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7 No.4 pp.437-459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2.27.4.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ather-Child Physical Activity Program

Yeong-Gwang Ko, Seung-Min Song
Director, Wabubichyekko Child Care Center, Namyangju, 12276, Korea
Professor,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The University of Suwon, Hwaseong, 18323, Korea

* 본 논문은 2019년 수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의 일부를 수정 보완한 것임


Corresponding Author: Seung-Min Song, Dept. of Child & Family Welfare, The University of Suwon (E-mail: smsong@suwon.ac.kr)

October 31, 2022 ; December 2, 2022 ; December 10, 2022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ather-child physical activity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improving preschoolers' self-regulation, fathers' playfulness, and parenting efficacy.


Methods:

The development of the father-child physical activity program was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e program was to improve the ability of preschoolers' self-regulation, fathers’ playfulness, and parenting efficacy. Seco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physical activities between the father and child using household goods and recycle materials. Third, on-line communication between childcare centers and families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education of non-face-to-face methods. The father filmed and shared videos of the father and child playing at home.


Results:

First, the father- child physical activity program positively affecte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abilities. Second, the program showed a positive effect on father's playfulness. Third,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ather's parenting efficacy.


Conclusion:

The father-child physical activit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preschoolers' self-regulation, fathers' playfulness, and parenting skills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고 영광, 송 승민

초록


    Ⅰ. 서 론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신체활동 권장 지침을 발표하며 유아들 이 연령에 적합한 신체활동에 참여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한국건강증진재단, 2012). 그러나 현대사 회에서는 미디어기기 발달, 인지 위주의 학습 강조, 부모들의 안전에 대한 염려 등을 이유로 유아의 신 체활동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국제 협력 프로젝트인 Global Matrix 2.0에서 평가한 유아 및 청소 년 신체활동 등급에서 우리나라는 전 세계 평균 C등급보다 낮은 D등급으로 평가되었다(김연수 외, 2018). 우리나라 유아들은 교육기관에 머무르는 시간이 일 평균 7시간으로 나타난 반면, 외출과 바깥 놀이를 포함한 신체활동 시간이 평균 1시간으로 조사되어 유아의 신체활동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조숙인 외, 2017). 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서는 하루 2∼6시간의 신체활동 시간이 필요하 며, 신체활동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전인옥, 이현균, 2018). 유아의 건강한 성장 발 달을 위해 신체활동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적이라는 현실은 매우 안타깝다. 2018년도를 기준으로 한 해 동안 실외활동 자제를 권고하는 미세먼지 주의 및 경보가 71회 발령되었다(한국환경공단, 2018). 미세먼지의 농도 증가는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므로, 유아의 신체활동은 불안정한 실외 환경을 대체할 수 있는 실내에서의 신체활동으로 유연하게 대처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이상호, 2020). 또한, 2019년 12월에 시작된 법정 1급 감염병인 코로나-19 감염증으로 인해 외부활동 및 대면접촉에 대한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다(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020). 코로나19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보고서에서는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58%가 코로 나19 발병이후 아동기 자녀의 신체활동이 급격히 줄어들었다고 보고하였다(유조안 외, 2021).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유아의 실외 활동은 감소되고 가정 내 정적인 활동이 증가됨으로써 신체활동량은 줄어 들기에 이르렀다(배은정, 2021). 이에 따라 유아의 신체활동 공백을 최소화하고 실내에서도 안전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신체활동은 유아가 자신의 신체 움직임을 활용하여 주변 사물과 공간 및 환경을 탐색하고 표현하는 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획득하고 활발한 움직임을 증진시키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친사회적행동, 신 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윤소연, 2018). 또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원만한 대인관계 및 자존감을 형성한다. 신체활동을 통해 얻은 자신감은 사회적 적응과정으로 발전되고, 더 나아가 자아 실현과 인지 및 정서발달 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박정심, 2017). 즉, 신체활동은 자신의 신체를 다양하게 움직이는 경험을 통해 건강한 신체발달과 유아 스스로를 가치 있는 존재로 인식하는 정서발달 그리고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유아 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실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한 다수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유아가 신체활동 경험을 통해 자신의 신체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조절하는 경험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를 조 절하게 되며, 타인의 사고와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경험을 통해 유아들의 정서조절능력이 향상 된 다고 보고하고 있다(고정리, 2014;박은희 외, 2011;박정심, 2017;이수진, 2012;이정애, 2020;조순희, 2013;주보라 외, 2015;황보연, 2011).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지각하 고 인식하며 스스로 통제·조절할 수 있도록 돕고, 사회성 발달의 기초가 되는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 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살펴본 연구들에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은 충동적으로 반응 하는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고, 주의를 집중시키며, 스스로 조절해 가는 경험을 하게 된다(박정심, 2017;이정애, 2020). 또래 협동 신체활동을 통해 각자의 역할 수행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자 신의 감정과 행동을 지각하여 자신을 객관적으로 조절하는 능력이 향상되며(이수진, 2012;조순희, 2013), 음악활동과 연계한 신체활동 과정은 충동적인 행동을 조절하고, 또래와 타협하는 경험을 통해 높은 자기조절력을 나타낸다(고정리, 2014;박은희 외, 2011). 또한, 바깥에서 진행되는 신체활동은 또래와의 갈등 상황을 해결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이는 자기결정력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게 되어 자기조절능력의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주보라 외, 2015). 즉, 유아의 신체활동은 또래 와 자연스럽게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고, 물리적 환경을 타인과 공유하는 경험을 통하여 다른 사람을 인 식하게 하고 이는 정서조절과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된다(황보연, 2011). 따라서 타인과의 원활한 상호 작용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의 기초가 되는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를 설명해보고자 한다.

    대면활동과 외부활동이 위축된 현 상황에서는 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가정에서의 부모 역할이 더욱 중시되고 있다(최윤경, 2020). 부모의 역할은 양육방법과 양육태도에 따라 유아의 일상생활 경험과 발달 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김은화 외, 2010). 부모의 양육 방법과 관련하여 아버지의 양육 방법은 어머니의 양육 방법과 차이가 있다(Lamb, 2010;Blakemore, Berenbaum & Liben, 2013; Rohner & Veneziano, 2001).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은 돌봄과 관련된 일반적 양육 참여보다 놀이상황과 관련 된 상호작용적인 양육 참여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은화 외, 2010). 자녀와의 놀이 형태를 살펴보면, 어머니는 자녀의 생활을 안내하거나 공감적인 대화를 하고 가르치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아버 지는 신체놀이를 같이 하고 친구처럼 행동하면서 자녀에게 흥미 있는 도전거리를 제공한다(Blakemore, Berenbaum & Liben, 2013;Chiarello, Huntington & Bundy, 2006). 또한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놀이성이 더욱 풍부하고 새로운 놀이를 더 많이 시도한다(Blakemore, Berenbaum & Liben, 2013;Lamb, 2010). 자녀와의 놀이에 자주 참여하는 아버지는 유아의 놀이성(김진혜, 2009;오정미, 2014)과 아버지 자신의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오정미, 2014;조윤희, 2016). 아버지가 유아와 신체적 으로 접촉하고, 함께 놀이하는 등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유아의 신체적·언어적 공격성이 감소하 며(이승은, 2016;한미옥, 2000;홍미라, 2013), 놀이에서 나타나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자녀가 외부의 감각정보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조직화하여 반응하는 감각처리능력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김시은, 2018). 아버지와 유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놀이는 서로의 감정이나 상태를 살펴 유아가 자신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김미경, 2016;김찬숙, 최혜순, 2011;이성숙, 2013;장여옥, 2016;최재 영, 2019). 이와 같이 아버지의 양육은 자녀의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 발달과 기능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ohner, Veneziano, 2001).

    아버지와 유아가 함께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한 선행연구들은 유아 뿐 아니라 아버지 자신에 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고 있다(박신영, 2012;방은경, 2011;이숙화 외, 2010; 이 지연, 2020; 이진호, 2016;조광현, 202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정과 연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은 영아의 신체발달과 영아와 아버지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박신영, 2012;이숙화 외, 2010),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아개념 및 신체활동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이 다수 있었다(방은경, 2011;이진호, 2016). 또한, 가정연계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는 자 녀를 양육하는데 있어 높은 효능감을 갖게 되었으며(이지연, 2019;조광현, 2020), 자녀와 아버지 간 의 상호작용과 아버지의 놀이신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고하기도 하였다(박신영, 2012). 이상에서 살 펴본 것처럼, 아버지는 유아와 함께 신체활동에 참여하며, 자녀를 양육하는 기술적 측면의 놀이성 발달 과 정서적 측면의 높은 효능감을 갖게 될 것이라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와 아버지가 함께 참여하는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종합하면, 아버지의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신체, 언어,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아버지의 자녀 양육에 대한 효능감이 증진되며(이숙화 외, 2010;이진호, 2016;이지연, 2019;박신영, 2012;방은경, 2011;조광현, 2020), 자녀와 함께 놀이 하는 기술이 발달되어 아버지의 놀이성이 향상되는 매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다(박신영, 2012). 그러 나 아버지와 유아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한 선행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들이 발견된 다. 단기간 이루어지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에서 아버지들은 모든 내용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어려움 이 있으며(조광현, 2020), 시간적 제약으로 중도탈락률이 높으며(김미경, 김현주, 2016), 참여자 모집 의 어려움으로 소수의 아버지만을 대상으로 하였다(김미경, 김현주, 2016;조광현, 2020;진성철, 2013). 이에 따라 아버지들에게 접근성이 뛰어나며, 일상생활에서도 응용이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이지연, 2019). 이러한 선행연구의 제언을 정리하자면,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아버지들 이 프로그램을 충분히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안내와 지원이 필요하며, 시간과 공간의 제 약 없이 실행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도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신체활 동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즉, 아버지와 유아가 함께하는 신체활동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 결 과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다양한 신체활동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와 아버지에게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명확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육아정책연구소에서 발표한 아버지 양육참여 실태조사에 따르면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은 자 녀 양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사회활동이 왕성하게 이루어질 시기로 약 80% 이상의 아버지 들이 초과근무를 하고 있으며, 자녀양육을 위한 육아휴직 사용자도 약 5%에 그치고 있다(김아름 외, 2016). 따라서 경제활동으로 바쁜 시간을 보내는 아버지들의 상황을 고려하여 대면교육의 어려움을 보 완하고, 현 상황에 적합한 방법인 온라인과 SNS를 활용한 아버지와 유아의 가정연계 비대면 프로그램 운영이 요구된다. 온라인을 통한 학습은 시간과 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는 편의성과 네트 워크를 통해 전문가와 소통할 수 있다는 연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정연계를 통한 프로그램 운영의 제한점을 보완해 줄 수 있다(김동심, 이명희, 2019;이상민, 2020). SNS를 활용한 방법 또한 시간에 따른 제약 없이 교육의 내용을 전달받을 수 있고, 비대면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질의응답에 신속히 대 응하여 소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이서연, 2018;이지연, 2019).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화상회의 프로 그램을 활용하여 아버지들에게 신체활동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램 운영 방법에 대해 안내하고, SNS를 통해 프로그램 내용을 영상으로 안내하고 공유하며, 소통할 수 있는 비대면 가정연계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효과검증을 하고자 한다. 즉 아버지-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 연구문제 1.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Ⅱ.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놀이 프로그램 개발

    1. 프로그램 개발 절차

    본 연구는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이 이 루어졌다. 이를 통해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유아교육 현장 전문가 4 인(어린이집을 운영 중인 아동학 박사과정 2인, 유아교육을 전공한 아버지 1인, 유아체육 강사 1인)에 게 프로그램 타당도와 적합성을 검증받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수정된 프로그램은 만 3세 유아와 아버 지 10쌍에게 예비연구를 실시하여, 아버지들의 평가 내용을 토대로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 문헌고찰

    유아의 신체활동 및 아버지의 놀이참여에 관련된 문헌을 토대로 본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을 설정했 다. 문헌고찰에서는 국내·외에서 발간된 아버지와 유아의 신체활동 및 놀이 방법에 관한 도서(권오진, 탁경운, 2012;조준휴, 장기도, 2019;프렌디 리서치, 2010)를 통해 프로그램의 활동내용을 추출하였 고, 학술자료들(김승언, 2018;김은심, 2016;이서연, 2018;이지연, 2019;조광현, 2020;Landreth, 2002))을 바탕으로 유아의 놀이, 신체활동, 아버지 활동참여, 프로그램 운영 방법 등과 관 련된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등에 대한 기 본 방향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의 구성에 반영하였다.

    2) 프로그램 구성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였고,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 다. 본 프로그램의 활동내용은 가정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신체활동으로 구성하였고, 운영-실행 방 법 및 평가방법의 활동계획안을 개발하였다.

    3)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증

    구성된 프로그램은 유아교육 현장 전문가 4인(어린이집을 운영 중인 아동학 박사과정 2인과 유아교 육을 전공한 아버지 1인, 유아체육 강사 1인)으로부터 아버지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프로그 램의 구성 및 수준과 운영방법에 대해 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의견을 반영하여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구 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반영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바쁜 아버지들의 일과를 고려하여 신체활동에 필요한 도구는 가정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도구 로 구성하였으며, 일부 도구(풍선, 신문지, 접착메모지, 매직 등)를 지원하였다.

    • 둘째, 아버지들과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가정통신문과 SNS(***밴드, ***톡)을 활용한 소통체 계를 구성하였다.

    • 셋째, 영상자료의 시청률을 높이기 위해 재생시간을 20분에서 10분 이내로 편집하였으며, 배경음악 과 자막을 추가하였다.

    • 넷째, 프로그램 참여의 동기를 부여하고 중도탈락률을 줄이기 위해 크리스마스 선물, 미션 수행에 대 한 보상으로 선물을 증정하였다.

    4) 예비연구

    1차적으로 개발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N시에 소재한 B어린이집에서 2020년 8월 22일부터 9월 12 일까지 만 3세 유아와 아버지 10쌍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에 참여한 아버지들 의 평가와 견해를 통해 문제점 등을 수정·보완하여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5) 최종 프로그램 구성

    이전 과정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목표, 활동내용, 운영-실행방법, 회기별 활동내용을 재조직하여 아 버지와 유아가 함께 참여하는 가정연계 신체놀이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오리엔테이션 및 수료식을 포함하여 가정연계 신체활동 프로그램 주 2회기 8주 총 16회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회기 별 놀이안내, 평가가 포함된 안내문과 연구자의 시범영상을 완성하였다.

    2. 프로그램의 구성

    프로그램의 구성 절차에 따라 추출된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운영-실행 방법, 평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유아를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프로그램들은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자 신의 행동과 감정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며,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함으로 써 자신의 욕구를 인내하는 자기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박정심, 2017;신 리행 외, 2015;안경숙, 신애선, 2016;이수진 외, 2013). 아버지가 유아와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들 은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기술과 방법을 습득과 활동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고, 긍정적인 교류를 통 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하였다(김영란, 2015; 조광현 외, 2020; 황혜신, 윤명 자, 2015).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증진시키고, 아버지의 놀이성과 양육효 능감 증진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2) 프로그램 활동내용

    본 연구는 참여자들의 특성을 고려하고, 접근성을 높이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해 가정 내에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활동내용의 선정 과정은 다 음과 같다.

    (1) 가정에서 활동운영

    아버지들의 양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반면, 생계 책임자로서의 역할로 인해 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연구결과(이혜민, 한유진, 2019)를 고려하여 가정 내에서 쉽게 이루어질 수 있 는 실내 활동과,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도구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신체활동의 접 근성을 높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맨몸활동, 생활 쓰레기(재활용품), 가정에서 사용하는 기성교 구 및 생활용품을 활동도구로 사용하였다.

    (2) 활동내용

    가정에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활동도구를 중심으로 아버지와 유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 기 위해 신체활동 프로그램과 관련 서적과 선행연구(권오진, 탁경운, 2012;조준휴, 장기도, 2019; 프 렌디 리서치, 2010)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운영방법과 목적에 적합한 놀이내용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 에 최종 구성된 활동내용은 <Table 1>과 같다.

    3) 예비연구

    선정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만 3세 유아 10명과 그들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회기(오리 엔테이션)과 16회기(수료식)를 제외한 14회기 프로그램을 주 2회 7주 동안 실시하였고, 아버지들의 소 감문을 바탕으로 활동내용의 일부를 수정하였다.

    4) 프로그램 운영-실행 방법

    본 프로그램의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신체활동 프로그램 운영 방법을 선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들(권순 임, 구수연, 2014;권기현, 2019;박신영, 2012;이서연, 2018; 이지연, 이소현 2020; 조광현, 2020;진성철, 2013)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 도록 프로그램 운영방법과 신체활동 방법을 교육하기 위한 집단활동, 가정연계를 통한 개별활동, SNS 및 전화통화를 활용한 소통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을 통한 실시간 집단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ZOOM프로그램을 활용한 집단활동을 실시하였다. 온라인을 통한 실시간 집단 활동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줄어들고 강의, 정보제공, 다중 토의 등 양방향 교육환경을 제공한다(최원호, 전영국, 2020). 본 프로그램에서의 집단 활동은 1회기와 16회기 총 2회로 구성하였다. 아버지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토요일 저녁 6시에 실시하였고, 개인 적인 사정으로 참여하지 못한 아버지들에게는 녹화영상을 전달하고, SNS 및 전화통화를 통해 개별적 으로 소통하였다. 1회기에는 오리엔테이션으로 프로그램 참여 방법, 자녀와 활동 방법, 질의응답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16회기에는 아버지와 유아가 함께 참석하였으며, 수료식과 프로그램 실행 후 의 반응, 아이디어, 변화된 과정 등을 나누는 활동을 하였다.

    둘째, 놀이 주제와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활동안내문과 함께 연구자가 놀이에 직접 참여 한 영상을 제작(YouTube)하여 SNS를 통해 아버지들에게 제공하였다. 가정에서의 프로그램 운영은 활동을 안내하는 연구자가 함께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활동중에 나타나는 어려움에 대해 즉각적인 안 내가 어렵다. 이를 보완한 방법으로 영상 제작한 이해자료는 스마트 폰을 통해 시청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에 영향 받지 않고, 요구에 따라 반복적으로 학습이 가능하다. 활동안내는 매주 금요일에 SNS(***밴드, ***톡)를 통해 아버지들에게 전달되었고, 활동이 이루어진 후 아버지들은 SNS를 통해 사진 및 영상자료와 소감문을 SNS에 공유하였다.

    5) 평가

    본 프로그램 평가는 아버지 보고로 평가되었으며, 활동과정과 유아 및 아버지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의 활동평가는 실행과정에서의 마무리 단계인 공감하기, 개별소통체계, 사후 설문을 통해 평 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감하기 단계에서의 평가는 프로그램 매 회기의 마무리 단계에서 아 버지와 유아가 소감 및 감정을 나누며 이루어진다. 아버지와 유아가 서로 즐거웠던 점, 어려웠던 점, 변 화된 점 등에 대하여 이야기 나누며 자연스럽게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SNS를 통해 보고되는 게시글을 통하여 활동사진 및 영상과 소감을 기록하고, 연구자는 이를 면 밀히 살펴보고 다음 활동에 반영될 수 있도록 조언과 격려의 게시글로 소통하였다.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경기도 H시에 소재한 국공립어린이집, S시에 소재한 국공립어린이집, O시에 소재한 국공 립어린이집, A시에 소재한 민간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세 유아와 아버지(실험집단 27명, 비교집단 27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가 소속된 대학 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 IRB)의 심의를 받았다. 연구윤리를 고려해 연구에 참여한 보호자에게 프로그램의 목 적, 내용, 일정, 수집된 자료의 활용, 개인정보의 제공 및 보호에 대하여 설명한 후 유아와 보호자로부 터 연구 참여 동의를 구한 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16회기를 실 시하였으며, 연구가 종료되는 시점에 연구 윤리를 위하여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동일 프로그램을 실시 하였다.

    2. 연구도구

    1)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Kendall과 Wilcox(1979)의 자기조절능력 척도(Self- Control Ration Scale)를 백진희(2019)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하위척도를 살펴보면 자기 통제 력(10문항)에는 ‘흥분하거나 약 이 올랐을 때 스스로 진정할 수 있습니까?’, ‘질문을 하고 답변을 기다릴 수 있습니까?’ 등이, 충동성 억제(13문항)에는 ‘꾸중을 받을 때, 아이가 부적절 하게 말대꾸를 합니 까?’, ‘어떤 일을 잘 시작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입니까?’ 등이, 주의집중력(10문항)에는 ‘놀이를 하거나 해야 할 일을 해야 할 때 쉽 게 주의가 산만해집니까?’, ‘기본적인 규칙을 어기는 편입니까?’ 등이 포함 된다. 각 문항은 Liker식 5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아버지 보고로 측정되었으며, 하위요인 별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통제력이 .88, 충동성 억제가 .85, 그리고 주의집중력이 .79로 나타났다.

    2) 아버지의 놀이성

    아버지의 놀이성은 박현숙의 성인용 놀이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는 Glynn과 Lam(1992)가 제작한 성인용 놀이성 척도(The Adult Playfulness Scale)를 박현숙(2003)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 다. 하위 척도를 살펴보면, 쾌활성(10문항)에는 활기 있으며, 활발하고, 개방적인 성향 등이, 상상력(3 문항)에는 정서적이며, 상상하기를 좋아하는 성향 등이, 즉흥성(6문항)에는 표현적이며, 즉흥적인 성향 등이, 기발성(3문항)에는 모험적이며 창의적인 성향 등이 포함된다. 각 문항은 22개의 형용사가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형용사 중 자신과 더 가깝다고 생각하는 곳에 응답하도록 되어 있는 7점 의미변별 척도를 사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아버지의 놀이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위요인 별 신뢰도 계 수 Cronbach’s α는 쾌활성이 .94, 상상력이 .74, 즉흥성이 .80, 그리고 기발성이 .82 수준이었다.

    3)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Gibaud-Wallston과 Wandersman(1978)이 개발한 부모의 양육효능감(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을 신숙재(1997)가 번안·수정하고 이민주(2016)가 아버지를 대상으로 조사하 기에 적절하도록 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하위 척도를 살펴보면 부모로서의 효능감(9문항) 문항 에는 ‘나는 아이 와의 관계에서 생기는 문제를 잘 다룬다.’, ‘나는 아이를 돌보는 데 있어 유능하다고 생 각한다.’ 등이,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4문항) 문항에는 ‘나는 좋은 부모가 될 수 없을 것 같아 걱정 이다.’, ‘부모로서 나는 긴장하고 있으며 불안하다.’ 등이 포함된다. 각 문항은 Likert식 5점 척도로 측 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하위요인 별 신 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부모로서의 효능감이 .92,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이 .71 수준이었다.

    3. 연구 절차

    본 연구는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으로 주 2회 총 16회기로 구성하여 8주간 진행하 였으며, 가정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아버지와 자녀는 제공된 프로그램 을 실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아버지와 유아들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는 아버지와 유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으 로 분석하였다. 문항 간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집단 간 동질 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 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1. 동질성 검증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효능감의 사전점수 평균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동질한지를 살펴보았다.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통 제력(t=-1.02, p<.05), 충동성억제(t=-1.33, p<.05), 주의집중력(t=-1.44, p<.05)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버지의 놀이성의 하위요인으로 쾌활성(t=-.27, p<.05), 상상력 (t=-.51, p<.05), 즉흥성(t=.10, p<.05), 기발성(t=-.58, p<.05)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으로 부모효능감(t=-1.94, p<.05), 부모로서의 좌절감 과 불안(t=-1.53, p<.05)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실험집단과 비교집 단은 동질적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Table 2>.

    2. 효과 검증

    1)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 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3>와 같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t=-1.97, p<.1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 통제력(t=-1.73, p<.10), 충동성 억제(t=-1.78, p<.10)에서 실험집단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에 참여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증가하였음을 나타낸다<Table 3>.

    2) 아버지의 놀이성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 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4> 와 같다. 아버지 놀이성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t=-2.89,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성의 하위요인인 쾌활성(t=-2.61, p<.01), 상상력 (t=-2.26, p<.05), 즉흥성(t=-2.26, p<.01)에서도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에 참여한 아버지의 놀이성이 증가되었음을 나타낸다<Table 4>.

    3)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 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5>과 같다. 아버지 양육효능감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t=-3.19,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부모 효능감(t=-3.29, p<.01), 부모로서의 좌절감과 불안(t=-.45, p>.05)에서도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에 참여한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이 증가되었음을 나타낸다<Table 5>.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아버지의 놀이성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자기조절능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집단의 자기조절능력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능 력의 하위요인 중에서 자기통제능력과 충동성 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주의 집중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신의 신체능력을 긍정 적으로 인식하고 융통성 있게 표현하고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고 인내하게 되며, 조작성 운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한 맥락이며(박정심, 2017;백진희, 2019;이현지, 2011;안경숙, 신애선, 2016;윤소연, 김민진, 2020;이배, 김경숙, 2013;이정애, 2020;이현지, 2011;정소봉, 고경국, 2011), 신체활동 경험이 유아의 충동성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 다는 연구결과와 같다(조순희, 2013). 다만, 신체활동이 주의집중력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이수진, 2012). 신체활동 을 통한 주의집중력 발달은 신체활동 과정에서 협동하고, 의견을 나누며, 함께 과제를 해결하며 발달한 다(이수진, 2012;이정애, 2010).아버지와 유아는 신체활동 과제를 수행하는 초기 과정에서 익숙하지 않은 활동과제를 수행하며, 대부분 제시된 활동 계획안의 내용에 따라 그대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활동 방법과 규칙 등 서로의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부족했고, 이는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 주의집중력 발달에 미비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아버지 보고서를 보면, 회기가 진행될수록 유아들 이 아버지와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창의적이고 주도적인 활동과정을 이끌어 냈음이 확인된다. 따 라서 장기적인 효과로 보았을 때 이러한 과정이 유아의 주의집중력 발달에 충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 을 것이라 생각된다.

    자기통제력 향상과 충동성 억제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이유는 유아들은 아버지와 도입 단계에서 규칙을 스스로 만들고, 지키며, 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자신의 신체를 조절하여 기술을 수행할 수 있 었다. 마무리 평가단계에서 아버지와 함께 활동과정에서의 경험과 감정을 공유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를 통제하고, 충동성을 억제함으로써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였다. 아버지와의 친밀감과 관계가 향상됨으로써 아버지에게 정서적, 신체적으로 의지하고 신뢰하며 난이도 있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내하고 도전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능력이 향상되었 을 것이라 사료된다.

    유아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 중 주의집중력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향상되었으나,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아버지가 평가하는 자녀의 주의집중력은 많은 향상을 이루었다고 보고하였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작성된 아버지들의 소감문에는 유아들이 초기 놀이 과정에서는 놀이가 수시로 중단되거나 조기에 종료되는 등 집중하지 못하고 산만한 모습을 많이 보였 으나, 회기가 진행될수록 유아들의 주의집중력을 이끌어 내기에 충분한 활동상황이 나타나기 시작했 고, 유아들이 활동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유아의 주의집 중력 향상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고, 천천히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둘째, 아버지와 유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놀이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놀이성 하위요인 중 쾌활성, 상상력, 즉흥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지만, 기 발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이 교사의 놀이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우숙정, 2021;이정희, 2021), 아버지의 양육행동 을 통한 유아와의 창의적 행동특성은 아버지의 놀이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한 맥락이다(정미라 외, 2017). 아버지와 유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내용요소인 창의적 활동참여 와 유머 있는 상호작용을 통해 활동을 확장하고 다양한 놀이기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확산적 사고를 원활하게 발휘해 봄으로써 상상력, 즉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안내되는 놀 이계획안과 영상자료를 통해 아버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유머는 활동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아버지가 자녀와의 긍정적이고 유머 있는 상호작용으로 연결되었으며, 쾌활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아버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아버지의 놀이성을 향상시켰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다(오정미, 2014;조윤희, 2016). 반면, 기발성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 사에서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아버지의 활동평가 자료 와 함께 보면, 아버지들은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기발성을 충분히 발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프로 그램은 16회기 단기간의 프로그램으로써 아버지의 기발성 발달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프로그램 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완성된 아버지의 기발성을 이끌어 내기에는 부족함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활동평가 자료에서 나타난 아버지의 기발성을 발휘하는 모습이 일상생활에서 지속 된다면, 장 기적인 발달을 이루어 낼 것이다.

    셋째, 유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양육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부모효능감과 부모 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비교집 단의 양육효능감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발달지체 아동과 아버지를 대 상으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며(조광현, 2020), SNS를 활용한 아버지 역할증진 프로그램이 아버지 역할만족도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연구 결과(이지연, 2019), 유아와 아버지를 대상으로 진행한 숲체험 활동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한 맥락이다(김영란, 2015). 아버지는 유아와 함께 신체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놀이참여에 대한 양육기술과 자신감이 생기고 부모 역할에 대한 만족감이 향상 되며, 부모 역할에 대한 만족감은 아버지의 좌절과 불안을 해소하고, 높은 부모효능감으로 연결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아버지가 자녀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상 호작용할 때, 자신감이 생기고 부모 역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한 맥락이 다(이은실, 최혜영, 2009).

    아버지-유아를 위한 신체활동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아버지의 성향, 성격, 양육기술 등을 의미하는 아버지의 놀이성 향상에 대해 효과검증 하였다. 최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놀이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이를 통한 프로그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박신영, 2012;방은경, 2011;이숙화 외, 2010;이지연, 2019;이진호, 2016;조광현, 2020).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유아발달과 아버지의 양육자로 서의 역할에 대해서만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아버지의 양육효 능감과 더불어 개인의 성향 및 성격을 의미하는 아버지의 놀이성을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유아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유아와 아버지의 질적인 상호작용을 통 해 양육기술의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냈다. 아버지들은 자녀와의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탐색 적으로 놀이를 이끌어가며(Blakemore, Berenbaum & Liben, 2013), 자녀들과의 신체활동 통해 어 머니가 채워줄 수 없는 부분에 대한 역할을 함으로써, 아버지 신체활동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는 앞으로 아버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구에서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과 자녀와의 신체활동참여에 관련된 다양한 접근들이 시도되리라 생각된다.

    셋째, 최근 코로나-19 감염증과 미세먼지 악화 등 환경의 변화와 위협으로 유아의 실외활동을 통한 신체활동이 위축되어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과 SNS를 활용한 비대면 프로그램으로 운영된 신체활동 프 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신체활동의 공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는 최근 아버지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 조사에서 84%의 아버지가 ‘시간이 없어서 아버지교육에 참여하지 못 한다’고 응 답하였으며, 프로그램 운영 방법에서 ‘SNS를 활용한 아버지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 로 보고된 선행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한다(정숙향, 정희정, 2020).

    결론적으로 바쁜 사회생활로 자녀와의 놀이에 참여하는 시간이 부족한 아버지들의 상황과 환경적 위 협의 장기화로 외부활동이 제한되어 있는 시점에서 가정 내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프로그램의 종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아버지와 유아의 신체활동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고 생각된다.

    본 연구가 지닌 제한점을 통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진행 기간이 주 2회 16회기로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은 프 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도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신체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장기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둘째, 자기조절능력을 측 정하는데 있어서 유의수준을 90%로 판단하였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아버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한다는 선행연구들을 보았을 때(이배, 김경숙, 2013;이현지, 2011;백진희, 2019), 유아의 자기 조절능력은 아버지의 놀이성과 양육효능감이 발달된 후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날 것으로 예상 된다. 즉, 실험의 결과가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시간이 경과 한 후 추후검사가 필요하 다. 셋째, 본 연구에서 주 2회 16회기 프로그램이 제공되었으며, 사진과 영상, 소감 등을 통해 실행 여 부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연구자 없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가정환경에 따른 놀이 진행시 간, 반복 횟수, 구체적인 활동내용 등을 통제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활동노트, 놀이일지 등 개별적인 활동수준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Figures

    Tables

    The conten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father-child

    Validate homogeneity for pre-score (N=54)

    Comparison of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N=54)

    Comparison of father's playfulness before and after scores (N=54)

    Comparison of Parenting Efficacy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Fathers (N=54)

    References

    1. 고정리 (2014). 음악 감상을 통한 동작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 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14(11), 173-198.
    2. 권기현 (2019).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정연계 활동참여가 양육효능감, 양육태도 및 배우자의 양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순임, 구수연 (2014). 스마트폰을 활용한 영아기 아버지교육이 아버지 부모효능감 및 양육태도에 미치 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4), 519-545.
    4. 권오진, 탁경운 (2012). 하루 10분 생활놀이(3-10세). 서울: 경향BP.
    5. 김동심, 이명희 (2019). 고등교육 교수자의 온라인교육 인식: A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 회지, 19(13), 848-870.
    6. 김미경 (2016). 아버지-자녀 상호작용 놀이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7. 김미경, 김현주 (2016). 아버지-자녀 상호작용 놀이 프로그램이 아버지-자녀 상호작용 및 아동의 공격 성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20(3), 73-91.
    8. 김승언 (2018). 아이의 모든 것은 몸에서 시작된다. 서울: 카시오페아.
    9. 김시은 (2018). 가정환경자극과 아버지놀이참여가 취학 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 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아름, 이윤진, 임준범 (2016). 아버지 양육참여 실태 및 역량 강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11. 김연수, 전용관, 오정우 (2018). 아동·청소년 신체활동 정책 평가 및 활성화 방안. 서울: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12. 김영란 (2015). 아버지-유아의 숲 체험활동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은심 (2016). 유아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14. 김은화, 길준민, 송의성 (2010). 초등학교 교사의 사이버가정학습 시스템 활용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지, 8(2), 15-169.
    15. 김진혜 (2009). 아버지의 놀이참여 및 놀이성과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6. 김찬숙, 최혜순 (2011). 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 구, 16(3), 117-133.
    17. 박신영 (2012). 가정과 연계한 아버지 놀이참여 활동이 놀이신념 및 영아-아버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 향.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은희, 정정희, 최효정 (2011).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과 자기조절능 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235-558.
    19. 박정심 (2017).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현숙 (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과 부모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방은경 (2011). 가정연계 유아 기초체력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2. 배은정 (2021).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유아의 일상생활 변화와 어머니의 코로나19에 대한 걱정이 양 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백진희 (2019).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참여정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 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신리행, 이정애, 김영옥 (2015). 움직임 요소에 기초한 신체활동게임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자기조 절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289-316.
    25. 신숙재, 정문자 (1998).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27-42.
    26. 안경숙, 신애선 (2016).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 자기조절력, 창의성 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지, 20(4), 655-684.
    27. 오정미 (2014).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및 놀이성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우숙정 (2021).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 효능감 및 교수몰입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유조안, 이봉주, 유민상, 오수미, 김푸른솔 (2021). 코로나19 팬데믹과 아동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서울: 세이브더칠드런.
    30. 윤소연 (2018). 신체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31. 윤소연, 김민진 (2020). 신체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1(2), 253-279.
    32. 이민주 (2016). 아버지의 부모효능감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의 양육스트레 스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배, 김경숙 (2013). 아버지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아동교육, 22(3), 191-206.
    34. 이상민 (2020). 예비 초등교사 대상 온라인 미술교육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31(2), 181-204.
    35. 이상호 (2020). 대기오염 노출과 건강위험 평가에 따른 신체활동 접근 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이서연 (2018).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영아기 아버지교육이 양육참여도 및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순 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성숙 (2013).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공격성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수진 (2012).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수진, 서현아, 한희정 (2013).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1), 81-101.
    40. 이숙화, 황성하, 남미경 (2010). 보육시설과 가정의 연계를 통한 감각활동이 영아의 신체발달과 영아- 부모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3), 103-125.
    41. 이승은 (2016). 어머니의 양육태도, 아버지 양육참여 및 유아의 공격성과 관계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은실, 최혜영 (2008).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 및 배우자의 지지와 부모역할 만족도. 아동학회지, 2008(6), 133-133.
    43. 이정애 (2010). 협동적 편 게임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정애 (2020). 도구를 활용한 신체게임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 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20(8), 581-600.
    45. 이정희 (2021). 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교수 효능감, 교수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 계.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이지연 (2019).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역할 만족도,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행동,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이진호 (2016). 가정과 연계한 기초체력 증진 신체활동이 유아의 체력과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현지 (2011).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49. 이혜민, 한유진 (2019)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간 관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7(3), 143-153.
    50. 장여옥 (2016). 아버지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 지원학회지, 12(2), 167-182.
    51. 전인옥, 이현균 (2018).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 파주: 양서원.
    52. 정미라, 이방실, 강수경 (2017).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 육행동과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7(5), 413-434.
    53. 정소봉, 고경국 (2011). 유아의 운동능력이 자기점검 및 자기통제 능력에 미치는 행복감.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정숙향, 정희정 (2020). SNS 기반 영아기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한국보육학 회지, 20(2), 65-85.
    55. 조광현 (2020). 가정에서의 SNS를 활용한 아버지 참여 신체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 아버지의 양 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조광현, 이병인, 배성현 (2020). SNS를 활용한 아버지 참여 신체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 아버지 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지, 20(4), 107-134
    57. 조숙인, 권미경, 이민경 (2017). 아동의 놀 권리 강화를 위한 지역사회 환경 조성 방안. 서울: 육아정책 연구소.
    58. 조순희 (2013).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9. 조윤희 (2016).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과 놀이참여도와의 관계. 한국육아지원학회지, 2016(4), 168-171.
    60. 조준휴, 장기도 (2019). 아빠 놀이 백과사전. 서울: 길벗.
    61. 주보라, 김은심, 유지안 (2015). 바깥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 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33(4), 123-142.
    62.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전체 국가 발생 현황. http://ncov.mohw.go.kr (검색일: 2020. 6. 1.)
    63. 진성철 (2013). 가정연계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체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 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최원호, 전영국 (2020).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 중심으로. 현장 수업연구, 1(2), 1-28.
    65. 최윤경 (2020). 코로나19와 아동 돌봄의 쟁점. 젠더리뷰, 57, 63-69.
    66. 최재영 (2019). 바깥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및 실행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행복감. 신라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프렌디리서치 (2010). EQ 계발 창의력 쑥쑥 99가지 아빠놀이. 서울: 아름다운사람들.
    68. 한국건강증진재단 (2012). WHO신체활동권장지침. 건강증진총서 제3호.
    69. 한국환경공단 (2018). 대기질 및 대기오염 환경관리.
    70. 한미옥 (2000). 어머니 및 교사의 관찰에 의한 유아의 공격성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지, 12(4), 47-68.
    71. 홍미라 (2013).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상담복지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 황보연 (2011). 도구를 활용한 협동적 신체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73. 황혜신, 윤명자 (2015). 아버지-자녀가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부모효능감, 아버지-자녀 상호 작용, 자녀 양성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94, 1-19.
    74. Blakemore, J. E. O. , Berenbaum, S. A. , & Liben, L. S. (2013). Gender development. N.Y.: Psychology Press.
    75. Chiarello, L. A. , Huntington, A. , & Bundy, A. (2006). A comparison of motor behaviors, interaction, and playfulness during mother-child and father-child play with children with motor delay.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26, 129-151.
    76. Gibaud-Wallston, J. , & Wandersman, L. P. (1978).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Canada.
    77. Glynn, M. A. , & Webster, J. (1992). The adult playfulness scale: An initial assessment. Psychological Report, 71, 83-103.
    78. Kendall, P. C. ,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79. Lamb, M. E. (2010). How do fathers influence children's development? Let me count the ways. In Lamb, M. E.(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5th ed., pp.1-26). Hoboken, NJ: Wiley.
    80. Landreth, G. (2002).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2nd ed). New York: Routledge.
    81. Landreth, G. (2002).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2nd ed). New York: Routledge.
    82. Ronald, R. P. , & Veneziano, R. A. (2001). The importance of father love: History and contemporary evidence. General Psychology, 5(4), 382-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