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5 No.1 pp.67-88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0.25.1.4

A Subjectivity Study on the Character Leadership of Childcare Staff

Kyung-Sun Choi, So-Hee Lee
Director, Yongsan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Seoul, 04316, Korea
Emeritus Professor, Department of Child Welfar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04310, Korea
*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first author’s doctoral dissertation.



Corresponding Author: Kyung-Sun Choi, Yongsan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E-mail : familyprayer@empas.com
January 2, 2020 ; February 28, 2020 ; March 9, 2020

Abstract


In this study, Q-methodology was applied to examine the recognition, values and attitudes of character leadership of childcare staf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irectors were shown to exhibit managerial character leadership, rational character leadership, emotional character leadership based on gratitude and love, and relational character leadership. The head teachers were shown to exhibit relation-oriented character leadership, stability-oriented character leadership that considered other teachers, efficiency- oriented character leadership to handle work efficiently, and system-oriented character leadership that led teachers into a community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The general teachers were shown to exhibit belief-oriented character leadership to foster a sincere attitude as a teacher, fellowship- oriented character leadership to value their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value-oriented character leadership to value their current job as a childcare teacher, and child-oriented character leadership to value their relationship with children.



보육교직원의 인성리더십에 관한 주관성 연구*

최 경선, 이 소희

초록


    Ⅰ. 서 론

    현대사회는 고령화, 노동인구감소 및 저출산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며 보육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보육에 대한 관심이 자녀를 키우는 가정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사람들의 관심이 되었고, 어린이집의 물리적, 인적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 뉴스를 통해 사회의 큰 이슈가 되었던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들을 살펴보면 원장과 교사의 자질, 인성에 대한 문제들이 부 각되고 있다. 보육교직원의 자질이 중요한 이유는 영유아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육기관에서 보내면서 보육교직원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는데, 이는 그만큼 보육교직원의 자질이 영유아에게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4].

    어린이집은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미래 시대의 리더로 키우기 위한 교육적인 기능을 병행하고 있는 데, 이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원장과 보육교사를 주축으로 다양한 보육교직원들은 공동의 목표를 이 루기 위해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자 노력하게 된다[28]. 어떤 조직이든 구성원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역 할을 최대한 수행하며 업무에 만족하게 되면 질적 향상을 극대화 할 수 있는데[12], 원장과 보육교사가 리 더십을 가지고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어린이집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9, 11, 21, 23, 35].

    일반적으로 리더십은 관계를 바탕으로 서로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비전이나 방향을 제시해 주는 능 력으로, 타인뿐 아니라 자기 자신을 리드하여 현재 사회에 적응하고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며 미래를 준 비하고 사회적 역할을 키워나가는 기술[22]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리더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생존하 기 위하여 조직의 구성원들이 새로운 비전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그리고 구성원 스스로가 주인의 식과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리더십에 관한 특성연구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김미숙·전미란[17]의 연구에서 리더들은 비 전과 목표제시, 과제책임감, 자신감, 자기절제 및 관리, 의사소통능력, 사회에 대한 헌신, 타인배려 및 존 중에서 강점을 나타냈으며, 김이경과 김도기 외[13]는 우수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대한 질적연구에서 인 내심, 도덕성, 타인에 대한 배려 등의 공통적인 인성특성이 나타났다고 제시하였다. 즉, 성공적인 리더들 의 개인적 특질과 특성, 집단이나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리더의 행동유형이 인성의 하위요소와 중복되 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인성과 리더십은 별도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아닌 인성을 기 반에 둔 리더십, 즉 인성리더십의 차원에서 재해석되어 실천되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인성리더십을 실천현장에서 그리고 학문의 영역에서 연구한 연구자들이 제시한 인성리더십의 개념을 살 펴보면, 이소희[22]는 인성리더십을 자신과 다른 사람의 마음을 모으고 움직이는 멋진 힘이라고 정의하였고, 박완순[31]은 어른으로서 잘 살기 위한 덕(德)을 가지는 것, 김경미[16]는 인성리더십 교육은 인성을 긍정적으 로 이끌어주는 습관교육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인성리더십은 보육교직원들이 어린이집에서 겪게 되는 각자의 경험과 역할, 인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직급에 따라서 원장은 원장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발 휘하게 되는 인성리더십이 다를 것이며, 주임교사는 주임교사의 역할에 따라, 보육교사는 보육교사 역할에 따라 개인의 경험이 다르고 그 의미가 다를 것이다. 하지만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이기 때문에 공통적인 특성 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각 직급에 따라 인성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비교하기 위해서는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를 동시에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직급에 따른 인성리더십을 개인의 인식, 사고, 태도에 기초하여 살펴보고자하는 것은 주관성 의 영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개인이 지닌 가치관이나 신념, 인식과 같은 인간 주관성의 탐구영역은 그동안 경험과학, 특히 연역적 연구방법을 근간으로 하는 연구패러다임에서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 다. 그러나 우리가 의식을 하던지 안 하던지 우리는 느낌, 태도, 의견, 선호, 신념 등에 따라 행동하고 선택하는 삶을 살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의 행동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관성의 영역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그 중에서도 Q방법론은 측정도구나 척도 등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양적연구 방법과는 달리, 사람들의 태도, 사고나 행동과 같은 주관적 속성들에 대한 사람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 악하기에 용이한 방법이며, 주관적인 인식이라고 하는 정성적인 측면을 양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도출 해내는 방법이다[14]. 따라서 보육교직원이 인식하고 있는 인성리더십을 탐색하여 제시하는 데에 있어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Q방법론은 진술문에 대한 긍정적인 동의에 기초하여 순위를 정하는 과 정에서 개별적으로 중요하게 평가하는 인성리더십의 가치와 의미가 드러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인성리더십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상대적인 인식의 차이를 분명히 하는데 유용하다. 더불어 Q 방법론의 결과는 비슷한 견해를 가진 응답자 군으로 묶이면서 유형들이 생성되는데, 이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직원들의 인성리더십에 대한 주관성을 파악하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직원의 직급을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로 구분하고, 3개의 직급에 대한 인성리더십의 주관성 결과를 함께 살펴보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Q모집단 구성

    문헌을 통한 진술문 추출방법은 ‘어린이집, 유아교육기관, 원장, 주임교사, 중간관리자, 보육교사, 유아교사, 인성, 리더십, 인성리더십, 자질, 역할 등’을 주요 키워드 입력하였으며, 이러한 키워드는 개 별적으로 또는 혼합해서 입력하면서 문헌들을 검색하였다.

    질문지는 이소희[22]가 개발한 황금원 모델에서 제시하는 인성리더십의 24가지 요인을 기반으로 하 고, 보육교직원들이 생각하기에 필요한 인성리더십을 추가로 질문하였다. 심층면접은 원장 10명, 주임 교사 10명,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이 모두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2. Q샘플의 선정

    1) Q샘플의 선정과정

    Q샘플의 선정과정 1차는 숙명 Q방법론 연구회 회원 3명이 함께 Q모집단을 여러번 반복해서 읽으면 서 공통된 의미나 중복되는 문장들을 삭제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2차는 석사이상 이면서 5년 이상 경력을 가진 보육교직원 각 3명, 3차는 박사과정 이상이면서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보육교직원 2명, 어린이집 경력이 있는 현장전문가 2명, 어린이집 경력이 있는 대학 강사 2명, 4차는 관련학과 교수 1명, Q방법으로 연구 경험이 있는 교수 1명, 인성리더십 연구 경험이 있는 교수1명, 총 3명에게 진술문을 보내어 동일한 방법으로 타당도를 받았다.

    원장의 경우 Q모집단 322개에서, 1차 선정 후 131개, 2차 선정 후 86개, 3차 선정 후 51개, 4차 선정 후 40개로 추출하였다. 주임교사의 경우 Q모집단 323개에서, 1차 선정 후 135개, 2차 선정 후 85개, 3 차 선정 후 51개, 4차 선정 후 40개로 추출하였다. 보육교사의 경우 Q모집단 313개에서, 1차 선정 후 131개, 2차 선정 후 85개, 3차 선정 후 52개, 4차 선정 후 40개로 추출하였다. Q샘플의 크기는 통계적 인 것과 신뢰도, 편의성을 고려해 결정하는데, 대개 40개에서 60개 정도가 보편적이다[14].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최종적으로 원장 진술문 40개, 주임교사 진술문 40개, 보육교사 진술문 40개로 선정하였다.

    2) 사전검사

    Q샘플을 완성하기 위해서 마지막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를 할 때에는 사람들에게 Q 샘플을 분류하도록 하고 그 과정을 주의 깊게 관찰하였다. 사전검사를 하는 동안 하나의 진술문을 배치 하는데 오랜 시간을 보내는 진술문은 혼란스러운 진술문이라고 생각하고 수정사항들을 찾아보았다. 사 전검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분류하는 시간도 점검하고, 배치를 느리게 하는 응답자라도 한 시간을 넘 기지 않도록 하였다. 이 같은 사전검사를 하면서 진술문에 대한 가독성과 이해도, 분류의 용이성 등을 확인하였다.

    3) 신뢰도검사

    Q연구방법에서 신뢰도 검사는 보통 2명∼6명 정도에게 시간차를 두고 Q샘플의 분류를 두 번 실시한 다. 본 연구에서는 각 직급에 따라 Q샘플 분류 후 바로 1명, 3일 뒤에 1명, 일주일 뒤에 1명, 3명씩 총 9명이 두 번째 Q소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원장의 상관계수는 r=0.791, 주임교사의 상관계수는 r=0.894, 보육교사의 상관계수는 r=0.795로 나타났다.

    3. P표본의 선정

    P표본이란 Q샘플을 분류하는 대상자이다. Q에서는 사람이 변인이고 항목은 표본을 가리키는 것이므 로 피험자의 수는 요인을 생성하고 요인들 간에 비교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국공립, 민간, 가정, 직장어린이집 중에서 유형에 따라 대상을 임의표집하였고, 원장 40명, 주임교사 40명, 보육교사 40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였다. 각 직급에 따라 P표본으로 선정된 40명 은 국공립어린이집 10명, 민간어린이집 10명, 가정어린이집 10명, 직장어린이집 10명으로 구성하였다.

    4. Q샘플의 분류

    Q샘플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선정된 P표본에게 Q카드를 읽은 후 일차적으로 각 내용에 대해 동의, 동의하지 않음, 중립의 3가지 형태로 분류하게 한다. 다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차 분류를 진행하고 동의하는 진술문의 순서대로 강제정상분포방식에 따른 분포도에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의 Q분 류는 <Table 1>과 같이 가장 긍정(+5)에서 가장 부정(-5)의 11점 척도로 이루어졌다.

    Q샘플 분류 후 연구자는 P표본에게 가장 강하게 동의한 진술문과 가장 강하게 동의하지 않은 진술문 에 대해 선택하게 된 이유를 질문하였다. 인터뷰를 실시하는 이유는 자료의 풍부함과 질적 수준을 향상 시키는데 기여하기 때문이다[7]. 그리고 이러한 인터뷰 내용은 유형을 구분하고 그 특징을 설명할 때에 활용하였다.

    5. 자료처리 및 분석

    수집된 자료는 Q카드가 분포도에 놓인 위치에 따라 점수화하여 코딩하고, 입력된 자료는 QUANL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된 자료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의 편파를 최소화 하고, 서로 다른 사람들 간에 공유된 합의를 통해 해석과 유형별 네이밍의 타당성과 엄밀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동료 검토법을 워크숍의 형태로 진행하였다. 워크숍에는 Q연구방법 연구 경험이 있는 박사 1 명, 인성리더십 연구 경험이 있는 박사 1명, 보육관련 분야의 연구 경험이 있는 박사 1명, Q연구방법에 대해 과목을 이수한 박사과정이면서 어린이집 원장인 2명, 총 5명이 참여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보육교직원의 인성리더십 구성요인

    1) 원장의 인성리더십 구성요인

    원장의 인성리더십에 대한 4개의 요인은 전체 변량의 42.67%를 설명하고 있으며, 각 요인별 설명력 은 요인1이 26.61%, 요인2가 6.60%, 요인3이 5.24%, 요인4가 4.22%로 나타났다.

    2) 주임교사의 인성리더십 구성요인

    주임교사의 인성리더십에 대한 4개의 요인은 전체 변량의 42.82%를 설명하고 있으며, 각 요인별 설 명력은 요인1이 24.87%, 요인2가 6.37%, 요인3이 6.08%, 요인4가 5.50%로 나타났다.

    3) 보육교사의 인성리더십 구성요인

    보육교사의 인성리더십에 대한 4개의 요인은 전체 변량의 48.54%를 설명하고 있으며, 각 요인별 설 명력은 요인1이 33.38%, 요인2가 5.74%, 요인3이 5.07%, 요인 4가 4.36%로 나타났다.

    2. 보육교직원의 인성리더십 유형과 특성

    1) 원장의 인성리더십 유형과 특성

    ① 유형1 : 경영적 인성리더십

    유형1의 원장은 ‘원장은 어린이집 운영과 나 자신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z=1,80, diff=1.175)'에 가장 강한 동의를 표현하고 있었고, 다른 유형들과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이는 어린 이집을 운영할 때 철학과 비전을 가지고 운영하고자 하는 원장의 인식을 가장 잘 나타내는 진술문이라 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긍정적인 동의를 보이면서 다른 유형들과의 차이가 나타난 진술문들은 ‘원장 도 존경받기 위해서는 존경받을 만한 행동을 해야한다(z=1.56, diff=.995)’, ‘원장이 어린이집을 잘 운 영할 수 있는 것은 부모들의 도움과 교사들의 헌신이 있기 때문이다(z=1.48, diff=1.150)’로 나타났 다. 이는 자신의 행동을 뒤돌아보면서 존경받는 행동을 하고자 노력하며, 어린이집은 원장 혼자서 이끌 어 나가는 것이 아니라 부모와 교사의 협력이 중요함을 알고 있는 것으로, 특히 경영적 측면에서 교사 에 대한 인사관리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② 유형 2 : 합리적 인성리더십

    유형2의 원장은 ‘원장으로서 일관성 있는 태도를 보여주어야 신뢰를 쌓을 수 있다(z=2.06, diff=1.667)'에 가장 강한 동의를 표현하고 있었고, 다른 유형들과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긍정적인 동의를 나타내면서 다른 유형과의 차이가 나타난 진술문을 살펴보면 ‘원장이 어린이집을 잘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혜가 필요하다(z=1.72, diff=1.167)’, ‘원장은 교사나 부모에게 정직하고 올바르 게 말해야 한다(z=1.29, diff=.759)’, ‘원장이 정직하지 않으면 나중에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 (z=1.15, diff=.873)’로 나타났다. 이는 원장으로서 어린이집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선택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으며, 합리적 인성리더십의 바탕으로 신뢰, 정직, 지혜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③ 유형 3 : 정서적 인성리더십

    유형3의 원장은 ‘원장은 아이들과 교사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바탕이 되어야 어린이집을 운영할 수 있 다(z=1.48)’에 가장 강한 동의를 표현하고 있었고, 이외에도 긍정적인 동의를 나타내면서 다른 유형과 의 차이가 나타난 진술문을 살펴보면 ‘원장으로서 아이들, 부모, 교사들에게 항상 감사하다(z=1.36, diff=1.328)’, ‘어린이집의 궂은일에 원장이 먼저 앞장서야 한다(z=1.15, diff=2.180)’, ‘원장으로서 지금까지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것 자체에 감사하다(z=1.12, diff=1.348)’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 원장으로서 주변의 모든 사람들에게 감사하고 사랑하는 정서적인 인성리더십을 바탕으로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④ 유형 4 : 관계적 인성리더십

    유형4의 원장은 ‘원장은 어린이집을 운영하기 위해서 교사, 부모들과 소통이 잘 되어야 한다 (z=2.06, diff=.859)’에 가장 강한 동의를 표현하고 있었고, 이외에 긍정적인 동의를 나타내면서 다른 유형과의 차이가 나타난 진술문을 살펴보면 ‘원장은 부모들이 믿고 맡겨주는 만큼 책임감을 가지고 어 린이집을 운영해야 한다(z=2.02, diff=.866)’, ‘원장은 아이들과 교사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바탕이 되 어야 어린이집을 운영할 수 있다(z=1.79, diff=.713)’, ‘원장은 어린이집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책임 을 질 수 있어야 한다(z=1.75, diff=1.355)’, ‘원장이지만 어린이집도 조직사회이기 때문에 규칙과 규 율은 지켜야 한다(z=1.39, diff=1.271)’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 원장으로 소통을 중요시하고 부모 들과의 관계에서는 책임감, 교사와 아이들과의 관계에서는 사랑과 책임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관계적 인성리더십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주임교사의 인성리더십 유형과 특성

    ① 유형1 : 관계지향의 인성리더십

    유형1의 주임교사는 ‘주임교사로서 함께 일하는 교사,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z=2.05, diff=1.483)’에 가장 강한 동의를 표현하였고, 다른 유형들과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이는 주임교사로서 함께 하는 동료교사들과 아이들을 사랑을 나누는 관계로 중요하게 여기는 인성리더십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긍정적인 동의를 나타내면서 다른 유형과의 차이가 나타난 진술문을 살펴보면, ‘주임교사는 원장님과 교사들의 의견을 조율하면서 어린이집 전체 가 협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z=1.80, diff=.856)’, ‘주임교사는 교사들 사이에 분쟁이 생겼을 때 대 화를 통해 소통할 수 있도록 중재자 역할을 해야한다(z=1.63, diff=1.556)’, ‘주임교사로서 원장님을 굳게 믿고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z=1.59, diff=.895)’, ‘주임교사는 원장님을 존경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z=1.45, diff=1.337)’, ‘주임교사로서 나를 인정해주고 따라와 주는 교사들에게 감사하다 (z=1.38, diff=1.090)’로 나타났다. 이는 주임교사로서 원장님을 존경하는 마음을 가지고 믿고 따르 며, 교사들에게는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고, 교사들이 소통을 통해서 관계가 잘 맺어지기를 바라는 인성리더십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② 유형2 : 안정지향의 인성리더십

    유형2의 주임교사는 ‘주임교사는 원장님과 교사들이 서로 신뢰할 수 있도록 중재자 역할을 해야한다 (z=2.09, diff=1.023)’에 가장 강한 동의를 표현하였고, 다른 유형들과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이는 주임교사로서 어린이집의 구성원들이 서로를 신뢰하면서 어린이집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중 재자의 역할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긍정적인 동의를 나타내면서 다른 유 형과의 차이가 나타난 진술문을 살펴보면, ‘주임교사는 업무분장을 할 때, 각 교사들이 잘 할 수 있는 것 을 하도록 배려해야 한다(z=1.51, diff=1.561)’, ‘주임교사로서 원장님과 다른 교사의 의견을 항상 긍 정적으로 생각한다(z=1.06, diff=1.477)’로 나타났다. 이것 또한 교사들의 업무를 배려하고, 원장님 과 교사들의 의견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면서 어린이집이 문제없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 고자 하는 인성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③ 유형3 : 능률지향의 인성리더십

    유형3의 주임교사는 ‘주임교사는 업무의 효율을 위해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순차적으로 진행해야 한다(z=1.73, diff=1.138)’에 가장 강한 동의를 표현하였고, 다른 유형들과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이는 주임교사로서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긍정적 인 동의를 나타내면서 다른 유형과의 차이가 나타난 진술문을 살펴보면, ‘주임교사는 단합을 위해서 다 른 교사들의 의견을 경청해야 한다(z=1.35, diff=.616)’, ‘주임교사이지만 전문성 있는 모습을 보여주 는 교사를 인정하고 높여준다(z=1.24, diff=1.378)’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행사를 능률적으로 잘 진 행하기 위해서는 단합이 필요하고, 경력보다는 능력있는 모습을 보이는 교사를 더 높이 평가하는 인성 리더십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④ 유형4 : 체계지향의 인성리더십

    유형4의 주임교사는 ‘주임교사는 원장님의 운영철학에 따라 교사들이 한방향으로 가도록 격려해야 한다(z=1.76, diff=1.128)’에 가장 강한 동의를 표현하였고, 다른 유형들과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이는 주임교사로서 전체 교사들이 원장님의 운영철학에 따라 한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이끌어가는 것 을 중요하게 여김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긍정적인 동의를 나타내면서 다른 유형과의 차이가 나 타난 진술문을 살펴보면, ‘주임교사는 다른 교사들을 잘 이끌어야 하는 책임감이 있어야 한다(z=1.73, diff=.998)’, ‘주임교사로서 ‘나’를 드러내는 것보다 ‘우리’를 드러내는 것이 더 중요하다(z=1.36, diff=.916)’, ‘주임교사는 다른 교사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잘못이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 다(z=1.33, diff=1.176)’, ‘주임교사는 원장님에게 야단을 맞더라도 모든 것을 정직하게 이야기해야 한다(z=1.24, diff=1.497)’, ‘주임교사는 원장님에게 직언할 수 있는 용기가 있어야 한다(z=1.02, diff=1.465)’로 나타났다. 이는 주임교사로서 현재의 체계를 세우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시각을 중요하 게 여기고, 다른 사람의 잘못을 지도하고 나의 잘못도 인정할 수 있는 모습과 때로는 원장님에게도 직 언을 할 수 있는 용기를 중요하게 여기는 인성리더십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 보육교사의 인성리더십 유형과 특성

    ① 유형1 : 교사신념 중심 인성리더십

    유형1의 보육교사는 ‘교사는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기본이어야 한다(z=2.24)’에 가장 강한 동의를 표현하였고, 이외에 긍정적인 동의를 나타내면서 다른 유형과의 차이가 나타난 진술문을 살펴보면 ‘교사는 아이들의 안전사고와 관련하여 정직하게 이야기해야 한다(z=1.47, diff=.377)’, ‘교사는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z=1.46, diff=.458)’, ‘교사는 원장님을 믿고 원의 운영방침을 따라야 한다 (z=1.21, diff=1.492)’, ‘교사는 어린이집 전체 행사에 다 같이 협력해야 한다(z=1.09, diff=.875)’로 나 타났다. 이는 교사라면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은 기본이고, 원장님을 믿고 원의 운영방침을 따르면서 본 인과 공동체 일을 적극적으로 하려는 신념중심의 인성리더십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Table 13>

    ② 유형 2 : 동료유대 중심 인성리더십

    유형2의 보육교사는 ‘교사는 같이 근무하는 교사를 생각해서 배려하는 말과 행동을 해야 한다 (z=1.61, diff=.906)’에 가장 강한 동의를 표현하였고, 다른 유형과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 로서 같이 근무하는 교사들을 중요하게 여기는 인성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긍정적인 동의 를 나타내면서 다른 유형과의 차이가 나타난 진술문을 살펴보면, ‘교사는 아이들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도움이 되도록 솔선수범해야 한다(z=1.53, diff=.849)’, ‘교사로서 동료 교사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 록 행동해야 한다(z=1.14, diff=1.301)’, ‘교사로서 오늘 하루도 사고 없이 무사히 지나가는 것에 감사 하다(z=1.09, diff=.540)’로 나타났다. 교사로서 아이들에게는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동료교 사들에게는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닌 도움을 주고자 하는 동료유대 중심의 인성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 다.<Table 14>

    ③ 유형 3 : 직무가치 중심 인성리더십

    유형3의 보육교사는 ‘교사는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기본이어야 한다(z=2.26, diff=.462)’에 가 장 강한 동의를 표현하였고, 이와 같이 긍정적인 동의를 나타내면서 다른 유형과의 차이가 나타난 진술 문을 살펴보면, ‘교사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잘 경청해주어야 한다(z=2.12, diff=.988)’, ‘교사로서 아 이들은 그 존재 자체만으로도 특별하고 존중받아야 하는 존재라고 생각한다(z=1.68, diff=.271)’, ‘교 사로서 나를 믿어주는 우리반 아이들과 부모들에게 감사하다(z=1.01, diff=.589)’로 나타났다. 이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잘 경청해주고 존중하며 사랑해주는 교사의 직무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성 리더십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Table 15>

    ④ 유형 4 : 영유아 중심 인성리더십

    유형4의 보육교사는 ‘교사는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기본이어야 한다(z=1.86)’에 가장 강한 동의 를 표현하였고, 이외에 긍정적인 동의를 나타내면서 다른 유형과의 차이가 나타난 진술문을 살펴보면, ‘교사로서 아이들과의 약속은 꼭 지켜야 한다(z=1.85, diff=1.443)’, ‘교사와 아이들과의 소통은 보육 의 질을 높인다(z=1.73, diff=.998)’, ‘교사는 아이들과 부모를 위해 수료/졸업때까지 책임지고 반을 운영해야 한다(z=1.01, diff=1.513)’로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를 소중히 여기기 때문에 책임지고 반을 운영하고, 사소하지만 아이들과의 약속이나 소통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보육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영유아 중심의 인성리더십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Table 16>

    Ⅳ. 논의 및 제언

    1. 논의

    1) 이론적 측면

    인성리더십의 중요성은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인성과 리더십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는 만큼 인성 리더십도 동등하다고 할 수 있는데, 최근 저출산 문제로 인하여 보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 황에서 누구보다도 보육교직원의 인성과 리더십은 매우 중요하다[2, 8, 24, 29, 30]. 이에 본 연구는 그 필요 성이 부각되고 있는 보육교직원의 인성리더십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소희[22]가 인성리더십을 자신과 다른 사람의 마음을 모으고 움직이는 멋진 힘이라고 정의하 고, 박완순[31]은 어른으로서 잘 살기 위한 덕(德)을 가지는 것, 김경미[16]는 인성리더십 교육은 인성을 긍정적으로 이끌어주는 습관교육이라고 정의하였다면, 본 연구자는 인성과 리더십에 대한 다양한 이론 적 고찰을 통해 인성리더십이란 자신의 내면을 가꾸고 타인에게도 영향력을 발휘하는 성품과 역량이라 고 정의하였다. 이것은 인성이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영향을 받아 변화가능하다는 교육학적 관점을 취하는 것이며[33, 3, 19], 현대사회에서 한가지의 리더십만으로는 리더의 역할을 하기 어렵다는 다 면적 리더십의 취지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10, 26, 27]. 이러한 인성리더십에 대한 정의는 선행연구들[15, 32, 34]이 이소희[22]가 개발한 황금원 모델을 기반으로 하면서 동일한 인성리더십의 정의를 따라갔다면, 본 연구는 연구자가 인성리더십에 대해 정의하고 연구에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의의가 있다.

    2) 방법적 측면

    기존에 보육교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를 각각 연구대상으로 하 거나, 원장-주임교사, 원장-보육교사, 주임교사-보육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면, 본 연구는 원 장, 주임교사, 보육교사, 이렇게 3개의 집단을 동시에 연구하여 각각이 가지고 있는 인성리더십의 고유 한 특성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방법적인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Q방법론에서 유형에 대한 해석 및 명명은 매우 중요한 과정인데,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해 석의 편파를 최소화하고 다른 전문가들과의 공유된 합의를 통해 타당성과 엄밀성을 증진하고자, 질적연 구방법에서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인 동료 검토법을 워크숍의 형태로 진행하였다. 기존 에 최윤식[6]과 이난희[20]도 워크숍의 형태로 유형에 대한 해석 및 명명을 진행하였으나, 형태만 워크숍 일 뿐 동료 연구자들이 아닌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포함되어있어서 방법적으로는 차이가 있 다. 이렇게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다른 방법을 활용하면서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Q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 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방법적 측면의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3) 실천적 측면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들에게 인성을 강조하고 있는 사회적 요구를 반영[5, 25]하여 진행되었다. 사회적 요구는 교육과 보육현장에서 교육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부분도 있지만,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등의 사회적 이슈로 보육교직원들의 인성이 집중 받고 있기 때문이다[1, 18].

    이러한 시점에 보육교직원들의 인성리더십 유형을 파악하는 것은 보육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어린이집도 하나의 조직 사회이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서로를 이해하고 조 직에서 한방향 설정을 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는 본 연구가 원장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주임교사만 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는 외부 교육기관이나 육아종합지원센터 는 본 연구의 자료를 기초로 하여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거나, 각자의 특색을 가진 인성리더십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할 때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보육현장에 있어서 실천적으 로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2. 제언

    첫째, Q-사정도구를 활용한 양적인 후속연구가 가능하다. Q-사정도구를 활용한다면 본 연구의 결과 를 새로운 보육교직원들에게 적용하여 쉽게 인성리더십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각 유형에 속하는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가 가지고 있는 또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확인해 볼 수 있다.

    둘째, P표본을 보육과 인성리더십에 대한 다양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원장, 주임교사, 보육교사 모두 자신이 생각하는 인성리더십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나, 예비보육교사가 생각하는 보육교사의 인성리더십, 원장이 주임교사에게 바라는 인성리더십, 맞벌이 부 모가 원장에게 요구하는 인성리더십 등 P표본을 다양하게 선정하여서 진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언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인성리더십에 대한 주관성을 처음으 로 확인하였다는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추후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후속연구나 실천적인 교육과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Figures

    Tables

    Q sorting Distribution

    Variance analysis of director

    Variance analysis of head teacher

    Variance analysis of teacher

    The Statements of director type1 and Z-score

    The Statements of director type2 and Z-score

    The Statements of director type3 and Z-score

    The Statements of director type4 and Z-score

    The Statements of head teacher type1 and Z-score

    The Statements of head teacher type2 and Z-score

    The Statements of head teacher type3 and Z-score

    The Statements of head teacher type4 and Z-score

    The Statements of teacher type1 and Z-score

    The Statements of teacher type2 and Z-score

    The Statements of teacher type3 and Z-score

    The Statements of teacher type4 and Z-score

    References

    1. Chae, S. Y. (2018). Study on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ersonalty on child abuse -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oung University, Seoul, Korea.
    2. Cho, H. J., & Kim, S. Y. (2013). Analysis on job training courses according to educational needs of the job competency for new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8(2), 199-220.
    3. Cho, N. S., Moon, Y. R., Lee, M. J., Kim, H. S., & Kim, H. J. (2004).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scale of personalit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4. Choi, K. S., & Shin, H. K. (2017). The effect of interaction trai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self-supervision at childcare centers: Utilization of the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10(3), 29-49.
    5. Choi, S. M., & Pu, S. S. (2017). 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ies and their social relationships. Journal of Child Care Support, 12(1), 5-27.
    6. Choi, Y. S. (2011). The identification of employees’ perception on corporate culture for the change of GW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7. Gallagher, K., & Porock, D. (2010). The Use of interviews in Q methodology. Nursing Research, 59(4), 295-300.
    8. Jeon, J. S., & Choi, J. W.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ersonality self assessment scale for preschool teacher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2(1), 149-174.
    9. Jeong, J. H. (2012).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of child care teacher and teaching practi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eui University, Pusan, Korea.
    10. Joo, H. J. (2011). Development of multi-level leadership inventory for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2), 213-235.
    11. Kang, Y. S. (2014). Impact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childcare center principal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Welfare Practical Society, 6(1), 7-34.
    12. Keum, K. H., & Pu, S. S. (2012).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a director's leadership style, emotional intelligence on leader-member exchange.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7(1), 17-42.
    13. Kim, E. G., Kim, D. K., & Kim, K. S. (2008).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principal leadership in Korea.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6(3), 325-350.
    14. Kim, H. G. (2008).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Communication Books.
    15. Kim, I. B. (2017). Development and effect of training program for empowerment of teacher's interaction in early child character-leadership education : Using TREASURE talk coaching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6. Kim, K. M. (2015). Korea institute of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http://www.kcceleader.com.
    17. Kim, M. S., & Chun, M. R. (2006). An analysis of the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ders and its implication for gifted educatio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5(2), 1-18.
    18. Kim, Y. E. (2014). The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daycare center on the happiness and self-leadership of childcare teacher.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8(4), 319-340.
    19. Lee, C. J. (2014). An inquiry into the concept of practical oriented character. The Journal of Ethics Education, 3, 317-337.
    20. Lee, R. H. (2016). Exploration on relationship between followership and leadership in organizational members' percep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S. H. (2004). Innovation of childhood education through cool leadership. Korea Young Leadership Center.
    22. Lee, S. H. (2009). Good people every day. Korea Young Leadership Center.
    23. Lee, S. H., Kang, K. J. & Kim, J. A. (2004). Measurement,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for 4 roles of leadership.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9(2), 75-93.
    24. Lee, S. M., Byun, H. W., & Kim, H. R. (2011). Listening to w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ay about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setting.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8(3), 49-79.
    25. Lee, Y. J., & Kim, J. H. (2017).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the director's moral leadership, and respect for right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2(6), 73-93.
    26. Lim, J. I., & Kim, E. H. (2003).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by multi-family approach theory. Early Childhood Education & Association of Child Care Administration, 7(2), 7-28.
    27. Lim, J. I. (2002). Introduction of multi-faceted approach theory. The Journal of Artistic natural sciences, 25(2), 375-393.
    28. Mo, A. R., & Choi, K. S. (2014). Examin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to the difficulties of nursery staff in the child care center.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7(2), 81-100.
    29. Mo, A. R., & Lee, S. H. (2014).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of middle manager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using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12(1), 41-65.
    30. Park, J. B., Cho, M. Y., & Hwang, E. H. (2018).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 on personality - focusing on types of institutes and teaching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Childcare & Education, 14(1), 149-166.
    31. Park, W. S. (2015). TV special lectures. It's humanity now-The 6th Dr. Park Wan-soon. National Assembly Broadcasting System.
    32. Park, Y. L. (201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arly childhood personality leadership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3. Park, Y. T. (2002). A study of the program for creative personality development. Local Education Management, 7, 235-264.
    34. Shin, C. H. (2014). A study on the traits of parents’ character leadership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parents and profession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5. Yoon, S. E. (2013).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of childcare teachers on associations between the perception and the performance of teacher professionalis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