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8 No.4 pp.693-706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3.28.4.12

Research Trend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al Service

JI-Yoon Yoo, So-Hyun Lee
Lecture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Korea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Korea

* 본 논문은 2023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임.


Corresponding Author: So-Hyun Lee,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E-mail: ababae@cu.ac.kr)

December 7, 2023 ; December 19, 2023 ; December 20, 2023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volunteer work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substantial service, and to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To this end, papers with more than one candidate listed in the 'Korea Education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were selected as targets for analysis, and a total of 31 studies were analyzed by period, target, method, and content.


Results:

The results, of th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volunteer- related studi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insufficient, but it was confirmed that more than one study per year was conducted from 2010 to 2023. Second, research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incipals was the focus. Third, as a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interviews was most used. Fourth, the research contents appeared in the order of basic research and practical research.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studies are continuously required to prepare a systematic operation plan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of volunteer activities for pre-child well-written.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연구동향 분석*

유지윤, 이소현

초록


    Ⅰ. 서 론

    우수한 교사가 되기 위한 능력과 자질은 개인적 성향 및 양성기관의 경험을 통해 길러진다. 즉 유아 교사 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교육과정과 교육자에 따른 지도 방법 및 내용은 졸업 후 교사로서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예비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에서는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 형성을 위한 교육, 실습, 봉사 등의 균형이 요구된다.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은 기본이수 과목 및 교과교육 영역, 교직과목을 포함하며, 교직과목에는 교육 현장에 직접 참여하여 직접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학교현장 실습 교과와 봉사활동 교과를 운영하고 있 다. 이처럼 교원양성을 위한 기관에서는 필수적으로 학교현장실습뿐 아니라 봉사활동 교과를 이수하게 하여 현장성 높은 실제 경험을 제공자 한다. 그러나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직 필수 과목 중 학교현장실습은 예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필수 교과목 임에도 실습 기간 이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비교적 짧은 편에 속하며, 교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형식적 과정으로 운영되 고 있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됐다(조경원, 2004).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학교현장실습의 실천적 형태로 등장한 것이 교육 봉사활동이며, 교육 봉사활동의 경우 학교현장실습의 교과목적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어 봉사학습의 개념과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은미, 박순호, 2012). 이처럼 교육 봉사활동은 예비교사들의 봉사경험과 학교에서의 배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운영되는 특징을 가지며 일회성을 띠는 봉사활동과는 차별점을 가진다(안효 진, 2010). 교육 봉사활동은 2009년부터 새롭게 적용 ‧ 실시되어 총 60시간을 이수해야 하며, 이수 시 총 2학점이 부여되는 과목이다. 교육 봉사활동 교과는 교육과 봉사가 통합된 개념에서 교육 활동과 봉 사활동의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여 봉사자인 학생들이 봉사대상자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가운데 교과가 추구하는 교육적 목표성취를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 활동의 교과목적 특성을 가진다(유희정, 2015).

    그러나 교육 봉사활동에 관한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교육부, 2021)에 나타난 규정과 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학교현장실습은 전공과 동일한 급의 학교에서만 가능하지만, 교육 봉사활동을 수행할 수 있 는 기관은 학교현장 실습이 가능한 모든 기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더불어 실제 수업과 실무를 반드시 경 험해야 하는 교과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규정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육 봉사활동이 수업보 조, 기관청소와 같은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봉사활동으로 머물러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의미 있는 실제 를 경험하는 기회를 박탈할 우려가 크다(고은미, 박순호, 2012;이선미, 조현민, 2011;임은미, 2020;장경원, 2010;). 즉 교육 봉사활동이 실습영역의 필수교과로 예비교사들의 교육 현장성을 높이 는 데 이바지하고자 하였던 교과개설의 기본 취지에 부합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는 지에 대한 점검이 시급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교육 봉사활동 교과목을 도입한 미국의 경우 지도교수가 학교현장실습처럼 봉사 활동을 실시하는 기관을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봉사활동 실태를 점검하고 모니터링 하도록 한다(김희 수, 최정선, 2015). 또한, 교육 봉사활동에 대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봉사기관 선 정 시에 대학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교육 봉사가 봉사학습의 개념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 봉사활동 운영에 있어 대부분은 교육 봉사활동을 전담하여 관리하 는 교수가 없다는 점과 봉사 전 ‧ 후의 체계적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은 예비교사들에게 혼란과 갈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학습의 개념을 확대하기보다 단순 경험으로 마무리될 우려가 크다(이경화, 김 정숙, 2016). 따라서 교육 봉사활동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과목으로서의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며,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봉사활동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예비교사의 교육 봉사활동이 교 원자격증 발급 필수 조건이 되기 전 시기의 연구는 주로 교육 봉사활동 기관과 단체에 관한 연구로 유아 교육 기관의 자원봉사 활동 실태 및 교사의 인식조사에 관한 연구(임민자, 2001)가 이루어졌다. 반면 예비교사의 교육 봉사활동이 의무적으로 시행된 이후에는 주로 교육 봉사를 하는 주체인 예비교사 대 상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봉사활동의 경험 및 의미에 관한 연구(김경철, 김은옥, 2018;김민정, 2014;엄은나, 2011;이선미, 조현민, 2011;유희정, 2015;조운주, 2017;최미정, 2019), 봉사활동 인식에 관한 연구(고은미, 박순호, 2012;이경화, 김정숙, 2016;임은미, 2020;전정희, 2013), 프로 그램 개발 활용에 관한 연구(고은미, 2017;김희수, 최정선, 2015;조운주, 2019) 등으로 예비유아교 사 대상 봉사 관련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예비유아교사 대상 봉사활동은 현장에 대한 실무경험과 교사로서의 태도를 기를 수 있다는 교육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 기간 이루어지는 있는 봉 사활동은 현재의 지침만으로 봉사활동 과목을 어떻게 운영해야 할지 구체적인 기준을 알 수 없으며, 많 은 대학이 60시간의 봉사시간만 확인되면 학점을 부여하는 등 이수 여부만을 확인하고 있다(장경원, 2010). 따라서 봉사에 관한 다양한 개인 변인 관련 연구, 교수 ‧ 수업 및 교수법, 전문성, 교사역량, 자 질 등 수업실습과 관련된 연구, 지도교사의 역할과 실습 운영 및 봉사활동 전후 지도관리 봉사 관련 제 도 및 정책과 관련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이처럼 예비유아교사 대상 봉사 관련 연구는 다양한 주제로 수행되어온 학교현장 실습 연구와 비교 하면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며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 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고려하여 예비유아교사 봉사 관련 연구가 최초로 이루 어진 2000년부터 2023년 3월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 게재된 등재후보지 이상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예비유아교사를 대한으로 한 봉사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동향 분석을 시행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연구들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대학에서의 봉사활동이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예비 유아교사들에게 내실 있는 봉사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의 시기별 동향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의 대상별 동향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3.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의 방법별 동향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4.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의 내용별 동향은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본 연구에서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연구는 유치원 교사 및 보육교사가 되기 위한 직전 교육 기관 에서의 봉사에 관한 논문을 의미한다.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연구동향분석을 위해서 2023년 3월 1 일부터 3월 31일까지 한 달 동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 게재된 등재후보지 이상의 논문을 분 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 예비유아교사 교육 봉 사’, ‘예비유아교사 봉사학습.’, ‘예비유아교사 봉사활동’, ‘예비보육교사 봉사학습’, 예비보육교사 봉사 활동’으로 선정하여 검색을 시행하였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관련 검색어를 통해 검색한 결과, ‘ 예비유아교사 교육 봉사’ 는 국내학술 논문 75편, ‘예비유아교사 봉사학습’은 국내학술 논문 24 편, ‘예비유아교사 봉사활동’은 국내학술 논문 4편, ‘예비보육교사 봉사학습’은 국내학술 논문 4편, ‘예비 보육교사 봉사활동’은 국내학술 논문 14편이 검색되었다. 또한, 국회 전자도서관과 한국학술정보 (KISS)에서도 동일한 검색어로 검색을 실시하여 국회 전자도서관에서는 국내학술 논문 32편, 한국학술 정보(KISS)에서는 45편의 국내학술 논문이 검색되었다. 이렇게 검색된 논문들을 검토하여 중복되는 논 문들과 본 연구와 관련 없는 논문들을 제외한 후, 최종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내 학술지 논문 31편이었다.

    2. 분석기준

    본 연구를 위한 분석기준은 임미자. 김정희(2022), 김동환(2023), 조숙영, 이용주(2022), 임은미 (2020) 등의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이들 연구의 분석기준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분석기준을 선정하였 다. 본 연구의 분석기준은 연구 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 주 내용이며, 구체적인 분석기준은 다 음과 같다.

    1) 연구 시기별 동향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논문의 연도별 동향분석을 위해서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와 관련된 논문이 처음 발표된 2000년도부터 2023년 3월까지의 학술지 논문 31편을 3년 단위로 구간을 나누어 이동평 균 값을 통해 그 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 연구대상별 동향

    본 연구를 위한 최종 분석대상 논문들의 연구대상을 모두 살펴보면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유아 교사, 원장, 원감, 교수, 문헌으로 분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3) 연구방법별 동향

    본 연구에서 연구방법에 따른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임미자, 김정희(2022)박지희, 조형숙, 염지숙(2014)의 분석기 준들을 살펴보고 참고하여 분석기준을 마련하였다. 양적연구는 실험연구, 상관연구, 조사연구로 구분 하였고, 질적연구는 면담과 내용분석으로 하위범주를 구분하였고, 문헌연구는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이 루어진 연구, 프로그램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진 연구로 규정하였다. 연구방법의 분석기준은 <표 1>과 같다.

    4) 연구내용별 동향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내용별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조은진, 김미애(2017)의 논문을 참고하여 ‘Best와 Kahn(1989)의 기초연구와 실천연구 분류기준’을 수정·보완한 후, 유아교육 전문가의 검증 을 받아 최종 분석기준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별 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은, 먼저 기초연구 와 실천연구로 유형을 구분하였다. 기초연구에 관한 연구내용에는 봉사 관련 이론 고찰, 봉사 관련 실 태조사, 봉사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봉사에 대한 의미 분석을 포함하였다. 또 실천연구에 관한 연 구내용으로는 봉사활동에 관한 평가 및 효과 검증, 봉사 관련 요인 분석, 봉사에 관한 교육과정 및 프로 그램 개발을 포함하였다. 연구내용별 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은 <표 2>와 같다.

    3. 자료 분석

    본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회 전자도서관’, 한국학술정보(KISS)의 정보서비스를 통해 검색된 국내 학술지 논문은 31편이며, Excel program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 다. 객관적인 자료 분석을 위해서 연구자들은 항목별로 분석기준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 성 확보를 위해 유아교육과 박사학위를 받은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의 자문을 받았다. 자료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논문의 연구 시기별 분석을 위해서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와 관련된 논문이 처음 발표된 2000년도부터 2023년 3월까지 국내 학술지 논문들에 대해서 이동평균(Moving Average) 계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도별로 연구 시기를 확인할 경우 일시적으로 돌출된 수치가 있 을 때 동향분석에 다소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동평균 계산법은 돌출된 값을 희석할 수 있 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돌출된 데이터로 인해 경향성이 왜곡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동평균 값을 연결하여 그래프로 표현한 이동평균선은 가격이나 지수, 거래량, 무게 등 다양한 수치상의 변화를 표현해주기 때문에 시각적인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동평균모형은 적은 자료 수로 예측연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김현철,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 시기별 추세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므로 3년 단위로 데이터 구간을 나누어 적용한 후, 이동평균 계산법을 활용 하여 연구 시기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방법별, 연구대상별, 연구내용별 동향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동향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데이터 구간이 20년 전·후인 경 우, 일반적으로 3년, 4년, 5년 단위로 구분하여 추이를 확인하고 있다(김정숙, 이은형, 2019). 또한, 본 연구에서는 김정숙, 이은형(2019)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2000년부터 2009년도까지 관련된 선행연 구가 거의 발표되지 않는 초기 연구 기간이 확인되었다. 즉,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 간 게재된 논문은 2편인 점을 고려하면, 이 기간을 포함하여 3년에서 5년 정도의 동일한 간격으로 전체 기간을 구분하는 것은 동향분석에 어려움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연구에 대한 초기 기간인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 동안을 한 구간으로 구분하였으며, 이후부터는 2010~2012, 2013~2015, 2016~2018, 2019~2021, 2022~2023(3월까지)도 3년 단위로 구분하 여 살펴보았다. 하지만 2023년의 경우 3월까지 게재된 논문만을 포함하였으므로 해석상의 주의가 필 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내용에 있어서 한 논문에서 중복되어 포함된 항목 이 있을 경우에는 복수처리 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연구 시기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시기별 동향

    본 연구에서 연구 시기별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동평균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예비유 아교사의 봉사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은 2000년에 처음 발표된 이후, 2006년 1편의 논문이 발표되었 으며, 초기 연구 기간 이후 2010년부터는 2023년 3월까지 연 1편 이상의 연구가 꾸준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표된 논문의 단순 연간 편수를 확인하면, 2010년 이후 꾸준한 증가를 보이다가 2017년에는 2편으로 급격한 감소가 나타났다. 하지만 이동평균 값을 통해 확인하면, 2012년부터 2014년까지는 1편이었으나, 2015년에는 2편, 2016년에는 3편, 2017년에는 3.33편, 2018년에는 3.68편으로 초기 연구 기간이 지난 2010년 이후에는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후 2020년까지는 3.67편으로 유지되는 경향성이 확인되었으나 2021년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추 세가 나타났다. 하지만 2023년의 경우 3월까지 발표된 논문만이 포함되었으므로 이 부분에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단순 연간 편수를 비교할 경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표 3>과 같다.

    <그림 1>을 통해 시각적인 확인 결과, 점선의 경우는 발표된 논문의 단순 연간 편수이며 2017 년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 경향성을 확인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점선으로 나타낸 이동 평균의 경우 2020년까지 지속적인 증가 및 유지 경향이 나타나다가 2021년부터 급격한 감소 추세 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연구대상별 동향

    본 연구에서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대상은 <표 4>와 같이 예비유아교사, 유아 교사, 원장, 원감, 교수, 문헌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1개의 빈도가 분석되었는데 예비유아교사 27편 (65.9), 원장 4편(9.8%), 유아교사, 원감, 교수 각 3편(7.3%), 문헌 1편(2.4%) 순으로 연구되었다.

    3. 연구방법별 동향

    본 연구에서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유형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프로그램 연구 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양적연구는 실험연구, 상관연구, 조사연구로 분류하였고 질적연구는 면담, 내용분석으로 분류하였으며 문헌연구, 프로그램 연구는 별도로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표 5>와 같이 42편으로 분석되었다. 질적연구 27편(64.3%), 양적연구 12편(23.6%), 프로그램 연구 2편 (4.3%), 문헌연구 1편(2.4%)이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연구내용별 동향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내용별 동향은 <표 6>과 같다.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의 내용은 기초연구, 실천연구의 두 가지 맥락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자료 결과 37편 가운데 기초연구가 총 24편(64.9%), 실천연구 총 13편(35.1%)으로 기초연구 관련 내용 연구가 많이 이루어 졌다. 기초연구 중 봉사에 대한 의미 및 분석 13편(35.1%), 봉사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8편 (21.6%), 봉사 관련 실태조사 2편(5.4%), 봉사 관련 문헌 및 이론 고찰 1편(2.7%) 순으로 연구되었다. 실천연구에서는 봉사활동에 관한 평가 및 효과 검증 9편(24.3%), 봉사에 관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3편(8.1%), 봉사 관련 요인 분석 1편(2.7%) 순으로 연구되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내실 있는 봉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와 관련된 논문이 처음 발표된 2000년도부터 2023년 3월까지 국내 학술지 논문들에 대해서 연구 시기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의 시기별 동향은 연도별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2018년 5 편, 2015, 2016년 2019년 각 4편, 2017년, 2020년 각 2편으로 2015년 이후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 련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2015년 인성교육진흥법의 시행과 교원능력개발 평가(보건복지부, 육아 정책연구소, 2016)로 인해 예비교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증가하였다고 보고 한 정희정, 김정희(2017), 임미자, 김정희(2022)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이에 반해 2020년 이후에는 2편, 2021년 1편, 2022년 1편, 2023년 1편으로 관련 연구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도입과 함께 유아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연구 가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에 코로나바이러스의 등장으로 모든 유아교육 기관의 정상적 운영이 힘든 상 황이 반영된 결과 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코로나로 인한 놀이 활동의 제약 등 물리적 어려움이 존재하는 상황 내에서 예비교사들의 현장실습 관련 연구를 진행한 이지혜(2021), 한선아 (2019)의 연구와 결과를 통해서도 이 시기 연구의 어려움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시대의 관점과 이해를 반영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의 대상별 동향은 예비유아교사, 원장, 유아교사, 원감, 교 수, 문헌 순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 27편(65.9), 원장 4편(9.8%), 유아교 사, 원감, 교수 각 3편(7.3%), 문헌 1편(2.4%) 순으로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 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학습이 중요한 절차이며 교사로서 전문성과 정체성 함양에 중요한 과정임을 시사한다(김희수, 최정선, 2015;이경화, 김정숙, 2016;조운주, 2017). 따라서 예비유아교사가 봉사 를 통한 실천적 배움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체계적인 준비와 실천을 위한 유아교육 기관 과 학교와의 연계 등 봉사활동 전반의 실제적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프로그램 연구로 나 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질적연구 27편(64.3%), 양적연구 12편(23.6%), 프로그램연구 2편 (4.3%), 문헌연구 1편(2.4%)이 연구되었다. 그중 면담과 내용분석을 통한 질적연구가 27편으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 관련 연구를 동향분석 한 김정숙, 이은형(2019), 김현자, 노희연, 이영(2009), 임미자, 김정희(2022), 임은미(2019)의 연구결과와 같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육 봉사는 현장학습의 교과목적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봉사학습의 개념과 동일 하다는 관점에서 학교현장실습과 같은 봉사 일지 분석을 통해 수업 맥락을 이해하고 예비교사로서의 소양과 자질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된 운영지침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질적연구 분석방법도 인터뷰나 저널 분석의 방법만을 다루는 것이 아닌 예비유아교사의 봉 사에 대한 밀도 있는 관찰과 봉사체계에 대한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한 관찰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는 방 향으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즉 향후 예비유아교사들의 봉사경험을 통해 봉사활동 운영 체계의 개선점과 취약점으로 드러난 부분에 관한 연구를 통해 질적으로 우수하고 효과적인 봉사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양적연구에서도 봉사활동 시 유아교사 양성기관과 영‧유아교육 기 관의 협력 양상을 보여주는 연구를 통해 봉사활동 방식의 장점, 개선점, 요구사항 등을 알아보고 봉사 활동 과목의 운영지침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연구의 내용별 동향에 대한 분석자료 결과 37편 가운데 기초연구 가 총 24편(64.9%), 실천연구 총 13편(35.1%)으로 기초연구 관련 내용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그중 봉사에 대한 의미 및 분석 13편(35.1%), 봉사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8편(21.6%)으로 분석대상 연 구들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봉사경험을 다룬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봉사 관련 연구는 전체적으 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봉사 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그에 따른 연구도구의 개발과 예비유아교사의 봉사 관련 개인 변인, 봉사에 관여하는 대상에 대한 다양한 변인 관 련 연구들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예비유아교사의 봉사활동을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 태도성숙, 교사-유아 상호작용 등 개인 적 변인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한 연구(김희수, 최정선, 2015;이은정, 이소현, 2019)에 따르면 예비 유아교사들의 봉사활동이 사전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였을 때 교육적 효과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나 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 학교현장 실습 및 봉사 실습 운영의 목적, 내용, 방법 등 에 관한 연구를 비교‧분석하여 봉사에 대한 현실적인 운영모형(안) 연구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예비유 아교사의 봉사활동이 앞으로 단순한 봉사를 넘어 교육적인 의미를 담아내는 실천적 봉사학습으로 자리 매김해야 함을 의미한다(김희수, 최정선, 2015;고은미, 박순호, 2012).

    본 연구의 논의 및 결론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봉사에 관한 연구의 시기별, 대상별, 방법별, 내용의 네 가지 주 제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예비유아교사의 봉사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에 어려움 이 있다. 따라서 이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 다루지 못한 변인들을 분석하는 연구를 제안해 본다.

    둘째,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봉사활동 실태를 담은 후속연구들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즉 다양한 교원양성기관을 대상으로 다양한 관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봉사활동에 대한 구체적 교육의 내용과 방법들을 연구하여 학교 특성에 알맞은 봉사활동을 설계 ‧ 운영하고 예비유 아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구조화된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는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Figures

    KJFW-28-4-693_F1.gif

    연구연도별 이동평균

    Tables

    연구방법의 분석기준

    연구내용별 분석기준

    연구연도별 (N = 31)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

    References

    1. 고은미 (2017). 예비유아교사 교육봉사활동 스캐폴딩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효과분석. 인문학논총, 43(5), 111-140.
    2. 고은미, 박순호 (2012).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및 요구도 연구. 생태유아 교육연구, 11(4), 119-140.
    3. 교육부 (2021). 교원자격검정령 시행규칙. 세종: 교육부.
    4. 김경철, 김은옥 (2018).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봉사 경험 이야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1), 729-736.
    5. 김동환 (2023). 유아 동요 관련 연구동향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4(2), 179-198.
    6. 김민정 (2014). 예비유아교사에게 단기해외교육봉사의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8(3), 257-282.
    7. 김정숙, 이은형 (2019).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관련 연구동향 분석: 1996-2018년 국내 학술지 논문 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4(2), 189-210.
    8. 김현자, 노희연, 이영 (2009). 예비유아교사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6, 31-48.
    9. 김현철 (2009). 보육과 유아교육의 수요규모 예측과 시사점. 敎育問題硏究, 35, 117-139.
    10. 김희수, 최정선 (2015). 교육봉사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참여의식,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 성 숙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1-19.
    11. 박지희. 조형숙, 염지숙 (2014).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기초한 현진교사교육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연 구, 34(5), 207-228.
    12.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2016). 보육교사양성과정 및 보육실습 매뉴얼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19(2), 283-313.
    13. 안효진 (2010). 예비 유아교사의 전공 관련 봉사학습의 의미 탐색. 한국생활과학회지, 19(3), 471-485.
    14. 엄은나 (2011).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교육봉사활동 경험의 의미. 아동보육연구, 7(2), 155-180.
    15. 유희정 (2015).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육봉사활동 교과이수를 위한 유치원에서의 경험내용과 의미. 한국보육 학회지, 15(2), 129-152.
    16. 이경화, 김정숙 (2016).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육봉사활동의 현황과 인식. 아동교육, 25(3), 293-310
    17. 이선미, 조현민 (2011).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현장 봉사활동에 관한 질적 연구. 아동교육, 20(1), 197-216.
    18. 이은정, 이소현 (2018).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효능감 의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4), 185-200.
    19. 이지혜 (2021). 예비유아교사가 현장실습을 통해 지각한 코로나19 시대 교육현장의 문제. 영유아교육과정연 구, 11(2), 43-70.
    20. 임미자, 김정희 (2022).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12-2021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 로. 한국유아교육연구, 24(1), 48-68.
    21. 임민자 (2001). 유아교육기관의 자원복지 (봉사)활동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2. 임은미 (2020).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909-930.
    23. 장경원 (2010). Service-Learning에 기반한 ‘교육봉사’과목 운영 전략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7(3), 373-393.
    24. 전정희 (2013).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봉사에 대한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12(3), 249-275
    25. 조경원 (2004). 중등교원 양성교육의 비판적 검토. 교육과학연구, 35(1), 1-19.
    26. 조숙영, 이용주 (2022). 국내학술지 연구유형 및 연구키워드 중심으로 “영유아 권리존중”의 연구동향 분석. 인문사회21, 13(1), 203-214.
    27. 조운주 (2017). 교육봉사활동에서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역할과 의미. 육아지원연구, 12(4), 269-287.
    28. 조운주 (2019). 예비유아교사 교육봉사활동 운영모형(안) 개발. 육아지원연구, 14(4), 5-25.
    29. 조은진, 김미애 (2017). 유아교사의 교직윤리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3), 665-687.
    30. 최미정 (2019). 유아교육 전공연계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한선아 (2019).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서비스-러닝의 의미와 유아교사 교육자에게 주는 시사점. 인문사회 21, 10(3), 1241-1252.
    32. Best, J. W. , & Kahn, J. V. (1989). Research in education(6th ed). Englewoods Cliffs, N.J.: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