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5 No.2 pp.181-196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0.25.2.4

Analysis of Kindergarten Multicultural Programs Based on the Nuri Course

Yi-Jeong Pyo, Jin-Ho Ko
Ph.D, Department of International Multiculturalism,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Professor, Department of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Ko jin ho, Profrssor, Department of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E-mail : kojinho@dongguk.edu
April 29, 2020 ; June 2, 2020 ; June 9, 202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and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 by analyzing the kindergarten multicultural program based on the Nuri course. It also helps kindergarten teachers to plan and deploy a ‘multicultural’ curriculum in a balanced and effective manner, and provides multicultural program materials that the state is implementing in kindergartens to develop and disseminate ‘multicultural’ related materials and programs.


Methods:

The study target was to select 17 kindergartens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mong the year-long education courses at kindergartens in the Nambu Office of Education, where multicultural children are concentrated, and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 of education related to ‘multiculturalism’, activity types and activity areas, and multicultural topics by frequenc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of multicultural activities was presented with a focus on ‘cultural understanding’ and ‘diversity’ at all ages of 3, 4, and 5. Second, the types of activities related to ‘multiculturalism’ were the most important for all age groups of 3, 4, and 5 years of age. Third, the theme of activities related to ‘multiculturalism’ by living topics was concentrated on the two living themes of the ‘world’s countries’ and ‘our country’ at all ages of 3, 4 and 5.


Conclusion:

For successful multicultural education in kindergarten, an educational approach is required in which the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evenly reflected in educational content and life topics, and teacher awareness and teacher education are needed to promote real multicultural classes. In addition, multicultural programs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researched nationwide, and multicultural programs should be distribu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치원 다문화 프로그램 분석
- 서울시 남부교육청 관내 유치원을 중심으로 -

표 이정, 고 진호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우리나라는 국제결혼 및 이주 노동자의 증가로 다문화 가정 자녀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고 있다. 2018년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에 제시된 결과를 보면 현재 미취학 다문화 가정 유아의 비 율은 3.6%로서 향후 다문화가족 자녀의 취학률은 점차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상황변 화에 따라 교육부는 기존의 다문화 학생 지원 중심의 다문화 교육 정책 추진 방식을 차별·편견 방지 및 상호문화이해를 위한 교육으로 확장하고 있고, 다문화 학생을 우수 인재로 양성하여 우리 사회의 개방 성을 높일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있다(교육부, 2019.07.30.). 서울시교육청의 경우도 다문화 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상호문화교육을 실천 전략으로 채택하고, 학생들의 상호 다문화 역량을 키우기 위하여 유치원 단계에서부터 다문화 교육에 시행하고자 하고 있다. 유아 시기는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태도, 인식을 기르는 결정적인 시기라는 점에서 다문화 이해 교육의 필요성이 특별히 강조된다. 특히 유아기는 문화나 가치관에 대한 다양성을 존중하고 편견을 갖지 않도록 돕는 다문화 교육을 하는 데 최 적의 시기이며 이러한 점에서 유아기 발달에 적합한 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한 교육 실천적 방법을 모색 해 볼 필요가 있다(박찬옥, 이예숙, 2013).

    교육부가 2019년 7월 발표한 공통 교육과정인 개정 누리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감성이 풍부한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으로 제시되어 있다. 개정 누리 과정에서는 이러한 인간상의 제시와 함께 5개 영역의 내용을 연계하고 있다. (김영옥, 2020). 5개 영역 은 신체 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 경험, 자연 탐구 5개 영역이며, 이 영역들 중 특히 사회 관계 영역에서는 ‘더불어 사는 사람에게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다문화 교육에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 닌다. 더불어 사는 사람의 인간상은 교육과정 목표 내에 사람 존중의 가치관과 세계 문화의 이해 및 다 양성을 추구하고 각자의 독특성을 수용하고 존중해주며 더불어 살아가는 태도를 함양하는 것을 교육 방향으로 강조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개정 누리과정의 하위내용에서도 유아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더불어 생활하기를 위해 실천하기 위해서는 유아기부터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 는 내용을 교육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치원에 다문화 교육 자료가 발급된 시기는 2006년도부터이다. 2006년도에 발표된 교육인적자원 부의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지원 대책” 이후 현장에는 다양한 유형의 다문화가정 지원방안과 더불어 교 사를 위한 “교과서 보완 지도자료”가 발간된 바 있다(양영자, 2007). 국가 수준의 제7차 유치원 교육과 정에서도 세계화, 개방화 시대에 대비하여 다른 나라 사람과 그들의 생활풍습에 관심을 가지도록 내용 을 구성할 것을 강조한 바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유아들이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존중함으로써 편견 을 갖지 않고 수용하는 태도를 갖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적 실천을 위해서 2007년도에는 “유아 의 세계이해 및 다문화 교육을 위한 지침서”가 교육인적 자원부에서 발간되어 각 시도 유아교육 기관에 배포된 바 있다(신현경, 2009). 이후 보건복지부가 2013년 3월 시행한 국가 수준의 영유아기 국가 수준 의 보편적 교육과정인 ‘제3차 표준보육과정’과 교육부(2013년)의 3~5세 유아를 위한 교육·보육을 통 합한 ‘공통과정’인 누리과정의 편성 운영 지침에서도 유아들의 다문화 교육을 강조하기에 이르렀다.

    2017년부터는 다문화 교육대상을 기존 학령기에서 유치원 미취학 대상으로 낮추었고,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한정된 다문화 교육을 일반 아동과 교원으로 대상을 확대하는 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교육 부, 2017). 그리고 2018년부터 유아교육법과 초·중등교육법에 유·초·중·고 교원에 대한 다문화 이해 교육이 의무화되었다. 이 법령에 따라 교육부 장관과 교육감은 대통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유치원 교원들은 다문화 이해 교육 관련 연수를 의무적으로 받게 되었다. 이러한 법률적 제도적 조치를 통해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적으로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유아들뿐 아니라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들에게 형성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법률적 제도적 조치에 따라 유아교육 분야에서 다문화 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박찬옥, 이예숙, 2013;조숙영, 조병은, 2012;민정선, 노진아, 2011, 권점옥, 안선희, 2003, 전경숙, 2008)이다. 앞의 연구들이 누리과정에 대한 연구라고 한다면,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서를 분석한 연구와 교재 내용 및 방법 분석에 관한 연구(박찬옥, 이예숙, 2010;김숙자, 박세영, 2011;이영애, 이현숙, 2002;천현정, 2011) 등도 제시된 바 있다. 특히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다문화 관련 활동을 분석연구(조 숙영(2013)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및 누리과정에 기초한 다문화 교육의 실태를 분석한 연구(공민정, 김승희 2015),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의 세계시민 교육내용과 교육 방법 분석 한 연구(유연옥, 박인숙, 2014)과 교육 활동 지도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 연구(남미경, 윤갑 정, 2015)등은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교육 분야 연구의 대표적인 연구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대부분 누리과정에서 연령별 기준 다문화프로그램의 영역별 비중을 논하고, 누리과 정 지도서에 다문화프로그램에 있어 교육내용의 편중성을 지적하고 있는 공통점을 갖는다.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서 및 누리과정에서 다문화 관련 활동에 관한 기존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공통 적으로 누리과정 내 다문화 교육내용이 편중되어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역설적이게도 현재의 다문화 관련 활동이 전체적으로 교육과정에 반영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 다. 앞의 연구들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문화 활동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실제 유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사가 다문화 교육 활동이 범 교육 과정적 주제로서 인식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이 러한 사실과 함께 유치원 단계에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활동 방법과 활동자 료를 활용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과 비판적 사고능력이 동시에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사의 능 력을 키워주기 위한 교사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여러 연구에서 이미 제시된 바 있다는 점에서 국가 차원에서 다양한 다문화프로그램 개발하여 유아 교사들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내용들이 현장에 보급되 고 확대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자가 유치원의 다문화프로그램을 분석하게 된 이유는 재직하고 있는 원에 다문화 유아의 비 중이 높아 서울시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문화 정책학교를 4년째 운영하고 있으면서 교사 및 학부 모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낮은 인식, 다문화 유아들에 대한 편견, 다문화 유아들의 뒤처진 언어발달로 인한 유치원 생활의 어려움, 교육과정 속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내용 포함,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진행 시 교수 학습 방법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문화 교육이 시작될 가장 중요한 시점인 유아기에 어떻게 다문화프로그램을 유치원 현장에서 제공해주어야 하는지 관심을 가지게 됨에 따라 유치원의 다문화프로그램 분석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그동안의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서와 누리과정에서 다문화 관련 활동에 연구물 내용은 상당수 존재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치원 프로그램의 다문화 관련 활동 분석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어린이집 다문화 관련 활동 분석에 관한 연구는 일부 존재하고 있지만, 유치원 교육과정 내에서의 다문화 프로그램 편성에 입각하여 실천되고 있는 다 문화 활동 분석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다문화 관련’ 교육 활동을 다문화 유아가 밀집되어 있는 남부교육청 관내 유치원의 연간 교육과정의 다문화 관련 활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치원의 다문 화 관련 활동 분석에서 남부교육청 관내 유치원을 선정한 이유는 이 지역이 서울지역 다문화 학생 거주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남부교육청 관할 구로구·영등포구·금천구 등에서 전체 다문화 학생 가운 데 27%가 거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남부교육청 산하 6개 초등학교는 2017년도 다문화학생 비율 이 30%를 넘어서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다문화 학생이 밀집되어있는 남부지 역인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지역 관할 지역청인 남부교육청 소속 유치원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 다. 유치원 연간 교육과정 안의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중 ‘다문화’ 관련 교육내용 및 활동유형·활동영역 분석, 주제별 비중 분석을 통하여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이 연구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유치원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할 때 필요한 유치원 현장의 기초적인 자료를 추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다문화 활동 분석을 통해서 활동을 다문화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보고 다문화프로그램 구성 및 활용에 대 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 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중 ‘다문화’ 교육내용의 현황은 어떠한가?

    2. 유치원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중 ‘다문화’ 교육 활동유형과 활동영역의 현황은 어떠한가?

    3. 유치원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중 ‘다문화’ 활동 주제 유형은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현장경력(연구자, 분석자3)에 의해 분석대상 선정이 이루어진 바 있다. 연 구자는 유아교육 경력 27년 및 다문화 교육을 전공한 박사 수료생이며, 분석자는 모두 현장경력 6년 이 상의 현직 유치원 교사 3명이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남부교육청 관내에 속해있는 17개 유치원이다. 우리나라 유치원은 매년 유치원 알리미(유치원 공시 체계)를 통해서 매년 4월 1일 기준으로 유치원 현 황 및 유치원 연간교육 과정을 정보 공시하게 되어있다. 남부교육청에는 총 92개원(공립:29개원, 사 립:63개원)이 있다.

    이 유치원 중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교육과정으로 구성된 유치원을 일차적으로 선정하고 2차로 다 문화프로그램이 연간 계획안으로 편성된 유치원을 최종 선정하였다. 이 유치원들은 구로구 7개 원(공 립 4개 원, 사립 3개원), 금천구 3개 원(공립 1개 원, 사립 2개 원), 영등포구 7개 원 (공립 4개원, 사립 3개 원)에 위치하고 있다. 남부교육청 92개 원 유치원 중 40개 유치원은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연간 교육 과정에 편성되지 않거나 34개 원의 경우 연간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은 편성되어 있지 않아 연구 대 상에서 제외하였다. 그리고 구로구 1개 원은 현재 휴원 상태여서 연구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최종적으 로 다문화 관련 활동 분석이 가능한 유치원 총 17개원을 선정하여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유 치원의 구체적인 현황은 다음 <Table 1>와 같다.

    2. 분석방법 및 준거

    1)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다문화 교육내용은 모든 유치원이 공통적으로 문화, 다양성, 정체성 형성 등에 다루고 있는 것으로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부(1999)는 다문화 교육의 내용 범주를 문화·다양성·평등성·협력의 개념을 중심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범주를 핵심 개념화하여 제시하면 문화, 협력, 편 견, 정체성 형성, 평등성, 다양성 6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김영옥, 2007). 이 연구에서는 유아기에 적 합한 다문화 교육내용을 문화, 협력, 편견, 정체성 형성, 평등, 다양성의 6가지 다문화 요소에 기초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2) ‘다문화’ 교육 활동유형 및 활동영역 분석

    이 연구에서는 2019년 남부 유치원 관내 유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 관련 교육 활동유형 및 활동영역에 대한 분석을 교육과학 부(2012, 2013)에서 발간한 바 있는 5세와 3-4세를 대상으로 하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기초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 활동영역으로 쌓기 놀이, 역할 놀이, 언어, 수·조작, 과학, 미술, 음률 영역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 활동영역으로는 대·소집단 활동과 바깥 놀이 활동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대·소집단활동은 이야기 나누기, 동화, 동시·동극, 게임, 음률, 신체, 현장 체험, 요리 활동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3) ‘다문화’ 관련 활동 주제별 비중 분석

    3-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치원 연간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관련 활동의 생활주제에 따른 전 체 활동에 대한 다문화 관련 활동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다문화’ 관련 활동 이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하였다.

    3. 분석절차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6년-8년 유치원 교사 3인)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연구 자들은 남부교육청 관내 유치원 17개원 의 다문화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교육 활동유형 및 활동영역, 다문화 관련 활동 주제별 비중을 분석하기 위하여 2주간에 걸쳐 토의를 진행하였고, 이후 합의과정을 통해서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다. 연구자 간 분석내용에 대한 일치 도는 98%이며, 세부사항에 있어서 분석자자 간 이견이 발생할 경우 전체 내용을 재검토하고 관련 내용에 대한 합의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 음을 밝히고자 한다.

    4. 자료처리

    이 연구는 서울시 남부교육청 관내 17개 유치원의 연간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자와 연구보조자 2인은 먼저 교육부(2012, 2013) 누리과정 교 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관련 내용에 대한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내용분석과정 에서 일차적으로 누리용 교사용 지도서 등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는 다문화 내용을 선별하여 분류 하고 이를 다시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선별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처리 과정에서 범 주화에 따른 연구자와 연구보조자들이 실시한 내용 분석을 통해서 앞에서 언급한 범주들이 우리나라 유치원 다문화 교육 과정의 핵심적인 구조를 이루는 내용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연구자들이 실시한 자료처리의 2차 적 과정은 앞에서 제시된 범주와 관련된 내용들에 대한 구체적 사항을 분석하는 작업이었다. 이러한 자료처리 과정을 통해서 분석된 내용들은 유아 다문화 관련 세부 항목들이었다. 이 세부항목들은 문화적 이해(cultural understanding), 협동(cooperation), 편견 (prejudice), 정체성(identity), 평등(equality), 다양성(diversity)의 6가지였다. 이러한 6가지 항목 들에 대한 누리과정별 비교 논의를 위해서 이 세부항목들을 연령별(3세, 4세, 5세) 분석하여 아래 <Table 2>과 같이 제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다문화’ 관련 교육내용 분석

    이 연구에서 유치원 ‘다문화’ 관련 활동의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한 일반적 다문화 관련 활동에 1-4개의 교육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세 대상 교육내용은 총 121개로 분석되었다. 이 러한 교육 내용들은 문화이해 44개(36.3%), 다양성 39개(32.2%), 정체성 13개(11%), 편견 9개 (7.4%), 평등 9개(7.4%), 협력 7개(5.7%)의 활동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4세를 대상으로 한 교육내 용은 197개이며, 이 내용들의 세부주제는 문화이해 67개 (34%), 다양성 59개 (29.9%), 정체성 33개 (16.8%) 협력 23개(11.7%), 편견 10개(5.1%), 평등 5개(2.5%)로 분석되었다. 5세의 교육내용은 292 개이며, 이 내용들은 문화이해 122개(41.8%), 다양성 111개(38.5%), 정체성 25개(8.6%), 협력 16개 (5.4%), 편견 14개(4.8%), 평등 4개 (1.4%)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연령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관련 활동내용에 있어서 문화이해와 다양성에 대한 교육내용이 가 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 한 사실이다. 이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관련 연 구(박찬옥, 이예숙, 2013)를 통해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화나 정체성, 다양성과 관련된 다문화 교 육 활동이 교육내용으로 편중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편견이나 평등성과 관련된 교육 활동은 거의 다 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유치원 현장 다문화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있어서도 문화다양성에 대한 빈도는 상대적으로 높은데 비해서 편견, 평등성, 협력과 같은 교 육내용은 낮게 다루어지고 있는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다문화’ 관련 교육 활동 유형 및 활동영역 분석

    유치원 다문화 관련 활동유형과 영역은 대소집단 활동(이야기 나누기, 동화·동시·동극, 음악, 신 체, 게임, 요리 등), 자유 선택 활동(쌓기 놀이 영역, 역할놀이 영역, 언어 영역, 수·조작 영역, 과학 영 역, 미술 영역, 음률 영역), 바깥 놀이, 현장 체험 활동 등으로 범주화 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3>은 3세, 4세 5세 유치원 아동들의 다문화 관련 활동유형과 영역에 대한 내용을 빈도와(%)로 분석한 내용들이다. 이 표를 통해서 볼 때 3세 아동의 경우 대소집단 활동이 64개(80%)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소집단 활동에서 이야기나누기와 신체, 동화, 미술 활 동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반면에 바깥 놀이 활동에서는 ‘다문화’ 관련 활동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4세 ‘다문화’ 관련 활동 유형에 있어서도 대소집단 활동으로서 이야기 나누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동화, 동시, 미술 활동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유치원 다문화 교육과정에서 특이한 상황은 언어 관련 활동과 다문화 관련 바깥놀이 활동은 모두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세 ‘다문화 ’관련 활동유형을 보면 대·소집단 활동이 168 개(83.15%)로 다른 활동유형에 비해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활동유형으로는 세부적으로 분 석하면 이야기 나누기 동화, 신체 활동, 미술 활동유형 순으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세 과정의 경우 3세와 4세 과정과는 달리 바깥 놀이 활동(0.99%)이 비록 매우 낮은 분포이기는 하지만, 일 정 부분 교육내용으로 채택되고 있음은 특이한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3세 과정의 경우 자유선택활동 16개(20%)로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은 미술 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 타났고 언어와 수영역에서도 미미한 편이기는 하지만 다문화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반면에 블록, 음률, 역할놀이 영역에서는 ‘다문화’ 관련 활동이 상대적으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세 과정의 경우 ‘다문화’관련 활동영역을 살펴보면 자유선택활동 38개(24%)이 며 미술영역과 언어영역이 다른 영역에서의 활동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4세 과정의 경우는 조작영역을 제외하고서는 모든 영역에서 골고루 ‘다문화’ 관련 활동이 이루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세 과정 의 경우 ‘다문화’ 관련 활동은 자유선택활동 34개(16.85%)이며, 대·소집단 활동 168개(83.15%)로 분 석되었다. 자유선택활동을 세부적 분석하면, 언어영역이 가장 비중이 높고 미술, 수·조작영역이 다음 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치원의 하루 일과 운영 중에서 활동유형 분석을 보면 이야기 나누기, 동시, 미술 등이 교육 활동의 과반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문화화 교육 활동 유형 연구 중 이야기 나누기가 가장 많고, 미술, 수·조작 활동, 동화·동시·동극 등도 전체 교육 활동의 절반을 하고 있으 나 다른 활동들은 5% 내외로 드물게 활동하고 있다는 연구(박찬옥, 이예숙, 2013)결과와도 유사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교육현장에서 누리과정에 나와 있는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을 현장 교육과정에 거 의 그대로 반영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 ‘다문화’ 관련 활동 주제별 비중 분석

    유치원에서 생활주제별 ‘다문화’ 관련 활동 비중을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먼저 생 활주제별 분석에 있어서 3세 과정의 경우는 세계 여러 나라 19개(22.89%), 유치원과 나 13개(15.66%), 나와 가족 13개(15. 66%), 봄·여름·가을·겨울 10개(12.04%)에서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에 관한 내용이 8개(9.64%), 교통기관 8개(9.64%) 동식물과 자연 5개(6.02%), 건강과 안전 2개(2.41%), 생활도구 2개(2.41%), 환경과 생활 3개(3.61%)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 다. 특히 우리 동네라는 주제는 설정되었으나 이 주제와 관련해서는 ‘다문화’ 관련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 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세 과정의 경우는 세계 여러 나라 36개(22.92%)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치원과 나 24개(15.29%), 나와 가족 24개(15.29%), 우리 동네 13개(8.28%), 봄·여름·가을·겨울 10개(6.37%)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교통기관 11개(7.01%), 동식물과 자연 9개(5.73%), 생활도 구 7개(4.46%), 환경과 생활 5개(3.18%), 건강과 안전 4개(2.55%)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5세 과정의 경우는 세계 여러 나라 38개(28.1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나와 가족 23개(17.04%) 유치 원과 나 18개(13.33%), 우리나라 15개(11.11%)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5세 과정의 경우에 있어서 우리 동네 8개(5.93%), 봄·여름·가을·겨울 8개(5.93%), 동식물과 자연 6개(4.44%), 교통기관 6개 (4.44%), 건강과 안전 4개(2.96%), 생활 도구 4개(2.96%), 환경과 생활 5개(3.70%)는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다문화’ 관련 활동 주제별 비중을 보면 모든 연령에서 세계 여러 나라, 우리나라, 우리 가족, 나와 가족, 유치원/어린이집과 친구 관련한 생활주제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가장 적게 다루 고 있는 생활주제는 환경과 생활, 동식물과 자연, 생활 도구, 교통기관, 봄·여름·가을·겨울이다.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서울 남부교육청 관내 유치원의 2019년 연간교육과정 중 다문화프로그램이 연간 계획안 으로 편성된 17개 유치원의 ‘다문화’ 관련 활동의 교육내용, 활동유형 및 활동영역, 생활주제별 비중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유치원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효과적으로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와 관련 논의에 기초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다문화’ 관련 교육내용은 문화이해와 다양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평등·편견·협력에 관 련한 교육내용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음을 알 수가 있다. ‘다문화’ 교육내용은 일차적으로 유아의 현실 과 관련되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내용들을 포함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는 문화이해와 다양성에 중점적으로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유치원 다문화 교육은 유아들에게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반 편견, 평등성, 협력 등 다문화 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긍정적인 태도를 기르기 위하여 유아교육과정 전 영역에 걸쳐 통합 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생활주제와 연계하여 유아가 직접적인 활동 참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 러나 이러한 목표에도 불구하고 유치원 현장에서는 다양한 문화를 일괄적으로 소개하고 각 문화 간의 차이점의 특성만을 비교하는 보여주기식의 접근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교육단 계에서 문화 다양성 개념에 대한 교육은 각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심을 기르고 문화 간 긍정적 태도를 발달시키기 위한 맥락에서 접근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를 위해서는 유치원 과정에서 문화의 다양성을 찾는 데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문 화 간의 유사성도 찾아보려는 시도를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유아들이 문화적으로 동 질성을 느끼고 서로 도울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문화 사회 및 다문화 교육에서 핵심적 인 사항은 유아들이 다양한 문화의 존재와 다양성을 인식하고 개별 문화의 독특성을 이해하고 존중하 는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문화적 역 량을 가진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문화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 하면 유아 초기부터 소수문화에 대해 갖는 편견과 고정관념에서 탈피해서 상호 문화의 이해와 존중, 다 양성과 평등, 조화로운 삶을 위한 공동체 의식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을 해야 한다. 그리고 유치원을 비롯 한 유아 교육기관에서는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 시 교육내용에 문화, 협력, 편견, 정체성, 평등, 다양성 이 적절하게 포함된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 관련 교육 활동유형과 활동영역은 유아의 모든 연령에서 이야기 나누기, 동시, 미술 등이 교육 활동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교육기관에서 교사가 다 문화 교육프로그램 활동을 하는 데 있어 이야기 나누기나 동화를 통한 대·소집단 활동 중심의 교육 활 동 위주로 교육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유아들이 보다 다양한 활동영역을 통해서 다문화 교육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문화 교육 활동의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언어와 미술 등 특 정 영역 및 교육 활동에만 편중할 것이 아니라 하루 일과 운영 중 일과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야기 나누 기, 동화, 신체, 음악, 미술, 게임, 요리, 바깥 놀이, 현장학습 등 모든 영역에서 다문화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다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유치원 내에서는 다양한 문화를 구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역할영역 의 비중이 높은 데 비해 만 3세 과정에서는 역할 영역관련 내용이 없거나 만4-5세에서도 비중이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프 로그램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교사는 연령과 발달 수준에 맞는 다양한 유형으로 문화를 반영하여 균형있게 활동을 전개해야 할 수 있도록 유아들의 물리적 환경에서도 다양 한 문화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유아들은 교실 내에서도 실제적으로 다양 한 문화의 가치가 포함되고 존중받고 있음을 알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다문화 교육활동을 위한 교구들이 일반 교구들과 마찬가지로 유아의 발달에 적합하며 놀이를 지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를 반영한 교재 및 교구로서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유아들이 좋아하는 흥미 영역인 역할 놀이나 쌓기 놀이와 같은 자유선택 활동에서 유아들이 보다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서로 협력하 여 놀이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돕고,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여건 을 마련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다문화’ 관련 생활주제의 비중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모든 연령에서 세계 여러 나라, 우리나 라, 우리 가족, 나와 가족, 유치원/어린이집과 친구 등에 관한 생활주제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가장 적게 다루고 있는 생활주제는 환경과 생활, 동식물과 자연, 생활 도구, 교통기관, 봄·여름·가을·겨울이다. ‘다문화활동’ 주제 중 과반수가 우리나라와 세계 여러 나라에 집중 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다문화 교육 활동이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한 소개에 집중되어 있고 한정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문화 교육의 핵심적인 사항은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한 소개와 이해보다 타인과 다른 문화적 관점에서 현상을 생각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능력을 갖추는 것임을 이해하 고 유아와의 활동 주제에 다양한 문화적 소재를 고려하여 다문화 관련 활동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인 남부교육청 관내 유치원의 2019년 연간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생활주제 및 안전교 육, 인성교육, 자연 체험활동에 관한 프로그램은 관내 92개 원 모두 연간 교육과정 안에 편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은 17개원만 편성되어 운영되고 있어 전체적인 비율이 단지 18%에 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호문화주의 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서울시교육청의 다문화 교육방침이 무색하리만큼 유치원 교육현장에서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육과정 반영이 매우 미흡함을 알 수가 있다.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연간으로 편성된 유치원을 살펴볼 때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전 체 연령의 다문화 이해 교육 프로그램이 구성된 곳이 13개원, 만 4세, 만 5세 연령에 관한 다문화 이해 교육프로그램이 구성된 원이 4개원이 있었다. 프로그램 실시 횟수도 학기별 1회만 다문화 교육을 편성 한 원도 있는 반면 생활주제에 맞추어 월 6-7회 정도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을 편성한 원도 있어 유치원 별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실시에 있어서 편차가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남부교육청 관내 유치원의 경우 다문화 정책학교가 2개 원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남부 교육청 관 내 유치원의 경우 다른 일반 유치원의 다문화프로그램과 달리 다문화 교육내용에 있어 특히 언어발달 프로그램, 초등학교와의 연계프로그램등이 잘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 연 구의 대상인 남부교육청 관내 유치원들의 강점으로 분석되었고, 다른 교육청의 일반유치원과의 차별 성을 인식하는 가장 중요한 측면으로 판단되었다. 물론 다문화 정책학교에는 서울시교육청 연간 지원 금이 지원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다문화 프로그램 그램 활동을 계획하고 진행하는것이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근본적인 차이의 발생은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운영자와 교사의 인식에 대한 차이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이러한 점에서 유치원 운영자와 교사들이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성과 관심 이 중요한 측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제언

    이 연구의 결과 및 결론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누리과정 지도서에 나온 다문화 교육 활동 내용 및 방법을 추가 보완하여 모든 교육과정 전반 에서 다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들에게 교육내용 및 모든 영역 및 활동유형, 생활주제에서 ‘다문 화’ 관련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전인 발달을 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유치원 연간 교육과정 편성 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인성교육처럼 의무적으로 편성될 수 있도 록 해야 한다. 연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 가정 유아 담임교사를 위한 교사용 매뉴얼을 개발 보급 및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고 실제적인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교사 교육 및 다문화 연수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 요하다. 교사가 다양성에 전문성을 가지고 효과적으로 교육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국가의 체계적인 지 원이 보장되어야 한다.

    넷째, 유치원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이 모든 영역의 활동에서 전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및 교재·교구 개발 ·보급이 필요하다.

    다섯째, 다문화 교육의 효과를 위해서는 일과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가정 및 지역사회 연계가 중요하 다. 학부모 대상 다문화 교육도 함께 개발하여 유치원 교육과정 속에 포함된다면 다문화 교육의 효과 및 지속성도 증대될 것으로 여겨지는바 다문화 관련한 가정 연계 프로그램 개발도 제언하는 바이다.

    Figures

    Tables

    Multicultural Program Analysis Kindergarten(affiliated with the Southern Office of Education)

    Education contents related to 'multiculturalism’

    Types of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multiculturalism' and areas of activity

    'Multicultural' related activity topics

    References

    1. 공민정, 김승희 (2015).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누리과정에 기초한 다문화교육의 실태.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87-111.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유치원 지도서 1권: 총론.
    3. 교육과학기술부 (2013). 3-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4.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5.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6. 교육부 (1999). 유아를 위한 세계이해 교육활동 이해자료.
    7. 교육부 (2017). 2017년 다문화 교육 지원계획.
    8. 교육부 (2019). 2019년 다문화 교육 지원계획.
    9. 교육인적자원부 (2007). 교사와 유아를 위한 유아사회교육 활동자료.
    10. 교육통계서비스 (2018).
    11. 국가승인통계 (2019).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12. 권점옥, 안선희 (2003).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나타난 남녀 역할에 대한 차별적 요소 내용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301-317.
    13. 김숙자, 박세영 (201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307-334.
    14. 김영옥 (2007). 다문화 사회의 유아교육과정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3), 45-68.
    15. 김영옥 (2020).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변천과 개정 누리과정의 과제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5(2), 75-103.
    16. 남미경, 윤갑정 (2015). 전국 수준의 커리큘럼 2007 유아 교육 활동 안내서 및 3-5세의 누리 코스 교사 안내서 (출처)의 유아 다문화 교육 네트워크 분석. 한국아동학회지, 3, 150-151.
    17. 민정선, 노진아 (2011).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활동의 비중분석과 교사들의 활용실태 및 요구에 대한 조사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1(3), 51-74.
    18. 박재옥, 이완정 (2013). 통합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 관리학회지, 31(3), 93-112.
    19. 박찬옥, 이예숙 (201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및 방법 분석. 유아교육학논 집, 14(6), 383-403.
    20. 박찬옥, 이예숙 (2013).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및 교육 방법의 분석. 다문화 콘텐츠연구, 15, 35-60.
    21. 신현경 (2009). 유아기에 적합한 다문화교육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 교육활동 사례. 다문화콘텐츠연 구, (2), 87-97.
    22. 양영자 (2007). 분단-다문화시대 교육 이념으로서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양립 가능성 모색. 학교 교육과정학회지, 25(3), 23-48.
    23. 여성가족부 (2019).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24. 유연옥, 박인숙 (2014).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의 세계시민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분석. 어 린이문학교육연구, 15, 465-480.
    25. 이영애, 이현숙 (2002). 교육부 「유치원 교육 활동지도 자료」의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어린이미디어연 구, 1, 53-72.
    26. 전경숙 (2008). 경기도 지역의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생활실태 조사: 학교생활과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6(1).
    27. 조숙영 (2012).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다문화관련 활동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447-466.
    28. 조숙영, 조병은 (2012).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와 유치원 지도서의 장애 관련 활동 목표와 비교 분 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233-256.
    29. 천현정 (201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반영된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201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 정에 따른.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30. Christine, I. B. (2009).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6th ed). Allyn & Bacon.
    31. Derman-Sparks, L. , & ABC Task Force (1989).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32. Gibson, M. (1976). Approach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Some concepts and assumptions. Anthropology and Education Quarterly, 7(4), 7-18. Reprinted in Anthropology and Education Quarterly, 15(1), 99-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