahite, D, C., & Hawkins, A. J. (1997). Father work : A conceptual ethic of fathering as generative work: as generative work. In Hawkins, A. J., & Dollahite, D. C. (Eds), Generative Fathering. London: Sage Publication.
    13. Epstein, M. (1999). Distance education: When distance is an issue. Technology update, Kent State University, OH. Ohio Literacy Resource Center, ERIC, ED428292.
    14. Frankel, R. M. (1999). Standards of qualitative research. In Crabtree, B. F., & Miller, W. L. (Eds.), Doing Qualitative Research (2nd ed., pp. 333-346). Thousand Oaks, CA: Sage.
    15. Guilamo-Ramos, V., Bouris, A., Jaccard, J., Gonzalez, B., McCoy, W., & Aranda, D. (2011). A parent-based intervention to reduce sexual risk behavior in early adolescence: Building alliances between physicians, social workers, and par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8(2), 159-163.
    16. Guilamo-Ramos, V., Jaccard, J., Dittus, P., & Bouris, A. M. (2006). Parental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ccessibility: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risk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8(5), 1229–1246.
    17. Guilamo-Ramos, V., Lee, J. J., Kantor, L. M., Levine, D. S., Baum, S., & Johnsen, J. (2015). Potential for using online and mobile education with parents and adolescents to impact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Prevention Science, 16(1), 53-60.
    18. Gwon, G. N.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father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e-Learning for childrearing role ability improvement of father of young children in low-income family.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1(1), 5-20.
    19. Han, C. G., & Kim, Y. S. (2016). A Phenomenological study on participation experience in Duranno Father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herapist, 8(3), 469-492.
    20. Helfenbaum-Kun, E. D., & Oritz, C. (2007). Parent-training groups for fathers of Head Start Children: A pilot study of their feasibility and impact of child behavior and intra-familial relationships. Child & Family Behavior Therapy, 29(2), 47-64.
    21. Hong, G. H., & Hwang, J. H. (2007) The experience of paternity: Fathers of primary school aged childre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1(2), 5-24.
    22. Hong, J. H. (2004).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web-based parents education program.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23. Horm, T. S., & Amorse, A. J. (2002). Sources of competence information, In Duda, J. L. (Ed.), Advances in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Measurement. Morgan town, WV : Fitness Information Technology.
    24. Jones, T. L., & Prinz, R. J. (2005). Potential roles of parental self-efficacy in parent and child adjustment: A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5, 341-363.
    25. Kang, K. J., & Lee, Y. J. (2010).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of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8(4), 89–101.
    26. Kim, J. W. (2008).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6(1), 1-14.
    27. Kroth, R. (1989). School- based parent involvement program. In Fine, M. J. (Ed.) The Second Handbook of Parent Education (pp. 119-143). New York: Academic Press.
    28. Kwon, H. J. (2013). The meaning of father’s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father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9(5), 461-488.
    29. Lamb, M. E. (2004).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4th ed.) New York: Wiley.
    30. Lee, J. J., & Lee, J. Y. (2014). Research trends on parent education program.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5(2), 943-967.
    31. Marks, L., & Palkovitz, M. R. (2004). American fatherhood types: The good, the bad, and the uninterested. Fathering, 2(2), 113-129.
    32. McBride, B. A. (1991). Parental support programs and paternal stress: An exploratory stud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2), 137-149.
    33. Meadow, L. M., & Morse, J. M. (2001). Constructing evidence within HIV disease.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13(3), 271-284.
    34. Merriam, S., & Caferella, R. (1999). Learning in adulthood: A comprehensive guide (2n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5. Nordqvist C., Hanberger, L., Timpka, T., & Nordfeldt, S. (2009). Health professionals' attitudes towards using a web 2.0 portal for child and adolescent diabetes care: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1(2), e12.
    36. Park, S. G., Kim, S. J., & Moon, S. H. (2014). A qualitative study on the role performance of Youth Compan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7), 119-144.
    37. Pleck, J. H., & Masciarelli, B. P. (2004). Paternal Involvement by US residential fathers: Levels, sources, and consequences. In Lamb, M. E. (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4th ed.). New York: Wiley.
    38. Powell, D. R. (1988). Emerging directions in parent-child early intervention. In Sigel, I. E. (Series Ed.) & Powell, D. F. (Vol. Ed.), A Advances in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3. Parent Education as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pp. 1-22). Norwood, NJ: ABLEX.
    39. Rogers, S. J., & White, L. K. (1998). Satisfaction with parenting : The role of marital happiness, family structure, and parents' gende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2), 293-308.
    40. Rue, E. Y., Park, S. M., Cho, Y. J., & Chen, S. M. (2012).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peer relationships: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herapist, 4(2), 77-94.
    41. Scull, T. M., Malik, C. V., Keefe, E. M., & Schoemann, A. (2019). Evaluating the short-term impact of Media Aware Parent, a web-based program for parents with the goal of adolescent sexual health promo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8(9), 1686-1706.
    42. Seo, E. J. (2013). Study on needs to establish competence that considered educational object and social demand in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2), 125-138.
    43. Shawn M., & Knudson-Martin, C. (2006). Father responsibility: Couple processes and the co-construction of fatherhood. Family Process, 45(1), 19-37.
    44. Shin, Y. J. (2009). Building a new model of responsive father education program.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12(3), 47-72.
    45. Song, H. R., Koh, S. K., Park, J. Y., Kwon, H. J., Kim, Y. K., & Jin, M. J. (2010). Men’s father-role in the context of family friendly environment.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4), 341-361.
    46.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47. Suh, E. J. (2012). Father education program through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Study. Korea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9(2), 35-51.
    48. Swallow, V., Carolan, I., & Smith, T. (2016). A novel interactive health communication application (IHCA)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long-term conditions: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feasibility assessment. Informatics for Health & Social Care, 41(1), 20-46.
    49. Taskin, N., & Erkan, S. (2009). The influence of father education programs on the levels of father involvement with children: An experimental study. Hacettepe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 37, 136-148.
    50. Thrower, S. N., Harwood, C. G., & Spray, C. M. (2016). Educating and supporting tennis parents: A grounded theory of parents’ needs during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Sport, Exercise, and Performance Psychology, 5(2), 107–124.
    51. Thrower, S. N., Harwood, C. G., & Spray, C. M. (2019). Educating and supporting tennis parents using web-based delivery methods: A novel online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31(3), 303-323.
    52. Villarruel, A. M., Loveland-Cherry, C. J., & Ronis, D. L. (2010). Testing the efficacy of a computer-based parent-adolescent sexu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Latino parents. Family Relations: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pplied Family Studies, 59(5), 533–543.
    53. Webb, T. L., Joseph, J., Yardley, L. & Michie, S. (2010) Using the internet to promote health behavior chang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theoretical basis, use of behavior change techniques, and mode of delivery on efficac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2(1), e4.
    54. Williams, J. W. (1999). The chat rood as an integral part of the virtual classroom in distance learning program design for adult learners. Research Reports,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MO, ERIC, ED439252.
    55. Yoon, K. Y., & Seo, J. Y. (2001). An analysis on theses in the field of parent education program. Education Development, 20(1), 129-155.
    56. Yoon, S. M. (2016). A qualitative study for developing a web-based father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fathers of adolescent childre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1(4), 655-684.
    57. Yoon, S. M. (2017). The explorato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fathering psycho-education program for the fathers of adolescent childre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1), 79-105.
    58. Yoon, S. M. (2019).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fathering psycho-education program for the fathers of adolescent childre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6(10),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