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6 No.3 pp.465-481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1.26.3.5

Q Methodological Approach to Types of Perception of Childcare Policy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Hee-jung Chung, Ki-jung Kang, Kyoung-mi Kim
Associate Professor, Dept. of Social Welfare, Baekseok Culture University, Cheonan, 31065, Korea
Professor, Dept. of Social Welfare, Baekseok University, Cheonan, 31065, Korea
Professor, Dept. of Children Welfare, Corea Welfare, Cyber College, Gyeongsan, 38695, Korea

This article was presented as a poster at the 2021 Annual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Child and Family Welfare Association.


Corresponding Author: Kyoung-mi Kim Department of Children Welfare, Corea Welfare, Cyber College (E-mail:
kyoungmi@corea.ac.kr)

August 10, 2021 ; August 31, 2021 ; September 9, 202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Q methodology in order to grasp the perception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ildcare policy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who is in charge of direct work in the field of childcare.


Methods:

After forming the Q recruitment group for the childcare policy, Q statements of 33 Q samples were extracted, 34 childcare center directors were selected as P samples, and 33 statements were collected through Q classification, and then the QUANL program was used. A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coaching competence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 is the “pursuit of childcare policy realization”. The second type is the “childcare protection policy promotion type”. The third type is the “childcare-first policy support pursuit type”. The 4th type is the “seeking change in childcare system”.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the childcare policy was confirmed by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and based on these result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correct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ldcare policy and the implementation plan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childcare policy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and further research on childcare policy perception is needed for various childcare-related persons such as parents and daycare teachers in the future.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정책 인식 유형에 관한 Q방법론적 접근*

정 희정, 강 기정, 김 경미

초록


    Ⅰ. 서 론

    정책이란, 공공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에 의해 결정된 행동방침을 말한다. 이는 어떤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데 있어 정부가 추구하는 가치의 집약이며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이고 구체적인 행동 지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육정책이란, 보육문제에 대한 정부의 지향하는 방향이며 해결방안임을 알 수 있다.

    현대사회는 고령화, 노동인구감소 및 저출산, 여성의 사회진출 등으로 보육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 고 있다. 이에 양육에 대한 책임이 국가적인 범위로 확대되면서 질 높은 보육서비스에 대한 기대도 높 아지고, 보육에 대한 관심이 자녀를 키우는 가정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사람들의 관심이 되었다.

    이러한 관심에 부응하여 정부에서는 보육정책을 중요한 국가정책의 하나로 인식하고, 보육에 대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는 1961년 아동복리법 제정 이후 보육시설을 아동복리시설의 하 나로 규정하면서 어린이집이 설치・운영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이후 1991년 영유아보육법의 제정 과 더불어 정부의 막대한 예산을 집행하면서 2003년부터 지원금액 및 지원대상을 꾸준히 늘렸고 진보, 보수정권을 가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확대하였다. 또한, 선별적 보육정책에서 2013년을 기준으로 무상 보육ㆍ양육수당 도입을 통해 보편복지로 나아갔으며, 2018년부터는 아동수당을 도입하여 시행하면서 보육사업에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Lee, 2019). 이와 더불어 질적인 측면에서도 보육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해 어린이집 평가인증제도의 도입, 표준보육과정 운영 및 개정 등을 통해 양질의 보육정책을 발전시키면서 공공화된 보육정책을 실시하고 있다(Cho, 2015). 이 밖에도 주요한 보육정책 사업을 살 펴보면 직장어린이집 설치지원, 가정양육수당 지원, 맞벌이 부부, 취업한 부모가정 등 양육공백 발생으 로 돌봄이 필요한 가정에 대한 아이돌봄서비스, 연장형 보육료지원, 시간제 보육지원, 방과 후 보육료 지원, 입양아동지원 등의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국가는 다양한 보육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보육정책은 영유아는 물론 부모와 가정 그리고 나아가 사회를 지원하는 공적 서비스 실현의 성 과로 평가되고 있다.

    보육정책의 급격한 변화는 오늘날 저출산 시대라는 심각한 사회문제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 으로 제시되면서 저출산의 원인 중 하나로 여성의 사회・경제적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자녀 양육에 대한 우려가 지목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자녀 양육에 대한 우려는 영유아 보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의 증가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와같이 보육정책은 한국의 경제발전과 산업화과정에서 양성평등의 방향으로 고용정책이 변화되면서 여성 근로자들을 위한 정책적 배려의 일환이자 고용에 있어 남녀의 평등한 기회와 대우를 보장하고, 여성고용을 촉진함과 동시에 모성을 보호하는 것이다(Yoo, 2019).

    이와 같이 보육정책은 영유아의 발달차원에서 영유아의 전인적인 발달과 성장을 돕고 정신이 건강하 고, 사회구성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고자 함이며(Lee, 2009), 조기교육 역시 교육 에 대한 열의와 더불어 한 자녀 가정의 증가는 가정이 아닌 전문적 기관에서의 교육을 통한 사회화 교육 을 선호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요구들은 보육 정책의 통한 영유아교육의 질적 관리 차원에서의 표준보 육과정과 누리과정, 기관인증평가 등을 통해 반영되고 있다. 따라서 보육정책은 다양한 차원에서 아동 과 여성은 물론 가정과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광범위한 차원의 복지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육정책은 1961년 ‘아동복리법’이 제정・공포됨으로써 기존의 구빈사업 성격에서 아동의 복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사업으로 성격이 확장되었다. 이후 노동부에서 ‘남녀고용평등법’을 1987년 12 월 제정됨에 따라 직장 탁아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기존의 전통적인 가족구조의 변 화로 가정에서 담당하였던 육아 기능의 약화와 사회변화에 따라 영유아 보육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책임, 돌봄에 대한 사회적 투자의 필요성이 거론되었다.

    이후 ‘영유보육법’이 제정되면서부터 우리나라에서 정책적, 사회적으로 자녀 돌봄의 중요성을 인식 하고 보육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보육 지원정책으로 가족과 여성 그리고 아동까지 보육은 일과 가정의 양립에 대하여 도움을 주고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중요한 정책의 하나로 자리매 김하였으며, 1991년 1월 ‘영유아보육법’을 제정하여 ‘탁아’에서 ‘보육’의 개념으로 발전 및 확대되었다. 이렇듯 보육정책의 변화를 살펴볼 때 보육정책은 그 대상이 아동은 물론 부모와 가정, 그리고 여성과 기업, 사회와 국가에 대하여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책이란, 앞서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행동방침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문제 를 가지고 있고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는 대상이 공공 즉, 국민이며 다수의 사람들이 라는 것이다.

    따라서, 정책은 공공의 많은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행동방침을 제시함으로 그 문제를 해결 하고 그들에게 만족감을 주어야 한다. 보육정책 역시, 보육과 관련된 문제를 가지고 있는 국민들을 위 하여 수립되었다. 그러므로 보육정책이 제대로 수립되었다면 다수의 사람들이 만족감을 갖게 될 것이 고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더 좋은 또 다른 정책을 준비하거나 반대로 그렇지 못하다면 기존의 정책을 수 정 또는 변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보육정책에 대해 사람들의 주관적 관점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하다. 이와 같이 보육정책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는 것은 우선 미래 보육정책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 다. 따라서, 보육사업을 통해 나타난 국가의 정책적 방향을 진단하고 보육현실의 고찰과 보육정책에 대 한 인식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정책을 분석하여 미래 보육정책의 발전방향 제시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Q방법론은 1953년에 William Stephenson에 의해 창안된 방법이며 특정 대상에 대해 연구자 중심 에서 벗어나 행위자의 관점에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주관적인 태도, 신념, 가치 등을 체계적이고 객관 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오늘날 주관성 연구방법론인 Q방법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방법으로써 확대되고 있다(Kil, Lee, Lee, & Chung, 2020). Q방법론은 느낌, 의견, 선호, 감정, 이상, 취향과 같 은 인간의 주관성연구를 위해 사용되는 연구방법인 동시에 분석방법이다(Brown, 1980;Kim, 2008;McKweon & Thomas, 2013;Simons,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보육정책 이라는 특정 주제에 대해 실제적 수요자이며 정책의 대상이라 할 수 있는 사람들이 가지는 태도, 신념, 확신, 가치 등과 같은 주관적인 반응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보육정책에 대한 어린이 집원장들의 주관적 반응을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추후 보육정책과 관련 다양한 연구 및 실천에 기 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보육정책 인식 유형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보육정책 인식유형의 특성은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보육정책이라는 것이 사람들마다의 인지구조 속에 갖고 있는 하나의 주관적 심상이기 때 문에 개개인마다 보육정책에 대한 인식이 다르고 현 보육정책에 대한 인식에 따라 어리이집 운영과 보 육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정책에 대한 주관성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Q방법론은 1953년에 William Stephenson에 의해 창안된 방법으로 특정대상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태도, 신념, 가치 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며 그 의미에 있어 개인 내의 차이 (intraindividual difference in significance)의 가정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소수의 표본을 적용하여 개인 간의 차이가 아닌 개인내의 차이의 중요성을 다루며 소규모 표본분석과 수용자 분석 면에서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특정대상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데 적절한 연구방법 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08). 소수의 사람들에게 여러 가지 종류의 진술문(Q-statement)을 동의하 는 정도에 따라 집중적이고 조직적으로 분류하도록 만들어 그들의 심층적 태도, 감정, 행위를 유형화시 켜 파악해내는 실험적인 연구방법인 점에서 많은 사람들을 상대로 조사자가 가정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 한 답변을 받아내어 문항별 결과를 집계하는 전통적인 양적 조사와 Q방법론과의 차이를 알 수 있다.

    2. 연구설계

    보육정책의 인식 유형에 관한 Q방법론적 접근을 통하여 복지정책의 인식에 대한 연구절차는 문헌연 구 및 표적집단인터뷰(FGI:focus group interview)와 결과분석, Q모집단 구성 및 추출, P표본 선정 과 Q분류 및 결과처리해석 및 유형화 등의 다섯 가지 단계이며 [Figure 1]과 같다.

    1) Q모집단

    Q모집단은 한 곳에서 많은 내용을 얻을 수 없고 쉽고 빠르게 수집되지 않으므로 주로 문헌연구 및 전 문가, 일반인 등의 심층 면접을 통하여 수집되어 완성된다(Kim, 2010). 본 연구에서는 Q모집단을 구 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표적집단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시행하였다. 연구자는 진술 문 확보를 위해 1차적으로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보육정책에 대한 80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였으 며, 2차적으로 5명의 충남지역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표적집단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보다 깊이 있는 보육정책 인식에 대한 진술문을 30개를 추가하였으며 46명의 충남 지역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보육정책 인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0개의 진술문을 추가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정책 인식과 관련된 총 160개의 Q모집단을 추출하였다.

    2) Q 표본

    Q표본은 보육정책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표적집단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한 후 이를 종합하여 추출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보육정책 인식과 관련된 총 170개의 Q모집단 중 의미가 유사하거나 복합적 판단이 필요한 내용을 제외하는 과정을 통해 33개의 진술문으로 구성하였으며 Q 표본은 <Table 1>과 같다.

    3) P 표본

    Q방법론에서 피험자의 수는 요인을 생성하고 요인들 간에 비교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며 Q방법론 에서 P표본은 이러한 사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P 표본은 국공립어린이집 7명, 민간어린이집 12명, 가정어린이집 13명, 법인어린이집 2명 등 총 34명의 충남지역 어린이집 원장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 의 자료를 수집하기 전에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여 연구목적을 이해하도록 하였고 Q 분류 (Q-Sorting)를 실시하였다.

    4) Q 분류 및 자료 분석

    표본 선정이 끝나면, P표본에게 Q표본을 분류하도록 하는 것을 Q분류(Q-Sorting)라 한다. 본 연 구는 Q표본으로 선정된 33개의 진술문 카드를 읽으면서 자신의 마음속에서 상대적으로 어떻게 평가하 는가에 관심을 두고 분류하여 정규분포에 가깝도록 강제 분포시키는 방법(forced distribution)을 활 용했다. 본 연구의 Q분류는 <Table 2>와 같이 가장 긍정(+4)에서 가장 부정(-4)의 9점 척도로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Q분류는 동의하는 정도에 따라 긍정, 중립, 부정에 따라 3단계로 분류하도록 하였다. 그 다음으로 카드 분포 모형을 보고 자신의 의견이나 동의 정도에 따라 가장 긍정하는 진술문에서부터 가장 부정하는 진술문을 선택하여 배열하도록 하였고, 매우 부정 및 매우 긍정으로 선택한 이유를 기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표본 분포도에 기록된 진술문 번호를 확인하여 가장 부정하는 문항(-4)을 1점 으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가장 동의하는 문항(+4)의 경우 9점을 주어 점수화하여 코딩한 후 컴퓨터에 입력하였다(Kim & Oh, 2010). Q-Sorting을 통해 얻은 P표본의 응답결과를 QUANL프로 그램에 입력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Q요인분석은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방법을 사용했으며, 아이겐 값(Eigen Value) 1.000이상을 기준으로 각 요인을 산출하고, 적합한 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Z-score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은 각 유형에서 인자가중 치가 높은 응답자를 중심으로 가장 동의하거나 가장 부정하는 문항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면담한 자료 와 일반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각 유형을 구성하는 진술문중 표준점수 ±1.0을 기준으로 강한 긍 정(+1.0 이상) 진술문과 강한 부정(-1.0 이하) 진술문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파악하고 정리하여 각 유형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도록 명명하였다.

    Ⅲ. 연구결과

    1. 결과분석

    보육정책에 관한 인식조사 연구결과 아래의 <Table 3>과 같이 총 네 가지의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이 네가지 유형의 아이겐 값은 각각 1유형이 8.1096, 2유형이 2.5315, 3유형이 2.3586, 4유형이 1.6909이며, 누적변량은 .4321로 나타났다.

    또한, 각 유형 간의 상관관계는 각 유형간의 유사성 정도를 보여 주는 것으로 제 1유형과 제 2유형 은.392, 제 1유형과 제 3유형은.501, 제 1유형과 제 4유형은.343 , 제 2유형과 제 3유형은.266, 제 2 유형과 제 4유형은.400, 제 3유형과 제 4유형은.435로 나타났으며, 다음의 <Table 4>는 각각의 상관 관계를 보여준다.

    2. 어린이집원장의 보육정책 인식에 관한 특성

    1) 인자가중치

    인자가중치를 살펴보면 아래의 <Table 5>와 같다. 유형 1은 P=23이 2.2819로, 유형 2는 P=24가 .94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형 3의 경우는 P=7이 2.0260으로, 유형 4는 P=29가 1.0250으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유형 1: 보육정책 현실화 추구 인식유형

    유형 1은 보육에 대한 인식변화 및 양질의 보육 목표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정책과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점을 두는 ‘보육정책 현실화 추구 인식 유형 ’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유형은 Q6의 ‘물가 인상에 맞 게 보육료(표준보육료)가 인상되어야 한다.(z=1.88)’에서 가장 강한 동의를 보였으며, 반면 가장 강한 비동의 항목은 Q5의 ‘정책적으로 평가제를 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z=-2.37)’이다. 유형 1에서 인자 가중치가 가장 높은 P=23은 ‘매년 오르는 물가 인상에 비해 전혀 오르지 않는 보육료를 보면 국가는 보 육현장에 큰 짐을 주고 스스로 버텨 나가라고 요구한다. 정확한 보육료 단가를 구해 현실에 맞는 보육 료의 지원이 절실하다’라고 진술하였다.

    유형1에서 타 유형 평균과 차이가 가장 큰 긍정 진술문은 Q29의 ‘가정 어린이집은 겸직원장을 없애 야 합니다.(d=2.431)’이고, 가장 차이가 큰 부정 진술문은 Q3의 ‘보육시간이 단축될 경우 기본 시간 외 에는 부모부담금이 있어야 꼭 필요한 경우에만 이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d=-1.335)’이다. 유형 1은 보육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보육을 적절하게 할 수 있도록 현실화가 필요하며 보육을 위한 정책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3) 유형 2 : 보육 보호정책 추진 인식유형

    유형 2는 보육에 대한 사회문화적 수준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제도적으로 지원하여 원활한 보육이 가 능하도록 할 수 있는 정책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보육 보호정책 추진 인식유형’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유형도 유형 1과 같이 Q6의 ‘물가인상에 맞게 보육료(표준보육료)가 인상되어야 한다.(z=1.86)와 Q27 의 억지스러운 부모들에 대하여는 원에서도 거부할 제도가 있었으면 합니다.(z=-2.40)’에서 강한 동 의를 보였으나, 가장 강한 비동의 항목은 Q15의 ‘비전문가 공무원이랑 일하기 힘들다’(z=-2.40)’이다. 유형 2의 인자 가중치가 가장 높은 P=24는 ‘물가는 인상되는 데 보육료 인상이 현물가대로 적용이 되 지 않아 원 운영에 있어 인건비 상승분이 부합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다.’고 진술하였다.

    유형 2에서 타 유형 평균과 차이가 가장 큰 긍정 진술문은 Q3의 ‘보육시간이 단축될 경우 기본 시간 외에는 부모부담금이 있어야 꼭 필요한 경우에만 이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d=2.221)’이고, 가장 차 이가 큰 부정 진술문은 Q9의 ‘지나친 규제와 감사가 많다.(d=-1.987)’이다. 유형 2는 보육료의 현실화 뿐만 아니라 원 외적인 요소로부터 보호와 권위를 유지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의 운영 정상화가 중요하 게 생각하는 반면 보육담당 공무원의 전문성 저하나 비전문가 공무원과의 일을 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은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4) 유형 3 : 보육우선 정책적 지원 인식유형

    유형 3은 보육의 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하여 사회적 변화에 앞서 정책적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강조하여 ‘보육우선 정책적 지원 인식 유형’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유형 또한 Q6의 ‘물가인상에 맞게 보육료(표준보육료)가 인상되어야 한다.(z=2.30)’에서 가장 강한 동의를 보였으며, 반면 가장 강 한 비동의 항목은 Q5의 ‘정책적으로 평가제를 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z=-2.27)’이다. 유형 3에서 인 자가중치가 가장 높은 P=7은 ‘처하고 있는 보육인들의 피눈물을 내기에 급급한 정책만을 모색한다는 생각이 든다. 표준보육료 인상은 절실한 사안임에도 정부는 무슨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 현장에 들어와 현장의 목소리를 단 일주일만이라도 경험해보고 체험에 본다면 표준보육료 인상이 결코 미루어지면 안 되는 현실이라는 것을 느낄 것이라 생각한다.’라고 진술하였다.

    유형 3에서 타 유형 평균과 차이가 가장 큰 긍정 진술문은 Q18의 ‘보육정책이 지나치게 자주 바뀐 다.(d=1.623)’이고, 가장 차이가 큰 부정 진술문은 Q5의 ‘Q29는 ‘가정어린이집은 겸직원장을 없애야 합니다.(d=-2.245)’이다. 유형 3은 보육정책 현장에서 원장의 입장이 늘 배제되고 있으며 영유아 초등 교육과 연계하여 교육해 나갈 수 있는 체계마련을 중요하게 생각을 하고 있으나 가정어린이집의 겸직 원장과 정책적으로 평가제가 잘 운영되고 있다고 생가하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5) 유형 4 : 보육 제도의 변화 인식유형

    유형 4는 보육의 구조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보육 제도의 변화 인식유형’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유형은 Q6의 ‘물가인상에 맞게 보육료(표 준보육료)가 인상되어야 한다(z=2.28) 및 Q12의 이른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아이가 어린이집에 있는 것이 해법이라고 보육정책을 맞추어 서는 안된다.(z=1.86)’에서 강한 동의를 보였으며, 반면 가장 강한 비동의 항목은 Q33의 ‘정원내에서 초과보육 인정하여 정원에 맞출 수 있도록 탄력적 지원요구 된 다.(z=-2.18)’이다. 유형 4에서 인자가중치가 가장 높은 P=29는 ‘지나가는 깡통도 이렇게 많이 채이 지는 않는다. 영유아법이 상위법이 아니라 모든 노동부, 위생 등등 영유아와는 맞지 않는 것을 요구하 고 있으며 각종 점검은 다 받는 것 같다’라고 진술하였다.

    유형 4에서 타 유형 평균과 차이가 가장 큰 긍정 진술문은 Q12의 ‘이른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아이가 어린이집에 있는 것이 해법이라고 보육정책을 맞추어서는 안된다.(d=1.476)’이고, 가장 차이가 큰 부 정 진술문은 Q24의 ‘보육정책에서 원장에 대한 입장은 늘 배제되어 있는 실정이다. ‘(d=-2.497)’이다. 유형 4는 보육료 현실과 함께 어린이집을 늦은 시간까지 운영하는 것이 해법이라는 것과 근로기준법과 영유아보육법이 동시에 적용되어 위법을 할 수밖에 없는 것에 동의하고 정원내에서 초과보육을 인정하 여 정원에 맞출 수 있도록 탄력적 지원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3. 일치항목

    일치항목(Consensus Items)이란, 각 요인이 공통적으로 합의한 항목들을 말한다. 각 유형의 일치 항목은 다음과 같이 총 8개로 나타났다.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보육의 현장에서 직접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정책에 대한 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여 어린이집원장의 보육정책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으며 보육정책에 대한 인식은 ‘보육정책 현실화 추구 인식유형’, ‘보육 보호정책 추진 인식유형’, ‘보육우선 정책적 지원 인식유형’과 ‘보육 제도의 변화 인식유형’으로 나타났다.

    먼저 제 1유형은 ‘보육정책 현실화 추구 인식유형’으로 보육정책의 현실화를 통해 보육의 목표달성과 필요한 정책과 방향이 결정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며 제 2유형은 ‘보육 보호정책 추진 인식유 형’으로 보육에 대한 사회문화적 수준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제도적으로 지원하여 원활한 보육이 가능하 도록 보육보호 정책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유형이다. 또한, 제 3유형은 ‘보육우선 정책적 지원 인식유형’ 으로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하여 보육환경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인식 하는 유형이며. 제 4유형은 ‘보육 제도의 변화 인식유형’으로 보육의 구조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 기 위하여 보육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각 유형별 특징을 종합해보면, 제 1유형에서 명명된 ‘보육정책 현실화 추구 인식 유형’에서는 ’Q6의 ‘물가 인상에 맞게 보육료(표준보육료)가 인상되어야 한다.’에서 가장 강한 동의를 보였으며, 반면 가장 강한 비동의 항목은 Q5의 ‘정책적으로 평가제를 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이었다. 또한, 제 2유형의 ‘보 육 보호정책 추진 인식유형’에서는 유형 1과 같이 진술문 Q6의 ‘물가인상에 맞게 보육료(표준보육료)가 인상되어야 한다’와 Q27의 ‘억지스러운 부모들에 대하여는 원에서도 거부할 제도가 있었으면 합니다.’ 에서 강한 동의를 보였으며 Q15의 ‘비전문가 공무원이랑 일하기 힘들다’는 가장 강하게 비동의 하였다.

    제 3유형에서 명명된 ‘보육우선 정책적 지원 인식 유형’에서는 유형1, 2 에서와 같이 진술문Q6의 ‘물 가인상에 맞게 보육료(표준보육료)가 인상되어야 한다.’에서 가장 강한 동의를 보였으나 가장 강한 비 동의 항목은 Q5의 ‘정책적으로 평가제를 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이었다.

    유형 4의 ‘보육 제도의 변화 인식유형’은 Q6의 ‘물가인상에 맞게 보육료(표준보육료)가 인상되어야 한다’와 Q12의 ‘이른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아이가 어린이집에 있는 것이 해법이라고 보육정책을 맞추 어서는 안된다.’에서 강한 동의를 보였으며, 반면 가장 강한 비동의 항목은 Q33의 ‘정원내에서 초과보 육을 인정하여 정원에 맞출 수 있도록 탄력적 지원요구 된다.’이었다.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보육정책방안을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정책에 대한 인식유형별 특성 을 반영하여 제시하면 우선 보육정책의 현실화를 통해 보육의 목표달성과 필요한 정책과 방향이 결정 되어야 하며 원활한 보육이 가능하도록 제도적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누리과정 지원 관리체계가 일반 행정기관과 교육행정기관으로 이원화되어 있음으로 이에 대해 선제적으로 중앙정부부터 관련 부서 및 법체계를 통합하고, 지역 차원에서도 이를 관리 지원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따라서 보육정책에 대한 정부 차원의 일원화 및 체계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하여 보육환경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우선되어야 하며 보육의 구조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한 보육제도가 개선이 필요하다. 보육교사의 체계적인 양성과정, 재교육을 포함한 관리체계의 구축 및 보육교사의 근무여건 개선이 함께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정책이란 정책을 결정하고 실천함으로 그 대상자인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 는 근본적인 가치와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보육정책에 대 한 현장에서의 인식은 현실적이고 즉각적이라고 보는 것과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보육정책에 대한 만족과 현실적 지원에 대한 체감을 향상시키기 위 해서는 보육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다양한 과정과 방법이 시도되어야 한다.

    첫째, 보육정책은 영유아는 물론 가족을 포함한 가족복지서비스이다. 따라서 보육정책은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이슈들과 함께 다루어져야 한다. 보육료 지원, 보육 시간, 다양한 보육 유형 등은 부모의 취업 형태, 출산 및 육아 휴직,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이러한 요구가 반영된 정책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보육정책에 대한 평가와 수요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종합적이 고 체계적인 정책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보육정책은 부모와 가정, 어린이집과 지방자치단체, 보육 관련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보육에 대한 가치와 목표 성취를 위해 함께 하는 공동협력의 장이다. 그러나 보육 정책 결정 시 이들이 함께 보 육의 질을 위한 정책 결정을 위한 논의의 장은 아직도 미비하다. 대부분 관련 기관 및 정책 결정자들의 일방적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보육정책 대상 모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현실 적 보육정책 결정을 위해서는 정책 결정에 현실적 사안들을 반영할 수 있는 사전 논의의 장이 반드시 마 련되어져야 한다.

    셋째, 보육이란 건강한 민주시민을 육성하고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매우 중요한 과업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보육정책은 정치적 대안으로 하나의 여론몰이의 수단으로 이용되어진 것을 지난 보육정책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따라서 정권이 바뀌거나 선거 기간이 되면 다양한 보육정책이 쏟아져 나오다가 조용히 사장되거나 한시적 정책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보육정책의 질 제고와 지속성과 연 계성을 통한 긍정적 효과를 위해서는 보육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환류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더 이상 보 육정책이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정책과 시행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에 대한 모니터링과 피드백 을 주고받을 수 있는 평가 및 환류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정책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 정책의 올바른 발전 방향과 추진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보육정책에 대한 인식연구이므로 향후, 부모, 어린이집 교사 등 다양한 보육 관련자를 대상으로 보육정책 인식에 대한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Figures

    KJFW-26-3-465_F1.gif

    Research Process

    Tables

    Q Statements

    Q sorting Distribution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s

    The P sample Weight

    The Statements of Type 1 and Z-score(More than ±1.00)

    The Statements of Type 1 different from other types and Z-score(More than ±1.00)

    The Statements of Type 1 and Z-score(More than ±1.00)

    The Statements of Type 2 different from other types and Z-score(More than ±1.00)

    The Statements of Type 3 and Z-score(More than ±1.00)

    The Statements of Type 3 different from other types and Z-score(More than ±1.00)

    The Statements of Type 4 and Z-score(More than ±1.00)

    The Statements of Type 4 different from other types and Z-score(More than ±1.00)

    Consensus Items

    References

    1. Lee, J. S. (2019). The experience effect of childcare policy on welfare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2. Cho, J. E. (2015). The analysis of policy decision factors and evaluation of current policy situation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child-care policy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3. Yoo, J. Y. (2019). A study on the congruence of work-family balance policy-Focusing on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policy mix-.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 Choi, E. H. (2017). An ethnographic research on practice and difficulties on the right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5. Lee, S. H. (2019). Child welfare. Jungminsa.
    6. Kim, S. E. (2010). Theory and philosophy of Q methodology.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4), 1-25.
    7. Kim, H. K. (2008).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Communication Books: CB.
    8. Kim, H. K. , & Oh, S. J. (2010). Motivations behind people's participation in festivals: A Q-factor analysis.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8(2), 5-22.
    9. Kang, H. J. (2018).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nd practice of children's righ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gshin University, Seoul, Korea.
    10. Kil, B. , Lee, S. , Lee, S. , & Chung, H. (2020). Theory and application of Q-methodology.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Cultural Center.
    11. Brown, S. R. (1980).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2. Mckeown, B. F. , & Thomas, D. B. (2013). Q methodology(2nd ed). SAGE Publications, Inc.
    13. Simons, J. (2013). An introduction to Q methodology. Nursing Research, 20(3), 2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