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5 No.4 pp.581-597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0.25.4.7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and In-Service Childcare Teacher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and Needs of Forest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Moon Sun Hong, Hee-Kyung Cho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Coaching Namseoul Univerity
Assistant Professor, Dept. of Child Care & Education, Chungcheo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Moon-Sun Hong, The Namseoul University of Korea (E-mail:
ds2ksn@gmail.com)

November 1, 2020 ; November 28, 2020 ; December 10, 202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identifies the overall perception of forest activities and different perspectives betwee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nd in-service childcar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provides the base line data for improving the perception of forest activities of preservices childcare and in-services childcare teachers.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131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nd 122 in-service childcare teacher.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 x2 test was used after using a t-test and cross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nd in-service childcare teachers showed many similarities in the perception of forest activities. Both groups highly recognized the educational effect and necessity of the forest activitie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demand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nd in-service childcare teachers in terms of the required quality and degree of intervention of the forest activity teacher and the choice of subject for the forest activities. Both groups showed no difference in the types, suitable weather, environmental aspects, and understanding of the forest activitie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 parts to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course for pre-services childcare teachers and the education of incumbent childcare teachers, which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y of forest activities for children by reflecting this in the curriculum.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유아 숲 체험 활동 인식과 요구에 대한 비교

홍 문선, 조 경희

초록


    Ⅰ. 서 론

    사람과 자연의 공존을 추구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활동으로 최근에는 숲 체험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숲 체험 활동은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 교육으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지친 몸과 마음을 회복하는 활동으로써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신지연, 2012). 특히 숲 체 험활동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입증되면서 숲 체험활동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논의가 활 발한 상황이다(송주은, 2011; 임재택, 하정연, 신주연, 2012).

    숲에서의 활동이 영유아에게 몸과 마음의 건강함을 주며, 자연의 이치를 알게 하고, 인지적ㆍ정서적 발달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성년에 이르게 될수록 지식과 기술적인 측면에서 환경에 대한 이해에 접근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반면, 유아기에는 감성(오감)을 통해 자연환경을 더 쉽게 이해하게 된다(생태연구소 숲, 2005). 숲에서는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놀이로써 생활을 한다. 숲의 비구조적이 고, 미지의 속성, 넓은 공간 등의 속성은 아이들을 잘 놀게 하므로 결국 숲은 아이들을 잘 놀게 함으로 써 아이들을 발달시킨다(정대현, 2015). 이처럼 영유아들은 풍요로운 자연환경 속에서 뛰어 놀면서 자 연의 생명체와 상호교류를 통해 살아있는 모든 것에 대한 경외심을 배워간다(Wilson, Kilmer & Knauerhase, 1996).

    영유아들로 하여금 자연 속에서 마음껏 뛰어 놀도록 하는 것은 전인적인 성장 발달에 있어서 필수적 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생활기반이 대부분 아파트나 도시형 주택에 밀집되어 있어 영유아들이 일상 에서 자연환경을 느끼고 자유롭게 놀이할 수 있는 공간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영유아들을 위한 놀잇감 도 돌멩이와 나뭇가지와 같은 자연물보다 게임기, 장난감, 블록 등의 상품화되고 정형화된 놀잇감을 활 용하게 되면서 유아는 점점 자연과 멀어지게 되었다(임재택 외 2012).

    이러한 영유아기에 자연과의 접촉상실이나 구조화된 놀이감들로의 변화는 교육현장에서 경험되어야 할 자연과의 만남이 부족하다는 우려를 낳고 있으며, 숲 체험활동이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얼마나 중 요한 요소인가에 대해 최근 들어 다시 한 번 되돌아보게 한다.

    숲이 아이들에게 주는 교육적 가치와 그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많은 연구들이 ‘숲 체험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였다. ‘숲 체험활동’을 통해 아이들이 행복감증진(강경신 2018; 이정희, 2018), 정서지 능(유애정 2014: 이경화 2012: 이영희 2017), 감성지능(김민숙, 2018, 권혜인, 2019), 사회성(이영 녀, 2014: 최수경, 2013), 창의성(최종배, 2018)이 발달하였고, 자아효능감(장철순, 2020), 유아의 인성과 정서 능력에 미치는 효과(장경미, 2019)가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국외 연구에서도 ‘숲 활동’을 통해 아이들의 사회성(Grey, 2011), 긍정적 자아개념(Seitz & Halwachs, 1996), 언어표현력(Bickel, 2001), 창의성(Knight, 2009;Meier & Sisk-Hilton, 2013), 관계성(Schede, 2000)이 향상되었음 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숲이 새로운 유아교육의 공간으로서 더욱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연선, 견주연, 이시은, 이소영 2014 재인용).

    이렇듯 많은 교육적 이점을 가진 숲 체험 활동을 본래의 취지와 의도에 맞게 운영하기 위해서 여러 가 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이해정도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김성재, 권귀염, 2014). 교사가 이를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가 어떤 신념 과 인식을 가지고 교육하느냐에 따라 교육의 질적 수준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숲 체험 활동의 본래의 취지 와 의도에 맞게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숲 체험 활동을 실천하는 유아교사의 역할과 실천이 중요하다. 교사 자신이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에 대해 호기심을 느끼고 탐색하며, 자연을 즐기면서 유아와 함께 자연을 경험할 때 효과적인 숲 체험 활동이 가능한 것이다(강정아, 2015; 김해경, 2016; 주귀란, 2016).

    그러나 숲 체험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반복적으로 기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위와 같이 대부분 유아에게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자연을 만나 본 적이 적은 교사와 생활하는 아이 들은 경험이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갇힌 공간에서의 놀이경험에서는 밖으로 나가 놀이로 확장하 기에 자연이 낯선 것이 된다. 그러므로 낯선 자연을 친숙하게 느끼도록 전환되기까지 교사의 숲 체험 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신희이, 오유미, 신윤희, 2018).

    이런 측면에서 아이들과 가장 가까이에서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보육교사의 숲 체험활동에 대 한 인식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일부이지만 숲 체험과 관련된 교사의 변인을 다룬 연구들을 살펴보 면, 숲 체험 활동 참여 유아교사의 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김해경, 2016) 와 어린이집 교사의 숲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연구(강애리, 2016), 그리고 유아교사의 숲교육 연 수 및 프로그램 실시 유무에 따른 환경친화적 교육태도의 차이(주귀란, 2015)에 관한 연구들로 상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일관된 숲 체험활동이 현장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들의 숲 체 험활동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현직교사뿐만이 아니라, 교사양성과정 단계에서부터 경험여부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 다. 숲 체험활동에 대한 관심과 접근은 교사양성과정에서부터 시작이 되며 이를 근간으로 현직교사로 서의 관심이 발달하기 때문이다. Shulman(1987)은 대학에서 배운 방법이 현장에서 그것을 가르치는 데 영향을 준다고 보며 대학에서의 예비교사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즉, 예비보육교사의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현직교사로 나아갈 때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함을 감안하여 예비보육교사의 인 식과 요구 또한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하지만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숲 교육의 인식연구는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연구(김상희, 2015)와 실습과정에서 인식한 숲유치원의 가치에 대한 연구(김성 재, 2013)외에 전무한 실정으로 양성과정에서 숲활동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다룬 연구가 상당히 부족 하다. 교사들의 숲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유아의 자연관을 형성하는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홍 은경, 홍은주, 2011)을 하기 때문에 그들이 숲에 대한 접근에 개방적 태도를 가지고 활동을 운영할 수 있도록 숲 체험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예비보육교사로서 형성된 숲 체 험활동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가 현직보육교사로서의 경험의 내용을 결정하게 될 것이며 이는 결국 유 아에게 미칠 영향력을 예측할 수 있기에 그들이 숲 체험활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다시말해 그들이 인식이 어떠하냐에 따라 유아들의 숲체험 활동의 참여기회와 운영방식 에는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숲체험 활동에 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고 그 들 간의 차이는 어떠한 지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활용해 현직교사들이 요구하는 숲체험 활동을 보육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들이 현장에 나가기 전 교사양성과정에 숲체험 활동 관련 내 용을 담아내는 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현직교사들 또한 현장에서 숲 체험활동을 운영하 기 위해 필요한 현직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1.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 2.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요구에는 어떠한 차이는 있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은 예비보육교사와 현직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를 통해 조사하였다. 충청 지역의 C대학에서 보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보육교사 131명과 충남·북, 세종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보육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예비보육교사에게는 강의실에서 직 접 배부하여 즉시 회수하였으며, 담임교사에게는 E-mail 발송과 직접 방문하는 방법으로 배부 및 회수 하였다. 예비보육교사는 131부 모두 회수하였으며, 현직 보육교사는 총 130부의 설문지 중 125부가 회 수되어 96.2%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된 질문지 중에서 무응답 문항이 있거나 불성실한 응답이 있다 고 판단되는 설문지 3부를 제외한 122부를 본 연구의 자료로 분석되었다. 그 내용은 <Table 1>과 같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의 도구는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과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숲관련 자료 및 선행연구들(윤경희, 2013; 이부미, 2017; 이용수, 2013)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 에 맞도록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재구성하였다.

    재구성한 설문지는 1차로 유아교육 전문가 1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현직보육교사 2인 및 예 비보육교사 2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설문의 난해성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설문 문항 중 숲에 관한 내 용의 요구도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가 예비보육교사는 131 =.821, 교사 122 =.863) 값이 모두 .70을 넘어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설문지의 문 항 구성은 앞의 <Table 2>와 같다.

    3. 자료수집 및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 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과 숲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숲체험 활동에 요구되는 활동에 대한 인식 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숲체험 활동의 필요성, 숲체험 활동의 유형, 숲 활동을 위한 날씨, 숲 교사의 자질, 숲 활동의 개입, 숲체험 활동의 주제, 환경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χ² 검정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숲체험 활동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서술 형문항은 기술된 내용의 어휘, 개념의 유사성으로 범주화하여 중심개념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거쳤다. 범주화된 개념으로 각 문항의 결과를 코딩하여 빈도수로 산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 유아교육관련 박사 1인이 범주의 적절성여부를 점검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숲 체험활동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인식

    1) 숲 체험 활동의 필요성

    숲 활동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그렇다’라는 응답이 97.2%로 ‘아니다’ 2.8%보다 많아 대부분의 예비보육 교사와 현직보육교사는 숲 체험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 육교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는 <Table 3>과 같다.

    2) 숲 체험 활동이 필요한 이유

    유아 숲 체험 활동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예비보육교사는‘자연을 자유롭게 탐구하고 탐색하는 경험 을 통해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라는 응답이 57.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느낄 수 있다’ 24.0%, ‘숲 체험을 통해 신체 발달과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10.9%, ‘자 연결핍에서 벗어나 환경을 생각하는 자연 친화적인 사람으로 자랄 수 있다’ 4.6%, ‘숲 체험을 통해 지능 과 감성이 고루 발달할 수 있다’ 1.6%, ‘기타’ 1.5%순으로 나타났다.

    현직보육교사들은 숲 체험 활동이 필요한 이유로 ‘자연의 탐색을 통해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는 응답 의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느낄 수 있다’와 ‘체험을 통해 신체발달 과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순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간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 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예비보육교사는 현직보육교사에 비 해 정서적 안정에 도움을 주는데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 교사에게 숲 활동에 대해 왜 필요한지에 대한 응답의 결과는 다음 <Table 4>와 같다.

    3) 숲 체험활동 유형

    숲 활동의 형태에 관한 교사들의 의견을 살펴보면, 주1회 형태의 숲 체험활동을 예비보육교사61%, 현직보육교사 56.1%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간 숲 활동이 이루어지는 형태에 대한 의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보육교사들은 예비보육교사들의 비해 매일형 숲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의 결과는 다음 <Table 5>와 같다.

    4) 숲 체험 활동이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날씨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가 생각하는 숲 활동에 적합한 날씨로는 미세먼지 없는 날을 54.2%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는 햇볕좋은날(20.8%)을 다음 순으로 선택한 반면, 현직 보육교사는 바람이 시원한 날(28.5%)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 체험 활동에 적합하다고 생각하 는 날씨에 대한 의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의 결과는 다음 <Table 6>과 같다.

    5) 숲 체험 활동 필요한 교사의 자질

    유아 숲 체험 활동에 중요한 교사의 자질에 대해 ‘자연과 인간의 공존관계’라는 응답이 28.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위험상황에 대한 대처능력’ 26.1%, ‘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20.6%, ‘숲에 대한 지식’ 19.4%, ‘기타’ 4.7%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예비보육교사는 현직보육교사보 다 위험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현직보육교사는 예비보육교사보다 자연과 인간의 공존관계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예비보육교사는 현직보육교사보다 숲 체험 활동 시 안전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있고, 현직보육교사는 대처능력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있으면서도 자 연과 공감하는 부분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의 결과는 다음 <Table 7>과 같다.

    6) 숲 체험 활동 시 교사의 개입 정도

    숲 체험 활동 시 교사의 개입 정도에 대해 살펴보면 ‘교사보조형’이라는 응답이 53.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교사주도형’ 34.5%‘, `유아주도형’ 11.9%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보육교사는 교사보조형 (88.55 %)으로 높게 나타났고 현직보육교사는 교사가 주도형( 69.42 %)이 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의 결과는 다음 <Table 8>와 같다.

    7) 숲체험 활동 시 주제의 선정

    유아 숲 체험 활동 시 주제 선정에 대해 ‘정해진 주제 없이 자유롭게`라는 응답이 57.5%로 가장 많았 으며, 다음으로 ‘교사가 주제를 선정하는 것’ 34.1%, ‘현행생활주제 그대로’ 7.5%, ‘기타’ 0.7%,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예비보육교사는 ‘정해진 주제 없이 주제를 자유롭게 선정해야 한다’ 라는 의견이 많았 고 현직보육교사는 ‘교사가 상황에 따라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 체험 활동 시의 주제 선정에 대한 의견은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의 결과는 다음 <Table 9>과 같다.

    8) 숲 활동을 위한 환경적 측면에 가장 중요한 사항

    유아 숲 활동 시 환경적 측면에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안 전한 환경(42.1%)을 마련하는 것’과 ‘다양성(36.5%)을 경험하는 것’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예비보육교사와 현직 보육교사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는데, 예비보육교사 는 ‘안전성’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던 반면 현직보육교사는 ‘다양성’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의 결과는 다음 <Table 10>과 같다.

    2. 숲 체험활동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요구

    1) 숲 체험활동 내용에 대한 요구

    유아 숲 체험 활동 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을 살펴보면, 숲 활동 시 필요한 내용에 대한 평균 (M)이 모두 3.5점 이상으로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는 숲 활동 시 사계절의 변화인식, 곤충에 대 한 관심, 대근육발달, 사회성발달, 자연과의 접촉, 텃밭가꾸기, 환경교육 등 모든 내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예비보육교사 현직보육교사가 숲 활동에 요구되는 활동으로 관찰을 통한 곤충에 대한 관심 갖기’와 ‘운동놀이를 통한 대근육 발달’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의 결과는 다음 <Table 11>과 같다.

    2) 숲 체험활동에 대한 전반적인요구

    숲체험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를 살펴보면, 영유아들에게 숲 체험이 상징하는 바를 예비보육교사 와 현직보육교사 모두 자연과의 어울림, 체험, 경험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유아들에게 적당하 다고 요구되는 숲 체험 활동의 시간에 대해서는 예비보육교사(54.8%), 현직보육교사(66.6%) 모두 1시 간 이상 2시간 미만으로 활동하는 것이 좋겠다고 응답하였다. 숲 체험 활동시 요구되는 교사의 역할은 안전하게 지도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숲 체험 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묻는 질문 에도 안전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응답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숲 체험활동에 대해 알아보고자 예비보육교사 와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현직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한 연구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는 숲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에서 많은 유사점을 보였다. 두 집단 모 두 숲 활동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숲 체험활동의 필요성 역시 응답자 전체가 ‘필요하다’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소영(2016)의 연구결과와 일 치하며, 숲 체험활동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으로 인해 숲 체험활동이 증가하는 현상과 맥을 같이 한다.

    숲 체험활동의 유형과 적합한 날씨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우선 참여유형으로 예비보육교사와 현 직보육교사 모두 주 1회 이상 주제에 맞추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체험형 활동을 가장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숲 체험활동이 체험형 활동 형태로써 주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 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숲 체험활동 시 적합한 날씨에서도 현직보육교사는 바람이 시원한 날을 선호했지만, 현직보육교사는 햇볕 좋은 날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직보육교사들이 햇볕 좋은 날보다 놀이환경으로써 시원한 날을 경험적으로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눈여 겨볼 것은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가 비 오는 날과 눈 오는 날은 숲 체험활동에 부적합 날씨로 모 두 응답한 것으로 보아 영유아들이 숲 체험활동 시 다양한 기후의 경험이 상당히 제한적으로 일어날 것 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매일 숲 체험에 참여하고 있는 기관에서 유아들에게 보여진 숲 교육효 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는 강영식, 김정겸(2019)의 연구결과와 같이 유아들이 숲 체험활동을 통해 사 계절 경험하고 날씨를 직접 체험하는 것은 어떤 날씨에도 가능할 수 있어야한다. 이에 숲 체험활동을 함에 있어 다양한 날씨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교사양성기관 교육과 현직보육교사교육을 통해 전 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같은 맥락에서 숲 체험활동 시 적합한 날씨로 미세먼지가 없는 날을 모 두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보여 숲 체험활동 실행 여부를 결정할 때 미세먼지 정도를 가장 크게 고 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오현정(2020)의 연구에서도 교사들이 숲 체험활동을 못한 가장 큰 이유로 미세먼지 발생을 가장 높게 꼽았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부분이다. 그런가 하면, 도현진(2019)의 연구 에서 숲 체험활동을 하는 기관의 부모들은 미세먼지가 발생한 날의 숲체험활동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긍정적이라는 결과를 신중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도심지에 비해 숲의 미세먼지 농도가 낮고 도심지 내의 야외활동과 숲에서 이루어지는 숲 체험활동과는 미세먼지 영향이 다르다는 점이다. 따라서 숲 체 험활동의 경험이 적은 예비보육교사나 현직보육교사들에게 미세먼지와 숲 체험활동의 관계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숲 체험 활동 시에 필요한 교사의 자질에 대한 의견으로 현직보육교사는 자연과 인간의 공존관계에 대해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이는 숲 체험활동에서 숲에 대한 지식을 알려주기보다 자신이 생명체로 서 자연과 함께하는 공존관계를 일깨워주는 것이 더 가치 있다는 남효창(2000)의 의견을 지지하는 결 과이다. 한편, 예비보육교사는 위험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가장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는 임재택, 이소영, 김은주(2012)의 숲 활동을 운영하기 위한 공간을 선정할 때 ‘위험요소나 유해요 소와 관련된 안정성’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한다는 내용과 일치한다. 즉, 유아 숲 체험활동에서 교육적 효과를 높이고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 실제적인 지식들을 사례와 더불어 다양 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관심을 끄는 결과 중 하나는 숲 체험활동 시 교사의 개입 정도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의견 의 차이가 있는 점이다. 예비보육교사들은 보조형 교사개입에 많은 의견을 보인 반면 현직 보육교사들 은 교사주도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는 현직보육교사가 유아 숲 체험 활동을 교 사주도형으로 진행할 때 유아에 대해 이해도가 높고, 유아의 눈높이에서 수업할 수 있고 친밀감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하는 이성자(2010)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숲 체험 활동 시 주제를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에서도 맥을 함께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현직보육교사들은 주제 선택 시 교사 가 상황에 맞는 주제를 선정하는 것에 의견이 많아 교사주도의 활동 형태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따라서 앞으로는 유아가 주도하는 숲 체험활동을 운영하기 위한 내용이 현직보육교사 교육에 포함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숲 활동에 요구되는 활동으로 ‘관찰을 통한 곤충에 대한 관심 갖기’와 ‘운동놀이를 통한 대근육 발달’ 항목에서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간의 요구차이가 보여 이에 대한 교사교육의 내용을 달리 다룰 필요가 있다. 또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요구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숲 체험활동에서 요구되어지는 바를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 모두 자연과의 어울림, 체험, 경험이라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예비 유아교사들이 숲의 체험과 경험을 다루어주길 요구한 것으로 나타난 황지애, 김성재(2012)의 연구 결 과와 일치한다. 숲 체험 활동 시 교사의 역할은 예비보육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안전하게 지도하는 내용 에 대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고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도 안전하게 체험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응답하고 있어 예비교사양성과정과 현직교사교육내용에서 숲 체험활동을 위한 안전교육내용 을 충분히 다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숲에서의 활동은 여러 가지 위험 요소에 노출되기 쉬운데, 이러 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숲 활동에서 만나게 되는 위험 요소별 응급 상황 발생 시 대처법에 대한 교 사교육 과정도 필요할 것이다(황해익 외 2012).

    이상과 같이 숲 체험활동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 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 양성과정과 현직교사교육에서 숲 체험활동에 관한 적합한 날씨와 환경에 대한 인식전환을 돕는 교육내 용이 마련되어야 하며 안전한 숲 체험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과정이 공통적으로 요구됨을 알 수 있었 다. 특히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주도형의 숲 체험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양성교육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의 교육이 보다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숲 활동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지 않 았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의 보육ㆍ교육 실습 경험 유무나 숲 체험 참관 경험 유무, 현직보육교사의 숲 체험 경험 유무 등 다양한 배경 변인에 따른 숲 체험에 대한 인식 변화 및 요구도를 살펴본다면 좀 더 발전된 실천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숲 체험 활동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숲 체험활동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Figures

    Tables

    General background of the subject

    Questionnaire Item Composition and Reliability

    The need for forest activities

    The Need for forest activities

    The Forest activities

    Suitable weather for forest activities

    Forest activities Required Teacher Qualities

    Degree of teacher involvement in activities

    Selection of topics during forest activitie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aspects for forest activities

    Requirements for the content of forest activities

    Overall demand for forest activities

    References

    1. 강경신 (2018). 유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숲‐통합예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연 구. 신한대학교 생활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영식, 김정겸 (2019). 숲 체험활동의 교육적효과. 한국산업가술학회지, 20(5), 334-342.
    3. 강애리 (2016). 어린이집 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4. 강정아 (2015). 유아숲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 비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혜인 (2019).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6. 김민숙 (2018). 숲체험 놀이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상희 (2015).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성재 (2013). 예비유아교사가 실습과정에서 인식한 숲유치원의 교육적 가치 및 어려움과 해결방안. 전 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성재, 권귀염 (2014). 예비유아교사가 실습과정에서 인식한 숲유치원의 교육적 가치. 열린유아교육연 구, 19(1), 223-249.
    10. 김해경 (2016). 숲 체험활동 참여 유아교사의 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숲과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의 차이 분석. 광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남효창 (2006). 얘들아 숲에서 놀자: 숲 생태 체험의 모든 것. 서울: 추수밭.
    12. 도현진 (2019). 유치원 아동 어머니들의 숲 체험 여부에 따른 숲과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의 차이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선희 (2016). 영아를 위한 숲활동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생태연구소 숲 (2005). 숲 생태교육 가이드북. 서울: 도서출판 애벌레.
    15. 송주은 (2011).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6. 신지연, 김정현, 정이정 (2012). ‘숲유치원 접근’의 유치원과 일반 유치원 유아의 기초쳬력 및 행복감 비 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지, 16(6), 5-26.
    17. 신희이, 오유미, 신윤희 (2018). 유그림책 들고 숲으로 가요: 유아숲생태교육과 그림책. 파주: 정민사.
    18. 오현정 (2020). 숲미세먼지 발생 시 숲 체험활동 및 실내 대체활동 비교 분석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 유애정 (2014). 숲체험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윤경희 (2013).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경화 (2012). 숲 체험을 포함한 생태중심유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부미 (2017). 유아숲체험 활동과 미세먼지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성자 (2010). 숲 유치원 운영사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소영 (2016). 생태유아교육기관 숲반 운영의 특성과 아이들의 숲활동 의미에 관한 연구. 부산대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5. 이연선, 견주연, 이시은, 이소영 (2014). 숲교육(숲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지식개념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29-49.
    26. 이영녀 (2014).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생태유아교육의 관점. 덕성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영희 (2017). 세대통합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세대통합프로그램 숲 활동을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용수 (2013). 숲유치원에 대한 유치원 학부모와 교원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연구: 충청남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정희 (2018).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 행복충만감 및 호기심에 미치는 효과.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희현, 이숙정 (2015). 예비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에 따른 숲 유치원에 대한 인식의 차이. 한국 산림휴양복지학회지, 19(1), 25-33.
    31. 임재택, 이소영, 김은주 (2012).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57-85.
    32. 임재택, 하정연, 신주연 (2012). 숲유치원 운영매뉴얼. 경기: 공동체.
    33. 장경미 (2019).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34. 장영희 (2019). 영유아의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35. 장철순 (2020).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생명존중인식, 자아효능감 향상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정대현 (2015). 교육공간으로서의 숲, 그 의미의 탐색-하리 숲 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생태유아교 육연구, 14(2), 1-24.
    37. 주귀란 (2016). 유아교사의 숲교육 연수 및 프로그램 실시 유무에 따른 환경친화적교육 태도의 차이. 동 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수경 (2013). 숲체험 놀이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최종배 (2018).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을 위한 유아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소프트웨어 코딩 프로그램, 창의 인성 프로그램, 숲 체험 프로그램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홍은경, 홍은주 (2011). (영유아를 위한)자연친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41. 황지애, 김성재 (2012). 숲 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전남지역 3년제 유아교육 과 재학생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99-117.
    42. 황해익, 김은주, 송주은, 김미진, 유주연 (2012).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열린유아교육, 17(5), 165-188.
    43. Bickel, K. (2001). Der waldkingergarten. Leipzig: Nodtenmedia.
    44. Grey, P. (2011). The special value of children's age-mixed paly. American Journal of Play, 13(1), 50-52.
    45. Knight, S. (2009). Forest schol and outdoor learning in the early years. London: Sage.
    46. Meier, D. R. , & Sisk-Hilton, S. (2013). Nature education with young children: Integrating inquiry and practice. NY : Routledge.
    47. Schede, H. G. (2000). Der waldkingergarten auf einen blick. Freiburg: Herder.
    48. Seitz, M. , & Halwachs, U. (1996). Montessori oder waldorf. Kösel, München, pp. 96-98.
    49.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3.
    50. Wilson, R. A. , Kilmer, S. , & Knauerhase, V. (1996). Developing an environmental outdoor play space. Young Children, 51(6), 5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