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6 No.4 pp.553-575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1.26.4.2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Professionalism on Job Satisfaction

Hyangi-Gi Baek, Ye-Lin Choi
Ph.D, Department of Child Welfare Convergence, Namseoul University, Cheonan, Korea
Professor of Child Welfare Department, Namseoul University, Cheonan, 31020, Korea

* This article is a part of the first author’s doctor’s thesis submitted in 2020


Corresponding Author: Ye-Lin Choi, Professor of Child Welfare Department, Namseoul University(E-mail:
kidworld@nsu.ac.kr)

September 7, 2021 ; November 23, 2021 ; November 29, 202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41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cross the country .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by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perspective taking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Second, the sequential mediation path from professionalism to job satisfaction through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also significant.


Conclusion: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백 향기, 최 예린

초록


    Ⅰ. 서 론

    최근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라 가족 고유의 기능으로 여겨졌던 유아의 양육과 교육의 많은 부분이 유 아교육기관으로 역할 이동되면서 유아교사는 교수자와 보호자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 에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유아교사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 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박선화, 2012). 유아의 욕구를 충족시켜 균형 있는 성장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유아교사의 역 할은 절대적이고 어떤 물리적 환경이나 내용보다 더욱 중요하다(Spodek & Saracho, 1993). 즉 교사 관련 연구에서 직무만족이 중요하게 주목받는 것은 교육적 기술보다는 교사가 가지는 신념체계, 자아 개념, 직업의식 등의 질적인 변인이 교육의 실제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1995).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전 세계 모든 교육 시스템의 장기적인 성장과 발전에 매우 중요하 다(Bhamani, 2012). 유아교사가 자신의 직업에 의미와 가치를 깨닫고 만족할 때 가르치고 배우는 과 정에서 유아들은 변화와 성숙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직무만족이 높은 교사는 교육에 대한 높은 신념과 긍지를 가지고 교육활동을 수행하여 유아의 성취 및 교육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쉽다(오경순, 윤현숙, 2018). 반대로 열악한 근무환경, 임금, 조 직문화, 과다한 업무, 미흡한 복지, 낮은 사회적 지위 인식 등으로 인한 불만족은 유아 교사의 스트레 스를 증가시키며 직무만족을 현저히 떨어트린다고 볼 수 있다(박삼섭, 2006). 그렇다면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을까? 라는 물음을 가질 수 있다. 유아교사 직무만족과 관련 한 연구를 살펴보면 대체로 원장, 동료교사, 업무량과 시간, 학부모와의 관계, 사회적지지, 임금, 후생 복지로 분류되어 보고가 되어오고 있으며(이점자, 김형모, 2012), 직무스트레스(김신애, 2018), 근무 환경(곽미라, 2017), 유아교사의 개인 내적인 변인과 인간관계에 대해서도 보고되었다(손은주, 201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일 것이다. 유아교사의 전문 성은 유아교육의 질을 보장하는 데 있어서 핵심축으로 작용하여 유아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 한 열쇠가 된다고 볼 수 있다(지성에, 김지은, 2017). 유아 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은 유아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신념, 직업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신념, 자율성에 대한 신념으로 유아에 대해 자신의 영 향력을 이해하고 책임과 의무를 지는 것이다(김춘희, 2012). 이러한 교사의 전문성은 교육의 질적 제 고를 위한 필수적 과제로서 유아교사의 전문성 확보는 유아교육의 지속적 성장을 이루는데 기본 요소 가 되며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김이경, 박상환, 이태상, 2005). 유아교사의 중요성이 강조 되면서 유아 교사의 전문성과 직무 특성에 관련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박경, 2013). 유아교사와 관 련된 연구(박은혜, 2002)에서 유아교사의 전문성은 지식과 기술, 사회문화적 환경, 유아에 대한 이해, 반성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지속적인 자기 갱신 능력, 의사결정능력을 갖추어 유 아교육기관 조직이 교사의 전문성 지향에 중요함을 밝히고 있다. 유아교사에게 직무만족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교사로서 전문성을 높이는 것은 중요하다(조신숙, 김정희, 2018). 이처럼 전문성과 직무만 족은 관련성이 있는데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복합적인 요인이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아울러 내적인 심 리적 요인이 작용할 수 있다. 교사문화에서 직무에 관한 태도는 개인의 내면적 요인이 작용할 것으로 사료 된다.

    유아교사는 직무수행능력 과정에서 개인이나 조직에 부여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구성 원과 심리적 적응 및 타인의 행동과 반응을 예측할 할 수 있어야 한다(Clark & Lagerwall, 1980; Turner, 1978). 다시 말해 어떤 과업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마음을 추론하며, 상 대 입장이 되어보는 조망수용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조망수용능력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조망수용능력이 낮을수록 관계를 맺을 때 경쟁적인 갈등 양 식을 사용하거나 선호(정창영, 1997)하며, 자기인식에도 영향을 주어 대인관계 변화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이수연, 2018). 이는 사회적 상황 속에서 대인관계에 중요한 변인으로 한 개인의 심리적 적응과 타인의 행동 및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변지영, 양혜정, 2018). 유아교사는 직무를 수행하면서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조직구성원과의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데 의 사소통은 필수적인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으로 사람 간의 사실과 믿음, 생각, 감정과 태도 등을 전달함 으로써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이해하는 요소들을 포함하게 된다(손아름, 임수진, 2019). 이러한 맥락 에서 조망수용은 보편적인 대인관계에서도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있다(오세선, 2009). 유아교사에게 조망수용능력은 상대방의 입장을 수용하고, 마음을 헤아림으로써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맺는데 영향을 주어 결국 직무만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유아교사는 조망수용능력과 더불어 직무수행에서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 요한 변인으로 정서조절능력이 요구된다. 최근 정서조절을 인지적, 생리적, 행동적 과정을 포함하여 이 해하며 더욱 명백하고 확실한 구조를 설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이경례, 2016). Mayer와 Salovey(1997)의 연구에서 정서조절능력은 영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요소임을 밝혔는데, 정 서조절능력이 높은 교사는 바람직한 정서를 잘 유지하고 부정적인 정서를 줄이는 등 정서를 수정하는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다고 밝혔다. 즉, 자신의 감정을 모니터하고 정확하게 감정을 평가하는 정서조절 능력은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사회적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 는 것이다(Gross, 2002).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유아교사는 효과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여 직무를 수행할 때 영향을 주며(최지민, 2015), 정서조절능력 정도가 높은 경우에는 교사 역할 수행인식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희연, 장경은, 2015).

    이상에서와 같이 유아교사 직무만족과 관련하여 대체로 원장, 동료교사, 업무량과 시간, 학부모와의 관계, 사회적지지, 임금, 후생복지로 분류되어 보고가 되어오고 있으며(이점자, 김형모, 2012), 근무환 경(곽미라, 2017), 유아교사의 개인 내적인 변인과 인간관계(손은주, 2012),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수준에 관한 연구(노진형, 2013),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 상호작용 관련성(김인희, 김진경, 2020), 정서노동, 자아탄력성, 직무만족도 관계(이운성, 심숙영, 2014) 등이 있다. 이처럼 유아교사 직무만족 에 미치는 연구는 다각도로 연구되고 있으나 직무만족에 미치는 유아교사 전문성, 조망수용능력, 정서 조절능력 세 변인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를 찾기 어렵다. 특히 유아교사 직무만족을 조망수용능력과 정 서조절능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유아교사 전문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교사의 심리적 맥락 변인으로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순차적 매개를 알아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을 주는 변인을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전문 성, 조망수용능력, 정서조절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아울러 유아교사의 직무 만족 향상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것을 기대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고, 연구 모형은 <그림 1>과 같다.

    •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전문성, 조망수용능력, 정서조절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은 직무 그 자체와 직무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요인과의 상호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느끼게 되는 긍정적 감정 상태를 말한다(조정대, 2016). 또 다른 연구에서는 조직 안에서 개인이 자기 직무와 관련된 일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모든 긍정과 부정감정의 균형 상태에서 나타나 는 일련의 태도라고 정의하였다(이경애, 2010). 또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을 자신의 직무에 대해 긍 정적인 정서의 양으로 말하며, 이는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에 높은 가치를 두고 보람과 행복을 느끼면서 업무에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문준혁, 2007).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은 개인적인 입장에서는 성취감과 보람을 가지게 되며, 조직 입장에서는 개인의 직무만족이 조직 운영에서의 효율 성과 원활한 운영 평가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장미정, 2011).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들이 보고되었다(김경숙, 2013).

    유아교사 직무만족과 보육의 질 관련 연구에서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았으며 직무몰입 정도가 높을수록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이명환, 2009)하며, 유아의 학습 성과에 영향(변미희, 2004)을 주고, 직무만족이 낮을수록 이직률, 결근, 소외감, 갈등 등이 증가하며 직무성과가 낮아진다 는 보고가 있다(윤건호, 2003). 이처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은 보육의 질에 중요한 변수가 되는 것을 밝힌 것이다. 그 밖에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관련 변인 연구를 살펴보면 직무만족 정도에 관한 연구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한 연구(권성민, 2013), 근무환경과의 관한 연구(곽미라 2017), 유아교사의 개인 내적인 변인과 인간관계에 따른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연구들(강란혜, 2006;허혜경, 박인숙, 2010), 원장과 동료교사와의 관계, 영ㆍ유아 및 부모와의 관계에 따른 직무만족에 영향(이수연, 2011) 을 준다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이 있으며, 직무만 족도가 높을 때 보육의 질이 달라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2. 유아교사의 전문성, 조망수용능력, 정서조절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유아교사는 영유아와 대부분의 시간을 공 유하며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동안 교사의 언어와 행동, 태도 등에 영향을 받으면서 영유아들의 발달 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이용주, 김정희, 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직무만족은 개인의 성장과 질적· 양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겪는 유아기의 전인적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교사의 전문성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일은 교사 자신이 자기 계발을 끊임없이 하여 전문성 과 질적 수준을 지속해서 증진 시키며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을 최대한 신장하도록 지원하는 환경을 의 미한다(Williams, 2000). 유아교사는 일반적으로 정해진 교육과정 안에서 학습 목표를 정하고, 그에 대한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경을 조성하며, 교육과정에 맞는 교수자료와 교수법을 활용하 여 전문성을 갖춘 유아교사로서의 직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전문성 과 직무만족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전문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히고 있다(심순희, 2015). 유아교사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성 하위요인은 자기 계발과 전 문적 자질이라고 밝혔다(이승은, 한윤옥, 2013).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려면 전문성 인식을 지속 적으로 높이는 것이라 하였다(김미경, 2011). 또한, 직무만족의 구성요소 중 직무자체는 교사로서 보 람과 정체성을 느끼게 한다고 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전문성은 교직에 대한 교사 스스로의 성찰과 전문 성을 갖고 미래사회를 대비할 때 향상되어질 것으로 보았다. 유아교사가 동료교사와 협력하여 전문성 계발 활동에 참여할수록 동료교사와의 협력적인 활동이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직무만족 이 향상된다고 하였다(성진희, 2017). 이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학습공동체 모임을 통해 일어난 교사 의 전문성 증진 활동이 직무환경 속에서 공감된 활동과 늘어가는 친밀감과 동교 교사들과의 경쟁보다 협력이 포함된 조직문화의 변화를 나타내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전문성과 직무만족은 서로 깊 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선행연구를 통해 나타났다. 한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은 교사가 현재 느끼는 감정, 정서, 그리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와 분리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은 사회 적 상황 속에서 대인관계에 중요한 변인으로 타인의 행동 및 반응을 예측할 수 있으며, 조직 관계에서 만족을 주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유아교사의 직무역할수행과정에서 조망수용능력과 직무만족 간의 선행연구는 미흡하나 유사한 관련이 있는 연구들을 살펴보면 직무와 관련한 연구에서 심리적 지원과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으로 조망수용능력이 연구되고 있다(신민정, 문형구, 고욱, 2016). 유아교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조직구성원들과 학부모와 유아 및 지역사회와의 사회적 관계를 이루고 있다. 유아교사들의 대인관계에 필수적인 인지능력으로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인지라고 할 수 있 다. 또한, 타인의 조망수용을 통해 자신을 보지 못한다면 자신에 대한 자기조망은 초보적이라고 하였 다(Rosenberg, 1979). 조망수용능력이 타인과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다양한 관련변인들을 살펴보면, 먼저 외부적인 요인에서는 대인관계(김완일, 정성한, 2016), 적응(정덕희, 김은주, 2009) 등의 연구들이 있다. 개인 내적인 요인으로는 탈중심화(장경숙, 2013), 공감(김환, 한수미, 2017), 대 인존재감(김옥란, 2014), 자기조절력(김현희, 2011) 등의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을 높여준다면 조직구성원과의 관계는 직무만족과 더불어 한 개인의 심리적인 안녕감의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유아교사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의 상황에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조망수용능력이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유아교사들의 직무역할 수행에서 타인이해와 탈중심화를 통해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타인의 사고와 감정을 이해하고 긍정 적인 시각으로 보려는 조망수용이 이루어질 때 직무만족에 보다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 할 수 있다.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이 직무만족 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중요성은 교사가 책임지고 있는 영 유아에 대한 절대적 영향력 때문(윤정진, 이경선, 2012)이라고 할 수 있다. 유아교사는 유아를 오랜 시 간 교육과 보육으로 인해 육체적, 정신적 노동, 학부모나 동료교사와 지속적으로 잦은 접촉을 하며 겪 는 다양한 상황에서 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백향기, 이재영, 2020). 유아교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아동학대 발생 원인으로 유아교사 정서조절과 관련 있는 직무스 트레스를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와 과도한 업무는 직무수행 및 직무만족에 영향 을 준다고 하였다(박진아, 이경숙, 최명희, 2015). 정서노동과 직무만족 소진과의 관계를 연구한 관련 연구들(홍선희, 2011)에서 직무수행 과정에서 개인에게 과다한 정서적 몰입 및 정서적 행동 요구는 빈 번한 정서노동을 요구하게 되어 정서적 고갈이 높아진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정서적 고갈을 경 험하는 개인은 일에 대해 관심과 열정을 잃게 됨으로 피로감, 상실감을 느끼게 되어 직무에 부정적 영 향을 주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과 직무만족 간의 선행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정서노동 유형에 따라 긍정적 영향을 미치거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등 일관되지 않은 결 과를 알 수 있다. 이는 유아교사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개 인적 측면의 사회심리적 안정감이 가장 중요한 요인(최옥련, 유구종, 2013)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유 아교사는 다양한 정서 상황에서 개인의 특성에 따라 정서조절을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함으로써 유아교 사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중요한 변인으로 예측할 수 있다.

    3.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조망수용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는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사 자신의 끊임없는 자기계발의 노력을 기울인다. 유아교사의 전 문성이 높으면 교수역할수행을 위해 성실과 열정적인 태도의 성향을 기른다고 하였다(노필순, 윤혜미, 2013). 더불어 전문성이 높은 유아교사는 조직의 구성원과의 원만한 관계를 맺으며 대인관계 변화에도 열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것은 유아교사가 조직에서 구성원인 타인을 이해하고 자 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타인의 관점에서 조망할 때 원만한 관계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교 사는 직무수행의 사회적 상황에서 원만한 대인관계형성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다. 조 망수용능력은 한 개인의 심리적 적응과 타인의 행동 및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조망수용능력은 심리적으로 혁신 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며(신민정, 문형구, 고욱, 2016), 구 성원들의 직무수행능력을 향상시켜 긍정적인 조직을 구성하도록 도움을 준다고 보고하였다(Williams et al., 2007). 따라서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조망수용능력은 조직사회의 다양한 상황에서 타인의 감정 을 조망하는 것으로 사회인지 이해와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의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 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하였다(백향기, 이재영, 2020). 유아를 대상으로 한 조망수용능력 과 정서조절능력간의 정적인 관련성을 보고한 선행연구도 확인되었다.(성연경, 2013). 이는 다양한 상 황에서 타인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능력은 대인관계에서 조망수용을 통해 상대의 행동 및 감정을 이해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조망수용능력이 관계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 구들도 보고되었다(김정은, 2018: 이수연, 2018). 유아교사의 직무생활에서 긍정적 감정과 태도는 외 부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해 호의적으로 이야기 하며, 조직 내부에서도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게 된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의 관계연구를 살펴보면, 두 변인 간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김난숙, 2015). 이는 유아교사들은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행복감과 즐거움, 기쁨 등 긍정의 정서를 경험하게 되고 또한 놀라움과 충격, 분노와 슬픔, 두려움과 불안 등 부정의 정서도 경 험하게 된다. 더불어 흥미로움과 흥분의 경험도 하게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유아교사들이 적응적으 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긍정과 부정의 정서를 표현하는 방식과 상황에서 정서적으로 대처하는 정서조절 과정이 효과적이고 정확해야 한다고 보고한다(백향기, 이재영, 2020). 유아교사들의 정서지능이 뛰어 나고 이를 잘 조절하고 활용할수록, 가르치는 것에 대한 자신의 직무에 자신감과 직무만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연구에서 교사들이 지각하는 정서지능의 정도는 보통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자기정서인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정서요인으로 나타났다(김소양, 송미선, 2009). 이렇 듯 유아교사의 하루 일과의 많은 시간을 유아들과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며 정서표현과 정서적 행동 을 하는 직무특성으로 정서조절능력은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조망수용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 인간의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변인간의 중요성이 예측가능하며 또한 밀접한 관련이 무엇인지 확인하 는 것은 흥미로운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설문조사는 2020년 8월 3일부터 8월 20일에 걸쳐 서울, 경기, 강원, 충청, 경상, 전라도 지역에 소 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설문조사는 어린이집 과 유치원에 방문 또는 우편을 통해 배부하고 회수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총 450부를 배부하였으 며, 420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누락된 답변과 불성실한 응답이 있는 설문지 5부를 제외한 총 415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을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2. 연구도구

    1) 유아교사의 직무만족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은 Jorde-Bloom(1988)의 유치원 직무만족도 검사(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ECJSS)를 번역하여 사용한 송유진(1993)의 설문지를 토대로, 이경애(2010) 가 재구성하여 사용한 연구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척도에는 직무자체특성 10문항, 근무환경 10 문항, 사회적 인정 3문항, 원장과 동료와의 관계 5문항, 보수와 승진 8문항의 5개 하위요인 36문항으 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해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 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으로 1점부터 5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으 며,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하위요인별 직무만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문항 내적일치도(Cronbach’s α)를 분석한 결과 전체 척도 신뢰도는 .927로 나타났다.

    2) 유아교사의 전문성

    유아교사의 전문성은 지성애(2001)가 개발한 보육교사 전문적 자질 평가척도 문항을 황혜정(2019) 이 연구대상에 맞게 재구성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유아교사로서 전문가가 되기 위해 갖 추어야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보호적 능력 10문항, 행동지도 및 치료적 능력 10문항, 교육 프로그램 운 영 지식과 기술 및 수행능력 10문항. 환경조성능력 10문항, 평가능력 10문항의 5개 하위요인 총 50문 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Likert식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으로 1점부터 5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으 며,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하위요인별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문항 내적일치도(Cronbach’s α)를 분석한 결과, 전체 척도의 신뢰도는 .931로 나타났다.

    3)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은 각 하위요인마다 번안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타인이해를 측 정하기 위해서 Davis(1980)가 사용한 7문항을 이선영(2018)이 사용한 타인이해 척도를 그대로 사용 하였다. 탈중심화는 정성한(2018)이 개발 및 타당화한 4문항을 연구 대상에 맞게 재구성한 탈중심화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하위요인 탈중심화는 S시의 유아교육 박사 전공자 2인과 유아교사 경력 10년 이상의 40명을 임의 선정하여 예비조사 설문지에 대한 자문을 받은 후 이를 반영하여 수정 보완 하였다. 본 척도는 타인이해 7문항, 탈중심화 4문항의 2개의 하위요인 총 1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해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으로 1점부터 5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 록 각 하위요인별 조망수용능력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문항 내적일치도 (Cronbach’s α)를 분석한 결과 전체 척도 신뢰도는 .876로 나타났다.

    4)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은 Salovey와 Mayer(1990)의 정서지능 이론에 근거해 문용린(1997)이 개발 한 성인용 정서지능검사(Adult Emotional Quotient Test: AEQT)에서 자신과 타인의 정서조절 능력을 묻는 문항을 연구대상에 발췌하고 사용하였다. 본 척도에는 자신정서조절 8문항, 타인정서조절 7문항의 2 개의 하위요인 총 15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해 ‘전혀 그 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으로 1점부터 5점으로 평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하위요인별 정서조절능력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 다. 본 연구에서의 문항 내적일치도(Cronbach’s α)를 분석한 결과 전체 척도 신뢰도는 .926로 나타났다.

    3.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 째, 연구 대상자인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내적일치도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측정 변인인 유아교사의 전문성, 조망수용능력, 정서조절능력, 직무만족에 대한 응답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을 수행하여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넷째, 전문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조망수용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2012)의 PROCESS Macro 를 이용하여 순차적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순차적 매개효과 모형은 직결로 매개변인이 연결된 형태를 말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매개변인인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인과적인 연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모형에서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Hayes(2012)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간접효과의 회귀계수에 대한 표집분포의 정규성을 가정하지 않는 부트스트 래핑(Bootstrapping) 방식(Shrout & Boger, 2002)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유아교사 전문성, 직무만족, 조망수용능력,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 석한 결과, 측정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표 2>와 같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문성은 조망수용능력(r=.440, p<.01), 정서조절능력(r=.411, p<.01), 직 무만족(r=.365, p<.01)의 순으로 정적인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 무만족은 정서조절능력(r=.351, p<.01), 조망수용능력(r=.305, p<.01)의 순으로 정적인 상관을 나타 내고 있으며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조망수용능력은 정서조절능력(r=.441, p<.01)과 정적 인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1)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확인한 결과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 력의 간접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β=.18, t=4.73, p<.05). 즉, 교사의 전문성이 높으면 직무만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직무만족에 미치는 순차적 매개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직무만족에 미치는 순차적 매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전문성이 높을수록 조망수용능력은 증가하였으며(β=.49, t=9.96, p<.05), 모형의 설명 력은 19%였다(F=99.38, p<.05). 전문성이 높고(β=.46, t=9.36, p<.05) 조망수용을 잘 할수록(β =.26, t=4.86, p<.05) 정서조절능력은 증가하였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2%였다(F=97.90, p<.05). 전문성이 높고(β=.18, t=4.73, p<.05) 조망수용(β=.09, t=1.97, p<.05)과 정서조절(β=.12, t=3.77, p<.05)을 잘 할수록 자신에 대한 직무만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 변수 모형 의 설명력은 19%였다(F=31.49, p<.05).

    다음으로 회귀모형에 나타난 세 개의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전문성에서 조망수용능력을 거쳐 직무만족으로 가는 단순매개경로(β=.05, 95% CI= .00∼.09)와 정서조절능력을 거쳐 직무만족 으로 가는 단순매개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β=.02, 95% CI=.01~.06). 또한, 전문성에서 조망 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을 차례로 거쳐 직무만족으로 가는 순차적 매개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β=.03, 95% CI= .01∼.05). 이러한 과정을 [그림 2]에 제시하였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조망수용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의 순차적 매개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조망수용능력, 정서조절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변 인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교사의 전문성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결과를 살펴보면, 전문성과 조망수용능력, 정서조절능력, 직무만족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조망수용능력 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유아교사의 전문성은 직무만족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 이 도출되어 전문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또한 높다는 연구 결과와 맥락을 같이한다(구은미, 2004;권 영미, 2014). 정서조절능력은 조망수용능력, 직무만족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모두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유아교사 스스로 정서를 긍정적으로 조절하고 관리하면 바람직한 대인관계 를 형성하여 직무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최지민, 2015). 직무만족은 조망수용 능력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에 조망수용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 미한다. 또한, 조직구성원들의 단순한 근무환경 개선만으로 직무만족을 도모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더 나아가 개인 내적인 변인과 제도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손은주, 2012).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전문성과 직무만족의 인과모형에서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더불어 삶의 만족도 높다는 연구 결 과(조은주, 2012), 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유아교육의 질 높은 교육의 실행과 직무만족에 중요하다 고 보고 한 연구(조신숙, 김정희, 2018)와 일맥 상통한다. 또한 전문성인식이 높고 열정적이고 성실한 태도일수록 직무만족이 높게 나타난 연구들이 보고되었다(강란혜, 2006;노필순, 윤혜미, 2013; 이점 자, 김형모, 2012; 허혜경, 박인숙, 2010). 이러한 결과는 전문성이 높은 유아교사는 직무역할 수행능 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인의 성장과 변화를 이끄는 반영적 사고를 하며, 스스로 전문직으로서의 끊 임없는 자기 계발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직무만족에 대한 전문성에서 조망수용능력을 거쳐 직무만족으로 가는 단순매개경로는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전문성이 높을수록 조망수용능력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 는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높으면 자신과 타인의 내재적인 심리 과정에서 중요한 인지적 활동인 조망수 용능력이 높아져 자신이 아닌 타인을 이해하고 수용하게 되므로 다른 사람과 관계에 영향을 주고 결국 긍정적인 관계는 직무만족이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조직의 운영과 관리에 협조적이며 조직 구성원과도 원만한 관계를 맺게 되어 직무만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문성에서 정서조절능력을 거쳐 직무만족으로 가는 단순매개경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유아교육기관에서 개인의 전문성 인식이 높고 정서인식과 정서활용과 정서조절, 정서지능이 높은 교사일수록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보고한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김화순, 2015). 또한, 전문성이 높을수록 정서조절능력은 증가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가 전문성을 가지고 정서와 관련된 직무를 하며 자신의 심리상 태를 파악하고 자신의 정서 상황과 대상에 따라 얼마나 탄력적으로 조절하느냐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에 서의 대인관계 능력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직접적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정서조 절능력에 관한 직접적인 선행연구가 미비하여 찾기 어려웠으나 이와 유사한 개념의 전문성의 하위요인 인 운영관련 지식과 수행능력에서 요구되는 문제해결능력과 정서지능이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 고한 연구와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권혜진, 2008).

    다음으로는 전문성에서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을 차례로 거쳐 직무만족으로 가는 순차적 매 개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를 대상으로 한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간의 정적인 관련 성을 보고한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성연경, 2013). 또한 조망수용능력이 자기인식을 도와 대 인관계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도 맥을 같이한다(이수연, 2018). 이로써 전문성을 가진 유아교 사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유아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교사 교육과 근무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교사 전문성을 증진시 킬 수 있도록 영유아교사 스스로의 노력과 지속적인 재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백지영, 백영숙, 오현숙, 2021). 현재 유아교사를 위한 재교육으로 보수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 연구(정효정, 2019)에 따르 면 경력 있는 교사가 스스로 전문인으로 인지할 수 있으려면 무엇보다도 자기 역할에 대한 전문성 인식 과 긍정적 신념이 중요하지만, 현행 보수교육은 획일적이고, 비차별적인 집단강의식으로 운영되고 있 다고 한다. 따라서 일괄적인 재교육이 아니라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교육,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워크숍을 통한 교육 등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사라는 직업에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전문성을 지원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하는 것 이 중요한데, 특히 교사가 다른 직업으로 이직하지 않고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현실적인 처우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노진형, 2013). 교사들 처우의 경우 설립유형별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다. 공개되어 있는 호봉표는 국·공립 어린이집에 국한된 기준 체계로 민간 및 가정, 법인, 직장어린이집과 같은 다 른 유형의 어린이집에서는 제시된 기준과 상이한 급여 체계가 존재한다(김지현, 2016). 지금까지 연구 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선행연구 대다수는 유아교사의 복지개선, 임금향상 과 같은 정책적인 측면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한계점이 있음을 보고한 연구가 발표되었다(이기향, 2001). 따라서 설립유형에 따른 다른 호봉, 시간외 수당 지급 여부 등 기준이 좀 더 명확할 필요가 있음 을 시사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은 조망수용능력, 정서조절능력과 같은 개인 내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유아교사는 유아, 동료교사, 부모 등 다양한 사람들과 상호 밀접관 관계를 맺 는다. 이 과정에서 심리적 소진을 경험할 수 있는데, 이때 조망수용능력은 상대방의 입장을 공감함으로 써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도울 것이다. 즉 상대방이 자신의 입장을 잘 이해해주고 있다고 느끼고 있을 때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는 연구(김정은, 2018)와 일맥상통한다. 또한 유아교사가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 정서로 전환하거나 회복할 수 있는 것은 교사 자신의 전문성을 높이는 능력이라 고 한다(이은상, 2015). 한 연구(김인희, 김진경, 2020)에 따르면 유아교사 정서지능 전체는 직무만족 도, 교사효능감과 정적 상관이 있다고 보고한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공감 능력을 높이고, 긍정적으로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 보 육 관련 서비스의 연계와 맞춤형 지원 마련을 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육진흥원, 육아종합지원센 터에서 심리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느끼는 교사에게 맞춤형 상담과 다양한 심리ㆍ정서 프로그램 등이 실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와 같이 사회적 상황에서 원만한 대인관계형성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된 조망수용능력은 한 개인의 심리적 적응과 타인의 행동과 반응 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특성임이 밝혀졌으며, 또한 조망수용능력의 중요성을 확인하게 해주었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한계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으로 타인이해와 탈중심화에 대해 연구하 였다. 자기를 이해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타인을 이해할 수 있고 따라서 자신을 이해하는 것은 인간관 계 형성의 기본 요건이라 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유아교사 조망수 용능력 하위 요인으로 자기이해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표집 된 대상이 전국의 법인, 직장, 국공립, 민간, 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들로 이루어졌으 며 후속연구로 전국의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로 구분하여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의 두 변 인 간 차이를 알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 대상으로 연구하였지만 초·중· 고 교사와 일반인, 직장인 등을 포함한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조망수용능력, 정서조절능력, 직무만족을 설문지 조사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응답에 대해 사회적으로 긍정적 방향의 반응하는 경향을 고려할 때 연구대 상의 객관적인 정보를 얻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심층면 담과 참여관찰 등의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깊이 있는 연구가 추후 계속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Figures

    KJFW-26-4-553_F1.gif

    Research model: the mediation path of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 relation to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KJFW-26-4-553_F2.gif

    The mediating role of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ith regard to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Tables

    General backgroun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N=415)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variables

    Direct effect of professionalism on job satisfaction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ith regard to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Bootstrapping result for the effect of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with regard to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References

    1. 강란혜 (2006).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25(1), 71-88.
    2. 구은미 (2004).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관련변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3. 곽미라 (2017).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보육헌신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권성민 (2013).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직무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교사효능 감,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권영미 (2014).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사회적지지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권혜진 (200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성취감의 조 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4), 597-609.
    7. 김경숙 (2013).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8. 김난숙 (2015). 유아 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9. 김미경 (2011).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소양, 송미선 (2009).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99-119.
    11. 김신애 (2018).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옥란 (2014). 군 병사의 자기개념 복잡성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 대인 존재감과 조망수용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완일, 정성한 (2016). 재수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조망수용의 매개 효과. 청소 년학연구, 23(6), 355-374.
    14. 김이경, 박상완, 이태상 (2005). OECD 한국 교원정책 검토 결과에 대한 비판적 분석. [KEDI] 한국교육, 32(2), 297-319.
    15. 김인희, 김진경 (202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 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1075-1100.
    16. 김정은 (2018). 성인애착유형, 갈등해결전략, 조망수용능력과 이성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지현 (2016). 근무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보육교사의 어려움 들여다보기.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1(1), 99-119.
    18. 김춘희 (2012). 보육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교수 효능감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를 중심으로-.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김현희 (2011). 구성주의에 근거한 그룹게임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부경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화순 (2015). 보육교사 정서지능 및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1. 김환, 한수미 (2017). 조망수용, 개인적 고통, 공감적 관심, 공감적 반응, 공감적 이해의 상호 비교-성격 5요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인간이해, 38(2), 55-73.
    22. 노진형 (2013).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수준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2), 73-93.
    23. 노필순, 윤혜미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 학, (43), 157-184.
    24. 문용린 (1997). EQ가 높으면 성공이 보인다. 서울: 글이랑.
    25. 문준혁 (2007). 특수학교 체육교사의 교사발달단계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박경 (2013).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효능감이 유아의 내·외현적 행동문제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박삼섭 (2006).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구로구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8. 박선화 (201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박은혜 (2002). 유아 교사 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30. 박진아, 이경숙, 최명희 (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 조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 227-252.
    31. 백지영, 백영숙, 오현숙 (2021).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영유아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 전문성 의 매개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 21(14), 301-314.
    32. 백향기, 이재영 (2020).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코칭연구, 13(4), 103-121.
    33. 변미희 (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36, 95-117.
    34. 변지영, 양혜정 (2018). 자기자비와 부부관계의 질 –부부조망수용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매개변인으 로. 가족과 가족치료, 26(1), 1-22.
    35. 성연경 (2013). 협동활동에서의 모둠구성원 교체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 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성진희 (2017).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만족, 전문성인식, 동료교사협력과 어린이집 조직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손아름, 임수진 (2019). 기혼자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조망수용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19(3), 22-30.
    38. 손은주 (2012).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MeFOT 창의 인성연구, 1, 69-89.
    39. 송유진 (1993).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신민정, 문형구, 고욱 (2016). 조망수용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혁신행동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9(4), 651-666.
    41. 심순희 (2015). 영아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인식차이 및 관계분석. 대구가톨 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오경순, 윤현숙 (2018).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인문사회 21, 9(6), 869-884.
    43. 오세선 (2009). 부부모래놀이치료가 부부 조망수용증진에 미치는 효과.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44. 윤건호 (2003). 유아교육교사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비교연구. 교육행정학연구지, 21(3), 123-146.
    45. 윤정진, 이경선 (2012). 보육교사 관심사 발달단계에 따른 직무만족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53-77.
    46. 이경례 (2016).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 교사행동의 질 간의 관계. 가톨릭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이경애 (2010).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 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이기향 (2001).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49. 이명환 (2009).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육 의 이론과 실천, 14, 55-78.
    50. 이선영 (2018). 대학생이 인식하는 가족 다양성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51. 이수연 (2011). 보육교사의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52. 이수연 (2018). 취약성 자기애가 조망수용에 미치는 영향-반추적 및 반성적반응양식의 매개효과-. 가 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승은, 한윤옥 (2013) ,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7(2), 93-110.
    54. 이용주, 김정희 (2017). 보육교사의 인성,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 영유아 권리 존중 실행의 구조적 관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6), 73-93.
    55. 이운성, 심숙영 (2014).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자아탄력성, 직무만족도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아동교 육, 23(4), 337-354.
    56. 이은상 (2015). 국내 초·중등 공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공학교육학회지, 18(4), 45-56.
    57.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1995).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58. 이점자, 김형모 (2012).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 집 보육교사의 비교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01-120.
    59. 이희연, 장경은 (2015).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에 대한 유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육아지원연구, 10(1), 5-34.
    60. 장경숙 (2013). 탈중심화와 조망수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반성과 반추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장미정 (2011). 유치원의 질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효능감이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2. 정덕희, 김은주 (2009). 4·5세 유아의 어린이집 일과적응과 조망수용능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2), 197-215
    63. 정성한 (2018). 병사용 조망수용능력 척도 개발.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4. 정창영 (1997). 조망과 갈등대처 양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정효정 (2019). 보육교사 1급 승급 보수교육 체계의 논점과 제언. 한국영유아보육학, 119, 129-158.
    66. 조신숙, 김정희 (2018). 민간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미치 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17-117.
    67. 조은주 (201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조정대 (2016). 사립유치원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유치원 교사의 정서지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간 의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9. 지성애 (2001). 영유아 보육시설장과 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7, 137-167.
    70. 지성애, 김지은 (2017).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과 교수효능감, 심리적 소진 및 성격특성 간의 관계 및 영향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1(5), 5-32.
    71. 최옥련, 유구종 (2013).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 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01-224.
    72. 최지민 (2015). 초등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 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에 미치는 영향-대인 관계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 황혜정 (2019). 유아교사의 감정노동 인식 및 직무스트레스, 전문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4. 허혜경, 박인숙 (2010). 보육교사의 자질과 직무태도가 보육의 질(質)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 학, 64, 21-41.
    75. 홍선희 (2011). 정서조절책략과 직무소진 및 직무만족의 관계-정서지능의 조절효과와 상대적정서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6. Bhamani, S. (2012). Factors determining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3(1), 43-48.
    77. Clark, N. A. , & Lagerwall, S. T. (1980). Submicrosecond bistable electro‐optic switching in liquid crystals. Applied Physics Letters, 36(11), 899-901.
    78.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 209-219.
    79. Gross, J. J. (2002). Emotion regulation: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consequences. Psychophysiology, 39(3), 281-291.
    80. Hayes, A. F. (2012). PROCESS: A versatile computational tool for observed variable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Retrieved from http://www.afhayes.com/
    81. Jorde-Bloom, P. (1988). Factor influenc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3(2), 107-122.
    82. Mayer, J. D. ,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3, 31. Basick Books.
    83.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Y: Basic Books.
    84. Salovey, P. ,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85. Shrout, P. E. , & Boger, N. (2002). Mediation in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 422-445.
    86. Spodek, B. , & Saracho, O. N. (1993). Right from the start: Teaching children ages three to eight. Allyn & Bacon.
    87. Turner, R. H. (1978). The role and the pers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4(1), 1-23.
    88. Willams, E. C. (2000).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Linkages and measurement issu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89. Williams, H. M. , Parker, S. K. , & Turner, N. (2007). Perceived dissimilarity and perspective taking within work teams.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2(5), 569-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