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5 No.3 pp.291-306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0.25.3.3

Reciprocal Relationships Concerning a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 Mother's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a Father's Satisfaction with Marriage

KyoungAe Na, Kyung-Seok Min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Education, Sejong University
Professor, Department of Education, Sejo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Kyung-Seok Min, Department of Education, Sejong University (E-mail: minkyungseok@sejong.ac.kr)

June 29, 2020 ; August 29, 2020 ; September 6, 202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concerning a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 mother's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a father's satisfaction with marriage.


Methods:

The longitudinal data for three years, collected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as analyzed with an Autoregressive Cross-Legged Model. Three variables were measured by means of a self-report method.


Result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er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a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a mother’s satisfaction with marriage. Also, there wer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both parents’ satisfaction with marriage. This means that a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positively affected a mother's satisfaction with marriage. Also, a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a marital relationship. However,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the father's satisfaction with marriage had no effect on each other.


Conclusion:

A social atmosphere should be promoted in which fath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child rearing so that their satisfaction with marriage can also improve.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나 경애, 민 경석

초록


    Ⅰ. 서 론

    핵가족이 보편화되면서 점차 가정 내에서의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필수적인 것이 되고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해 짐에 따라 양육문제에 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아버지의 역할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취업모가 증가하면서, 육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여 양육에 대한 기대가 더는 어머니의 역할이 아닌 공동의 역할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로 최근에는 자녀와 소통하고 적극적으 로 양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아버지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한 아버지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친밀하게 나타나고 있다(손소영, 2013).

    Lamb(2010)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의 직접적인 효과와 관련하여, 아버지가 양육에 참여하여 자녀와 상호작용하는 것은 어머니가 양육에 참여하였을 때와 같이 자녀 발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하였다. 아버지의 역할이 재조명된 이후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아버지 의 양육 참여가 자녀의 정서와 의사소통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횡단 연구(도금혜, 2009;최항준, 최선녀, 임현주, 2013), 자녀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횡단 연구(서석원, 이대균, 2014), 자녀의 문제행동 및 심리적 특성에 대한 차이에 관한 종단 연구(연은모, 최효식, 2020), 부부의 결혼만족도 간 관련성에 관한 종단 연구(서미정, 2017), 결혼만족도 수준에 관한 횡단 연구(Sevigny & Loutzenhiser 2010) 그리고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횡단 연구(손영빈, 윤기영, 2011) 등이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자녀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도금혜, 2009), 연 은모, 최효식(2020)의 종단 연구에서는 5년에 걸쳐 잠재계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아버지 의 양육 참여가 자녀와 어머니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므로 아버지의 양육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국가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서미정(2017)은 5개년 자료를 활용하여 종단 연구를 진행 하였고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지 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모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실제로 (이미현, 2015)는 아버지가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자녀 양육에 더욱 많이 참여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결혼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녀 양육과 자녀 놀이 참여도가 증가하며(서미정, 2017), (손영빈, 윤기영, 2011) 의 연구에서도 아버지가 자녀 양육에 많이 참여할수록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높아진다고 보고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어머니의 자녀 양육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줄여 주기 때문에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고 추측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녀 양 육에 아버지가 참여함으로 인하여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을 수 있는 문제점들과 어려움에 대하여 아버 지가 공감하고 이해해 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부부간의 정서적 유대감이 강화되어 어머니의 결혼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즉, 자녀 양육이 누구 한 사람의 책임이 아닌 공동의 책임임 을 인식하고 아버지가 적극적으로 자녀 양육에 참여하면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높아지고 나아가 자녀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손영빈, 윤기영, 2011).

    한편, 부부가 한가정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공동양육을 해야 한다는 역할에 대한 인식이 변화가 있었 고 이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됐으나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진행이 되지 않았다.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따른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부부 공동 결혼만족도의 이해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필요하다. 또한, 결혼만족도는 결혼생활이라는 장기적인 측면을 살펴보는 것이기 때문에 결혼만족도는 시간 흐름에 따라서 변화할 것임을 가정할 수 있다. 이렇 게 결혼생활과 같이 경험적 연구에 기초한 생애주기에 따른 연구는 횡단 연구보다는 종단 연구가 관련 성이 있다(Pinsoneault & Kraemer, 1993).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어떠한 관련이 있 는지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상호적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 적이 있다. 또한, 영아기는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으로 사회적 발달이 급격히 일어나는 시기로 부모의 보살핌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이며 이 시기의 아버지 역할의 매우 중요하다(Mchale, Rao & Kransnow, 2000). 본 연구에서는 돌봄이 필요한 영아기 동안 각 변인 간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 화하는지 살펴보고 각각의 요인들이 어떻게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지의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 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egged Modeling)을 선택하여 요인 간 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1.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는 어떠한가?

    • 2.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는 어떠한가?

    • 3.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아버지 양육 참여와 부부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핵가족화된 현대사회로 오면서 어머니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증가하였고 이와 함께 아버지의 자녀 양 육 참여가 요구되고 있다(Lamb, 1981). 이미현(2015)의 횡단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어머니와 공동양육의 측면에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취업모가 증가하면서, 가 사 와 육아에 대한 인식 변화하여 부모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변화하는 현실의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 인다. 서미정(2017)의 5년에 걸친 종단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증진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고하였다. 또한, 연은모, 최효식(2020)의 출생부터 5년까지의 잠개계층 성장모형을 적용한 연구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적극적인 양육 참여는 어머니의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 감을 덜어줌으로써 어머니의 결혼만족감에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가 자녀 양육에 참여하면 어머니는 자신의 양육에 대한 부담을 덜어준 아버지 부모의 역할 에 만족하게 되며 이것이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연결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김정주, 김용 미(2008)의 횡단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 난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아버지가 자녀 양육에 많이 참여할수록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높아짐을 의 미하므로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결국 어머니의 결혼생활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고 볼 수 있다.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Feldman(2000)의 횡단 연구 에서는 결혼만족도가 높은 아버지는 자녀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고 나타났다. 이와 흐름을 같이 하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횡단 연구에 따르면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자녀 양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은모, 최효식, 홍윤정, 김정아, 2014). 이는 아버지가 결혼만족도가 높으면 자녀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연구결과와 뜻을 같이한다(Bouchard & Lee, 2000). 만족 스러운 결혼생활은 배우자와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을 한다. 즉 아버지가 자녀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이는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유지하는데 긍정적으 로 작용하게 된다.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에 따른 어머니 결혼만족도와 아버지 결혼만족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보았을 때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상호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버지 양육 참여와 어머니 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로 간의 관계가 변화될 수 있 으므로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간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종단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2. 어머니 결혼만족도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결혼이란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지고 성장한 두 사람이 정서적 친밀감을 기반으로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정경아, 김봉환, 2010). Spanier와 Lewis(1980) 결혼만족도를 결혼생활에 대한 기대 정도와 실제로 경험하는 일치 정도라고 정의하였다. 김경미와 김 영희(2009)는 결혼만족도는 행복한 가정을 형성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서 결혼생활 전반에 대해 경험 한 주관적 감정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결혼만족도는 결혼생활에 대해 부부가 생각하는 삶의 질에 대한 만족 정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결혼만족도는 단지 부부 둘만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 니다. 만약 부부가 결혼생활을 만족스럽게 느끼지 못하면 배우자에게 언어적 공격 등 또 다른 갈등 문 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이명신, 김유순, 2016). 가정에서의 만족은 사회적인 만족 중에서도 가장 일차 원적인 행복의 선행 요건이자 필수적 요건이다. 부부간의 관계에서부터 시작하는 가정에서의 관계가 일차원적인 사회관계라고 볼 수 있다.

    현대사회의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삶의 행복과 부부간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권정혜, 채규만, 2000). 어머니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에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부부가 지각한 부부 의 갈등 수준이 높으면 결혼만족도가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하였 다(Yucela & Koydemir, 2015).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그들의 양육 행동과 관련이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Gardner, Qualter & Whiteley, 201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높은 경우 온정적인 태도로 자녀를 양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낮은 경우 자녀와의 애착 관계가 불안정 하게 형성되었다(Kaczynski et al. 2006). 이처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낮으면 어머니의 불안정한 정서가 자녀 양육에 있어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Gardner, Qualter & Whiteley, 2011).

    아버지의 경우 결혼만족도가 높으면 자녀와 신체, 정서적인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고(Lamb, 2010), 자녀 양육 참여에 적극적이다(Sevigny & Loutzenhiser, 2010). 어머니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자 녀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에도 불구하고 주로 아버지 결혼만족도에 관련된 횡단 연구(임애련, 김유정, 안선희, 2015;연은모, 최효식, 홍윤정, 김정아, 2014) 혹은 어머니.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에 관해 연구한 임애련 외(2015)의 어머니 결혼만족도에 관련된 횡단 연구(송연빈, 윤기영, 2011)로 연구 됐다. 자녀 양육이 부부 공통으로 책임져야 할 부분으로 인식이 바뀐 시점에서 어머니 아버지의 만족도 를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결혼생활과 관련한 연구내용이 종단적인 시각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는 점에서(Karney & Bradbury, 1995) 종단 연구가 횡단 연구보다 상호적인 관계를 밝히는 데 더욱 효과적이다(Pinsoneault & Kraemer, 1993). 기존의 횡단 분석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 지의 결혼만족도 간 상호 영향 관계를 살펴보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본 연구는 종단적 상호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 아동 패널(PSKC) 자료를 사용하였다. 결혼 초기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2008년 조사자료인 1차년도, 2009년 조사자료인 2차년도, 2010년 자료인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표본 수는 1차년도 아버지 231명, 어머니 231명 중 참여하지 않은 아버지 10명을 제외한 452명, 2차년도 아버지 231명, 어머니 231명 중 참여하지 않은 아버지 9명을 제외한 453명, 3차년도 아버지 231명, 어머니 231명 중 참여하 지 않은 아버지 4명, 어머니 3명을 제외한 455명이었다.

    2. 연구 도구

    1) 아버지의 양육 참여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사용된 도구는 남편의 가족 역할수행을 측정하는 홍성례(1995)의 도구를 롤 한국 아동 패널에서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문항은 총 4개 문항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 중 선택하는 5점 Likert 척도이다. 점수가 높다는 것은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도 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도에 대한 신뢰도는 1차년도부터 3차년도까지 .788, .790, .831으로 각각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대한 설문 문항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2) 부부 결혼만족도

    KMSS(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Schumm, Nicols, Schectman, & Grigsby, 1983) 는 결혼만족도를 측정하는 다양한 도구 중에서도, 단일차원의 척도이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다고 보 고되었다. 한국 아동 패널은 Chung(2004)이 KMSS를 우리나라 문화에 맞도록 일부 수정한 결혼만족 도(Revised-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RKMSS) 도구를 이용하였다. 한국 아동 패널은 질문지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5점 척도로 사용하였다. 평정 척도는 5점 Likert 척도로 주어진 보 기의 ‘매우 불만족(1점)’에서 ‘매우 만족(5점)’ 중에서 선택한다. 점수가 높다는 것은 결혼만족도가 높다 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신뢰도는 1차년도부터 3차년도까지 .910, .906, .905,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신뢰도는 1차년도부터 3차년도까지 .928, .935, .913으로 각각 나타났다. 결혼만족도에 대한 설문 문항은 Table 2에 제시하였다.

    3. 분석방법

    이 연구에서는 AMOS Versio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버지의 양육 참여, 어머니의 결혼만족 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에 상호보완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자기 회귀 교차지연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에 결측치가 포함되어 FIML(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방법으로 모수를 추정하 였으며,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자기 회귀 교차지연모형의 측정 동일성, 경로 동일성, 오차 공 분산 동일성을 검증하기 위해 14개의 경쟁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때, 모형1은 제약을 가하지 않은 기저 모형이며, 모형 2~4는 측정 동일성을 확인하기 위한 검증이다. 모형 5~7의 경우에는 자기 회귀계수에 대하여 경로 동일성을 검증하기 위한 모형이고, 모형 8~13은 교차 회귀계수에 대한 동일성 검증한 모형 이다. 마지막으로 모형 14는 오차분산 동일성 검증을 확인하기 위한 모형이다. 최적의 모형을 찾기 위해 서 14개의 모형을 차례로 비교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χ2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지 만, 표본의 크기에 민감하므로(Hong, Malik, Lee, 2003), 모형의 적합도 지수인 TLI(Tucker-Lewis Index)와, CFI(Comparative Fit Index) 그리고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를 검증하여 표본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적합도 해석 기준은 TLI와 CFI의 경 우 그 값이 .90 이상이면 적합도가 좋다고 할 수 있다(홍세희, 2000). RMSEA의 경우는. 05이하이면 좋은 적합도, .08이하이면 양호한 적합도, .1이하이면 보통 적합도로 해석한다(김주환, 김민규, 홍세 희, 2009). 본 연구에서 설정한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 어머니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 의 관계에 대한 자기 회귀 교차지연 모형이 [Figure 1]에 제시되어 있다.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기술통계, 상관분석에 관한 결과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먼저 측정 변인의 왜도(Skewness) 와 첨도(Kurtosis)를 확인하여 정 규분포가정을 충족하는지 점검한 결과, 왜도가 .52에서 1.9사이로 나타났고, 첨도는 .036에서 5.8사 이었다. 따라서 정상분포 조건( 왜도< |3|, 첨도< |8|)이 충족되었다(West et al, 1995). 3년간의 측 정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 만족도 간의 관계는 Table 3에서와 같이 정적인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아버지 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에는 서로 높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는 바이다.

    2. 자기 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분석 결과

    1) 측정 및 경로 동일성에 대한 모형 검증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종단 적인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 회귀 교차지연모형을 설정하고 검증을 진행하였다. 14개의 모 형을 검증한 결과는 Table 5과 같다. CFI, TLI의 값은 모두 기준점인 .9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RMSEA 값 또한 .056 ~ .057인 것으로 나타나 적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Hu & Bentler, 1999; Schmaker & Lomax, 1996).

    먼저, 측정 동일성에 대한 검증은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간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다. 기저 모형인 모형1과 모형 2. 모형 3, 모형4의 비교에서 CFI 값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시간에 따른 측정 동일성이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세 변수 간의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 계를 확인하기 위한 자기 회귀계수에 대한 경로 동일성 결과는 모형4를 기점으로 모형 7까지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다(Chen, 2007). 모형 5와 모형 6, 모형 6과 모형 7간의 서로 비교해 보았을 때 CFI의 값에서 큰 변화량이 보이지 않아 자기 회귀계수의 경로 동일성이 성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차 회귀 계수에 관련한 경로 동일성은 모형 8부터 모형 13까지의 비교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모 형 8부터 모형 13까지 TLI, CFI, RMSEA의 적합도 지수에서 모형 간 큰 변화량을 나타내지 않아 교차 회귀계수에 대한 경로 동일성 또한 확인하여 유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 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교차 지연적 관계는 시간이 흐름에도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에 오차 공분산 동 일성 제약조건을 더하여 간명 성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된 모형 14를 이전 모형과 비교한 결 과 CFI 나 TLI, RMSEA와 같은 적합도 지수에서는 필요한 조건을 모두 충족하여 유의한 것으로 나타 났으며, 이에 따라 모형14를 최종모형으로 결정하였다.

    2) 구조계수 추정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시간 흐름에 따른 종 단적인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종모형으로 선정된 모형 14의 구조계수 추정 결과는 다 음의 Table 5 에 제시된 바와 같다. 먼저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 족도 간 세 가지 요인이 시간이 경과함에도 서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경로에 대한 회귀계수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1차년도(β =.711, p<.001)와 2차년도 (β =.765, p<.001) 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1차년도(β =.512, p<.001)와 2차년도 (β =.506, p<.001) 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는 1차년도(β =.178, p<.001)와 2차년도 (β =.228, p<.001) 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요인 간 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는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간의 변화에 따른 상호적인 관계가 유지되고 있 음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년의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2차년의 어머니의 결혼만족도(β =.131, β =.140)에 유 의확률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1차년의 어머니의 결혼만족 도 또한 2차년의 아버지의 양육 참여( β =.100, β =.099, p<.01, p<.05)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손영빈, 윤기영, 2011)의 결과와 비슷한 맥락을 같이한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이후 시점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β =.188, β =.224, p<.001)와도 지속해서 안정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시점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또 한 이후 시점 어머니의 결혼만족도(β =.133, β =.120, p<.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구체적인 경쟁모형을 설정하였다. 14개의 경쟁모형의 적합도 비교를 통해 측정 동일성, 경로 동일성, 오차 공분산 동일성 검증을 진행하였다. 종합적으로 모든 요인을 고려한 결과는 [Figure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 아동 패널의 1차년도부터 3차년도까지 총 3개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 석방법은 자기 회귀 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주요 요소 간 관계를 상호적 인과 관계를 가정하는 종단적 모형(자기 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통해 규명하고, 아버지 의 양육 참여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와 어떠한 인과 관계를 맺는지를 확인했다 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요 연구결과와 이에 대한 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 상호적 관계를 검증한 결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서로 종 단적 상호관계를 맺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이후 시점의 어머니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이후 시점의 아버지 양육 참여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 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종단 연구(서미정, 2017), 연은모, 최효식(2020)의 잠재계층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 종단 연구의 결과와 일치 한다. 즉, 아버지 가 자녀 양육에 많이 참여할수록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영유아기의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우 남편이 아버지로서 자녀 양육에 적극적으로 개입을 하는 등의 지원이 있으면 어머니 의 결혼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관련이 있 다는 것을 뒷받침해주는 연구결과이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서로 종단적으로 상호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부부의 결혼만족도는 서로 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윤해옥, 최효식(2016)의 종단 연구결과와 흐름을 같이한다. 부부의 결혼 만족도에 종단 연구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일치된 견해를 뒷받침하지 못하였으나, 본 연구를 통 해 3년이라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서로 상호적 인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는 부부는 서로 간에 의지하는 친밀한 관계이기 때문에 배우자에게서 느끼는 존경과 사랑의 감정 이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킨다고 추론할 수 있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서로 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그 요인별로 사회, 정서, 교육지원, 공동양육, 자기 성장, 놀이 등 모두 결혼만족 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다고 나타난 연구결과(이미현, 2015)와 흐름을 달리한다. 하지만 아버지의 양 육 참여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 치지는 않지만,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고 이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 으며 이러한 결과는 Feldman(2000)의 연구와 흐름을 같이한다.

    손영빈, 윤기영(2011)의 횡단 연구에서는 아버지가 자녀 양육에 참여할수록 결혼만족감이 커진다고 보고하였다. 어머니의 사회활동이 증가하고 맞벌이 가정이 많아지면서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대한 필 요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준비가 되지 않은 채 자녀 양육에 참여한 아버지의 경우 자녀 양육에 대한 지 식과 경험이 부족하여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아버지가 적극적으로 양육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사회적인 분위기가 개선되면 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높 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에 대해서 살펴보았 다. 연구결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어머 니의 결혼만족도는 매개 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에 간접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반대로 상호적 인과 관계를 확인하였을 때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매개로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에도 영향을 미침을 확 인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매개 변인으로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에서 따른 결혼만족도의 상호적 관계 를 살펴보았는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심리적 특성요인, 가정적 요인들을 고려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야 할 것이다.

    Figures

    KFWA-25-3-291_F1.gif

    Autoregressive Cross-Legged Model

    Notice: FCR=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MSM= Mother’s Satisfaction with Marriage, FSM= Father’s Satisfaction with Marriage

    KFWA-25-3-291_F2.gif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A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 Mother’s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A Father’s Satisfaction With Marriage.

    Notice: Only significant paths were displayed and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values were presented. *p<.05, **p<.01, ***p<.001

    Tables

    A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Items and Cronbach’s alpha)

    Marital Satisfaction (Items and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sup>*</sup><i>p</i><.05, <sup>**</sup><i>p</i><.01, <sup>***</sup><i>p</i><.001

    Comparisons of 14 Autoregressive Cross-Legged Models

    Estimate of Structural Factors in the Model 14

    <sup>*</sup><i>p</i><.05, <sup>**</sup><i>p</i><.01, <sup>***</sup><i>p</i><.001 ns=non-significant. B: non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i>β</i>: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References

    1. 권정혜, 채규만 (2000). 부부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2), 207-218.
    2. 김경미, 김영희 (2009). 부부의 성격특성과 갈등의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 학회지, 14(3), 327-352.
    3. 김정주, 김용미 (2008).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일반적 특성, 어머니 결혼만족도가 아버지 양육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4, 269-287.
    4.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주).
    5. 도금혜 (2008).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의사소통 유형 및 아동의 성취동기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가 정과교육학회지, 20(4), 139-155.
    6. 서미정 (2017).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버지 및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간 종단적 관련성. 육아정책연구, 11(3), 47-64.
    7. 서석원, 이대균 (2014).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157-178.
    8. 손소영 (2013). 아버지 역할이 나타난 TV광고 분석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4(5), 219-227.
    9. 손영빈, 윤기영 (2011). 아버지의 역할지각,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 아교육학회지, 18(3), 105-126.
    10. 연은모, 최효식, 홍윤정, 김정아 (2014). 영유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 양육협조에 미 치는 영향: 심리적 특성의 매개효과와 배우자의 취업유무의 조절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6, 51-78.
    11. 연은모, 최효식 (2020). 아버지 양육 참여 변화 유형에 따른 자녀의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심리적 차이 비교: 잠재계층성장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 468-476.
    12. 윤해옥, 최효식 (2016). 부모의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유아 발달 간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APIM 모형 의 적용. 유아교육연구, 36(3), 357-378.
    13. 이명신, 김유순 (2016). 부부권력, 변화주장,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년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3(2), 179-214.
    14. 이미현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4(4), 265-285.
    15. 임애련, 김유정, 안선희 (2015).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직업만족도 및 양육참여. 한국가정관리학회 학 술발표대회 자료집, 266-266.
    16. 정경아, 김봉환 (2010). 성인애착, 공감능력 및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인간이해, 31(1), 89-104.
    17. 최항준, 최선녀, 임현주 (2013). 어머니의 양육 행동,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 아버지의 양육 참여가 영아 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6, 49-72.
    18. 홍성례 (1995). 30대 남편의 가족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의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7-177.
    20. Bouchard, G. , & Lee, C. M. (2000). The marital context for father involvement with their preschool children: The role of partner support. Journal of Prevention & Intervention in the Community, 20(1-2), 37-53.
    21. Chen, F. F. (2007).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ex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3), 464-504.
    22. Chung, H. (2004).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s, 95, 1015-1022.
    23. Feldman, R. (2000). Parents' convergence on sharing and marital satisfaction, father involve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at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1(3), 176-191.
    24. Gardner, K. J. , Qualter, P. , & Whiteley, H. (2011). Developmental correlates of emotional intelligence: Temperament, family environment and childhood trauma.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63(2), 75-82.
    25. Hawkins, J. (1968). Associations between companionship, hosti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0(4), 647-650.
    26. Hong, S. H. , Malik, M. L. ,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4), 636-654.
    27. Kaczynski, K. J. , Lindahl, K. M. , Malik, N. M. , & Laurenceau, J. P. (2006). Marital conflict,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and child adjustment: A test of mediation and moderatio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0(2), 199-208.
    28. Karney, B. R. , & Bradbury, T. N. (1995). Assessing longitudinal change in marriage: An introduction to analysis of growth curv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1091-1108.
    29. Lamb, M. E. (1981). Fathers and child develop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Lamb, M. C.(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New york: Wiley.
    30. Lamb, M. E. (2010).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5th ed). Hoboken NJ: Wiley.
    31. Mchale, J. , Rao, N. , & Kransnow, A. (2000). Constructing family climates: Chinesemothers' reports of their co-parenting behaviour for preschoolers' adap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4, 111-118.
    32. Pinsonneault, A. , & Kraemer, K. L. (1993). Survey research i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An assessment.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0(2), 75-105.
    33. Schumm, W. , Nicols, C. , Schectman, K. , & Grigsby, C. (1983).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by a sample of 84 married mothers. Psychological Reports, 53, 567-572.
    34. Sevigny, P. R. , & Loutzenhiser, L. (2010). Predictors of parenting self-efficacy in mothers and fathers of toddler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6(2), 179-189.
    35. Spanier, G. B. , & Lewis, R. A. (1980). Marital quality: A review of the seven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2(4), 825-839.
    36. West, S. G. , Finch, J. F. ,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Hoyle, R. H.(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7. Yucela, D. , & Koydemir, S. (2015).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in north cyprus: Exploring the gender effects. Journal of Family Studies, 21(2), 120-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