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7 No.4 pp.487-506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2.27.4.7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er Attachment through Ego-resiliency in the Influence of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Rae-Hyuck Lee, Jae-Kyoung Lee
Associate Professor, Dept. of Social Welfare,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Chungnam, 31538, Korea
Assistant Professor, Dept. of Family Environment and Welfare Studi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Gyeongbuk, 36729, Korea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Research Fund.


Corresponding Author: Jae-Kyoung Lee, Andong National University(E-mail: jkl@anu.ac.kr)

November 16, 2022 ; December 2, 2022 ; December 10, 2022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er attachment through ego-resiliency in the influence of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Methods:

417 out-of-school adolescents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were used to analyze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All analyses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PROCESS macro method.


Results:

First, the level of thoughts about the future was positive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level of thoughts about the future increased the level of ego-resiliency and, in turn, increase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peer attachment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y. That is, when the level of peer attachment increased, the influence of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ego-resiliency also increased.


Conclusion:

Based on the main results, diverse strategies to promote out-of-school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were discussed.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을 통한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 래혁, 이 재경

초록


    Ⅰ. 서 론

    학교 밖 청소년은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에 따라 초등학교·중학교 또는 이 와 동등한 과정을 교육하는 학교에 입학한 후 3개월 이상 결석하거나 취학의무를 유예한 청소년, 고등 학교 또는 이와 동등한 과정을 교육하는 학교에서 제적 ․ 퇴학처분을 받거나 자퇴한 청소년과 학교에 진 학하지 아니한 청소년을 일컫는다. 매년 5∼6만여 명의 청소년이 학업을 중단하고 있으며, 학교 밖 청 소년의 누적인구는 약 28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여성가족부, 2018). 청소년은 학교라는 공간에서 사 회화와 사회구성원이 되기 위해 필요한 학습을 하고, 인간관계의 형성과 유지를 통해 사회를 배워간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은 학교라는 제도적 안전망이 없이 교사와 친구 간의 상호작용이 제한된 사회환 경에서 학업중단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며 살아간다. 여성가족부(2018)의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에 따르면,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의 45.5%가 후회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 밖 청소년 은 학업중단 이후 게임중독, 은둔, 비행, 가출, 범죄 등과 연결되는 부정적 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유서구 외, 2012;조규필, 2014). 이러한 부정적 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 스스로 부정적 시각을 내면화하는 결과를 초래함과 동시에, 학교 밖 청소년이 학업중단 이후 생활 만족도가 낮아지는 결과가 야기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김지혜와 최현주(2020)는 학교 밖 청소년의 행복 추구권으로서 생 활 만족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학교 밖 청소년이 학교라는 제도적 안정망을 벗어났지만 그럼에도 불 구하고 이들의 기본권은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을 규명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에 주목하고자 한다. 미래에 대한 생각은 자 신의 미래에 대한 목표를 정하고 계획하여 결정하는 것에 영향을 주는 사고이다(Davis, 2013). 미래에 대한 생각은 청소년의 발달과 성장을 위한 내적자원으로 보고되고 있는데(Johnson et al., 2014), 학 교 밖 청소년이 경험한 사회환경적 제약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보호요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선 행연구에서 미래에 대한 생각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연구는 부재하나 이래혁(2022)에 따르면,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을 낮춘다는 결과를 확인한 바 있어 미래에 대한 생각은 학교 밖 청소 년의 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나아가 건강한 성장과 발달과 긍정적 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한편,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미래에 대한 생각이 어떠한 경로로 전달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자아 탄력성은 다양한 상황에서 역경에 대한 적응하는 능력이다(Cui et al., 2020). 청소년에게 자아탄력성 은 성장과정에서의 적응능력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자아탄력성은 학교를 벗어나 새로운 생활환경에 적응하는 과업을 완수함에 있어 필요한 자질과 능력, 역량이 됨을 알 수 있다. 자아 탄력성은 미래에 대한 생각과 상호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hampirat, 2020). 즉, 미래에 대한 생각이 자아탄력성이라는 적응능력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 구에 따르면, 미래에 대한 생각이 자아탄력성과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래혁, 2022). 또한,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 자아탄력성은 생활 만족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 한다. 이를 검증한 연구는 없지만, 박상현(2019)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수준과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하였고, 비록 삶의 만족이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대한 연구설정 이지만, 이를 통해 미래에 대한 생각이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생활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에 있어 또래애착에 주목하고자 한다. 또래애착은 또래관계에서 서로에 대한 신뢰감과 공감할 수 있는 정서적 유대감을 의미한다(이수하, 2005). 청소년에게 또래관계는 중요한 사회적 지지체계로 사회적 자원을 의미한다(김지혜, 최현주, 2020). 청소년기의 또래관계는 학교라는 환경을 통해 이루어 지며, 청소년은 또래관계에서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에 참여하고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해 나간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은 학교를 벗어나 제한된 또래관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 고, 이에 또래애착은 학교 밖 청소년의 주요한 사회적 자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관련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또래애착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자아탄력성과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를 밝히고 있다. 이래 혁(2022)은 자아탄력성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문숙자와 이윤정(2021)은 또래애착 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바 있다. 이들 연구를 통해 또래애착은 사회적 자원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내적자원의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더 욱이, 학교 밖 청소년이 학교를 벗어나 사회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강조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또래 애착은 자아탄력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며 동시에 미래에 대한 생각이 자아탄력성을 통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질 것으로 가정해볼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미래에 대한 생각의 영향 및 이러한 영향의 다양한 경로를 하나의 통합된 모형 안에서 검증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 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은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탄력성이 매개하는가?

    •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과 생활 만족도

    학교 밖 청소년은 학업, 근로, 은둔, 비행 등 다양한 이유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이다(이래혁, 이재 경, 2021). 학업중단은 학교 내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부정적 상황을 최소화하는 선택일 수 있으나, 학 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주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보편적 성장과 발달과정으로 일컬어 지는 학교제도 내에서 벗어나 사회적 선입견과 편견, 낙인을 경험하고(문숙자, 이윤정, 2021;윤철경 외, 2018), 학교 친구들과의 단절과 이로 인한 심리적 위축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심현아, 2020). 즉, 학업중단은 그동안 대부분 학교 청소년이 경험하는 구조화된 일상생활의 변화만 의미하는 것이 아닌 개인적 ․ 사회적 삶의 급격한 변화를 의미하고, 특히, 학력이 중시되는 우리사회에서 다양한 사회적 지원으로부터 소외를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학업중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움 과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적절한 자원과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청소년기는 진로와 삶의 방향을 준비하거나 결정하는 시기이다. 이에 학교 내 제도권 교육과정은 진 로와 진학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청소년은 부모, 교사, 또래집단과 상호 작용을 하며 발달이 이루어진다(김지혜, 최현주, 2020).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은 이러한 체계적 지원 을 받지 못한 채 성년기를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김지혜, 2008). 이에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원의 부 재가 삶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나아가 이들이 자신의 진로와 삶의 방향을 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요인을 파악한다면 학교 밖 청소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이 진로를 준비하고 결정하는 것은 자신의 미래의 삶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진 로준비와 결정은 자신의 미래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하고 결정하는 것에 영향을 주는 사고, 미래 에 대한 생각을 통해 이루어진다(Davis, 2013). 미래에 대한 생각은 미래에 발생할 어떤 일에 대한 믿 음, 기대, 계획, 염려 등을 의미하기도 하는데(McWhirter & McWhirter, 2008;Michael et al., 2015;Oettingen & Mayer, 2002),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은 청소년의 발달과 성장을 위한 내적자 원이 된다(Johnson et al., 2014;Skinner et al., 2022). 이에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은 이들이 경험하는 사회환경적 제약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내적자원으로 건강하고 건전한 성 인으로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전략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미래에 대한 생각은 현재의 결정을 위한 동기이다. 목표가 되는 미래에 긍정적 기대를 갖는 경우 목 표와 현재의 거리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이는 즉각적인 즐거움이 아닌 더 가치 있는 미래를 위해 지 속적 노력을 감내하는 힘이다(Du & Lyu, 2020;Scheier & Carveer, 1992). 청소년에게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은 내적자원의 형성을 촉진하고, 목표 달성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마주하는 역경에 더 잘 대 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Cui et al., 2020;Davis, 2013;Scheier & Caver, 1992). 다시 말해, 학교 밖 청소년에게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은 사회적 지원에서 소외되는 불편한 현실을 극복하고 삶 에 긍정적 의미와 생활에 만족도를 부여할 수 있는 내적자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활 만족도는 학교 밖 청소년에게 중요한 삶의 질 요소이다. 생활 만족도는 개인이 일상에서 느끼는 전체적인 만족감으로 주관적 안녕감, 주관적 행복감을 평가하는 지표이다(김승진 외, 2016;김지혜, 최현주, 2020;Suldo & Huebner, 2004). 학교 밖 청소년은 학교 제도권 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 이 들에 대한 지원이 여전히 녹록치 않은 상황이기에 생활 만족도는 이들의 삶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중 요한 지표로 이해할 수 있다. 김지혜와 최현주(2020)는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추구해야 할 행복권으로서 생활 만족도를 의미하며, 하지만 현 실은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 목표로서 진로와 생활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음을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는 부재하지만 유사 한 연구들이 있다. 곽수란(2018)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래 목표의식이 초기 성인의 개인 역량 및 행복 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행복감을 삶의 만족, 생활만족, 주관적 안녕감 등으로 조작화하여 목표의식과의 관계를 검증하였고, 연구결과 남학생의 경우 목표의식이 행복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여학생의 경우 부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다만, 개인역량을 매개한 경우 행복 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미래에 대한 생각이 생활 만족도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다른 내적 요인을 매개할 때 유의미한 영향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와 달리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로장애와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들도 있다. 이 연구 들은 진로관련 수행 과정을 방해하는 개인 내적 및 환경적 요인으로 진로장애에 대한 인식이 생활 만족 도를 떨어트린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김지혜, 최현주, 2020;문화진, 2019).

    정리하면 미래에 대한 목표의식과 생활 만족도, 진로장애와 생활 만족도에 대한 연구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불명확한 예측을 내놓는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학교 밖 청소년의 내적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2.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학교 밖 청소년은 자신과 인접한 환경체계인 학교 친구들과의 단절로 혼자라는 불안을 경험하고, 새 로운 생활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으로 심리적 위축과 낮은 자아존중감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심현아, 2020). 청소년 개인에게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익숙했던 환경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환경 체계와 상호작용해야 하는 과업이 주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은 다양한 삶의 과제 및 역경 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데, 이를 자아탄력성(Ego-resiliency)라고 한다. 자아탄력성은 성장 과정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다양한 역경에 대해 심리적 또는 행동적으로 적응하는 능력이다(Cui et al., 2020). 권보영 등(2021)은 발달을 저해하는 상황을 이겨낼 수 있는 적응능력으로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자아탄력성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는 자아탄력성을 학교 밖 청소년이 마주한 현실에서의 어려움을 주도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능력으로 이해한 것이다. 자아탄력성은 미래에 생각과 긍정적 상호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Cui et al., 2020;Davis, 2013;Fusco et al., 2019;Khampirat, 2020), 이를 통해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 자아탄력성은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 각, 생활 만족도과 긍정적 상호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이러한 가정을 유추함에 있어 관련성이 있는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이래혁(2022)은 학교 밖 청소년 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수준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 수준이 증가하며 게임 중독 수준을 낮추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김주환 등(2006)은 청소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게임중독과 생활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바 있는데, 이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이 일정부분 타당성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유사연구로 박상현(2019)은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삶의 만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결과를 확인하고 있고(김혜진, 서 경현, 2016;조성희, 박소영, 2015), 이는 자아탄련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선행연 구와 인과관계를 달리 적용한 연구결과로 자아탄력성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검증해볼 필요성을 보여 준다. 즉,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그리고 자아탄력 성과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은 이론적으로 검증이 필요한 연구문제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를 확인하고자 한다.

    3. 자아탄력성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 시기의 사회적 자원은 중요하다. 사회적 자원은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사회화에 필요한 사회 적 규범과 규율을 학습하고, 사회적 공동체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역량, 능력, 자질을 개발함으로써 성 장과 발달에 필요한 요소를 의미한다. 이에 사회적 자원은 청소년에게 있어 위험환경으로부터 보호와 필요한 서비스의 제공, 사회에 참여하는 기본적 권리를 보장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사회적 자원으로 서 지지체계를 갖는 것은 청소년복지에 있어 필수불가결하다. 부모와 친구는 청소년에게 중요한 사회 적 지지체계이다. 특히 청소년기는 부모로부터 독립을 준비하고 스스로 만들어가는 시기로 또래관계가 시작되는데, 이때 또래애착은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강조된다(김지혜, 최현주, 2020). 또래애 착은 또래관계의 양적 수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또래관계에서 서로에 대한 신뢰감과 공감할 수 있는 정서적 유대감을 의미하며(이수하, 2005), 학교라는 공동체 내에서 구성원간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을 통해 획득되는 것이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은 학업중단을 통해 학교 공동체 밖에 놓이게 됨으로 써 이러한 또래관계의 현저한 축소와 단절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학교를 벗어나 교사와의 관 계가 단절되는 상황에서 부모와 갈등을 경험하는 경우, 또래관계에서 마저 어려움을 겪게 된다면 학교 밖 청소년은 적절한 사회적 지원체계가 부재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 또래애착 은 관계의 질적 수준을 의미하며 또래관계가 제한된 관계망 속에서 중요한 사회적 자원이 될 수 있을 것 이다(김지혜, 최현주, 2020).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 자아탄력성은 적응능력으로 또래애착과 관련이 있다. 자아탄력성은 자율적 인 태도와 행동을 가진다는 점에서 개인의 성격발달과 행동에 대한 자기조절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내면화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Deci & Ryan, 1985). 자기결정성 이론은 관계성 요인을 포함하고 있는데, 관계성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단단한 관계를 추구하고 발전시키는 것으로 타인과 함께하는 인식을 통해 내재적 동기를 강화 한다(김주환 등, 2006;Standage et al., 2003). 즉, 이러한 관계성은 또래애착과 많은 유사성을 가지 고 있다고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아탄력성이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가정해볼 수 있다.

    또한, 선행연구들은 자기결정성 이론을 토대로 관계성이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 시하고 있다(김주환 등, 2006;안지혜 외, 2016;하영명, 정소희, 2018). 문숙자와 이윤정(2021)은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또래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 한 바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또래애착과 생활만족도가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고 있어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또래애착이 매개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문헌고찰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 자아탄력성이 또래애착 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고, 자아탄력성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 과, 그리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자아탄력성을 통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를 가정해볼 수 있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Figure 1]은 본 연구의 개념적 연구 모형을 보여준다. 앞선 고찰을 기반으로 본 모형은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한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은 생활 만족도를 증가 시킬 것이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에 미래에 대한 생각이 미치는 영향은 자아탄력성에 의해 매개될 것이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긍정적인 미래에 대한 인식이 이들의 자아탄력성을 통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은 또래애착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2. 분석 자료 및 대상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이하 학청 패널)로부터 추출한 분석 표본을 대상으로 2차 자료 분석 을 수행하였다. 학청 패널은 전국에서 표집된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4년부터 5 년 간 다양한 발달 특성과 학업중단 관련 특성을 추적하였다는 점(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에서 본 연구에 적합한 자료이다.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생활 만족도는 학청 패널의 2차 년도부터 조사되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본의 소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2차 년도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2차 년도 조사 에는 총 599명의 패널이 참여했는데,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조사를 진행할 당시에 학업을 중단한 상태 에 있었던 경우만 선별하여 454명을 선정했다. 또한 주요 변수들에서 정보가 누락된 소수의 사례(미래 에 대한 생각 33명, 또래애착 4명)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41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3. 변수 측정

    1) 생활 만족도

    학청 패널에 포함된 3개 문항으로 생활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해당 문항은 김신영 등(2006)이 개발 하고, 이종원 등(2013)에 의해 수정 및 보완되었다. 삶의 즐거움의 정도,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정도, 걱정거리가 없는 정도의 문항에 응답 청소년은 1∼4점의 리커트 척도로 보고하였다. 3개 문항의 평균 점수(α=.793)를 활용하여 점수가 높으면 생활 만족도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2) 미래에 대한 생각

    전영실 등(2021)에서 활용된 문항을 보완하여 학청 패널의 조사에 미래에 대한 생각을 측정하는 3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대학 진학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정도, 앞으로의 삶이 희망적이라고 생각하는 정 도,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정도의 문항에 조사대상 청소년은 1∼4점의 리커트 척도로 응답 하였다. 3개 문항을 평균점수(α=.834)화 하여 점수가 높으면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수준이 높 음을 의미한다.

    3) 자아탄력성

    자아탄력성의 측정을 위해 학청 패널에서 5개 문항을 활용하였다. 해당 문항은 김지경 등(2010)에 서 사용된 것을 보완한 것이다. 응답 청소년은 놀란 상황을 빠르게 잘 극복하는 정도, 새로운 시도를 좋 아하는 정도, 호기심이 많은 정도 등을 포함하는 5개 문항에 1∼4점의 리커트 척도로 보고하였다. 분석 을 위해 평균점수화(α=.720) 하여 점수가 높으면 자아탄력성의 인식 수준이 높음을 가리킨다.

    4) 또래애착

    학청 패널에 포함된 3개 문항을 활용하여 또래애착을 측정하였다. 해당 문항은 이경상 등(2011)에 서 사용된 것으로 학청 패널에서 수정 및 보완되어 사용되었다. 친구들에 의해 잘 이해받는 정도, 친구 들에게 편히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정도, 친구들을 신뢰하는 정도의 문항에 응답 청소년은 1∼4점의 리 커트 척도로 보고하였다. 3개 문항의 평균점수(α=.873)를 활용하여 점수가 높으면 또래애착의 인식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5) 통제변수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를 다룬 선행연구(유여진, 황정하, 2022;이소희 외, 2015)를 기반으 로 성별(남자 1, 여자 0), 연령(연수), 건강상태(건강함 1, 건강하지 않음 0), 학업중단 기간(연수), 가 구 경제수준(1∼7점의 리커트 척도로 높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음)을 분석에서 통제변수로 포함하였다.

    4. 분석 방법

    먼저, 본 연구는 일련의 기술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통제변수 및 주요변수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 였다. 이어서 회귀분석을 통해 통제변수를 포함한 상태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 증하였다. 다음으로 PROCESS macro의 Model 4를 기반으로 2단계(1단계: 독립변수, 통제변수 → 매개변수; 2단계: 독립변수, 매개변수, 통제변수 → 종속변수) 회귀분석을 수행한 후 표본 5,000개의 붓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미도를 검증하였다(Hayes, 2022). 마지막으로 PROCESS macro 의 Model 14를 활용하여 2단계(1단계: 독립변수, 통제변수 → 매개변수; 2단계: 독립변수, 평균중심 화된 매개변수, 평균중심화된 조절변수, 매개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항, 통제변수 → 종속변수)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조절변수 수준에 따른 조건부 매개효과와 조건부 매개효과별 차이를 검증하는 조 절된 매개지수를 산출한 후 표본 5,000개의 붓스트래핑을 통해 조건부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지수의 유의미도를 검증하였다(Hayes, 2022).

    Ⅳ.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Table 1>은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보여준다. 학교 밖 청소년은 여자 169명(40.5%)보다 남자 가 248명(59.5%)으로 더 많았고, 건강상태는 절반 보다 훨씬 많은 317명(76%)이 좋지 않다고 응답했 다. 학교 밖 청소년의 연령은 15세에서 21세까지 분포했고, 평균 18.81세(SD=1.07)로 나타났다. 학업 을 중단한 기간은 1.33년에서 6.67년의 범주로 분포했고, 평균 2.30년(SD=.80)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가구 경제수준의 경우에는 1점에서 7점까지의 분포 중 평균 3.72점(SD=1.19)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2>에는 주요 변수의 특성이 제시되어 있다. 모든 주요 변수는 1점∼4점의 범주를 가지는데, 생활 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은 각각 평균 2.57점(SD=.62)과 평균 2.79점(SD=.50)으로 중간 수준에 가 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래에 대한 생각과 또래애착은 각각 평균 3.00점(SD=.63)과 평균 3.13 점(SD=.60)으로 중간 수준보다 상당히 높은 점수를 보였다. 상관관계의 경우 생활 만족도는 미래에 대 한 생각(r=.360, p<.001), 자아탄력성(r=.479, p<.001), 또래애착(r=.215, p<.001)과 정적 상관관 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미래에 대한 생각은 자아탄력성(r=.333, p<.001) 및 또래애착(r=.337,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마찬가지로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r=.317, p<.001)도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미래에 대한 생각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able 3>은 미래에 대하여 생각하는 수준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이다. 분석의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고(F=18.265, p<.001), 미래에 대하여 생각하는 수준(B=.312, p<.001)은 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미래에 대한 긍정적 인 생각의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3. 미래에 대한 생각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able 4>는 미래에 대하여 생각하는 수준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 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PROCESS macro Model 4의 1단계 분석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고 (F=10.640, p<.001), 미래에 대하여 생각하는 수준(B=.266, p<.001)은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Model 4의 2단계 분석 모형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고(F=29.101, p<.001), 미래에 대하여 생각하는 수준(B=.188, p<.001)과 자아탄력성(B=.463, p<.001)은 모두 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 을 미쳤다. 2단계 분석을 기반으로 직·간접 효과를 분석한 결과, 미래에 대한 생각이 생활만족도에 미 치는 직접적 영향은 .312(t=6.997, p<.001)였고, 자아탄력성을 통한 매개효과는 .124(bootstrap CI=.076∼.179)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즉,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의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 만족도의 수준이 높아지는 직접적 영향뿐만 아니라 학교 밖 청소년의 미 래에 대한 생각의 수준은 자아탄력성의 수준을 높여 생활 만족도의 수준을 높이기도 하는 부분매개효 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4. 자아탄력성을 통한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Table 5>는 미래에 대하여 생각하는 수준이 자아탄력성을 통해 생활 만족도에 이르는 매개효과에 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PROCESS macro Model 14의 1단계 분석은 Model 4의 1단계 분석 결과와 동일하다. Model 14의 2단계 분석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고(F=23.732, p<.001), 상호작용항(B=.197, p<.01)은 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상호작용항의 추가 투 입은 모형 적합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Figure 2]는 상호작용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가로축은 자아탄력성, 세로축은 생활 만족도, 좁은 점 선은 낮은 수준의 또래애착, 넓은 점선은 중간 수준의 또래애착, 실선은 높은 수준의 또래애착을 보여 준다. 그림에서와 같이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생활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해당 영 향의 기울기는 또래애착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점점 더 가파르게 변화하고 있다. 즉, 또래애착에 의한 강화 조절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ROCESS macro Model 14는 2단계 분석을 기반으로 조절변수에 따른 조건부 매개효과를 산출해 주는데, 그 결과가 <Table 6>에 제시되어 있다. 결과를 살펴보면, 학교 밖 청소년이 미래에 대해 인식 하는 수준이 자아탄력성을 통해 생활 만족도에 이르는 매개효과는 또래애착이 낮은 수준일 때 .089(bootstrap CI=.037∼.147), 중간 수준일 때 .120(bootstrap CI=.074∼.173), 높은 수준일 때 .152(bootstrap CI=.090∼.220)로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조건부 매개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Model 14는 조건부 매개효과와 더불어 조건부 매개효과 간에 차이가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가의 여부를 조절된 매개지수를 통해 검증해준다. <Table 6>을 보면, 조절된 매개지수는 .053(bootstrap CI=.002∼.11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즉, 자아탄력성을 통한 또래애착의 조 절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탄 력성의 매개효과와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은 생활 만족도를 증가시키는가에 대한 첫 번째 연구질문에 대해 연구결과,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의 수준이 높 아질수록 생활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장애와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검증한 김 지혜와 최현주(2020), 문화진(2019)의 연구를 지지한다. 또한, 미래목표의식이 삶의 만족 및 생활만족 과 같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남학생의 경우 유의미하지 않고, 여학생의 경우 부적관계에 있다 는 곽수란(2018)의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비록 이들 연구는 미래에 대한 생각과 생활 만 족도의 관계를 검증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상반되는 결과에 대해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미래 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본 연구는 진로와 삶의 방향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 미래의 목 표를 설정하고, 계획 및 결정함에 있어 중요한 내적자원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 밖 청소년은 사회적 지원이 녹록치 않다. 학업중단이라는 불편한 현실을 극복하고 삶에 긍정적 의미와 생활에 만족도를 부여할 수 있는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은 중요하다. 학교 밖 청소년이 자신 의 미래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해 갈 수 있도록 생각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중요 한 실천적 의미를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미래에 대한 생각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학교 밖 청소 년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한 국가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정책은 학교 밖 청 소년의 특성과 욕구를 파악하여 상담·교육·직업체험 및 취업지원 등을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사회구 성원으로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전국에 꿈드림센터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이들 기관을 중심으로 현 재 상황과 현실에서 청소년 자신이 선택하고 만들어갈 수 있는 미래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러한 목표를 실행할 수 있는 계획수립과 추진이 가능하도록 진로탐색 및 동기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탄력성에 의해 매개되는가에 대한 두 번째 연구질문에 대해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미래에 대한 긍 정적인 생각의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 만족도의 수준이 높아지고, 미래에 대한 생각의 수준은 자아탄력 성의 수준을 높여 생활만족도의 수준을 높이기도 하는 매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 는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단순히 생각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삶의 과제와 역경을 극복해 나아갈 수 있는 적응능력으로서 자아탄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선행연구를 지지한다(Cui et al., 2020;Davis, 2013;Fusco et al., 2019;Khampirat, 2020). 또한, 자아탄력성이 생활 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은 선행연구인 김혜진과 서경현(2016), 조성희와 박소영(2015)의 연구를 지지하며, 박상현(2019)이 종단연구를 통해 확인한 삶의 만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역방향 인과관 계를 구성하여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다만, 이들 선행연구는 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된 연구이 기에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이 생활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이론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이래혁(2022)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즉, 학교 밖 청소년에게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생활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성장과정에서의 심리적·행동적 적응능력이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의미를 가짐을 시사한다. 자아탄 력성은 청소년에게는 적응능력으로 이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성장과 발전, 발달이 가능한 부분으로 이 해할 수 있다. 즉, 학교를 중단한 현실에서 이들 청소년이 자신의 생활에 잘 적응하고, 나아가 자신의 미래와 꿈을 준비하고 실행해 갈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을 갖게 된다면 자립가능한 성인으로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게 될 것이다. 전국 220개의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는 꿈드림센터 (www.kream.or.kr)는 학교 밖 청소년의 꿈을 지원하기 위해 학업과 취업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학업동기 및 학습능력 지원, 검정고시 와 대학입시, 직업역량강화를 통한 취업 등 다양한 지원을 수행 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학교 밖 청소년에게 반드시 필요한 지원이긴 하나 이러한 과정과 프로 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참여동기를 부여하고 참여의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심리정서 적 준비과정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현재 프로그램 외에 학교 밖 청소년의 조기발견을 통해 이들 의 생활적응을 지원하고 삶의 목표를 설정하여 스스로 역경을 이겨나갈 수 있는 자아탄력성을 증진시 킬 수 있는 기본소양과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단계적 적용을 통한 성장과 발달지원 전략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긍정적인 미래에 대한 인식이 자아탄력성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미치 는 간접적 영향은 또래애착에 의해 조절되는가에 대한 세 번째 연구질문에 대해 미래에 대해 인식하는 수준이 생활 만족도에 이르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또래애착이 낮은 수준, 중간수준, 높 은 수준일 때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조건부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자 아탄력성을 통한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확인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자기결정성 이론에서 제시하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과 같은 요인들이 생 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한다(문숙자, 이윤정, 2021;안지혜 외, 2016;하영명, 정소희, 2018). 즉, 자아탄력성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또래애착은 매개효과를 가지며, 나 아가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 자아탄력성, 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은 생활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을 조절하고 매개하는 주요한 변인이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 미래에 대 한 긍정적 생각, 자아탄력성, 생활 만족도와 같은 개인수준의 내적자원과 적응에 있어 또래관계의 중요 성을 보여준다. 또래애착은 학업중단으로 사회적 지지체계가 축소되는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 학업 중단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는 또래친구와의 관계의 정도가 미래에 대한 생각이나 자아탄력성과 같은 내적자원의 활용과 생활적응에 있어 중요하게 기능함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에게 있어 또래애착이 중요한 사회적 자원이 됨을 보여준다. 즉, 제한된 관계망으로서 또래관계를 유지하고 지속하는 것, 이러한 또래관계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학 교 밖 청소년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또래관계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을 제안해볼 수 있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의 또래관계를 만들거나 유지 또는 관계 질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 접근은 사실 부재한 상황이다.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는 꿈드림 센터의 주요사업을 보더라도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응과 사회구성원으로 필요한 자질, 역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어, 이들을 둘러싼 생태체계로서 또래관계에 대한 접근은 멘토링 또는 이러한 프로그램 속에서 만나는 다른 학교 밖 청소년과의 관계형성이 전부이다. 이는 새로운 환경의 출 발과 적응이라는 점에서 유의미할 수 있으나 또래관계의 질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기존의 또래관 계를 유지하거나 회복할 수 있다면 학교 밖 청소년은 기존 생활과 삶을 일정부분 유지하며 새로운 환경 을 개척해나가는 과정에서 수월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새로운 또래관계의 형성을 지 원하는 접근과 함께 학교를 떠나기 전 맺었던 또래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교와 학교 밖의 통합된 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접근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와 연구결과를 통해 고려해볼 수 있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삶과 생활을 지원 하기 위한 제안을 제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함의가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스로 미래 삶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진로탐색과 체험활동의 중요성이 강 조되어야 하는 청소년의 삶을 청소년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를 갖 는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은 학교 청소년과 마찬가지로 모든 청소년의 삶의 과제인 사회에 대한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고 발전시켜야 하는 생애과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 가 있다. 다만, 학교라는 익숙했던 환경을 통해 적응능력을 서서히 발전시켜가는 학교 청소년과 달리 학교 밖 청소년은 좀 더 빨리 적응능력을 활용해야 하는 과업에 직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을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 에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이는 현재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시스템의 개선과 수정·보 완의 필요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표본의 한계가 있다. 학교 밖 청소년은 정확한 모집단이 추정되지 않는다. 즉, 모집단을 추정할 수 없음은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학교 밖 청소년의 특 성으로 일반화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은 다양한 원인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학 교를 떠난다. 이에 학교 밖 청소년을 단순히 취약하고 자원의 한계를 갖는 대상으로 일반화해서는 안 된다. 다만,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이 처할 수 있는 어려운 현실을 중심으로 이들을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접근을 모색하고자 하였다는 점을 강조한다.

    앞서 언급한 한계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생각과 생활 만 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이러한 관계를 검증하고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또래애 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모든 청소년은 보호받아야 하고, 필요한 복 지를 제공받아야 하며, 사회구성원으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 교 밖 청소년이 이러한 권리의 주체로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과 발달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고, 국가가 학교 밖 청소년이 긍정적으로 미래를 설계하고 꿈을 이뤄나갈 수 있는 사회를 구축함에 있어 모 든 실천가와 연구자들이 다양한 연구와 서비스개발, 정책과 제도마련에 노력해줄 것을 촉구한다.

    Figures

    KJFW-27-4-487_F1.gif

    Conceptual Model

    KJFW-27-4-487_F2.gif

    Moderation Effect of Peer Attachment

    Tabl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ample

    Characteristics of the Focal Variables

    The Influence of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er Attachment through Ego-resiliency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of Ego-resiliency by Peer Attachment

    References

    1. 곽수란 (2018). 청소년기 미래 목표의식이 초기 성인기 개인역량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 45(4), 5-34.
    2. 권보영, 김용운, 이후석 (2021).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진로장애와 사회적 낙인감에 대한 사회적 자 본의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8(4), 147-165.
    3. 김승진, 도현심, 이운경, 박보경 (2016).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이성관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아동학회지, 37(5), 83-100.
    4. 김신영, 임지연, 김상욱, 박승호, 유성렬, 최지영, 이가영 (2006). 청소년발달지표조사 Ⅰ: 결과 부분 측 정지표 검증.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5. 김주환, 이윤미, 김민규, 김은주 (2006). 온라인 게임 중독의 유형과 원인에 관한 연구: 자기결정성 이론 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5), 79-107.
    6. 김지경, 백혜정, 임희진, 이계오 (2010). 한국 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 2010 Ⅰ.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 구원.
    7. 김지혜 (2008).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질적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지혜, 최현주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 의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343-362.
    9. 김혜진, 서경현 (2016). 중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삶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역할. 청 소년학연구, 23(6), 297-316.
    10. 문숙자, 이윤정 (2021).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애착, 또래 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생활만족 도의 매개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5), 355-363.
    11. 문화진 (2019).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불안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일반 청소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3), 445-464.
    12. 박상현 (2019).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 청소년시설환경, 17(4), 145-151.
    13. 심현아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우울의 매개효 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 529-550.
    14. 안지혜, 윤유동, 임희석 (2016).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 데이터를 이용한 중학생 삶의 만족도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4(2), 197-208.
    15. 여성가족부 (2018). 2018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16. 유서구, 김응수, 김윤나, 서보람, 강현우 (2012). 가출팸 실태조사 및 정책과제 발굴 결과 보고서. 서울: 여성가족부.
    17. 유여진, 황정하 (2022).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공공정책연구, 39(1), 355-380.
    18. 윤철경, 최인재, 김승경, 김성은 (2018). 2018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19. 이경상, 백혜정, 이종원, 김지영 (2011). 한국 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 2010 Ⅱ.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 구원.
    20. 이래혁 (2022).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59, 129-152.
    21. 이래혁, 이재경 (2021).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 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9), 431-445.
    22. 이소희, 안명옥, 정은희, 이문수, 이연정 (2015). 학교 밖 청소년 건강증진 서비스 시범사업 운영 및 개선 방안. 서울: 여성가족부.
    23. 이수하 (2005).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4. 이종원, 황진구, 서정아, 한영근, 허효주, 이영화 (2013). 한국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 2010 Ⅳ.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전영실, 신동준, 박상희, 김일수 (201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피해 및 가해에 대한 연구. 서울: 한 국형사정책연구원.
    26. 조규필 (2014). 취약청소년 자립준비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청소년복지연구, 16(2), 273-310.
    27. 조성희, 박소영 (2015).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초기 청소년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 족치료, 23(4), 801-818.
    28. 하영명, 정소희 (2018).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부모양육행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 학회지, 13(3), 525-538.
    2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데이터 유저가 이드(1차-5 차).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Cui, Z. , Oshri, A. , Liu, S. , Smith, E. P. , & Kogan, S. M. (2020). Child maltreatment and resilience: The promotive and protective role of future orient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9, 2075-2089.
    31. Davis, B. A. (2013). Future expectations and resiliency among adolescents: The possible moderating role of future expectations. Unpublished mater's thesi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32. Deci, E. ,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Press.
    33. Du, G. , & Lyu, H. (2021). Future expectations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The role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Frontiers in Psychiatry, 12, 727106.
    34. Fusco, L. , Sica, L. S. , Boiano, A. , Esposito, S. , & Sestito, L. A. (2019). Future orientation, resilience and vocational identity in southern Italian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19(1), 63-83.
    35. Hayes, A. F. (2022).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perspective(3r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6. Johnson, S. R. L. , Blum, R. W. , & Cheng, T. L. (2014). Future orientation: A construct with implications for adolescent health and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t Medicine and Health, 26, 459-468.
    37. Khampirat, B.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education, self-esteem, resilience, future orientation, and career aspirations. Plos One, 15(12), e0243283.
    38. McWhirter, E. H. , & McWhirter, B. T. (2008). Adolescent future expectations of work, education, family and community. Youth & Society, 40(2), 182-202.
    39. Michael, R. , Cinamon, R. G. , & Most, T. (2015). What shapes adolescents’ future perceptions? The effects of hearing loss, social affiliation, and career self-efficacy. Journal of Deaf Studies and Deaf Education, 20(4), 399-407.
    40. Oettingen, G. , & Mayer, D. (2002). The motivating function of thinking about the future: Expectations versus fantas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5), 1198-1212.
    41. Scheier, M. F. , & Carver, C. S. (1992).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6(2), 201-228.
    42. Skinner, A. T. , Çiftçi, L. , Jones, S. , Klotz, E. , Ondrušková, T. , Lansford, J. E. , ... & Yotanyamaneewong, S. (2022). Adolescent positivity and future orientati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young adult internalising behaviours during COVID-19 in nine countries. Social Sciences, 11(2), 75.
    43. Standage, M. , Duda, J. L. , & Ntoumanis, N. (2003). A model of contextual 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 Using constructs from self-determination and achievement goal theories to predict physical activity inten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 97-110.
    44. Suldo, S. M. , & Huebner, E. S. (2004). Does life satisfaction moderate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on psychopathological behavior during adolescence?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9(2), 93-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