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4 No.4 pp.559-586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9.24.4.6

A Study on the Recognition Types of Respect for Life Using the Q Methodology*

Ji-Young Lee, So-Hee Lee
Director, Life Insurance Social Philanthropy Foundation, Seoul, 03187, Korea
Professor, Department of Child Welfar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04310, Korea
*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first author’s doctoral dissertation.



Corresponding Author: Life Insurance Social Philanthropy Foundation. (E-mail: bigtree98@hanmail.net)
November 15, 2019 ; December 3, 2019 ; December 7, 2019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search to identify subjective perception types for life Respect an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The first step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is study was to secure a statement by conducting literature research, survey and interview step by step to establish Q group. In the second stage, Q-sample was over the course of four Validation. In the third stage, a total of 60 P samples were confirmed, and Q-sorting was conducted to the selected P samples. In step 5, the factor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QUANL-PC program.



As a result, there are five types of recognition for life respect. After naming reflecting the interpretation of characteristics by type, it was confirmed through expert content validity. Content validity was made on a five-point scale, and it went through the revision-revision process in consideration of the naming by type suggested by the subjects. The final type of destructive naming is type 1 ‘common sense non-severe’, type 2 ‘active human-centered’, type 3 ‘objective tolerant’, type 4 ‘natural circularism’ and type 5 ‘Social responsibility type. Through this study, we can see that the recognition of life respect needs to reflect the values and dignity of life respect, as well as active practice, the coexistence of nature and human beings, and social phenomena.



Q방법론을 활용한 생명존중의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이 지영, 이 소희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간은 자연 속에서 태어나고 살아가며 자연은 인간이 살아가는 배경이자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오늘날 우리가 처해 있는 현실은 이러한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은 잊고 생활의 풍요와 편리함, 맹 목적인 이윤추구를 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환경의 문제, 지구 온난화 등과 같은 문제들과 생태계 파 괴, 생명 경시, 인간성 상실이라는 위기상황을 발생시키게 되었으며 자살, 묻지마 살인, 안전사고, 아 동학대 등 생명을 위협하는 사회문제[16, 18, 29]가 잇따르는 가운데 지금 우리 인류에게 ‘생명’이란 주제는 그 어느 것 보다도 우선하는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이렇듯 ‘생명’과 관련된 문제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인 이슈로 확산 되었는데 이를 반영하여 2012년 3월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이 시행되었다. 이 법의 목적은 자살에 대한 국가의 책무를 밝히고 더불어 예방정책에 필요한 사항들을 정하여 국민의 생명을 보호함과 동시에 생 명존중문화를 조성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26]. 또한 국가 생명윤리심의위원회가 2016년 5월에 생명존중 의식을 고취하고 윤리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생명존중헌장을 마련하여 ‘생명존중을 위한 선 언문’을 발표하였다. ‘생명존중을 위한 선언문’을 살펴보면, 우리 사회 속에 자리 잡은 이기주의, 황금만 능주의, 타인에 대한 배려 부족, 지나친 경쟁 위주의 교육 등이 인간의 생명을 경시하는 원인으로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생명 존중을 위한 핵심적 가치들을 실현함으로써 우리의 삶과 평화롭고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 것을 주장하였다.

    교육학자들은 생명존중교육은 모든 생명의 가치와 그 가치 실현을 존중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다른 생명들과 조화를 이루어가면서 인간의 자연성을 실현해가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제안한바 있 다[22, 5]. 이러한 맥락과 유사하게 향후 생명존중교육에 대해 생명관 확대로 방향전환을 주장한 Chung[4]은, 자신 또는 인간의 생명을 넘어서 동식물, 자연환경의 생명까지도 포함한 확대된 생명관을 받아들이고, 자연 속의 인간인 광의의 생명관을 수용하는 생명존중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대부분의 생명존중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2000년 이후에 시작되어 아직 연구 의 폭과 깊이가 미흡하고 연구 주제가 생명존중교육의 의미와 방향규정[22], 자연친화적 방법을 통한 개 입효과[9, 21, 1, 27], 교과교육에서의 함양 방법[30], 교육과정 관련 문헌 분석[4] 등이 있었으며 학생들을 대 상으로 한 연구가 실제로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사회구성원들에게 실질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생명존 중교육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적용 가능한 생명존중 교육 을 위해 사회구성원 즉, 일반인들이 인식하는 생명존중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생명존중에 관한 기본지식과 자세를 함양하고 습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을 찾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적용하였는데, Q방법론을 통해 드러나는 주관 성 유형은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동시에 시도하여 각 개인이 지니고 있는 관점으로부터 주관적인 현상 의 차원을 이해하고, 그러한 주관적 현상의 차원이 서로 어떻게 다르며, 공통적인 해석을 하는 사람들의 특성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11], 적합한 방법론으로 생명존중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어떤 생각 을 가지고 있는지 등을 탐색 및 분석하여 생명존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생명존중을 교육의 실천현장에서 직접 수행하고 있는 보 육교사 및 원장, 생명과 관련된 직업을 지닌 의사, 간호사 및 일반인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지각하는 생 명존중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2.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 연구문제 1. 생명존중에 대한 인식유형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생명존중에 대한 인식 유형별 특성은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생명에 관한 담론

    우리는 누구나 생명이 무엇인지를 알지만 ‘생명’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설명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Lee[22]는 ‘생명’은 가치의 범위에 대해 개인이나 자연에 대하여 내재적 가치 설정을 어떻게 하였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고 하였다.

    생명에 대한 범위와 의미는 내재적 가치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생명존 중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생명을 다양한 관점, 즉 철학적 관점, 의료적 관점, 사회학적 관점, 교 육복지적 관점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종교에 포함된 생명의 철학적 개념은 가톨릭, 기독교, 불교를 중점으로 살펴보면, 가톨릭에서는 인 간 생명을 하느님의 선물로 보고 인간 각자가 하느님의 모상(模像)대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인간은 누구 나 존중 받아야 하며 누구도 함부로 생명을 다루어서는 안 된다고 가르친다. 그리고 기독교에서의 생명 에 대한 개념을 보면 신약과 구약의 생명의미를 토대로 성경의 생명은 변화하는 지상적 환경 안에서 정 체성을 보존할 수 있는 개인이나 집단의 모든 활동과 관계를 가리킨다. 결국에 생명은 하나님의 소유이 며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주어지는 신성한 선물로써 인간에게 주어진 은혜이며 하나님을 위해 살도 록 운명 지어지는 것으로 영적 생명의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인간 생명은 다른 생명들과의 공존과 상호 의존의 개념을 지닌다[6].

    또한 불교에서는 생명이라는 말을 직접 붙여 사용하기 보다는 생과 명을 따로 쓰거나 아니면 수명이라 는 식으로 표현한다. 본 연구에서 의미하는 생명과 관련된 불교 용어로는 중생(衆生)이 가장 적합하다. 중생의 어원은 존재라는 뜻을 지니고 있어 ‘존재자’(being, entity)를 의미한다. 존재는 생물학상 존재자 분류가 인간, 생물, 생태계(생물+환경)로 구분된 것과 같이 중생의 존재자 역시 이에 해당된다[14].

    다음으로 생명에 관한 의료적 관점은 의학과 과학기술이 급격하게 발달하면서 생명의 경계에서 권리 의 인정이 위협당하고 생명과 윤리에 대한 논의는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25]. 의료적 관점에서 생명에 관 한 문제는 생명윤리에서 비롯된다. 인간복제, 배아복제, 태아에 대한 유전자 진단 및 조작, 대리모 출 산, 장기이식, 인체실험, 낙태, 존엄사 등과 같은 다양한 범위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생명에 관한 사회학적 관점에서 생명은 존중받아야 하는 인간의 권리로서 우리나라는 헌 법 제10조에「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생명 존중과 안전보장의 문제는 이러한 헌법정신의 기본적인 전제[19]이며 인간의 존엄을 헌법상 최고의 가치 로 인정하고 있다.

    국가에서는 청소년뿐만 아니라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고 생명존중의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목 적으로 2017년 8월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확산을 위한 법률을 시행하였다. 이는 법에 명시된 바 와 같이 자살예방에 있어 생명윤리의식 및 생명존중에 대한 문화를 확산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임 을 시사하고 있다.

    생명존중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자살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에서 살 펴보면, 자살위험에 노출된 국민이라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마땅히 도움을 요청할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자살의 위험에 노출되거나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국민을 적극 구조하 기 위해 필요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다음으로 사회학적 관점에서 생명은 존중받아야 하는 인간의 권리로서 우리나라는 헌법 제10조에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 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생명존중과 안전 보장의 문제는 이러한 헌법정신의 기본적인 전제이며 인간의 존엄을 헌법상 최고의 가치로 인정하고 있다. 또 하나의 사회학적 담론으로 인간의 생명과 함께 동물의 생명에 관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동물 을 재산권의 객체로만 간주하던 시대에서 근대 이후 동물의 지위에 대한 논의를 통해 동물복지와 동물 권의 개념이 나타났다. 동물복지는 명확히 정의하기 어렵지만 동물복지란 “인간의 필요에 따라 동물을 이용하기는 하되 최소한의 배려를 해주어야 한다는 개념”을 말한다[17]. 동물권은 권리 개념을 인간 이외 의 다른 생명체에게 확장시키는 것임에 더불어 인간중심적인 현행 법체계에서의 관념의 변화까지도 논 의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생명에 대한 교육복지적 관점은 생명존중교육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생명존중에 대한 교 육은 자연의 생명에 대한 관심 및 사랑뿐만 아니라 타인의 소중함에 대한 인식 및 실천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것으로 인간과 자연 생명 모두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의 생명에 대한 교육을 일컫는다[28]. 과거 의 생명존중교육이 인간중심적 자연관에 근거하여 실시되었다면 현재의 생명존중교육은 인간과 자연 이 지구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서로 상생하는 관계를 내세우며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 하다는 관점으로 변화되었다.

    이와 같이 생명존중은 나에게만 적용되거나 실천되는 것이 아닌 타인도 나처럼 소중하며 타인의 생 명을 구하기 위해 헌신과 희생을 통해 생명존중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2. 존중에 관한 인식과 태도

    존중은 산업화가 심화됨으로써 개인이 점점 소외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더욱 중요시되고 있는 가 치이다. 존중은 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의 핵심덕목으로써 자리하고 있으며, 상담 영역에서 존중은 상 담자가 내담자를 대하는 기본자세와 태도의 하나로서 상담의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2].

    존중에 대한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존중은 높이어 귀중하게 대함 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연세한국어사전에는 아주 귀중하게 여기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고 Merriam- Webster 사전에서 respect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는 행위로 제시되어 있다.

    또한 환경에 대한 존중은 인간의 관점을 벗어나 사물에 대한 존중을 설명하는 것으로 자연 존중과 노 동 존중에서 그 의미를 찾아 볼 수 있다. Kim과 Suh[13]는 자연과 더불어 마음껏 뛰어놀면서 곤충, 꽃, 짐승, 새 들의 생태를 자연스럽게 알게 되고 생명의 소중함도 터득해 나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Jeong과 Son[7]은 생명존중이란 인간의 생명을 포함한 모든 생명을 소중하게 여기며 생명을 되돌아보 고 배려하며 숙고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즉 대인 윤리뿐만 아니라 대자연의 윤리로 확대된 의미 를 뜻한다.

    존중하는 태도를 좀 더 세부적으로 정의하면 우선 생명의식은 생명과 관련된 태도를 일관성 있게 나 타내는 신념 체계이다[32]. 생명에 대한 태도는 생명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요소 들을 갖는 지속적인 지향성으로 일관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성이라고 할 수 있다. Kim[15]은 생명존중 태 도를 사람을 존중하는 것은 물론 주변의 모든 생명체나 무생물까지도 소중히 하는 태도를 기르고, 인정 하고 존중하는 것이므로 인간이 자연과의 관계에서 생명의 소중함을 느끼고 사람과 동물의 관계로 확 대하며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존중하는 태도는 존중하는 마음의 이해로부터 시작하여 생명존중, 타인존중 등 존중이라는 감정 적 마음을 행동적인 태도로 변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존중하는 태도를 이해하고 배우며 실천함으 로써 인간뿐만 아니라 생명 및 생태계에 대한 소중함을 느낄 수 있다.

    Ⅲ. 연구방법

    Q방법론은 사람들이 개인적 경험을 통해 획득한 태도와 지각을 다루기 때문에 응답자들의 주관적 구조 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방법론이다[24]. 이러한 Q방법론을 활용한 생명존중의 인식유형과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는 <Table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총 5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별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1. Q모집단 구성

    Q모집단이란 Q연구를 위해 수집된 항목의 집합체를 의미하며 한 문화 안에서 공유되는 의견의 총체 (concourse)로 Q모집단을 구성하는 방법은 문헌연구와 인터뷰가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11, 12].

    문헌연구와 인터뷰 외에 반구조화 질문지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별도로 실시하였다. 또한 Q모집단은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지만 일반적으로 진술문의 형식으로 나타내므로 본 연구에서는 생명존중과 관련 된 진술문 형식의 Q모집단을 구성하였다.

    1) 문헌연구

    Q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한 문헌연구는 국내외 학술지 및 학위논문 조사와 신문 및 인터넷 기사를 검 색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인터넷을 통한 기사 검색을 통해 방송사와 신문사에 해당 키워드 를 입력하여 검색하는 방법을 통해 생명존중에 대한 다양한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2) 설문조사

    Q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한 두 번째 단계로, 6하 원칙(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을 활용 한 반구조화 질문지를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6하 원칙을 활용한 반구조화 질문지의 일반적 특성을 묻는 문항에 자신의 직업을 쓰게 하고, 생명존 중과 관련된다고 생각하는 다른 직업은 무엇인지를 물어 그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 가서 묻는 눈덩이 표 집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선별된 63개의 생명존중과 연관된 직업을 가진 312명의 사람에게 설문조 사를 실시하여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3) 인터뷰

    Q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한 마지막 단계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그 대상은 설문조사에 적용된 63개 의 생명존중과 연관된 직업 중 9개를 선별하여 27명에게 적용되었다.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인터뷰를 통해 총 438개의 Q모집단이 구성되었다.

    2. Q표본의 선정

    Q표본(Q sample)은 Q모집단으로부터 추출된 항목으로 Q표본의 선정은 통합체가 완성되는 단계까 지의 행위를 뜻한다.

    1) Q표본의 선정 과정

    확정된 438개의 Q모집단을 Q표본으로 확정하기 위해 4차에 걸친 내용타당도 과정을 거쳤다. 1차로 438개의 Q모집단을 여러 번 반복해서 읽으면서 공통된 의미나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진술문들 중 중 복된 문장과 관련이 없는 문장을 삭제하는 과정을 진행하여 285개로 추렸다. 2차는 유아교육 관련 석‧ 박사이면서 동시에 교육 현장 20년 이상 전문가 3인과 생명존중 관련 직업 종사자 4인, 총 7인이 2차 타당화 과정을 진행하여 131개의 진술문을 구성하였다. 3차로는 아동복지 관련교수 3인, 유아관련 교 수 3인, 종합사회복지관 관장 3인,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석박사이상의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4명, 총 13인이 타당화 과정을 거쳐 77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Q방법론을 활용한 다수의 연 구 경험이 있는 교수 1인, 유아교육전공 교수 1인, 아동복지를 전공한 교수 1인, 아동복지 현장 실천 전 문가 1인, 생명존중 사업 경험이 있는 현장 전문가 1인, 총 5명의 집중 토론 및 평점을 통해 추출하여 44개의 Q표본(긍정진술문 26개, 중립진술문 11개, 부정진술문 7개)이 선정되었다.

    2) 최종 Q표본 확정

    Q표본 선정, 신뢰도 검증을 통해 확정된 최종 Q표본은 <Table 2>와 같다.

    3. P표본의 선정

    P표본(P sample)은 P모집단(P population)으로부터 추출되어 실제 Q 분류에 참여한 응답자들로 Q표본을 분류하는 Q소팅(sorting) 과정에 참여하는 피험자나, 응답자인 Q소터(sorter)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의 P표본은 연구 주제와 관련성을 지닌 직업을 가진 보육교사, 원장 및 교수 20명, 생명존 중과 관련된 직업 5년 이상 경력의 현장 전문가 20명, 생명존중교육1)을 이수한 5명과 기타 직업의 종사 자 15명 총 60명을 P표본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P표본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아래〈Table 3〉과 같다.

    4. Q표본 분류

    Q분류 과정의 기간은 2018년 6월 27일부터 7월 29일까지 33일간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Q분류 전 P표본인 분류 대상자에게 연구 주제와 소요시간을 간략히 설명하고 각 진술문들을 주어진 분포를 고 려하여 분류하도록 요청하고 양 극단에 놓인 항목(-5와 +5)에 대해서 별도의 추가 인터뷰를 실시하 였다.

    5. 자료처리 및 분석

    1) Q요인분석

    Q분류 과정이 끝난 후 이를 점수화하기 위해 분포도에서 가장 동의하지 않는, 중립, 가장 동의하 는 것으로 구분하여 점수화하였다. 60명의 P표본으로부터 수집된 Q소트를 점수화하는 과정으로 <Table 4>와 같다.

    점수화된 자료는 컴퓨터 프로그램 자료 파일(data file)로 입력, 자료코딩 후, QUANL PC Program을 통해 Q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류된 Q표본의 항목에 배정된 점수를 주어 입력한 후 항목별 평균, 표준편차, 표준점수를 구하고, P표본을 축으로 하는 ‘주성분분석방법(Principle component analysis)’과 비상관 요인(uncorrelated factors)을 산출하기 위해 베리맥스(Varimax Rotation)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최적의 요인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요인수를 여러 번 입력시켜 최종선택하고, 산출한 결과 중 아이겐 값(Eigen Value)이 1.00 이상이면서, 상관관계를 유념하여 각 유형의 고유성이 인정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2) 전문가 내용타당도

    생명존중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5개의 유형이 도출되었고 각 유형의 핵심내용, 핵심개념, 유형명명 이 적절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유아교육관련 교수 및 박사학위 소지자, 현장 전문가 10인에게 전문 가 내용타당도를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생명존중의 인식유형과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의 결과분석은 3단계를 거쳐 실시되었다. 먼저 QUANL-PC 프로그램을 통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기반으로 인식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 였다.

    1. 생명존중의 인식유형 분석결과

    생명존중의 인식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별 고유치와 변량의 백분율, 유형간 상 관계수, 유형별 요인 가중치와 공통일치 진술문, 유형별 진술문 비교를 실시하였다.

    1) 요인별 고유치와 변량의 백분율

    생명존중의 인식유형과 구성요인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해 Q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5 개의 유형을 발견하였다. 각각의 유형은 비슷한 의견이나 생각, 태도를 지닌 대상자가 서로 묶이게 되 므로 유형별 특성을 설명한다. 요인별 고유치(eigen value)와 변량은 <Table 5>와 같다.

    전체 설명 변량이 약 44%라는 의미는 본 연구의 방법론을 가지고 생명존중의 인식유형 연구결과 나타 난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전체 일반인의 약 44%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1유형은 변량이 0.2442, 2유 형은 0.0676, 3유형의 변량은 0.0513, 4유형은 0.0410, 5유형은 0.0.362이며, 누적변량은 0.4403으 로 나타났다.

    2) 유형간 상관계수

    각 유형 간의 상관관계는 각 유형간의 유사정도를 보여준다. 1유형과 2유형은 0.587, 1유형과 3유형은 0.595, 1유형과 4유형은 0.550으로 나타났으며 2유형과 3유형은 0.455%, 2유형과 4유형은 0.425%, 2유형과 5유형은 0.481%이며 3유형과 4유형은 0.432%, 4유형과 5유형은 0.404%로 나타났다. 자 세한 사항은 다음 <Table 6>과 같다.

    1유형과 5형의 상관계수는 0.335%, 4유형과 5형의 상관계수는 0.325%,를 보이고 있어 이들 유형 은 비교적 이질적이라고 이해 할 수 있다.

    3) 유형별 인자 적재치

    연구 대상자 60명 가운데 1유형에 속한 사람은 13명, 2유형은 19명, 3유형은 15명, 4유형은 8명, 5 유형은 5명으로 분류되었으며 <Table 7>과 같다.

    1유형에서 대표적인 사람은 적재치가 높은 P19(1.3545), P32(1.1125), P07(1.0430)이다. 2유형의 대표적인 사람들은 P02(1.1577), P24(0.9487), P22(0.8619)이다. 3유형의 대표적인 사람들은 P55 (1.4805), p44(1.2238), p14(1.0033)이고 4유형의 대표적인 사람들은 P09(0.9861), P27(0.9535), P23(0.7276)이다. 5유형의 대표적인 사람들은P58(1.3572), P59(1.3302), P56(0.5268)이다.

    4) 공통의 진술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이 공통적으로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항목을 통하여, 생명존중에 대한 일치된 의견을 살펴보았다. 5가지의 유형에서 모두 비슷한 평가를 받은 항목들은 <Table 8>과 같다.

    2. 생명존중의 인식 유형별 특성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일치항목을 제시하여 해석한 후, 전체 Q진술문에 대한 유형간의 표준 점 수를 분석하여 기술하고 추출된 5개 유형별 동의·비동의 진술문의 표준점수(Z점수)를 살펴보고, 타 유형들의 평균 표준점수와 비교하여 각 유형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1) 1유형: 상식적 비심각형

    1유형에 속한 사람들은 상식적으로 생명존중에 대해 생각하고 있으며 우리사회가 생명경시에 대해 서 특별한 심각성을 인식하지 않는 유형이다. 따라서 이 유형을 ‘상식적 비심각형’이라고 명명한다. <Table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 유형은 ‘생명존중이 실현되면 모두가 행복해질 것이다(#30, d=2.001)’가 가장 강한 동의를 보였으며, 반면 가장 비동의 항목은 ‘생명존중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사 회적,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19, z=-0.239)’이다. 유형1은 생명존중에 관하여 상식적 수준 의 이해를 나타내지만 현재 우리사회의 생명존중문화에 대해서는 낙천적인 면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이한 점은 아동학대는 생명존중을 하지 않는다는 것에 부정적이었다는 점이다. 1유형의 전 형으로서 인자가중치가 높은 사람은 p=19(1.3545)번이며 가장 부정적으로 여긴 항목 6번 진술문으로 대형 사고에서 생존한 경우 특별한 선택이 좌우했다고 보지 않기 때문이었다. 생존을 위한 다양한 적응 력이나 환경적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1유형이 <Table 10>과 같이 타 유형과 가장 차이를 보이는 긍정 진술문은 ‘생명존중은 자신을 사랑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23, z=1.81)’이고, 가장 부정적 평가를 받은 항목은 ‘대형 재난사고에서 생 존한 사람들은 특별하게 선택 받은 것이다(#06, z=-2.33)’로 생명존중은 특별한 사람에게만 해당된다 거나 또는 우리사회가 생명존중을 특별한 분야에서만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우 리사회는 생명경시 풍조가 만연하다는 것에 대해 반대하고 있어서 이 유형의 사람들이 평범하고 상식 적인 사람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 2유형: 적극적 인간중심형

    2유형에 속한 사람들은 상당히 생명을 존중하기 위해서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적극적 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즉 이들은 생명존중이란 인간의 생명을 중심으로 존중되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서는 희생과 헌신도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생명을 인간의 생명에만 국한시켜서 바라보는 유형이다. 따라서 이 유형을 ‘적극적 인간중심형’이라고 명명한다. <Table 1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 유형은 ‘내 생명이 소중하다면 타인의 생명도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4, z=2.10)’가 가장 강한 동의를 보였으며, 반면 가장 비동의 항목은 ‘대형 재난사고에서 생존한 사람들은 특별하게 선택받은 것이다(#06, z=-1.76)’이다. 이는 대형재난사고에서 생존한 사람들에 대한 특별한 인식을 부정하면서, 생명존중 사 상이 환경보존이라는 생태적 관점보다는 인간생명 중심적 관점을 드러낸다. 2유형의 전형으로서 인자 가중치가 높은 사람 p=2.(1.1577)는 가장 동의하는 진술문은 4번 ‘내 생명이 소중하다면 타인의 생명도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이다. 생명존중은 나에게만 적용되거나 실천되는 것이 아닌 타인도 나처럼 소중 하다는 생각은 동일해야하기 때문에 내 생명이 소중하면 타인의 생명도 존중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 하고 있다.

    2유형이 <Table 12>와 같이 타 유형과 가장 차이를 보이는 긍정 진술문은 ‘생명은 신으로부터 부여 받은 것이기에 함부로 해서는 안된다(#10, z=2.08)’이고, 가장 부정적 평가를 받은 항목은 ‘생명존중 사상은 환경보존을 위해서 필요하다(#17, z=-1.67)’이다. 이는 생명존중 사상이 환경보존이라는 생태 적 관점보다는 인간생명 중심적 관점을 드러낸다. 2유형에 속한 사람들이 환경이라는 범위 보다는 인 간을 중심으로 생명존중을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3유형: 객관적 방관형

    3유형에 속한 사람들은 1유형처럼 객관적이지만 보다 일반적 명제에서 벗어나 자신의 권리, 의무 등 사회속의 자아를 보다 명확하게 인식한다는 점이다. 또한 2유형과 유사하게 생명존중의 시작을 자신과 타인을 사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고 존중해야 함을 인식하였지만 적극성 부분에서는 2유형보다는 소극적이었다. 따라서 이 유형을 ‘객관적 방관형’이라고 명명한다. <Table 1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 유형은 ‘내 생명이 소중하다면 타인의 생명도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04, z= 2.14)’가 가장 강한 동의 를 보였으며, 반면 가장 비동의 항목은 ‘생명은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이기 때문에 인간이 함부로 해서 는 안되는 것이며(#10,=-2.55)’이다. 이들 유형은 생명존중에 대하여 일반적이고 객관적으로 생각하 는 유형으로 생명존중에 관한 일반적 명제들에는 동의하고 있으나 1번 보다는 생명존중에 관하여 자아 를 개입하여 인식하고자 한다. 3유형의 전형으로서 인자가중치가 높은 사람은 p=44로 진술문 4 ‘내 생 명이 소중하다면 타인의 생명도 소중하다’에 강한 동의를 나타내었다. 이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이렇게 생각할 것 같다’라고 자신의 객관적 인식을 드러내었으며, ‘나도 소중하듯이 타인의 생명 또한 소중하다 고 생각한다’라고 하였다.

    3유형이 <Table 14>와 같이 타 유형과 가장 차이를 보이는 긍정 진술문은 ‘생명존중의 실천은 보건, 복지, 의료분야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한다(#3, z=.489)’이고, 가장 부정적 평가를 받은 항목은 ‘생명은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이기 때문에 인간이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10, z=-2.548)’이다. 이는 생명존 중에 대해서 현실을 반영한 객관적 판단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면서도 환경속의 개인관점을 개입하 여 생명존중을 바라보고자 하는 유형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4) 4유형 : 자연적 순환주의형

    4유형에 속한 사람들은 생명존중의 범위를 자연까지 확장하면서, 생명의 가치를 인정, 자연의 순환적 법칙을 내재화 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적 순환주의형’이라고 명명한다. <Table 1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 유형은 ‘모든 생명체는 생명의 소중함에 있어 차이가 없다’(#14, z=2.61)‘가 가장 강한 동의를 보였으며, 반면 가장 비동의 항목은 ‘대형 재난사고에서 생존한 사람들은 특별하게 선택 받은 것이다(#6, z=-2.10)’이 다. 이들 유형은 생명존중이란 모든 생명체에 적용된다고 생각하며 그 범위를 인간을 넘어 자연까지 확장하 는 것이 특징이며 자연의 순환구조를 이미 받아들이고 있으므로 생명의 탄생과 죽음이 생명존중을 일깨우 는 계기가 되지는 않는 것으로 여긴다. 4유형의 전형으로서 인자가중치가 높은 사람 p=9는 37번 ‘인간을 넘어 모든 생명체는 존중되어야 한다’에 강한 동의를 나타내면서 생명존중은 모든 생명체에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인간에 대한 생명존중만 이루어진다면 인간의 생명은 위협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4유형이 <Table 16>과 같이 타 유형과 가장 차이를 보이는 긍정 진술문은 ‘모든 생명체는 생명의 소 중함에 있어 차이가 없다’(#14, z=2.61)‘이고, 가장 부정적 평가를 받은 항목은 '생명이 소중한 이유는 단 하나이기 때문이다(#15, z=-1.12)'이다. 이는 자연이라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생명을 개념화하고 있 기에 유일성이라는 가치에는 의미를 두고 있지 않는다. 또한 자연의 순환구조를 이미 받아들이고 있으 므로 생명의 탄생과 죽음이 생명존중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5) 5유형: 사회적 책임형

    5유형에 속한 사람들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나 위험으로부터 생명존중에 대한 인식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사회적 안정장치의 마련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 회적 책임형’이라고 명명한다. <Table 1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 유형은 ‘생명존중은 자신을 사랑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23, z=1.83)’가 가장 강한 동의를 보였으며, 반면 가장 비동의 항목은 ‘인간을 위한 편의도구들은 생명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만들어져야한다(#38 z=-1.83)’이다. 이들 유형은 생명 존중은 개인을 사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지만 이를 지속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실천이 동반되어야 함과 동시에 이를 뒷받침해 줄 사회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함을 알 수 있다. 4유형의 전형으로서 인자가중치가 높은 사람 P=58는 5번 ‘뉴스를 통해 사건 사고 소식을 접할 때 생명의 소중함 을 실감 한다’로 대형 사고를 직접 볼 때 더 예민해져서 생명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거나 TV에서 재난 사고에 대한 방송을 할 때 , 또는 재난에 처한 사람들을 도와주는 것을 볼 때 등 사회적으로 시끄러울 때 생명의 소중함을 더 느끼게 됨을 이야기 하였다. 또한 인간의 생명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다양한 제 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강하게 드러내었다.

    5유형이 <Table 18>과 같이 타 유형과 가장 차이를 보이는 긍정 진술문은 ‘우리사회에는 생명을 구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존중하지 않는다(#34, z=1.28)’이고, 가장 부정적 평가를 받은 항목은 ‘모 든 생명체는 생명의 소중함에 있어 차이가 없다(#14, z=-1.15)’이다. 이는 생명의 소중함이 일깨워지 는 동기가 사회적 사건사고를 통해 인식되고, 이러한 뉴스를 통하여 생명관련 직업에 종사하는 분들에 대한 부당한 처우에 대하여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명의 소중함에 있어서 순위를 지 니고 있다고 인식하면서도 이러한 생명존중을 통해 모두가 행복해질 것이라는 단선적인 사고를 지향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생명존중교육 및 구성요인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방법적, 실천적 측면에서 논의를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이론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생명경시 현상의 확산 등을 반영하여 생 명존중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유형을 확인하는 것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즉 생명존중의 중요성과 생명 존중 교육의 필요성을 기반으로 실시되어 생명존중의 인식유형과 각 유형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 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생명존중은 상식적인 수준으로 이해를 하고 있는 상식적 비심각형, 인간중심으로 생명 존중을 이해하지만 적극적 태도를 나타내는 적극적 인간중심형, 객관적으로 생명존중을 생각하지만 방 관적 자세를 취하는 객관적 방관형, 자연주의 사상에 바탕을 두고 모두 자연으로 돌아가는 존재이므로 모든 생명체는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자연적 순환주의형, 생명존중을 위해 사회 제도적 시스템을 마련 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사회적 책임형으로 나타났다.

    생명존중 교육을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 해 보면 생명존중 교육을 개입하는 것은 나 또는 인간의 생명 뿐만 아니라 동·식물을 포함한 자연환경의 생명을 인식하고 행동으로 실천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생명존중교육이 생명관이 확대되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한 Chung[3]의 견해를 본 연구결과에서 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생명을 자연과의 상호의존, 공생, 상호연관과 보완의 원리로 이루어진다는 연구[28], 모든 생명체나 무생물까지도 소중히 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 생명존중 태도임을 주장한 연구[15, 2]와 4유형의 자연적 순환주의형의 인식과도 동일한 맥락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 문제를 인식하고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사회적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사 회적 책임형은 인간 존엄성의 원리, 공동선의 원리, 연대성의 원리(가톨릭교회교리서) 등 종교적 관점 에서 생명존중을 이해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 지금까지의 생명존중교육에 관한 선행연구와 같이 생명을 단순히 자연, 동식물로 한정 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과의 공존과 상생을 하고자 하는 범위까지 포함하여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으 며, 때로는 인간을 중심으로만 적극적 행동을 취하여 생명존중을 하는 유형도 있으며, 사회적으로 민감 한 이슈를 중심으로 반영하는 것까지도 생명존중에 포함된다고 보는 통합적 관점의 새로운 시각과 생 명존중 사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적 측면은 생명존중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는데 이 는 가설을 발견해 가는 추론적 과정이고, 이 과정을 통하여 무엇이 문제인지, 어떤 쟁점을 각 개인이 어 떻게 구조화 하였는지를 찾아내기 때문이다[11]. 연구의 출발은 기존의 생명존중교육에서 무엇이 더 필 요한지, 혹 우리가 ‘생명존중’을 교육할 때 간과하고 있는 것은 없는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되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단순히 유형을 파악하거나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 직접적으로 반영되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유아교사, 원장 등 유아교육 전문가, 생명관련 직업군 등 다양한 P표본을 활용하여 최종 진술문 44개를 Q-sorting하였으며 동의, 비동의 진술문 중심으로 통하여 해석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을 심층인터 뷰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총 5개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각 유형별 동의, 비동의 진술문 해석을 통한 명명이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실천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자살 및 아동학대 등의 사회 적 이슈에 따라 생명존중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증가[16]되고 있지만 그에 따른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기초로 생명존중의 포괄적인 교육과 현장에서 실천하는 행동까지 연결되지 못하는 것이 현재 실정이 며, 이것은 생명존중에 대한 인식이 범국민적으로 개선과 이를 위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19]하다는 것을 반증한다.

    따라서 생명경시가 만연한 사회 환경 속 실질적 생명존중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실질적 생명 존중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특화된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부모, 성인의 생명존중 교육의 필요성[10] 이 제기되며 현장에서 이를 실천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질 필요가 있다.

    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이루어 질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확인된 각 인식유형별 핵심내용과 개념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즉 각 인식유형별 추출된 핵심개념을 생명존중 교육의 기본 구성요소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생명관 확장 및 생명존중 철학 등 생명존중 소양 함양 및 증진을 위한 연구 등이 수행되어져야 한다. 또한 생명 존중교육 구성요인에 대한 양적 연구가 병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이는 생명존중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며,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방향을 제시하는 또 다른 도구가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 대상은 P표본 60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을 하였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 면에서 한 계를 지닐 수 있다. 또한 생명존중이라는 주제는 전 세대를 아울러 중요한 주제이므로 발달단계별 생명 존중 인식유형을 살펴보는 비교연구 등이 수행될 수 있다.

    Figures

    Tables

    Research procedure

    Final Q samp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 Sample Subjects

    Q sorting distribution score (N=44)

    Eigenvalue by factors and percentage of variable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ypes

    Factor loading value for each type

    Average standard score for common statements

    Statement greater than Z-SCORE ±1.00 in Type 1

    Statements with the difference of ±1.00 or more in the average standard score between type 1 and other types

    Statement greater than Z-SCORE ±1.00 in Type

    Statements with the difference of ±1.00 or more in the average standard score between type 2 and other types

    Statement greater than Z-SCORE ±1.00 in Type 3

    Statements with the difference of ±1.00 or more in the average standard score between type 3 and other types

    Statement greater than Z-SCORE ±1.00 in Type 4

    Statements with the difference of ±1.00 or more in the average standard score between type 4 and other types

    Statement greater than Z-SCORE ±1.00 in Type 5

    Statements with the difference of ±1.00 or more in the average standard score between type 5 and other types

    References

    1. Byeon, H. S. (2018). The effects of life respect based forest experience activity on children's personality and socialization. Master’s Thesis 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2. Cho, H. S., & Kim, J. M. (2010). Exploration of the educational meaning of nature inquiry activities and related journal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4(2).
    3. Chung, M. R. (2002). A comparative study of respect education for living things reflected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elementary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4), 159-185.
    4. Chung, M. R. (2013). Developing and applying a life-esteem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 for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literacy. The Korea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3(3), 319-347.
    5. Frankena, R. (1979). A non-linear optimal control law for linear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159-178.
    6. Han, S. G. (1998). Human cloning, what do you think. Theological Horizon, 9(1), 127-152.
    7. Jeong, H. M., & Son, S. N. (2010). Thoughts of Donghak and life respect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dea, 24(3), 263-289.
    8. Jo, H. S. (2015).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respecting other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on Graduate School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9. Kang, Y. S., & Kim, Y. S. (2012). An effect of forests activities for life respect on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2), 1-18.
    10. Kim, G. Y. (2012). Effects of respect lif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toral Thesis on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11. Kim, H. K. (2008). The Q methodology-philosophy of science, Theory, Analysis and Application. Seoul: Communicationbooks.
    12. Kim, H. K., & Hong, J. S. (2009). A study on the motivation and attitudinal factors of overseas travelers-Approach to Q-methodology.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41, 51-75.
    13. Kim, K. H., & Suh, Y. S. (2007). Effect of ecology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ject on children's environment-respect knowledge. Sook-Myung Journal Of Child Study, 20(1), 1-24.
    14. Kim, J. W. (2005). A buddhist interpretation of life.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12(1), 7-40.
    15. Kim, J. W. (2016). Changes in the life-respect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through the worm caring activity. Master’s Thesis on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16. Kim, M. O. (2012). The effects of teachers' recognition level, practice level, and practice intention of life respect on toddlers' life respect. The Journal of Creative Personality with MeFOT, 1(1), 131-152.
    17. Kim, S. W.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cept, ethical evidence and consumer perception of animal welfare.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onsumer Studies Spring Conference, 2014(5), 124-159.
    18. Kim, S. J. (2013). Moral ground of personalism bioethics: human good, human dignity, human person. Personalism Bioethics, 3(1), 27-52.
    19. Korean Bar Association. (2017). Special committee forum on life respect and disaster safety.
    20. Lawrence-Lightfoot, Sara. (2000). Respect. New York: Perseus Books.
    21. Lee, M. S. (2013). The influence of everyday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on children's recognition of life-respect and emotional intelligence. Master’s Thesis on Graduate School of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Korea.
    22. Lee, B. N. (2004).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Life-Esteem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9), 143-163.
    23.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2018). National action plan for suicide prevention.
    24. Nam, G. Y. (2016). A typological study on voters toward preliminary presidential candidates' Images.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33, 87-111.
    25. Oh, S. J. (2017). A study on the self-determination in the perspective of personalism bioethics. Master’s Thesis on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26. Park, J. I. (2012). A study on suicide prevention and establishment of culture of respect for life law. Master’s Thesis on Graduate School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27. Pererson, N. (1982). Developmental variables affect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professional environmental educa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t Carbondale.
    28. Ryu, M. H. (2011). A basic study for developing the life respect education curriculum: The implications of the Buddhist philosophy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9(1), 21-40.
    29. Seo. H., & Kim, H. H. (2015).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respect for life in children’s stories included in teachers’ guidebooks of the nuri curriculum for 3 to 5-year-old children.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92, 67-101.
    30. Seo, I. S. (2003). Elementary moral education for the respect for life. Journal of Moral Education Studies, 4, 57-74.
    31. Sherman N.(1998). Concrete Kantian Respect. Social Philosophy & Policy, 15(1), 119-148.
    32. Song, M. K. (2012). The effects of a life-respect educ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fear of death, suicide risk, and values on life-respect. Doctoral Thesis on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