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5 No.2 pp.163-180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0.25.2.3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Young-Sun Choi, Hyun-Su Kim, Sung-Hee Lee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Child Welfar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JeonJu, 55338, Korea
Part-time lecturer, Department of Child Welfare, Woosuk University, JeonJu, 55338, Korea
Professor, Department of Child Welfare, Woosuk University, JeonJu, 55338, Korea

Corresponding Author: Sung-Hee Lee, Woosuk University (E-mail : sorak61@hanmail.net
April 29, 2020 ; June 1, 2020 ; June 8, 202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eacher-young infant intera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0 in-service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J province, and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Statistics 25.0 for Windows, and frequency analysi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child care teachers’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 mit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t was found that their level of awareness for all three variables are at moderate levels and above. It was also found that child 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have close positive correlations.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child 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fluences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influences teacherchild interaction.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 영순, 김 현수, 이 성희

초록


    Ⅰ. 서 론

    오늘날 핵가족화, 맞벌이 부부의 증가, 저출산 등 가족구조와 기능의 변화로 영유아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영유아교육기관이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최근에는 영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영유아의 보육과 교육을 담당하는 보육교 사의 전문성과 자질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늘어나면서 영유아의 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 의 전문성과 자질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적 자질 중에서도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능력은 예비 및 현직 보육교사 들에게 중요한 변인으로 인식되고 있다(이경하, 석은조, 2010). 영유아기는 인적환경의 영향을 받기 쉬운 시기로 어린이집에서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영유아의 인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으로 강조되고 있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육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교 사와 영유아 간의 의사소통으로, 영유아에게 경험을 확장시켜 주고, 영유아기의 특징인 자기중심성에 서 벗어나 타인의 입장이나 관점을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영유아기에 형성된 교사와의 상호작용 관계 는 아동기, 청소년기의 교사, 또래 관계의 기본이 될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교육성과를 결정하는 중요 한 변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Katz(1995)는 교사와 유아 상호작용 질을 유아교육의 질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보았 다. 즉 교사가 영유아와 상호작용할 때 과정과 자질 및 기술 등은 영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 유아가 다양한 경험 속에서 자극받고 그 경험으로 실질적인 성장과 발달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곧 영유아교육의 질과 직결된다는 것이다(김시연, 2014). 이렇듯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인식 되면서 최근 개편된 어린이집 평가제 지표의 4개 영역 중 1영역에 보육과정 및 상호작용 영역이 포함되 는 등(한국보육진흥원, 2020),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보육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척도로 활용되 고 있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정서적 측면에서 유아에게 안정된 애착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요인 이 되고(박희숙, 윤수정, 2014), 교사가 유아에게 민감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해줄 경우 유아의 학습능 력, 인지 및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김보경, 이경님, 2016),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이 유아 의 또래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조미희, 2018). 이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 영유아교육의 질적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사회, 정서 뿐 아니라 인지, 언어, 행동적 발달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다시 말해 영유아의 학습 및 발달을 지 원하기 위해서 교사는 영유아들의 흥미나 관심에 대한 민감하고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교사-영유아의 다양한 상호작용과 교사변인이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은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김연수, 2014). 개인적 변인으로는 행복감, 회복탄력성, 인성 등 교사의 심리적 변인(박경숙, 2016;정연일, 2016;정다우리, 2013), 정서지능과 같은 교사 정서 관 련 변인(김보경, 이경님, 2016;박경숙, 2016),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와 같은 교사역량 직무 관련 변인(김시연, 2014;박진영, 2012)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환경적 변인으로는 원장, 사회적 지지와 같 은 유아교육기관 내 관계(김윤지, 2017;홍자영, 2015), 아동 대 교사비율, 근무기관 유형 등 유아교육 기관의 물리적 환경특성(최미애, 2000)이 있다. 그러나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관련연구에 있어서 영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같은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인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와의 상호작용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는 많지 않다.

    보육교사는 다른 직종보다 인간의 특성과 본질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요구되는 직무의 특성으로 긍 정적인 측면이 필요하다. 개인이 지니고 있는 긍정심리는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뿐만 아니라 개인 이 속한 집단의 성과향상에 도움이 된다(Seligman, 2002). 긍정심리자본은 긍정적 측면에 초점을 맞 춤으로써 인간 행동의 이해에 유용한 관점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심리학, 교육학, 사회복지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김주엽, 2009). Luthans 등(2007)은 긍정심리자본을 개인이 자 신에게 처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현재와 미래를 긍정적 시각으로 보고 노력하는 긍정적인 심리상태로 정의하여,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을 하위요인으로 보았다.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성 공적으로 과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Bandura, 1986), 자기효능감을 갖춘 개인은 어려움이나 난관에 직면할 때 참고 이겨내는 특징이 있고,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여 도전을 환영 하고 성공을 이뤄낸다(Luthans & Youssef, 2015). 희망은 계획된 목표가 성취될 수 있고 성공적으로 수행 할 것이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스스로를 동기 부여하는 능력을 말한다(Snyder, 2002). Luthans 와 Youssef(2007)는 높은 희망을 가진 사람은 어려움을 만나도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들 을 만들어 낸다고 하였다. 낙관주의는 미래에 나쁜 일들 보다는 좋은 일이 일어날 거라는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이나 태도, 사고방식으로(Seligman, 1999), 낙관주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삶의 만족 을 더 많이 느끼고, 자신의 직무에서 진정한 보람과 즐거움을 찾고 높은 성과를 낸다(Luthans & Youssef, 2015). 회복탄력성은 역경, 갈등, 실패의 상황에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거나 위기를 뛰 어넘어 도약하는 힘으로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직무성과, 조직몰입, 직무행복감, 스트레스 상황 대처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Youssef & Luthans, 2015). 긍정심리자본의 개념과 특성들을 비춰봤을 때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은 보육현장에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중 요한 요소 중 하나로 예측된다. 교사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긍정심리자본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관련 연구(박선희, 2016)를 보면, 보육교사의 희망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예측할 수 있다. 최근 실증적인 다양한 연구결과,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탄력성과 같은 긍정적인 변수들이 각 변인으로 독립적인 조직성과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는 서로 상호 결합되어져 하나의 핵심요인(core-factor)으로 구성될 때 조직성과와 직무 태도에도 큰 공헌을 하는 것으로(Luthans & Avolio. 2003) 나타나고 있다. 이에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 복탄력성의 개념들이 결과변수에 대한 긍정적인 공헌의 형태가 유사하다는 점에 기초하여 하나의 상위 개념으로 통합되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으며(Luthans, Avolio, Avey, Norman, 2007), 이를 긍정심 리자본으로 볼 수 있다. 보육교사는 어린이집이라는 조직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인적 자원이자 영유아 상호작용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보육교사의 긍정적인 심리상태에 대한 이해와 관심 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처럼 독립적인 특성이 아닌 결합된 하나의 핵심요인으로써 긍정심리자본이 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자질로서 교사-영유 아 상호작용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요구된다.

    영유아보육법의 목적은 영유아의 심신을 보호하고 건전하게 교육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육성 함과 아울러 보호자의 경제적・사회적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족복지 증진에 기여하 는 것이다. 이처럼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그들의 부모가 사회․경제생활을 도모하고 보육서비스에 만 족하기 위해서는 이를 총체적이고 효과적으로 성취하기 위한 요인이 필요한데, 최근 보육교사의 적극 적이며 긍정적인 성향인 조직몰입에 대한 개념이 어린이집 내 과업과 성공적인 실행을 좌우할 수 있는 요인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차대운, 정영만, 2002). 또한 조직몰입은 조직구성원들의 기여적인 행동에 매우 관련이 깊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으며, 장기적이며 안정적이어서 조직 구성원들의 태도나 행동 간 의 관계를 잘 나타내주고 있어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구성원이 조직의 가치 와 목표를 향해 노력을 기울이거나 동일시할 때 조직몰입은 높아지며(Mowday 외, 1979), 조직몰입이 높은 구성원은 이직률이 낮아졌다(Allen & Meyer, 1990). 보육교사에게 있어 조직몰입은 조직구성원 인 교사들이 어린이집의 목표와 가치를 수용하고, 조직에 대한 일체감을 가진 상태에서 조직을 위해 고 도의 노력을 지속하려는 의지를 가지며, 조직을 떠나지 않고 계속 근무하려는 욕구를 뜻한다(고광혁, 2011). 조직몰입이 높은 유아교사는 교육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프로그램의 질적 성장을 가져오게 되 고(서지영, 서영숙, 2002), 교사들이 어린이집이 원하는 목표와 가치를 수용하고 어린이집을 위해 헌 신하며 어린이집 구성원으로 남아 있고자 하는 생각이 클수록 행복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홍 성미, 2018).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에 근거할 때 영유아교사의 직무성과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효 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몰입이라는 변인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조직몰입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은 대부분 무용수, 사회복지사 등 타 직업군과 관련되어 있으며(고언정, 이혁준; 2010;류가연, 2013), 어린이집 교사들의 교사-영유아상호작용과 조직몰입에 관련한 연구(이다인, 2019;이종은, 2019)는 부족한 편이다.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교사는 조직의 방침에 더 많은 자부심과 믿음을 갖게 될 것이며, 더욱 더 자신감 있는 태도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박수연, 윤선아, 2012), 보육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는 요인을 감소시켜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다(이종각, 문수백, 2011). 따라서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수준을 높여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예측할 수 있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관한 그 동안의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개인적인 변인이나 환경적인 변인 의 각 한 면에 초점을 둔 논문들이 주를 이루었다(정연일, 2016;김시연, 2014;김윤지, 2017). 그러 나 보육교사는 영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인적환경 요인으로서 심리, 효능감과 같은 개인적인 변인뿐 만 아니라 물적, 환경적 요인들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두 변인을 모두 고려하는 다각적인 연구가 필 요하다. 또한 인간의 긍정적 감정은 부정적 정서에 의해 발생되는 불안,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영향 에 대한 해독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권석만, 2008), 보육교사의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 연구가 필 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개인적 변인으로 긍정심 리자본과 환경적 변인으로 조직몰입을 동시에 설정하여,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이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상관관계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질 높은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며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연구문제1.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2.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3.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의 대상은 J도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들이다. 본 연구를 위해 총 8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중 772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및 답변이 누락된 설문지 32 부를 제외한 740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은 <Table 1>과 같다. 연구대상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40대가 290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에는 30대가 211명으로 두 번째로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전문대학 졸업이 323명(43.6%), 4년제 대학 졸업은 288명(38.9%)로 나타 났다.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521명(70.4%), 미혼자는 214명(28.9%)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경력 5년에서 10년 미만의 교사가 239명(32.3%)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10년 이상의 교사는 226명 (30.5%)으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맡고 있는 학급의 영유아 연령은 1세 이하가 272명 (36.6%), 만2세가 181명(24.5%)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지위는 담임교사가 568명(76.8%)으 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다음에는 보조교사가 79명(10.7%)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의 유 형에 대해서는 민간어린이집이 299명(26.9%), 법인어린이집은 283명(24.7%)이었으며, 보육교사 자 격증 형태는 보육교사 1급 369명(49.9%), 원장 자격 195명(26.4%) 순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

    1)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이정숙(2003)이 APECP, NAEYC, NCAC, 유아교육 프로 그램 평가척도와 한국교육 개발원 평가기준에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측정 문항들을 추출하여 사 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30문항으로 하위요인은 “따뜻하고 친절한 태도로 상호작용 하는 정도”인 정서적 상호작용 10문항, “영유아의 생각과 느낌, 요구에 대하여 상호작 용 하는 정도”인 언어적 상호작용 10문항, “영유아의 긍정적 행동과 부적절한 행동에 대하여 상호작용 하는 정도”인 행동적 상호작용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응답자는 각각의 문항들을 읽고 ‘전혀 그렇 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로 응답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가 영유아와 긍정적으로 상 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95로 높게 나 타났으며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정서적 상호작용 .91, 언어적 상호작용 .82, 행동적 상호작용 .89로 나 타났다.

    2) 긍정심리자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을 측정하기 위하여 Luthans 등(2007)이 개발한 긍정심리자본 측정도구 를 한혜영(2013)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특정 과업을 성취하기 위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믿음”인 자기효능감 6문항, “목표달성을 위한 의지와 방법의 소유에 대한 긍정적인 동기부여 상 태”인 희망 6문항, “긍정적인 사건의 원인을 내부적이고 지속적이라고 생각하는” 낙관주의 6문항, “실 패나 역경 혹은 긍정적이지만 급격한 변화로부터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인 회복탄력성으로 총 24개의 문 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도구는 5점 리커트 척도인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5점까 지로 응답하게 되어 있으며, 총점 범위는 24점~12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긍정심리자본의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94 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자기효능감 .81, 희망 .83, 낙관주의 .78, 회복탄력성 .81이었다.

    3) 조직몰입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을 측정하기 위하여 Porter 등(1974)이 개발한 조직몰입 설문지(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OCQ)와 Lee 등(2001)이 개발한 조직몰입 측정도구를 고광혁(2011) 이 수정·보완하고 박동현(2014)이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조직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해서 느끼는 심리적인 애착으로 조직에 대한 동일시, 관여, 감정적 애착상태”인 정서적 몰입 7문항, “조직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손익관계에 의거하여 몰입하게 되는 것으로, 조직을 떠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이 클 때 조직에 더 몰입함”을 의미하는 지속적 몰입 7문항, “조직에 대한 책 임감에 근거한 조직몰입으로, 조직에 충성하고 의무를 성심성의껏 수행해야 한다는 내적인 가치관”의 규범적 몰입 7문항,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 다’(5점)까지로 응답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몰입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조직몰입의 전 체 신뢰도는 Cronbach's=.89,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정서적 몰입 .84, 지속적 몰입 .83, 규범적 몰입 .79로 나타났다.

    3.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J도에 있는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임의 표집하였다. 연구자는 전화를 통해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조사에 동의한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원장과 교사에게 비밀 엄수, 연구 목적 외에 연구결과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 등을 설명하였다. 또한 설문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정확한 검사 실시를 위해 유의점 등을 안내하고 배부한 후 연구자가 직접 회수하였다. 회수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Window용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각 변인들과의 관계 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변인들이 교사-영유아 상호작 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일반적 경향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초통 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변인별 평균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M=3.990), 긍정심리자본(M=3.854), 조직몰입(M=3.369)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각 하위요인별 점수를 살 펴보면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의 평균점수는 희망(M=3.936), 회복탄력성(M=3.839), 자기효능감 (M=3.829), 낙관주의(M=3.808) 순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하위요인의 평균점수는 정 서적 몰입(M=3.696), 규범적 몰입(M=3.378), 지속적 몰입(M=3.031)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영유 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에서는 정서적 상호작용(M=4.031), 행동적 상호작용(M=4.003), 언어적 상 호작용(M=3.935) 순으로 나타났다.

    2.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상관관계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사-영 유아 상호작용 각각의 하위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의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 하위요인 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하위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조직몰입 하위요인인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

    1)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 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다중공선성과 공차한계를 확인한 결과 VIF는 1.273으로 10을 넘지 않았고 공차는 .786으로 1을 넘지 않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 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나타났으며(F=283.783, p<.001), R2은 .435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해 43.5%의 설명 력을 보였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β=.533, p<.001)과 조직몰입(β=.214, p<.001) 모두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긍정심리자본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2)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력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 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분석한 결과, 회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결과 는 <Table 5>와 같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공선성과 공차한계를 확인한 결과 VIF는 1.447~4.325로 10을 넘지 않았고 공차는 .231~.691로 1을 넘지 않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정서 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74.160, p<.001), 설명력은 41.5%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 중에서 희망(β=.246, p<.001), 회복탄력성(β =.124, p<.05),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몰입(β=.110, p<.01)과 규범적 몰입(β=.100, p<.01) 이 정서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희망과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정서적, 규범적 몰입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의 정서적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하위요인인 언어적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62.933, p<.001), 설명력은 37.6% 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에서 자기효능감(β=.152, p<.05), 희망(β=.134, p<.05), 회복탄력성(β=.141, p<.05),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은 정서적 몰입(β=.118, p<.01), 지속적 몰입(β =.080, p<.05), 규범적 몰입(β=.087, p<.05)이 언어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희망,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정서적으로 지속적으로 규범적인 몰입 이 잘될수록 교사-영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상 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76,350, p<.001), 설 명력은 42.2%를 보였다.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중에서 자기효능감(β=.164, p<.01), 희망(β=.132, p<.05), 낙관주의(β=.116, p<.05), 회복탄력성(β=.151, p<.01),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중에서 정서 적 몰입(β=.082, p<.05), 지속적 몰입(β=.069, p<.05), 규범적 몰입(β=.104, p<.01)이 행동적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이 높고 정서적, 지속적, 규범적 몰입이 높을 때 교사-영유아의 행동적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앞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모두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점수 가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가 평가제로 전환되면서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사교육 및 원내 동료 간 장학이 잘 이루어져 보육교사의 상호작용 의식수준이 높아지고 상호작용의 질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각 하위요인별 평균점수를 살펴보 면, 먼저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에서는 희망,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노진형 등(2019)의 연구에서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희망의 평균이 가장 높고, 낙관주의, 자 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의 순서로 나타난 연구결과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이다. 보육교사가 수립 한 목표와 계획들이 성공적으로 잘 실행 될 것이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자신이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와 목표 달성의 긍정적인 동기부여 상태인 ‘희망’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보육 교사의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에서는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와 동일한 연구도구를 사용한 박동현(2014)의 연구에서 조직몰입 하위요인 중에서 정서적 몰입 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속적 몰입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와 일치한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 들의 조직에 관한 규범적 가치관 교육과 더불어 직장생활 만족감을 높여 지속적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에서는 따뜻하고 친절한 태도로 상호작용 하는 ‘정서적 상호작용’, 유아의 긍정적 행동과 부적절한 행동에 대하여 상호작용하는 ‘행동적 상호작 용’, 유아의 생각이나 느낌, 요구에 대하여 상호작용하는 ‘언어적 상호작용’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서지능, 효능감,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대한 평가 중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구결과(박경 숙, 2016)와 일치하는 결과로, 보육교사들이 영유아에게 따뜻하고 친절하게, 항상 웃는 얼굴로 영유아 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개별적인 요구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은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의 하위요인들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자 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영유아 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 간에 유의 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고 밝힌 박선희(2016)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교사의 정서적, 규범적 몰 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정서적, 언어적 상호작용에 정적상관이 있다고 밝힌 이종은(2019)의 연 구결과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유아교육기관 내에서 교사에 대한 공감경험은 긍정심리자본을 형성 하게 하여 정서적 몰입을 보이게 되어 교사 간 관계 뿐 아니라 유아들과의 관계 형성에 기여하게 한다고 밝힌 김세곤과 이윤서(2018)의 연구결과와도 맥을 같이한다. 보육교사의 긍정적 심리자본과 조직몰입 이 영유아와의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 제공이 필요하며, 이 에 대한 활동이나 프로그램과 같은 교육적인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 본과 조직몰입 모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보다 긍정심리자본이 더 큰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 높다 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과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하위요 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정서적 상호작용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긍정심리자본의 희망, 회복탄력성과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희망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 능감, 회복탄력성, 희망, 낙관주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은 규범적 몰입,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회복탄력성이 높은 교사는 영유아가 즐겁게 놀이활동에 참 여할 수 있도록 따뜻하고 애정을 갖고 언어적, 행동적으로 상호작용한다는 연구결과들(이병선, 김진경, 2019)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중 희망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을 실행하 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이영주, 최경, 2018)와 유사한 결과이다. 희망은 자신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조절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으로(조현주, 2010), 희망이 높은 사람들은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다양한 대처전략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있으며, 문 제에 부딪히더라도 대안목표를 찾을 수 있는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다(Snyder, 2000). 이는 다양한 어 려움 속에서도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지와 희망을 가지고 자신이 맡은 직무를 끝까지 해내려는 책임감 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이 정서적, 언어 적, 행동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는 교사-유아의 정서적 상호작용에는 지속적 몰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이다인, 2019)와 일치하며,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직무만족,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난 연구결과(김시연, 2014)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특히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상대적으로 더 설명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이 높은 교사일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고 희망을 가지고 미래에 대해 낙관적으로 생각하며 어려움이 있어도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기 때문에 보육교사 개인의 자질을 강화시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게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최근 보육과 교육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보육교사라는 점을 생각해 볼 때, 교사가 정서적, 언 어적, 행동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환경적 지원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육과 교육의 질은 보육교사라는 인적 자원에 달려 있다는 기본적인 원리에 의해서 교사 개개인의 긍 정심리자본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의 기회와 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조직에 대한 몰입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국가 및 지방 자치단체 차원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부지역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임의 표집하여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 상 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교사-영유아 상호 작용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보육교사의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인 변인을 동시에 제시하여 연구하였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직무역량 강화교육과 어린이집 평가제 지표 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Figures

    Tables

    Sociodemographic background of research subjects

    General tendency of child 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N=740)

    Correl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influence of child care teachers’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ubfactors

    References

    1. 고광혁 (2011).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효능감,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 효과성간의 관계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2. 고언정, 이혁준 (2010). 사회복지사의 정서지능과 조직몰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4, 259-279.
    3.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서울: 학지사.
    4. 김보경, 이경님 (2016). 원장의 코칭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 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5(1), 109-133.
    5. 김세곤, 이윤서 (2018). 유아교사의 공감과 긍정심리자본이 유아에 대한 무례함 또는 정서적 몰입에 미치 는 영향: 공감과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교육연구, 3(1), 43-67.
    6. 김시연 (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간 의 구조분석. 박사학위논문, 광주대학교 일반대학원.
    7. 김연수 (2014).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및 민감성이 교사-영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 문,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8. 김윤지 (2017). 유아교사 탄력성과 교사-유아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원장, 동료교사, 학부모) 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9. 김주엽 (2009). 행복: 조직행동의 새로운 지평. 인적자원개발연구, 12(1), 123-141.
    10. 노진형, 박순선, 송미영, 진영미, 이경순 (2019).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자본, 긍정심리자본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2), 141-164.
    11. 류가연 (2013). 무용수의 정서지능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 28, 41-63.
    12. 박경숙 (2016).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및 정서 지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덕 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3. 박동현 (2014). 보육교사의 셀프 리더쉽이 직무만족도와 조직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총 신대학교 교육대학원.
    14. 박선희 (2016).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및 교사-영유아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15. 박수연, 윤선아 (2012).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 뇌교육 연구, 9, 27-49.
    16. 박진영 (2012). 유아교사의 DAP 교육신념과 직무만족도가 교사 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 위논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17. 박희숙, 윤수정 (2014). 24시간 어린이집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감정이입 능력과 타인 이해력 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1-22.
    18. 서지영, 서영숙 (2002). 유아 교사의 조직 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프로그램의 질과 직 무환경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115-136.
    19. 이경하, 석은조 (2010).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유아교사의 자질.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167-187.
    20. 이다인 (2019).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조직몰입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21. 이병선, 김진경 (2019).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회복탄력성이 유아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0(3), 1135-1146.
    22. 이영주, 최경 (2018).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 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4), 53-70.
    23.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4. 이종각, 문수백 (2011).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래 유아교육학, 18(4), 65-184.
    25. 이종은 (2019).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 유아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 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6. 정다우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교사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 영유아보육학, 81, 49-70.
    27. 정연일 (2016).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삼육대학교 대학원.
    28. 조미희 (2018). 유아의 특성과 교사효능감 및 유아 상호작용, 학급연령구성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9. 조현주 (2010). 희망이 생활스트레스와 정신병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 29(3), 839-852.
    30. 차대운, 정영만 (2002). 개인적 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5(5), 117-131.
    31. 최미애 (2000). 유치원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 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32. 한국보,육진흥원 (2020).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어린이집용). www.kcpi.or.kr
    33. 한혜영 (2014). 대학생의 유머감각이 긍정심리자본과 셀프 리더쉽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 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34. 홍성미 (2018). 보육교사의 소명의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 학위논문,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35. 홍자영 (2015).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의 감성지능, 교사효능감, 교사-유아상호작용 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대학원.
    36. Ba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Inc.
    37. Katz, L. (1995). Talks with teachers of young children: A collection. Norwood, N.J.: Ablex Pub. Corp.
    38. Lee, K. , Allen, N. J. , Meyer, J. P. , & Rhee, K. Y. (2001). The three-component model of organisational commitment: An application to South Korea.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0(4), 596–614.
    39. Luthans, F. , & Youssef, C. M. (2007). Emerging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33(3), 321-349.
    40. Luthans, F. , & Avolio, B. J. (2003), Authentic leadership: A positive developmental approach. In K. S. Cameron, J. E. Dutton & R. E. Quinn (Eds.),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241-261). San Francisco7 Barrett-Koehler.
    41. Luthans, F. , & Youssef‐Morgan, C. M. (2015). Psychological capital and well being. Stress and Health, 31(3), 180-188.
    42. Luthans, F. , Avolio, B. J. , Avey, J. B. , & Norman, S. M. (200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60(3), 541-572.
    43. Mowday, R. T. , Steers, R. M. ,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s, 14(2), 224-247.
    44. Seligman, M. E. P. (1999). The president's address. American Psychologist, 54, 559-562.
    45. Seligman, M. E. P.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3-13).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6. Snyder, C. R. (2000). The past and future of hop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9, 11-28.
    47. Snyder, C. R. (2002). Hope theory: Rainbow in the mind. Psychological Inquiry, 13(4), 249-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