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5 No.3 pp.393-413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0.25.3.8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Value of Children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Eun Ju Kim
Researcher, Department of Research, Min public & political Consulting,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Eun Ju Kim, Department of Research, Min public & political Consulting (E-mail: sys3150@hanmail.net)

August 8, 2020 ; August 31, 2020 ; September 10, 202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Q assessment tool(Q-Block) to verify the types of the value of children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Methods:

This study created a Q assessment tool(Q-Bloc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types on the value of children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found throughout Q Methodology.


Results:

This study produced three types of perceptions on the value of children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Type 1 is satisfaction with the existence of children. Type 1 emphasizes that the existence of children itself is enough to be considered happy. Type 2 is dedication and patience. This type is characterized as encountering difficulty and developing patience when raising children. Type 3 is the pursuit of social value. This type has the characteristic of pursuing social value. The Q-Block consisted of a highly discriminative statement from each type.


Conclusion:

The Q assessment tool(Q-Block) is expected to be highly useful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to check their perceptions on the value of children in the field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에 대한 주관성 연구
Q 사정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김 은주

초록


    Ⅰ. 서 론

    오늘날 저출산의 사회변화양상은 표면적으로는 가족 형태 다변화에 따른 부양체계 변화, 여성의 사 회진출로 인한 양육의 어려움, 청년실업, 자녀 양육 부담 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 한 사회변화의 양상은 사회문화적인 가치와 신념을 반영하는 것(곽정인, 2009)으로 근본적으로는 자녀 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 시점에서 자녀는 정말 있어야 하는 것인 지, 자녀가 있어야 한다면 무엇이 부모로 하여금 자녀는 정말 필요한 존재라고 여기게 하는지, 자녀는 부모에게 어떤 존재적 의미를 주는지에 대해 우리 사회의 구성원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저출산 및 가족 관련 사회현상에 관한 근본적인 문제해결의 핵심적인 열쇠는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른 자녀에 대한 부모의 인식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과 긴밀하게 연결(남정은, 2013)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부모세대가 자녀가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자 녀가치 인식은 부모가 자녀에 대하는 양육행동의 근원을 파악할 수 있게 하며 부모자녀간의 양육행동 에 따른 문제해결의 출발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부모역할이나 자녀양육 행동의 근원을 규명하기 위해서 는 부모가 자녀를 양육할 때 지향하는 신념, 사고, 태도, 인식의 틀과 같은 인지적인 요소에 대한 연구 가 필요하다(Goodnow, 1988;Miller, 1988).

    최근 급격한 인구절벽이라고 할 수 있는 출산율의 감소는 부모의 자녀가치에 대한 인식의 반영결과라 고 할 수 있으며 자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자녀의 모든 발달단계 별 부모도 그러하겠지만 특히 영유아기 자녀양육을 담당하고 있는 부모들의 경우, 양육의 어려움이 자 녀를 부정적으로 보게 하는 것인지, 그 어려움의 주 원인이 경제적인 문제에서 연유되는 것인지 등에 대 해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영유아기 부모의 경우는 다른 발달단계의 부모와 달리 후속 자녀출산과 관련 성 있는 부모세대라고 볼 수 있기에 그들에게 자녀가치에 대한 인식은 그 의미가 남다르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영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가치에 대한 그들의 내면적인 주관적 인식 을 살펴보고 그 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개인의 주관성의 내적 구조를 과학적으로 분석 하는 연구방법(Mckweon & Thomas, 2013)인 Q 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한다. Q 방법론은 개인 스스로 가지고 있는 주관적 경향이나 가치관에 대한 정량화를 통해 해석된 가치유형을 분석한 연구방법이다 (길병옥 외, 2020).

    또한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자녀가치 인식유형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넘어서서 영유아기 부모들이 어느 유형에 분류되는지를 확인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는 점에서 Q 사정도구(Q assessment tool)를 개발하고자 한다. Q 사정도구는 영유아기 부모 자신의 자녀가치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게 하며 자신이 자녀에 대한 양육과 자녀에 대한 부모역할 그리고 자녀미래의 기대에 대해서도 성찰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타 유형의 부모들은 어떻게 자녀가치를 인식하고 있는지를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한다. 결국 Q 사정도구는 부모로 하여금 자녀가치에 대한 이해와 성찰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자녀양육에 대한 올바른 방향의 역할을 하는 도구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문제제기와 필요성에 따라 이제까지 보고된 영유아기 자녀가치에 대한 선행연구를 우 선 살펴보면,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자녀가치에 대한 인식 연구(김미숙 외, 2008; 배경민, 2007;심도담, 2017;임현주, 최선녀, 2015)가 있으며, 예비부모와 미혼남성을 대상으로 한 자녀가치 인식에 대한 연구(이은정 외, 2012;조형숙 외, 2017)가 있다. 또한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과 관련된 유의미한 변인들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로는 후속 출산의지와의 영향을 밝힌 연구(심도담, 2017;이완, 채재은, 2017)와 아버지의 양육분담과 어머니의 자녀가치 인식은 양육스트레스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이 근애 외, 2016)가 있다. 이 외에도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과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임선영, 2015;임현주, 최선녀, 2015)에서는 만3세 유아 어머니의 자녀가치는 유아의 또래 상호 작용에 긍정적,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자녀가치와 관련된 변인과의 관계성을 밝힌 연구가 대부분이며, 개인이 가지는 자녀가치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구조를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녀가치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측면에서 Q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자녀 가치와 관련해서 Q 방법론을 적용한 부모의 자녀가치인식에 대한 연구(김은주, 2020)에서는 자녀의 발달단계별 부모의 자녀가치인식에 대한 유형, 특징 그리고 구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Q 방법론을 활용한 Q 사정도구 개발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자면 가치와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소비자 특성연구(김흥규, 1999)와 텔레비전 뉴스의 시청유형과 특성 에 관한 연구(김승환, 2008)에서 Q 도구(Q-Tool)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심상유도 음악치료 경험자들 을 대상으로 한 주관성 연구(이난복, 김흥규, 2011)에서는 기초적 Q 사정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김흥규(2008b)는 Q 블록과 Q 도구의 일치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볼 때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인식에 대한 Q 사정도구를 개발한 선행연 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Q 연구를 통해서 영유아기 부모의 주관적 인식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한 후, 이를 토대로 그들의 자녀가치 Q 유형을 확인하기 위한 Q 사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Q 사정도구의 개발 은 Q 유형을 찾아내는 것 뿐만 아니라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대규모 서베이를 통해 특정인이 어떤 유형 에 속하는지를 쉽게 판별할 수 있으며 그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이나 연구주제와 관련된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추론해 내는 데 유용하다(김흥규, 2008). 이런 점에서 Q 사정도구개발은 보다 넓은 관점에서 Q 방법론의 유용성을 높여주는 연구설계(김흥규, 2008)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Q 사정도구는 영유아기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현장에서 쉽고 간단하게 그들의 자녀가치 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Q 사정도구의 유형 확인은 영유아기 부모들에게 부모자녀관 계 형성을 위한 성찰과 저출산의 사회현상 속에서 부모들의 자녀가치에 대해 제고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가정책적으로는 유형 확인에 따른 저출산의 방안모색에 대한 실마리와 부모자녀관계의 향상에 요구되는 정책마련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Ⅱ. 이론적 고찰

    1. 자녀가치의 이론과 개념

    자녀가치관련 이론으로는 토착심리학적 이론, 인간발달론, 교환이론, 욕구중심이론이 있다. 첫째, 토착심리학적 이론은 과학적 객관성을 강조한 기존의 심리학에서 경시되어온 인간의 주관성과 문화라 는 맥락을 연구의 영역에 포함시킨 심리학의 새로운 접근이다. 토착심리학적 이론에 의하면 우리나라 부모자녀관계는 관계주의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다. 우리의 문화는 서구의 개인주의적 문화와는 달리 대인들 간에 관계성을 중시하는 관계주의 문화이다(최상진, 1997). 자녀는 자신의 분신이라고 인식하 며 부모와 성인이 된 자녀는 겹쳐진 자기개념을 형성한다(김의철, 2000). 부모자녀관계는 가족 구성원 간의 깊은 유대를 강조하고 상호의존적인 존재로 이해된다. 또한 부모자녀관계 속에서 자신의 역할과 의무를 다하는 것이 요구되며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조화가 중요하다고 본다.

    둘째, 인간발달론에 의해서 설명되는 자녀가치는 부모자녀관계에서의 ‘발달’과 내재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에릭슨의 인간발달론으로 설명된다. 에릭슨은 인간발달을 3가지 기본적인 구조 즉 ‘세대계 승’, ‘역사’, ‘자기초월’이라는 개념으로 전개한다. 한 인간이 발달한다는 것은 앞 세대에 양육되어서 다 음 세대로 이어가는 것인데 부모는 자식에게, 자식은 손자에게로 연쇄성을 가진다(박아청, 2007). 또 한 개인의 발달은 거대한 변화속의 역사의 흐름, 일상적인 의식을 초월한 자기초월과 관련성을 가진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부모의 자녀가치는 자녀의 발달단계와 맞물려있으며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자녀 가치 인식은 상이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교환이론에 의하면 자녀가치는 부모자녀간의 사회적 행동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Nye(1979)의 부모와 자녀간에 서로 주고 받는 반복적인 행위로 이루어진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부모 는 자녀에게 비용이라는 교환자원을 주며 이 다음에 자녀로부터 보상을 교환자원으로 받는 것이다. 말 하자면 자녀는 부모로부터 도움을 받으며 성장하여 자녀가 성장하고 나면 부모에게 도움을 주며 부모 는 자녀에게 미래의 지원을 기대하게 된다. 교환이론 관점에서 자녀가치는 비용편익의 경제적 관점에 서 자녀에 대한 투자는 부모 및 미래의 사회전체의 보상으로 오는 것이라고 보기에 자녀를 경제적 투자 의 가치 측면에서 보는 것이다.

    넷째, 욕구중심이론에서 자녀가치는 자녀가 부모에게 충족시켜주는 욕구의 가치이다. 욕구중심이론 에 의하면 자녀가치는 경제적 가치, 심리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구분된다. 즉 부모가 자녀에게서 기대 하는 물질적 비용과 이익의 경제적 가치, 자녀로 인해 느끼는 정서적 가치, 자녀로 인해 얻는 사회적 지 위와 가계계승의 사회적 가치를 말한다.

    그 다음으로 자녀가치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자면, 연구에 있어 개념을 명확히 하는 것은 모든 과학 적 연구의 출발이다(김광웅, 1996). 자녀가치의 개념을 알아보기에 앞서 가치란 위키백과에 의하면 인 간의 지적, 감정적, 의지적인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대상이나 그 대상의 성질을 가리킨다. 가치는 주 관 및 자기의 욕구와 감정 그리고 의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자녀가 치는 부모가 자녀를 통해서 주관적 자기의 욕구와 감정, 의지의 욕구충족을 얻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외 자녀가치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면 우선 국외의 경우 Fawcett(1972)는 자녀가치를 도구 적 가치, 도덕적 가치, 대안적 가치로 구분하였다. 도구적 가치는 자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심리적이며 사회적인 만족감을 말하며 도덕적 가치는 부모의 출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신념이나 도덕적 영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대안적 가치는 자녀로 인해서 생기게 되는 심리적, 경제적 부담을 상쇄시킬 수 있는 것을 자녀로부터 받기를 바라는 것이다. 이외에도 Kirchner & Seaver(1997)에 의하면 자녀가치는 부 모가 되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가 되는 것으로 자녀가 주는 가치 중 긍정적 동기는 영속성 추구, 출 산과정의 경험, 애정과 인생의 충만한 경험제공, 자신의 아동기에 대한 기억과 재경험, 노후보장, 파트 너와의 유대감, 양육 통한 역할 수행, 개인적인 성장의 기회제공과 재미라고 보았다. 한편 부정적 동기 는 사회적이고 개인적인 제약, 재정적 문제, 자녀양육에 대한 걱정과 책임감, 인구문제에 대한 우려, 교 육과 직업상의 제약을 들었다. 국내의 자녀가치의 개념으로 권용은, 김의철(2004)은 자녀가 부모를 만 족하게 해주는 욕구로 보았으며, 배경민(2007)은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려는 동기의 반영으로, 허은 주(1988)는 자녀출산과 자녀기능에 대한 태도로 보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5)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개인적 생각으로 정의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자녀가치의 개념은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정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자 녀가치의 개념은 인구학적이고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사용된 통상적인 자녀가치(value of children)의 관점과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논의되는 자녀의미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자녀가치의 개념을 사용하고 자 한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 자녀가치는 부모가 자녀에 대해서 가지는 신념, 태 도, 의미, 생각, 의견을 지칭하는 것으로 자녀에 대한 양육, 자녀에 대한 역할, 자녀 미래의 기대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과 의견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2. 영유아기 발달 특징과 부모인식

    영유아기는 출생 후부터 초등학교 입학 이전까지로 인간발달의 여러 영역에서 성장이 가장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특히 신체, 언어능력 발달과 더불어 사회성 발달을 위해 주 양육자인 부모와의 유대관계를 중심으로 긍정적 정서인 애착을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정옥분, 2009).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에 의하면 영아는 신뢰감의 발달과업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영아를 양육하는 부모는 영아의 신체적, 심리적 욕구를 잘 충족시켜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 편 유아의 발달과업은 자율성과 주도성을 기르게 하는 것으로 유아에게 새로운 것을 탐색할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하고 독립심을 키워주어서 자율성이 발달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도성의 발달은 유아 의 끊임없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에서 비롯되며 부모는 유아에게 끊임없는 질문을 하고 새로운 사물 에 대해서 주도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발달측면에서 영아기를 지나 유아기가 되면서 신체적인 변화와 함께 부모와의 접촉이 활발해지 며 점차 사회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되어 친구 간에 유대관계가 돈독하게 되는 기본적인 사회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유아는 사회관계를 형성하며 또래를 모방하기도 하고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이소희, 2009). 유아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사회성을 기 르게 되며(Fogle & Mendez, 2006). 이는 이후 학령기 학업능력향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Howes & Leslie, 1998).

    이러한 영유아기 발달특성과 더불어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특히 정서적 자녀가치가 높은 부모는 자녀에게 높은 관심과 애정을 보이는 경향을 나타낸다(강란혜, 2000). 또한 영 유아기 부모는 자녀의 가치를 행복과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박영신, 김의철, 김미숙, 2012). 특히 자녀와의 긍정적인 정서가치는 행복과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기 는 어머니와의 애착을 형성하는 시기이며 자녀가 아직 어려 부모의 돌봄을 필요로 하기에 부모는 자녀 의 정서적 가치를 높게 인식하며 그 중요성을 두는 것으로 보인다(김은주, 2020).

    부모의 자녀가치는 상황과 맥락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권용은, 김의철, 2004), 중요한 상황변인은 양 육스트레스이다(이정민 외, 2015). 특히 영유아를 둔 취업모의 경우 취업이 여성 개인의 자아실현과 가정 의 경제적 복지 향상에 기여(도미향, 이소희, 2000)하기도 하지만 취업모는 자녀양육과 직장생활의 이중 부담으로 인해 전업주부보다도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김은정 외, 1999). 이런 경우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서 부모의 자녀가치인식은 무엇보다 중요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3. Q 방법론과 Q 사정도구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Q 사 정도구의 일종인 Q 블록(Q-Block)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자녀가치라는 부모의 주관적 인식 을 연구하는 데 적합한 연구방법인 Q 방법론을 적용한다. Q 방법론은 연구자가 아닌 연구대상자의 상 이한 주관성을 측정하여 그들의 의견과 의미를 만들어 다양한 주관적 인식의 통합체의 구조를 파악하 는 연구방법이다(김순은, 2010). 여기서 통합체는 Q 방법론의 기초를 이루는 개념으로 주관적 의미의 집합체를 말한다(김흥규, 2008).

    본 연구의 Q 사정도구는 타 사정도구와 달리 Q 방법론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데, 타 사정도구개발과 의 차이점은 일반적으로 사정도구는 연구자의 관점에서 항목을 구성하는 것이라면 주관적 인식을 주제 로 하는 Q 사정도구 개발은 연구참여자의 인식특성을 근간으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연구참여자인 영유아기 부모들의 자녀가치인식에 대한 자결적 주관성을 이루는 통합체인 Q 진술문으 로 항목을 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사정도구 구성을 위해 많은 수의 인원이 요구되는 것과 달 리 Q 사정도구는 Q 방법론의 연구대상자인 P 표본의 인원으로도 가능하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Q 방 법론에서 P 표본의 인원은 50명 내외가 일반적이다(김흥규, 2008a). 이런 점에서 본 연구에서의 Q 연 구를 통한 Q 사정도구의 일종인 Q 블록은 연구참여자의 주관성을 반영한 사정도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 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Q 사정도구는 Q 블록으로 1963년 탤벗교수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높 은 신뢰도를 입증한 바 있다(Talbott, 1963). 이는 유형간 상대적 차별성이 큰 대표적 Q 표본을 골라서 블록을 구성하는 방법이다(이난복, 김흥규, 2011).

    Q 블록은 일반적으로 진술문의 수가 충분하여야 블록의 구성이 가능하며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김 흥규, 2008b). Q 블록을 구성할 경우 적어도 40개 이상의 진술문이 있어야 가능하며, 요인간의 유사성 이 높은 경우이거나 Q 표본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불가능하다(김흥규, 2008b). 통계적 관점에서 유형 의 요인 가중치가 낮은 사람은 Q 블록으로 사정할 경우에 다른 유형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요인 의 수가 적을수록 동점으로 될 확률이 높다(김흥규, 2008b). 또한 Q 블록은 연구자에 의해 사정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Ⅲ. 연구방법

    1. 연구과정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도출된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 유형과 특성을 근간으로 하 여 Q 유형을 확인하기 위한 Q 사정도구를 개발한다. 연구과정은 1차적으로 Q 연구를 통해 자녀가치인 식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한다. 이는 Q 모집단 구성, Q 표본 선정, P 표본 선정, Q 분류, 자료처리 및 분 석의 과정을 거친다. 2차적으로는 1차적으로 분석한 자녀가치 인식의 유형과 특성을 토대로 Q 사정도 구인 Q 블록을 구성한다. 이는 Q 블록의 진술문 기준 구축, Q 블록 진술문 선정, Q 블록 배열, Q 블록 점수체계표 구성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그림으로 제시하면 [Figure 1]과 같다.

    1) Q 연구를 통한 자녀가치인식 유형과 특징 분석 과정

    (1) Q 모집단 구성

    Q 모집단을 구성하는 것은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모든 것을 확보하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의 Q 모집 단 구성은 검색엔진으로 Riss, DBpia, KISS, 스콜라, 교보로 핵심주제인 자녀가치를 중심으로 자녀의 미, 양육관, 양육태도등의 검색어로 관련 국내문헌연구를 탐색하였으며, 국외자료는 Science Direct를 통해서 학술지논문을 검색하였다. 문헌연구를 탐색하면서 Q 모집단 구축을 위한 분석틀을 구축하였다. 분석틀의 기준은 자녀가치와 관련된 주제를 제시한 국내·외 연구물을 토대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분 석틀은 Arnold et al(1975)의 자녀가치인식모형과 자녀가치를 긍정적, 부정적 가치로 처음 도입한 권 용은(2003), 김미숙 외(2007)의 분류기준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가치, 사회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개인적 기대와 부담적 가치, 경제적 가치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분석틀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47개의 진술문을 확보하였으며 2차 적으로 신문, 인터넷기사를 통해 92개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3차적으로 숙명여대 Q 방법론 모임 회원 과 브레인스토밍을 하면서 포괄적인 자녀가치와 관련된 질문으로 개방형질문지를 구성하여 2019년 4 월초-7월초까지 영유아기 부모 25명을 대상으로 하여 면대면, 전화, 메일로 주관적인 인식을 취합하 여 250개를 추출하였다. 또한 면담을 통해 영유아기 부모 5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질문지 내용을 중심으 로 심층적 면담을 실시하여 65개의 Q 모집단을 구성하였다.

    (2) Q 표본 선정

    Q 표본의 선정은 Q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Q 표본은 의미통합체로 불리는 의견의 모집단 을 대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야 한다(Watts, 2005; 2008). 본 연구에서 Q 표본의 선정과정은 4차 과정을 거쳤다. 1차적으로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과 연구주제에 맞는 Q 진술문을 165개를 추출하였다. 2차적으로는 1차 추출한 Q 표본을 숙명여대 Q 방법연구회 모임의 박사과정생 3명과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여 의미의 중복, 이해도, 가독성의 기준에 의해 의미가 중복되는 진술문을 제거하고 간결한 대표 성 있는 진술문으로 수정하여 64개를 추출하였다. 3차적으로는 아동복지 겸임교수 1명, 아동복지 박사 수료생 1명, 어린이집 원장 1명과 FGD를 실시하여 수정하면서 서로 교차하여 검토하는 방식으로 가장 대표성 있는 진술문 40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진술문의 비율을 긍정, 중립, 부정의 균형을 맞춘 후 마지막으로 아동복지 교수 1명, Q 방법론의 박사논문을 작성한 연구경험이 있는 아동복지 전문가 1명, 어린이집 원장 2명, 부모교육 강의를 하고 있는 박사생 1명으로 총 5명에게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거쳐 최종 Q 표본을 확정하였다. 또한 P 표본과 동일한 연구대상자의 Q 표본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Q 표본의 최종 확정과정에서 Q 분류를 2회 실시하는 사전검사와 재검사를 실시하여 신뢰도를 확인하는 방법(김흥규, 2008a;백평구, 2015)을 사용하였다. 선정된 Q 표본은 <Table 1>과 같다.

    (3) P 표본 선정

    P 표본은 영아기 자녀가치에 대해 응답하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말한다. Q 방법론에서 P 표 본선정은 소규모 표본이론에 근거한다(Stephenson, 1967). 그 이유는 Q 방법론은 개인간의 특성이나 차이보다는 개인 내에서의 의미 중요성에 차이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Q에서는 사람이 변인이며 항목 은 표본을 말하므로 피험자의 수는 요인을 생성하고 요인들간에 비교할 수 있을 정도면 가능하다(김흥 규, 2008a). 본 연구에서 P 표본은 연구목적과 연구주제를 고려하여 편의표집하였으며, 그 대상은 영 유아기 부모 31명을 선정하였다. P 표본 대상자의 인구학적 배경을 제시하면 <Table 2>와 같다.

    (4) Q 분류

    Q 분류는 응답자 스스로가 진술문을 비교하면서 순서를 정하고 이를 제시된 분포도에 맞게 모형화하 여 그의 주관성을 스스로 표현해 나가는 과정이다(김흥규, 2008a). Q 분류는 P 표본 대상자에게 확정 된 Q 표본 진술문을 보여주고 자신의 자녀가치의 견해와의 일치정도에 따라 긍정, 중립, 부정의 세 범 주로 구분하게 한 후, Q 분포도의 9점 척도의 강제적인 유사정규분포가 되도록 배치시켰다. 본 연구에 서 Q 분류는 영유아기 부모 31명을 대상으로 2019년 8월23일부터 9월 11일까지 약 3주 동안 대면방 식으로 실시하였다. 특히 분포상 양극단에 배치시킨 항목에 대해서는 그 이유를 직접 기재하게 하였으 며 추가면담을 실시하였다. Q 표본 분류 분포도를 제시하면 [Figure 2]와 같다.

    (5) 자료처리 및 분석

    Q 표본 분포도에 놓인 위치에 따라 점수화한 이후 부여된 점수를 진술문 번호순으로 코딩을 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PQ Method 2.35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40개의 항목을 P 표본을 축 으로 하는 주요인분석을 적용하여 Q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고유값 1.0이상으로 주요 요인을 추출하 였으며 추출된 요인이 중복되지 않고 직각의 관계를 갖도록 하는 최대변수 회전인 배리멕스방식으로 회전시켰다. 자료분석 및 해석에서는 상관관계와 요인분석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진술문의 요인가와 요인분석표를 자료에 포함시켜 비슷한 주관성을 가진 사람들의 집단과 연구대상자간의 상관 관계를 제시하여 유형과 특징을 비교분석하였다.

    2) Q 사정도구 구성 과정

    Q 블록 구성은 앞에서 제시했듯이, Q 인식유형과 특성을 분석한 후에 실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Q 연 구를 통해 나온 3가지 유형에 따라 유형수 만큼인 3개 Q 블록을 구성한다. Q 블록 구성을 위해 우선 Q 블록 진술문 기준을 구축한다. 기준은 각 유형이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진술문 가운데 타 유형과 표준 점수 1.00이상의 현저한 차이가 나는 대표성을 가진 진술문을 준거로 하여 각 유형의 전체적 맥락과 특 성을 잘 반영한 진술문을 각 유형마다 Q 블록수 만큼인 3개씩 추출한다.

    그 다음으로 각 블록에 각 유형의 대표적 진술문이 들어가게 배열한다. 예를 들어 Q 연구를 통해 4개 의 요인으로 나타났을 경우, 하나의 블록에는 4개의 유형을 대표하는 각각의 진술문이 포함되는데 이 들은 모두 다른 유형과는 구별되는 것이어야 한다(김흥규,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유형으 로 하나의 블록에 3가지의 유형을 대표하는 각각의 진술문이 포함되게 배열하며, 이들은 모두 다른 유 형과는 구별되게 한다.

    마지막으로 Q 블록으로 배열한 진술문을 점수 체계표로 구성하는데, 서베이 응답자가 이들을 서열화 화 할 수 있도록 가장 동의하는 것에 4점, 그 다음 동의에 3점과 2점, 가장 동의하지 않는 것에 1점을 주 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분류는 상이한 3개의 진술문을 Q 소팅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 3개의 블록에 점수를 체크해서 이들을 합계하여 가장 높은 점수유형이 서베이 응답자의 유형으로 분류한다.

    3) Q 인식 유형과 특성

    (1) Q 인식 유형의 구성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에 대한 40개의 진술문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아이겐값은 유형1이 12.7630, 유형2는 2.0308, 유형3은 1.3464였다. 추출된 3가지 유형은 전체 변 량의 52%이며, 각 유형이 전체 변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유형1은 41%, 유형2는 7%, 유형3은 4%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에서 적정요인의 기준으로 활용하는 요인고유치(Eigen Value)가 1의 기준 이상(이 순묵, 1995)인 것에서 볼 때 3가지 유형은 모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요인고유치(아이겐값)와 변량 을 제시하면 <Table 3>와 같다.

    (2) Q 인식 유형의 특성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 각 유형의 독특한 특성은 특히 긍정하는 진술문과 가장 부정하는 진술문 을 비교하여 각 유형에서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진술문 가운데 표준점수 ±1 이상, 그리고 p<.01 또는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진술문을 바탕으로 하였다. 또한 한 유형의 표준점수와 타 유형 두개의 표준점수를 평균한 차이를 비교하여 차이가 큰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형1은 ‘자녀 존재 만족형’으로 자녀의 존재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과 자녀는 행복을 주는 존재로 인식하는 특성을 가진다. 유형2는 ‘헌신과 인내형’으로 자녀양육을 힘들게 느끼는 과정 속에서 자녀는 부모를 성숙하게 하고 헌 신과 인내를 하도록 하는 존재로 인식하는 특성을 가진다. 유형3은 ‘사회적 가치 추구형’으로 자녀양육 은 지역과 사회가 함께 해야 하며 자녀가 타인을 배려하는 아이로 성장하기를 기대하는 특성이 있다. 각 유형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한 진술문을 제시하면 <Table 4> 와 같다.

    Ⅳ. 연구결과

    1. Q 블록의 진술문 구성

    Q 블록은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에서 확인된 3가지 유형의 진술문 중에서 타 유형과의 표준점수 차이가 1.00이상이고 그 유형을 대표하는 진술문을 우선 각 3개씩 추출하였다. 유형1은 ‘자녀존재 만 족형’으로 타 유형과 비교했을 시 표준점수 차이가 1.00이상인 진술문은 ‘조부모의 도움을 받더라도 부부가 경제활동을 하는 게 더 낫다’(#39, 표준점수차+1.435), ‘자녀는 지금까지 살면서 한번도 경험 해 보지 못한 가장 큰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7, 표준점수차+1.238), ‘자녀는 친가와 외가를 공통으로 이어주는 끈이다’(#28, 표준점수차+1.206)이다. 유형2는 ‘헌신과 인내형’으로 타 유형과 비교시 표준 점수 차이가 1.00이상인 진술문은 ‘자녀를 키우는 것이 힘들고 다소 버겁게 느껴진다’(#18 ,표준점수 차, +2.046), ‘자녀로 인해 취업에 있어서 제약이 된다’(# 15, 표준점수차 +1.724), ‘자녀로 인해서 개 인적 시간이 부족하고 자유롭지 않다’(# 17, 표준점수차+1.156), ‘자녀양육 때문에 사회생활(직장생 활)에 눈치가 보인다’(#16, 표준점수차 +1.434)로 추출하였다. 타 유형과는 표준점수 차이는 #16번 진 술문이 #17번 진술문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지만, #15번 진술문과 16번 진술문의 성격이 비슷한 점을 감안할 때 #17번 진술문이 더 적합하다고 보고 선정하였다. 유형3은 ‘사회적 가치 추구형’으로 ‘타인에 게 피해를 주지 않고 배려하는 아이로 성장하길 바란다’(# 29, 표준점수차 +1.290),‘자녀돌봄은 부모 만이 감당해야 하는 게 아니라 지역과 사회가 함께 해야 한다’(# 25, 표준점수차+1.208), ‘자녀양육에 도움이 되고자 경제활동을 하는 것이 오히려 자녀를 제대로 양육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 다’(#37, 표준점수차+1.190)로 추출하였다.

    이러한 준거에 따라 3가지 유형별 Q 블록에 포함된 진술문은 <Table 5>와 같다.

    2. Q 블록의 구성

    Q 블록은 표준점수 차이가 1.00이상이며 유형을 특징 지우는 선정된 각 유형의 3개 진술문을 가지 고 3개의 블록마다 3개의 유형을 대표하는 각각의 진술문이 포함되게 항목을 구성하며 이들은 모두 다 른 유형과는 구별되게 한다(김흥규, 2008b). 서베이 응답자는 이들을 서열화하여 가장 동의하는 항목 에 4점, 그 다음 동의 항목에 3점, 2점을 차례로 주고 가장 동의하지 않는 항목에 1점을 주게 한다. 이 러한 준거에 근거하여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에 대한 Q 블록의 점수 체계표를 제시하면 <Table 6> 과 같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도출한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의 주관적 인식유형과 특성에 근거한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를 확인하는 Q 사정도구를 구성하였다. 우선 Q 연구를 통해 밝혀진 자녀가치 인식유형은 3가지로, 유형1은 ‘자녀존재 만족형’, 유형2는 ‘헌신과 인내형’, 유형3은 ‘사회적 가치추구형’으로 나타났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유형1은 ‘자녀존재 만족형’으로 자녀의 존재는 자신에게 행복감을 부여해 주는 존재로 인식한다. 자 녀는 지금까지 살면서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가장 큰 행복감을 느끼며 자녀에 대한 무한한 긍정을 표현한다. 이러한 긍정적 가치는 자녀양육 과정에서도 힘들거나 버거움을 상쇄하게 하며 가족관계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하며 부모의 경제활동은 자녀양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에 근거하여 유형1을 ‘자녀존재 만족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는 영유아의 어머니는 유아의 성장자체의 즐거움과 행복감을 느끼는 정서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연구결과(김의철 외, 2005; 박영신 외, 2012;배경민, 2007)와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자녀와의 긍정적 정서는 자 녀양육을 힘들게 여기지 않게 하며 자녀양육에서 조부모의 도움을 받는 것에도 부정적이지 않은 입장 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가족구조의 변화와 기능의 급변화로 부모의 힘만으로는 자녀양육을 효과적 으로 수행하기가 어려운(이소희, 2016)상황임을 인지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유형2는 ‘헌신과 인내형’ 으로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약하다. 즉 자녀로 인해 개인적 시간이 부족하고 제약이 있으며, 취 업에서도 제약이 된다고 인식한다. 자녀양육이 힘들지만 자녀양육을 지역사회나 조부모에 맡기기 보다 는 부모 스스로가 감당해야 할 일이라고 여긴다. 결국 자녀양육을 헌신과 인내의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 는 유형으로 보인다. 이런 의미에서 유형2를 ‘헌신과 인내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3은 ‘사회적가치 추 구형’으로 자녀양육은 지역과 사회가 함께 해야 한다는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자녀가 타인을 배려하는 사회적 인간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런 특성에 근거하여 유형3을 ‘사회적가치 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Q 사정도구로는 Q 블록과 Q 도구가 사용될 수 있는 데, Q 도구는 Q 블록을 적용할 여러 요건을 갖 출 수 없는 경우 각 유형의 특성을 매우 특징적으로 기술하여 유형을 선택하는 방식이다(김흥규, 2008a). Q 도구는 요인의 해석시에 사용한 요인 배열표와 요인간의 차이, 인터뷰, 인구학적 특성을 종 합적으로 고려해서 만든 요인에 대한 간략한 설명(김흥규, 2008a)이며, 피험자 스스로가 특정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대규모 서베이를 실시할 경우 Q 블록보다 더 간단하게 유형을 파악할 수 있어 매 우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연구자가 행한 Q 요인의 해석은 많은 해석 중의 하나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높은 타당도를 지니고 있다고 보장할 수는 없다(김흥규, 2008b).

    반면에 Q 블록은 유형간 상대적 차별성이 큰 대표적 진술문과 각 유형의 특징을 잘 반영한 진술문을 골라서 블록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유형간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나고 Q 표본의 수가 적어도 40개 이 상인 경우에 가능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준에 적합하게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의 주 관적 인식에 대한 40개의 Q 표본으로 유형간의 표준점수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는 진술문으로 Q 블록 을 구성하였다. 만약 Q 블록의 판별적 진술문의 수가 적을 경우에는 블록의 수가 제한될 수 있으며, 한 블록 안의 진술문의 특정조합이 판별력에 영향을 주게 되어 블록의 내적일관성이 떨어질 수도 있다(김 흥규, 2008b).

    본 연구에서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에 대한 유형과 특성을 근간으로 구성한 Q 블록은 Q 방법론 을 통해 종합적으로 얻은 영유아기 부모 자녀가치 유형과 특성을 간략히 설명한 도구인 Q 도구를 먼저 체크하고 난 후 유형의 구체적 확인을 위해 사용하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구성한 Q 블록은 연구자의 관점이 아니라 Q 방법론적 특성을 반영한 도구 즉 연구 참여자의 주관적인 통합체 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개발된 도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Q 유형과 특징을 찾아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자녀가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한 Q 사정도구는 간단한 서베이를 통해 특정인이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를 쉽게 판별해 줄 수 있을 것이며 그들의 인구학 적 변인이나 연구주제와 관련된 변인들의 관련성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말하자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Q 사정도구로 Q 연구를 통해 발견한 유형의 분포비율과 Q 유형들의 지역적 분포도 뿐만 아니라 성별, 연 령별 등의 인구학적 차이 그리고 다른 변인들과의 차이점이나 관련성을 검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Q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유형을 R 연구로 연결시켜주는 고리라고 할 수 있다(김흥규, 2008a).

    구체적으로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한 Q 블록으로 유형2의 ‘헌신과 인내형’으로 분류된 부모의 경우, 헌신과 인내를 하며 자녀양육을 힘들어 하면서도 지역과 사회에 맡기지 않는 것은 어떤 변인들이 영향 을 미치는 지에 대한 그들의 인구학적 변인이외 다른 변인과의 관련성에 대한 양적연구 혹은 원인에 대 한 질적 연구도 추가적으로 수행해 볼 필요가 있다. 유형2의 ‘헌신과 인내형’으로 분류되는 부모의 집단 이 저출산의 원인을 제공하지는 않는지에 대해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며, 국가적으로도 제도적 뒷받침 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의 영유아기 부모의 자녀가치 Q 사정도구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현장에서 자녀가치의 유형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확인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Q 사정도구를 통한 유 형의 확인은 부모 자신의 자녀가치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게 할 뿐 만 아니라 타 유형의 영유아기 부모 들의 자녀가치 인식을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한다. 이런 점에서 Q 사정도구는 부모자신에게 자 녀가치에 대한 이해와 성찰을 통하여 자녀양육에 대한 올바른 방향의 역할을 하는 도구로서 의미가 있 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확인된 유형으로 부모들에게 정책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저출산의 국가정책을 수립하는 데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Figures

    KFWA-25-3-393_F1.gif

    Research Process

    KFWA-25-3-393_F2.gif

    Q sorting Distribution

    Tables

    Q Sample

    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P sample

    Eigen Value and Variance Analysis

    Characteristics Statements of Types

    *표시는 <i>p</i><.01, 나머지는 <i>p</i><.05

    Q-Block Statements

    Q-Block Score Table

    References

    1. 강란혜 (2000). 저출산 기혼여성의 자녀가치에 대한 한일비교연구. 한국일본교육학연구, 9(2), 61-74.
    2. 곽정인 (2008). 1920-1940년대 자녀양육에 관한 임신 및 출산 관련 내용분석: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9(2), 89-115.
    3. 권용은 (2003). 자녀가치에 대한 세대간의 유사성과 상이성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권용은, 김의철 (2004). 자녀가치와 출산율. 아동교육, 13(1), 211-226.
    5. 길병옥, 이소희, 이송이, 정희정 (2020).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충남대학교 출판부.
    6. 김광웅 (1996). (기초·원리·응용) 방법론강의. 박영사.
    7. 김미숙, 김의철, 박영신 (2007). 유아 부모집단의 자녀가치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 학술대 회 자료집, 2007(1), 496-497.
    8. 김순은 (2010). Q방법론의 이론과 철학.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4), 1-25.
    9. 김승환 (2008). 텔레비전 뉴스의 시청유형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은정, 오경자, 하은혜 (1999). 기혼 여성의 우울증상과 심리 사회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18(2), 15-26.
    11. 김은주 (2020). Q방법론을 활용한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김의철 (2000). 토착심리학과 문화심리학의 과학적 토대.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6(3), 1-24.
    13. 김흥규 (1999). 가치와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소비자 특성 연구. 광고학연구, 10(2), 173-197.
    14. 김흥규 (2008a).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15. 김흥규 (2008b). Q-블록과 Q-도구의 일치도 연구. 주관성연구, 16, 5-16.
    16. 남정은 (2013).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2), 441-460.
    17. 도미향, 이소희 (2000). 보육서비스가 기혼여성의 가족복지감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 학, 5(1), 1-16.
    18. 박아청 (2007). 에릭슨의 인간형성론의 발달이론적 구조에 관한 일고찰. 한국사회과학연구, 26(2), 143-163.
    19. 박영신, 김의철 (2004).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교육과학사.
    20. 박영신, 김의철, 김미숙 (2012). 유아어머니와 외할머니 세대의 자녀관련 인식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1), 127-152.
    21. 배경민 (2007).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백평구 (2015). Q모집단으로부터 Q표본구성과정에 대한 분석: 학술지 주관성 연구 게재 논문을 중심으 로(1996-2014). 주관성연구, 30, 103-130.
    23. 심도담 (2017).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가치인식과 후속출산의지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4. 이근애, 고은경, 전효정 (2016). 어머니의 자녀가치에 대한 인식과 아버지의 양육분담이 양육스트레스 와 가족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우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6(11), 139-140.
    25. 이난복, 김흥규 (2011). 심상유도음악치료(GM) 경험자의 주관성 연구: GM 과정별 기초적 사정도구 개 발을 중심으로. 주관성연구, 22, 23-39.
    26. 이소희 (2009). 유아리더십 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7. 이소희 (2016).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기반한 영유아기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 대회자료집, 2016(5), 114-124.
    28. 이순묵 (1995). 요인분석. 학지사.
    29. 이완, 채재은 (2017). 기혼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간의 관계에서 출산장려 정책의 조절효과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5(9), 65-78.
    30. 이은정, 강영식, 박정환 (2012). 예비부모의 부모역할과 자녀관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 문지, 13(4), 1566-1573.
    31. 임선영 (2015). 부모의 자녀가치인식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32. 임현주, 최선녀 (2015). 만3세 유아의 기질 및 언어발달과 어머니의 자녀가치가 유아의 긍정적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9(1), 51-73.
    33. 정옥분 (2002).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34. 조형숙, 정우영, 고선아 (2017). 미혼 남성 사무종사자들의 자녀가치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유아학논 집, 21(6), 479-508.
    35. 최상진 (1997). 당사자 심리학과 제 3자 심리학: 인간관계 조망의 두 가지 틀: 동양심리학의 모색. 한국 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997(1), 131-143.
    3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자녀가치 국제비교.
    37. 허은주 (1988). 부모의 성 및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양육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Arnold, F. , & Fawcett, J. T. (1975). The value of children: A cross-national study(Vol. 3). Hawaii, Washington, D.C.,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p. 160.
    39. Fawcett, J. T. , Albores, S. , & Arnold, F. (1972). The value of children among ethnic groups in Hawaii: Exploratory measurement. In Fawcett, J. T.(Ed.), The satisfactions and cost of children: Theories, concepts, methods. Honolulu: East-West population Institute.
    40. Fogle, L. M. , & Mendez, J. L. (2006). Assessing the play beliefs of African American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4), 507-518.
    41. Goodnow, J. J. (1988). Parent’s ideas actions and feelings. Child Development, 59, 286-320.
    42. Howes, C. , & Leslie, P. (1998). Continuity in children’s relations with peers. Social Development, 98, 340-349.
    43. Kirchner, E. P. , & Seaver, B. (1977). Developing measures of parenthood motivation. University Park, P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Institute for Research on Human Resources.
    44. McKeown, B. , & Thomas, D. (2013). Q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45. Miller, S. A. (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 259-285.
    46. Nye, F. I. (1979). Family mini theories as special instance of choice and exchange theory. In Burr, W. R., Hill, R. & Reiss, F. I.(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Vol. 2). N.Y.: The Free Press.
    47. Stephenson, W. (1953). The study of behavior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8. Talbot, A. D. (1963). The Q block method of indexing Q typologies. The AEJ Convention, Lincoln, Lebraska..
    49. Watts, S. , & Stenner, P. (2014). Doing Q methodological research: Theory, method and interpretation. (P. G. Baek Trans.), Seoul: Communication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50. Watts, S. (2008). Social constructionism redefined: Human selectionism and the objective reality of Q methodology. Operant Subjectivity, 32, 2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