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4 No.4 pp.627-642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19.24.4.9

The Effect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Coaching Capacit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Kyung-Ae Park, Mi-Hyang Do
Doctoral student, majoring in Infant Education and Child Care in the Department of Child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Namseoul University. Cheonan, 31020, Korea
Professor, Department of Child Welfare, Namseoul University. Cheonan, 31020, Korea

Corresponding Author: Do, Mi-Hyang, Dept, of Child welfare, Namseoul University, Daehak-Ro Seonghawn-eup, Choongnam, Korea, (E-mail: domi@nsu.ac.kr)
November 15, 2019 ; December 6, 2019 ; December 10, 201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coaching ability on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distributed through mail and direct visits. A total of 270 were retrieved and used as this research material for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rector’s coaching capacity and psychological welfare, recognized by child care teachers, showed an unusually high level of awarenes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all factors ex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nomy of psychological welfare sense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aching.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daycare center director’s coaching ability on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lationship.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박 경애, 도 미향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어린이집을 총괄하고 영유아를 보육하는 보육교사들을 전체 지도 감독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교사를 재교육하고 지도하는 원장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원장의 인성적 자질과 태도, 이미지 또한 중요하다. 원장은 전문가적 자질과 지도자적 역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함양하여 교사 들의 행동을 바르게 보고 판단함은 물론, 보육교사들의 심리적 복지감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 다(고은지, 도미향 2016).즉 원장은 보육교사와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교사의 필요에 호응적이 고 조력적인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원장이 교사의 업무를 인정해주고 격려할 때 교사가 보육활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효율적인 영유아 교육을 실천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는 어린이집의 물리적인 환경뿐만 아니라 보육교사의 인적환경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노옥란, 2014).

    원장과 교사 간의 상호작용은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육의 질 향 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이에 상호작용의 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접근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김응자, 2018). 다른 교육기관에 비해 어린이집은 인간 중심의 조직이므로 원장의 보육철학이 교사들 의 효능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김수영, 도미향, 2018).

    그런데 보건복지부의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아동을 신체적, 심리적으로 학대하거나 방치하는 사 례가 급증하고 있다(장인순, 2017). 이러한 사례의 기저에는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이 충분히 기준에 미 치지 않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많은 연구들은 성공적인 보육서비스를 위해 가장 중요한 변인이 보육교사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조성 연, 2006). 기존의 위계적이고 관료적인 조직으로서의 어린이집이 아니라 상호 신뢰와 관계 속에서 보 육교사들이 영유아의 발달에 책임을 갖고 의사결정에 자유롭게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어린이집 은 다른 기관에 비해 인간관계가 밀접한 중심조직이므로 원장의 능력 및 어린이집 전반의 조직문화와 직 접 보육현장에서 임하는 보육교사들의 직무만족도 즉, 심리적 복지감 등이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결과 영유아들이 받는 보육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보육교사들은 반성적 사고능 력을 함양하고 자신의 전문성을 발달시키며 자기발전의 기회를 가짐을 알 수 있다(서주희, 2014).

    어린이집의 질적 요인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보육교사이기 때문에 그들의 심리적 복지감 향상을 위해 다각적인 접근이 시도되어 왔다. 따라서 보육교사들의 직업적인 자긍심을 비롯하여 헌신성, 동기 등을 포함한 심리적 복지감이 개선되었을 때 영유아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처럼 보육교사는 영유아를 위한 중요한 역할모델이 되어야하며, 영유아의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 어야 한다. 교사의 상호작용은 영유아의 놀이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단순 반응 및 단답형의 대답에 그 치기보다 경청과 인정 등의 확장적 사고를 유발하는 상호작용을 실천해야 하는 것이다(노옥란, 2013). 이와 같은 영유아들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성장과 변화를 돕는 상호작용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코 칭이다(도미향 외, 2013).

    보육교사들을 지도 관리하는 명백하고 사려 깊은 접근방법으로 코칭역량이 주목받으며 빠르게 성장 하고 있다. 최근 급변하는 사회에서 리더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 과거의 권위주의적인 역량은 비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새로운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새로운 리더십의 패러다임이 필 요하게 되면서 코칭 역량이 또 하나의 필요 능력이 되었으며 주목받게 된 것이다(도미향 외 2011).

    코칭 역량은 기존의 지시, 명령, 통제의 리더십과는 달리 교사에게 동기부여를 하며, 자발적으로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격려하며 수시로 피드백해 주는 것이다(하미선, 도미향, 2015). 코칭역량을 지닌 원장은 총괄책임자로서 보육교사를 지도감독하고, 영유아를 보육하는 것이 주요임무이다. 또한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육현장에 적극 동참하도록 유도하여 보육환경을 혁신하는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테면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문제가 생기면 업무 실수를 비롯한 잘못된 의사 결정, 동료 와의 갈등, 나아가 영유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장인순, 2017). 보육교사 의 심리적 복지감은 주로 어린이집 원장과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밝혀졌고, 심리적 복지감이 증가 할수록 어린이집에서의 몰입 등이 높아져 긍정적인 업무 수행능력을 보인다고 하였다(박주희, 2013).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 역량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도미향과 김근주(2019)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변화로 인한 코칭역량의 새로운 형태적 변화를 함께 모색할 필요성을 말하고 있다. 더불어 코칭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을 지속적으로 연구 발전시켜 교사 의 주도성을 이끌 수 있는 리더로서의 변화 과정을 보이는 코칭역량을 강조한다(김경미, 정희정 2019).

    영유아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보육교사 간의 심리적 갈등을 예방하기 위해서 원장은 보 육교사의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고은지, 도미향 2016). 보육현장에서 원장은 코칭 역량을 발휘함과 동시에 각 보육교사들의 심리적 복지감 성취를 위해 꾸준히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어린이집 원장의 역량과 관련한 연구에서 원장은 코칭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권위적인 리 더십에서 벗어나 교사 역량을 믿고 지지할 필요가 있음을 말한다. 또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장은 동 반자적 관계로서 교사 스스로 자기인식을 통해 변화와 성장이 가능한 촉진자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함 을 말하고 있다(김경미외, 2019).

    한편,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최근 연구를 살펴보면, 원장과 교사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이 교사에게 긍정적인 심리적 복지감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박은경, 2018). 여기서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이란 주변 환경 및 사람에 의한 큰 영향을 받지만 개인 통제 및 목표 등에 의한 개인적 요인에 의 해 영향을 받는다. 특히 환경에 대한 대처방식 및 개인의 원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심리적 복지 감이 향상된다고 말한다(김경미외, 2019). 그러나 실제 보육현장에서는 상호작용의 실제적인 효과와 방안에 대한 고민을 하는 원장 및 교사들이 대다수로 나타난다(김응자, 2018). 또한 스트레스, 소진 등 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이 맞추어져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리적 복지감을 설명하고 있다(강지숙, 2018). 이외에도 동료관계, 원장과의 관계, 근무횟수, 경력 등의 변인이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미향, 김근주, 이경주, 2019: 김응자, 2018).

    그런데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의 직접적인 상관성을 논한 연구가 많 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장의 코칭역량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이란 두 요인 간의 상관관 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원장의 코칭역량이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유무를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보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각종 코칭 프로그램의 기본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연구에 임하고자 한다.

    2.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은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과 관계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코칭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

    코칭은 고객(coachee, 코칭대상자)의 변화와 성장에 관심을 두고 현재를 탐구하고 미래를 계획하며 개인의 변화와 발전을 지원하여 잠재력을 극대화시키며 이를 통해 자기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끄는 리 더로 성장시키는 파트너십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도미향, 2016).

    따라서 코칭은 고객의 변화와 성장에 관심을 두고, 현재를 탐구하고 미래를 계획하며, 개인의 변화와 발전을 지원하여 잠재력을 극대화시키며 이를 통해 자기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끄는 리더로 성장시키는 파트너십 과정이다(도미향, 2016; 도미향·김응자, 2011; 반호진·도미향, 2016).

    코칭역량은 개인이나 조직에 부여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내재적인 특성이자 직무수행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도미향, 2019). 즉, 급격한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개인의 문제해 결력을 높일 수 있으며 사회와 개인의 긍정적인 변화를 지향하는 것을 말한다(황현호, 도미향, 2019). 또한 개인의 문제해결력 및 관계 개선을 위해 자신의 잠재성을 발견하고 사회전반에 대한 대처능력을 적용하며 자신 주변의 긍정적인 변화를 만드는 선순환 과정을 통해 인류에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 로 본다(조봉희, 2017).

    코칭역량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Stowell(1986)은 코칭역량이 조직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한 결과, 방향제시, 개발, 수행평가, 관계 등 4가지로 제시했고 Heslin 등(2006)은 지도, 촉진, 영감으 로 제시했다. 코칭역량의 구성요소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신현정(2018)은 구성원이 일정 목표로 나아가도록 하는 방향제시, 개인의 목적 설정 및 달성을 위한 역량개발, 과제 수행과정 및 결과 를 관찰하여 피드백하는 수행평가, 구성원 상호 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계 등을 제시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도 Stowell(1986)의 코칭역량의 구성요소(방향제시, 개발, 수행평가, 관계)를 적용 하고자 한다.

    2. 심리적 복지감의 개념과 구성요소

    심리적 복지감이란 인간의 건강을 바탕으로 편안함과 만족의 상태를 뜻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심리 적 복지감에 정서적 차원의 인지 요소를 추가하여 다차원적 특징으로 설명하고 있다(이인숙, 2018). 또 한 김정희, 김민희(2017)는 심리적 복지감을 객관적 요소보다는 주관적 상황에 더 큰 영향을 받으며 어 떤 개인의 생활 전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긍정적인 정서를 뜻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조봉희 (2017)은 개인으로서 스스로 인식하는 성숙의 정도와 사회구성원으로서 효율적인 역할 수행에 대한 평 가를 통해 심리적 복지감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고 보았다.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 능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으로 설명하였다(이인숙, 2018). 자아수용은 자신의 현재 상황을 바탕으 로 자신의 요구 및 감정 충동 등을 모두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즉 자아수용 능력이 높은 사람은 부정 적 요소와 자기중심성의 긍정적 요소에 편향된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긍정적 대인관계는 인간 의 사회성 및 지적 능력, 정서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양정원, 2019). 타인과 따뜻하 고 신뢰를 갖춘 긍정적 대인관계는 타인에 대한 공감도와 친밀도를 높이며 인간관계의 개선과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 최두영(2018)은 자율성이란 외부의 제재 없이 개인 스스로의 결정에 따라 사고하고 행동하는 것을 뜻한다고 하였다. 즉, 권위나 목적에 따르는 타율성과는 달리, 자율성은 자신의 행동 양 식을 스스로 선택하여 실행하는 자유를 말한다. 신현정(2018)은 환경에 대한 통제능력을 개인 스스로 가 환경을 지배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말한다. 또한 외부 환경을 구성하며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조절하 고 통제하는 것을 뜻한다고 보았다. 우정아(2019)는 삶의 목적이 건강한 사람들은 삶에서 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이 뚜렷하다고 말한다. 이러한 삶의 목적이 분명한 사람들은 자신의 인생에 대한 의미체계를 분명히 갖고 있으며, 일관성 있는 목표의식을 지닌다고 한다. 지승호(2019)은 개인적 성장은 자신의 능력과 다양한 특성을 포함한 잠재력 실현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스스로 느끼는 정도 를 말한다. 개인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주변상황에 대해 끊임없 이 탐색하고 변화하려는 의지를 지닌다고 보았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 소재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를 대상으로 유의표집을 사용하여 우편과 직접 방문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 를 배부한 결과 270부가 회수되어 설문지의 본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의 일반 적인 특성은 <표 1>과 같다.

    2. 측정도구

    본 연구는 측정도구로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전체 설문지는 코칭역량, 심리적 복지감의 두 부 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59문항으로 <표 2>와 같이 구성하였다. 코칭역량 평가척도는 stowell(1986) 에 의해 개발된 척도를 최치형(2003), 서대곤(2011)이 일부 수정・보완한 척도 13문항을 사용하였고, 심리적 복지감은 Ryff가 개발한 척도를 이정민과 도미향(2016)이 일부 수정・보완한 척도 46문항을 활 용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점수화된다.

    본 연구에서 평가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Cronbach's α는 .95로 분석되었으며 하위 요인별 신뢰도 Cronbach's α는 .84~.90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심리적 복지감의 전체 신 뢰도는 Cronbach's α는 .92로 분석되었으며 하위요인별 신뢰도 Cronbach's α는 .69~.78로 나타나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3. 자료분석

    본 연구는 원장의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 른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과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t검정(t-test)과 분산분석(One Wray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코 칭역량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넷째 원장의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대 한 일반적 경향

    본 연구에서 주요 연구변인으로 다루는 코칭역량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 차 자료의 정규성을 확인하기 위해 왜도와 첨도를 확인하였다. 왜도의 절댓값이 7보다 작으면 정규분 포를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코칭역량은 3.75,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3.52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두 연구변인 모두 왜도가 1보다 작고 첨도가 7보다 작으므로 정규성을 확보한다고 할 수 있다. 원장의 코칭역량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표 3>과 같이 모두 평균이상의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하위요인으로는 코칭역량은 관계(3.82), 개발(3.78), 방향제시(3.74), 수행평가 (3.66) 순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자율성(3.76), 자아수용(3.68), 긍정적 대인관 계(3.63), 삶의 목적(3.59), 개인적 성장(3.56), 환경통제력(3.45)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원장의 코칭역량 전체는 평균 3.75(SD=.63)으로 중간 이상 수준이었다. 하위요소로는 관계가 3.82(.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개발이 3.78(.72), 방향제시 3.74(.74), 수행평가 3.66(.71)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 전체 평균은 3.52(.35)로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소 는 자율성이 3.76(.53)으로 가장 높았고, 자아수용 3.68(.51), 긍정적 대인관계 3.63(.51), 삶의 목적 3.59(.45), 개인적 성장 3.56(.45), 환경통제력 3.45(.47) 순으로 나타났다.

    2.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 분석

    원장의 코칭역량과 심리적 복지감 간의 상관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하위요인별 분석결 과 코칭역량의 ‘관계’와 심리적 복지감의 ‘환경통제력’간 상관계수가 .31로 높은 상관성이 확인되었고 심리적 복지감의 ‘환경통제력’과 ‘삶의 목적’과 코칭역량의 하위요인 간에 상관성이 .22~.31로 심리적 복지감의 ‘자아수용’과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과의 상관성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 타났다.

    3.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력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코칭역량의 4개 하위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입력방식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표 5>와 같이 코 칭역량의 4개 하위요인과 보육교사의 심리적복지감으로 구성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모형 (F=12.64, p<.001)으로 독립변수는 종속변수에 대해 12.5%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코칭역 량의 4개 하위요인이 모두 VIF가 10이하의 값을 가지고 있어 다중공선성에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코칭역량의 4개의 하위요인 중 ‘수행평가’는 부적인 영향을, ‘관계’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장의 수행평가 코칭역량 수준이 낮을수록, 관계 코칭역량은 높을수록 보육교사 의 심리적 복지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 는 영향을 파악하고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 과 같이 논의하고 그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코칭역량과 심리적 복지감은 보통 이상으로 높은 인식수준을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칭역량의 하위요인 중 관계가 가장 높았고, 개발, 방향제시, 수행평가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 자율성이 가 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환경 통제력의 순으로 나타 났다. 이는 고은지외(2016)의 연구와 상이한 결과이다. 본 연구결과에 자율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온 것에 대해서 업무 특성상 교사는 개인이 확고한 기준을 갖고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이를 운영해야 하므 로 교사의 자율성은 보장되어야 한다(조봉희, 2017)는 보고가 뒷받침해준다. 이는 교사의 자율성을 향상 시켜 스스로 업무를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지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말한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 간의 상관관계에서 심리적 복지감의 자율성과 코칭역량의 수행평가 간의 관계를 제외하고 모든 요인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원장의 인간지향성 역량과 목표지향성 역량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김경미, 정희정(2019)의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앞선 통계해석 결과에서 보육교 사의 심리적 복지감 전체의 평균보다 교사의 자율성이 높게 나타났고 원장의 코칭역량 하위요인 중에 서 수행평가는 부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원장의 수행평가 수준이 낮을수록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은 향상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이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장의 수행평가와 관계 코칭역량은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 코칭역량은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 전체에 정적 영향을, 수행평가 코칭역량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장의 수행평가 코칭역량은 낮을수록, 관계 코칭역량은 높을 수록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육교사들의 업무 특성상 담임교사로서의 책임감 및 의무감, 자율성 등이 적용되어 업무 성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긍정적보다 심리적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김경미외(2019)의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자율성을 보장해주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지지해준다. 그러나 교사 업무수행에 관한 평가 는 어린이집 운영에 있어 원장으로서 중요한 업무이기도 하다. 따라서 보육업무에 관한 원장의 수행평가 에 대해 교사들의 긍정적인 인식변화 즉, 코칭역량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며, 원장은 교사가 신뢰 를 갖고 긍정적으로 수행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객관적인 코칭역량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변인들 중 원장의 코칭역량을 적용해 봄으로써 실제 보육현장에서 교사들을 이해할 수 있는 심리적 복지감 측면에 더욱 관심을 갖고 알아본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 대한 제한점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성 을 제언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수도권에 속한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결과와 수집을 위해 타 지역을 포함하는 원장의 코 칭역량과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본 연구는 질문지를 통한 양적 분석만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좀 더 심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면담 및 관찰 등의 방법을 병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원장의 코칭역량을 교사가 인식한 자기보고 형식의 설문지로 이루어졌기 때문 에 교사들의 주관적인 해답으로써 실제적으로 오답이 포함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후속 연 구에서는 원장 자신이 지각하고 있는 코칭역량의 일반적인 경향과 개인적인 변인에 따라 나타나는 코 칭역량에 대한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원장의 코칭역량 향상을 위한 대안이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행복하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동시에 심리적 복지감을 가지고 근 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코칭역량의 다양한 하위요소 중에서 관계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실제 보육현장에서 상호 간에 관계 향상을 위한 노력 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즉 과거의 단순한 업무지시 등의 일방향에서 벗어나 상호 간의 협력된 자세를 갖고 보육 업무를 이행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또한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서 상대적으 로 자율성이 높게 나타난 결과로 보았을 때 업무 특성상 그들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지지와 격려가 더해 질 때 보육현장의 긍정적인 활발한 움직임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실제 보육현장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심리적 복지감 향상을 위한 국가의 제도적인 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보육교사이기 이전에 행복 추구권을 가지는 국민으로서 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필요하며 사회구성원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Figures

    Tabl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N=270)

    Measurement variable

    General Trends of Coaching Capacity and the Psychological Welfare Sensation of Child Care Teachers (N=270)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Coaching Skills and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Child Care Teachers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Director's Coaching Capacity and the Psychological Welfare Review of Child Care Teachers

    References

    1. Kang, J. S., & Lee, K. N. (2015). The effect of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and self-relasticity and job stress on the intention of the job in infant teache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9(1), 321-342.
    2. Kim, K. M., & J, H. J. (2019). Q methodological approach to coaching capacity research. Coaching Research, 12(1), 131-146.
    3. Kim, K. H. (2017). A sense of career, Synchronous control, Scholastic achievement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 Essenti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Master's Degree.
    4. Kim, E. J. (2018). The effect of coaching programs on the preliminary child career. Coaching Research, 11(3), 73-91.
    5. Ko, E. J., & Do, M. H. (2016).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in daycare center on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child care teachers. Coaching Research, 9(3), 77-99.
    6. Kim, M. H., & Kim, J. H. (2017). A study on the recovery elasticity of the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s for improving coaching capacity. Coaching Research, 10(4), 5-23.
    7. Kim, N. H. (2017).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pproval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eoul, Korea.
    8. Kim, B. K., & Lee, K. N. (2016). The effect of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A Study on Ecological Infant Education, 15(1), 109-133.
    9. Kim, S. Y., & Do, M. H.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feasibility of coaching capacity scale. Coaching Research, 12(4), 59-81.
    10. Kim, Y. J., & Kim, D. O. (2015). Explore leadership changes of daycare center managers through coaching leadership activitie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9(5), 501-524.
    11. Kim, W. J. (2018). The effect of child care reserve teachers' coaching program. Coaching Research, 11(3), 73-91.
    12. Kim, J. H., & Kim, M, H. (2017). The personal spokesman of the director of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the effect of happiness on job loss. Coaching Research, 10(2), 101-110.
    13. Kim, J. R. (2017).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coaching capacity improvement program. A doctoral dissertation at Soongsil University.
    14. Kim, H. J. (2017). A synesthesia room: The infant teacher's understanding of empathy.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1(6), 127-158.
    15. Noh, O. R. (2014). The effect of daycare center director's coaching capacity on teacher's 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mseoul University, Seoul, Korea.
    16. Do, M. H. (2019). Development of CPA coaching model for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coach - C-PLUS coaching program based on ACTIVE coaching model. Coaching Research, 12(3), 95-112.
    17. Do, M. H., & Kim, K. J.(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rental coaching capacity scale for infants and children. Coaching Research, 12(2), 135-154.
    18. Do, M. H. (2017). Exploratory approach for human rights education of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Korea Coaching, 10(3), 197-218.
    19. Do, M. H. (2016). Coaching introductory programs for personal growth and potential improvement C-plus coaching program.
    20. Park, E. K.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coaching capac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SC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 Jun University, daejun, Korea.
    21. Park, Y. R. (2017). The nature and emotion control of infants and their mother's perception: parenting stress mediated effe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Seoul, Korea.
    22. Park, S. J. (2018). A study on the theory of coaching ethics. Physical Science Research, 29(4), 681-692.
    23. Park, S. K. (2013). The effect of psychological good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 qualification and child care teacher 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4. Park, J. H. (2013). the effect of recovery elasticity of casino workers on organizational immersion: focusing on the medial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gi University, Seoul, Korea.
    25. Seo, D. G. (2011). The influence of coaching leadership on the activities of organisers and their innovation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6. Seo, J. H. (2014). The effect of infant temperament and mother's attitude on the pro-social behavior of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Seoul, Korea.
    27. Shin, H. J. (2018). The influence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self-control on the trend of smartphone addi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ungbuk, Korea..
    28. Yang, J. W. (2019). Effects of interpersonal capability on organizational immersion: Verifying the interaction of psychological hypothe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9. Oh, H. S., & Ha, J. H. (2010). Effects of free motivation characteristics on the psychological welfare and task performance of office workers in public enterprises. Journal of the Korean Psychological Society.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2(2), 515-532.
    30. Woo, J. A. (2019). The attitude of official life as an educational purpo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Chungnam, Korea.
    31. Yoo, H. J.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psychological welfare, and transi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32. Lee, B. J., & Cho, S. K.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 of conversation between audience and conversation: Listening attentively on the level of courtesy. A Study on the Research Society of Korea, 19(3), 47-74.
    33. Lee, S. H., & Mo, A. R. (2017). Exploration on the difficulty of community connectivity for children in daycare center. Coaching Research, 10(2), 143-156.
    34. Lee, Y. K., & Ji, E. G.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efficiency scale. Korean Social Sciences Research, 36(1), 5-31.
    35. Lee, I. S. (2018).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on psychological welfare in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determination. Songwon University's Master's Degree thesis.
    36. Lee, J. Y. (2018). The effect of self-esteem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7. Jang, I. S. (201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recognition and reported behavior of child abuse in daycare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ristian University, Seoul, Korea.
    38. Jung, S. R. (2015). The influence of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and job stress and empowerment of child care teachers on organizational immer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Seoul, Korea.
    39. Ji, S. H.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oving personal bias and innovative ac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University, Seoul, Korea.
    40. Choi, K. H., & Hong, S. W. (2016). The effect of emotional coach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welfare and parenting stres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s mother. Coaching Research, 9(3), 53-76.
    41. Cho, B. H. (2017). A teacher's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of community resources utilization in daycare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eoul, Korea.
    42. Cho, S. J., & Jung, Y. S. (2018). Trends of domestic coaching research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Human Resources Development Research, 21(3), 249-313.
    43. Cho, Y. Y. (2018). The effect of autonomous support of parents and teachers on the academic participation of teenagers: The interrogation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and self.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Kyungnam, Korea.
    44. Ji, S. H.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oving personal bias and innovative ac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5. Choi, D. Y. (2018). Effect of job self-sufficienc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46. Choi, Y. H., & Yang, Y. S. (2010).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welfare sensation of child 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 expertise support environment of child care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47. Ha, M. S., & Do, M. H. (2015).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in daycare center on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transition of child care teachers. Coaching Research, 8(3), 5-24.
    48. Hwang, H. H., & Do, M. H. (2019).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aching expert training program for the reserve couples. Coaching Research, 12(1), 51-67.
    49.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50.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69(4), 719-727.
    51. Hargrove, R. (2008). Masterful coaching.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2. Kahn, W. A. (1990).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 692-724.
    53. Medland, J., & Stern, M. (2007). Coaching as a successful strategy for advancing new manager competency and performance, 14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