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9 No.1 pp.1-13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4.29.1.1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givers

Ara Choi, Yun-Na Song
Professor,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Study, Gwangju University, Gwangju, Korea
Profess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wangju University, Gwangju, Korea

* This article was conducted by research funds from Gwangju university in 2024. This article was presented as a poster at the 2023 Annual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Child and Family Welfare Association.


Corresponding Author: Yun-Na Song, Profess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wangju University (E-mail: ynsong@gwangju.ac.kr)

December 18, 2023 ; February 15, 2024 ; March 16, 2024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self-esteem in the effect of parent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givers.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are 192 child caregiv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ntinuing education of child caregiv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2023. SPSS 27.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Model 4 of the Process macro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Collective self-esteem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givers. This means that parental support may directly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givers, but indirectly through collective self-estee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givers,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to promote the collective self-esteem of child caregivers along with positive support from child parents.



돌봄아동 부모지지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최아라, 송윤나

초록


    Ⅰ. 서 론

    2023년 3분기 기준 인구동향 조사(통계청, 2023)에 따르면 우리나라 출산율은 0.70명으로 이러한 저출생 현상은 생산인력 부족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소비감소로 인한 경제성장의 둔화 등 여러 사회문 제들을 야기한다. 무엇보다 이러한 저출생 문제는 국가의 존폐를 위협한다는 점에서 이미 국가적인 문 제로 인식되고 있다. 통계청(2023)의 ‘2023년 상반기 기혼여성 고용현황 통계’에 따르면 기혼여성이 일을 그만두는 사유가 육아 42.0%, 결혼 26.2%, 임신과 출산 23.0%, 자녀교육 4.4%, 가족돌봄 4.3%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청(2023)이 발표한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변화’에 따르면 혼인 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이 53.5%로 나타났고, 출산을 기피하는 이유에 대해 남성은 과도한 육아 및 교육비용(47.5%)을 1위로 꼽은 반면 여성은 일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운 사회 환경(59.6%)을 1위로 꼽았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많은 여성들이 일-가정 병행에 대한 어려움 과 부담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양육을 위해 일을 그만두거나 반대로 일을 위해 자녀를 출산하 지 않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양육부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는 보육 및 유아교육사업을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다. 어 린이집의 경우 16시까지 운영되는 기본보육 이후 19시 30분까지 연장보육을 지원하고 있고, 유치원의 경우 방과후 과정을 운영함으로써 돌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온전히 돌봄공백 문 제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 실제 육아정책연구소(2022)의 ‘어린이집·유치원 이용가구의 돌봄 공백 실 태와 대응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주중에 서비스 이용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 비율이 30.6%, 맞벌이 가 구는 35.5%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이용시간 부족 이유로는 기관의 운영시간이 퇴근시각과 맞지 않아 서라는 응답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를 맡길 데가 없어서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다고 나타난 응답은 59.2%로 절반이 넘고, 아이가 아프거나 직장에서 연장근로를 해야 할 때 자녀돌봄 공백 이 우려된다고 나타났다. 이처럼 보육 및 유아교육 사업의 한계로 인해 돌봄공백이라는 문제가 발생하 게 되면서 국가는 사회적 돌봄지원체계 강화를 위해 2006년 아이돌봄지원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하여 2007년부터 현재까지 아이돌봄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아이돌봄지원사업은 아이돌봄지원법을 법적 근거로 부모의 맞벌이 등으로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 의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아이돌보미가 찾아가는 아이돌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부모의 양 육부담을 경감하고 저출산 해소에 기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여성가족부, 2023). 아이돌봄지원사업이 시작된 이후로 양적인 성장이 이루어졌는데 2011년 전국 기준 39,818가구가 이용하였는데 2022년에 는 78,212가구가 이용하여 약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 아이돌보 미의 경우에도 2017년부터 꾸준히 2만명 이상 양성되고 있다. 이러한 양적 성장은 아이돌봄지원사업 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증가를 보여주는 동시에 질적 성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아이돌봄지원사업의 질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들은 아이돌봄서비스를 제공받는 이용자의 만 족도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아이돌봄 서비스 제공자인 아이돌보미에 관한 연구들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는 아이돌봄서비스의 경우 아동을 대상으로 인적자원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 에 아무래도 아이돌보미 특성이 아이돌봄 서비스의 질적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이돌보미가 자신의 직무에 만족할 때 아이돌봄서비스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보 고,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직무만족이란 자신의 직무와 직무환경 에 만족하는 정도로서 직무와 관련하여 경험하는 개인의 정서적 반응이 반영된 심리내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McCormick & Tiffin, 1974;하연수, 김혜순, 2021). 아이돌보미가 지각한 직무만족은 아 동의 돌봄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하여 보아 효율적이고 성실한 직무를 수행하게 한다(이선 영, 2016). 즉, 아이돌보미의 높은 직무만족은 궁극적으로 양질의 돌봄 서비스 제공에 영향을 미쳐 아 동의 긍정적 발달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아이돌보미의 연령, 학력, 활동경력, 건강 상태, 급여 수준 등의 배경 변인과 활동유형, 활동시간, 돌봄아동 수와 같은 직무환경변인과 직무만족 도의 관계를 주로 연구하였다(김나원, 고재욱, 2016; 유순란, 2015; 이선영, 2017; 최인란, 황선영, 2011; 황혜신, 윤명자, 2012). 본 연구에서는 아이돌보미의 배경변인과 직무환경변인 이외에도 개인 의 심리학적 요인 및 사회적 요인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를 살 펴보았다.

    먼저 직무만족과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사회적지지 및 대인관계가 아이돌보미의 직 무만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김나원과 고재욱(2016)의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특성인 동료관계, 이용자가족, 돌봄아동과의 관계가 높아질수록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권서현과 최인덕(2023)의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돌보미에 관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아 아이돌보미와 유사한 아동돌봄 역 할을 수행하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는데, 사회적지지가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강신영, 문혁준, 2020;장미숙, 유영미, 2022;한 지혜, 정혜원, 2023). 최근 학부모의 과도한 요구 및 민원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고, 초등학교 교사뿐만 아니라 보육교사와 같은 아동돌봄 종사자들 역시 부모들과의 관계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는 기사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실제 선행 연구에서도 부모의 지지와 협력은 교수효능감(이경 님, 2019), 심리적 소진(유명은, 최항준, 2022), 직무만족(최은선, 김경은, 2022)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이에 근거하여 사회적지지 중 부모의 지지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다음으로 직무만족과 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최근 사회복지사, 상담사, 보육교사 등 돌봄과 관련된 조직구성원들의 집단자존감(collective self-esteem)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었다. 집단자존감은 집단자긍심이라는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집단자존감이란 자신 이 속한 집단에 대한 존중 및 가치판단을 의미한다(Luhtanen & Crocker, 1992). 즉, 자신이 속한 집 단이 얼마나 가치있는가? 또는 다른 타인이 자신이 속한 집단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스스로의 정서적 평가이다(Croker & Luthanen, 1990). 직무만족도는 개인적 특성 요인인 동시에 기관 또는 집 단적인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정효정, 2003) 아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집단자존감과 직무 및 업무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고성훈 (2018)은 사회복지사들의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과 집단적 자긍심의 관계를, 윤채은과 임나영(2023) 은 미술치료사의 집단자존감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를, 정경선과 임은미(2019)는 국공립어린이집 교 사들의 집단적 자긍심이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박진이(2017)는 보육교사의 집 단자아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집단자존감과 직무 만족도의 유의미한 관계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아이돌보미를 대상으로 한 집단자존감 연구의 미진함을 보여준다.

    한편 사회적지지는 집단자존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다. 박현진과 조수진(2023)의 연구 에서는 사회적지지가 보육교사의 집단자존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고, 오숙자(2017)의 연구에서 는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도와 집단자존감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는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에 직면할 때 추가적인 자원이 될 수 있 는데(Pérez-Fuentes et al., 2019) 보육교사의 소속감, 헌신, 직무만족도, 성과 등에 긍정적인 영향 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ravers, 2017; Fiorilli et al., 2019).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사회적지지는 집단자존감과 직무만족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집단자존감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자존감이 매개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예측 가능하게 한다. 사회적지지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를 본 선행연구 를 찾기 어려워 비슷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오숙자(2017)이미정(2021)의 연구에서 사회적지지가 집단자존감을 매개로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박용두와 이기학(2008)의 연구 에서는 사회적지지가 대학생들의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자존감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지지, 집단자존감, 직무만족을 통합적으로 다룬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워 본 연구에서는 돌봄아동의 부모지지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 다. 특히 돌봄에 대한 가치가 저평가되고 있는 사회적 현실에서 부모들이 아이돌보미를 긍정적으로 평 가하고 지지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밝히고, 아이돌보미의 조직과 역할에 대한 가치판단이 직무만족 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돌봄아동 부모지지는 집단자존감을 매개로 하여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은 1년 이상 아이돌보미 경력이 있고 현재 활동하고 있는 아이돌보미로, 2023년 광주광 역시 아이돌보미 보수교육에 참여한 아이돌보미 중 2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전에 본 연구 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아이돌보미에게 2023년 7월부터 10월에 걸쳐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15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192부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자 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 <표 1>에 제시하였다.

    2. 측정도구

    1) 돌봄아동 부모지지

    아이돌보미가 지각한 돌봄아동 부모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지지 척 도를 보육교사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임진형(2000)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회적지지는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정보적 지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식, 충고, 제안, 정보 등을 제공받는 것을 의미하며, 정서적 지지는 존경, 신뢰, 관심의 행위로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질적 지지란 개인이 필요로 하는 도구나 재원을 제공해주는 직접적 원조를 의미하며, 평가적 지지란 개인의 역할 수행과 행위에 대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내용을 전달함으로써, 칭찬, 인정, 존중, 피 드백, 사회적 비교 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돌봄아동 부모의 지지를 측정하는데 적합하다고 사료되는 정서적지지와 평가적지지 하위요인만을 사용하였다. 정서적지지 9문항, 평가적 지지 5문항 총 14문항이며,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아이돌보미가 돌봄아동 부모지지를 높 게 지각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전체 부모지지의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는 .93이었으며, 정서적지 지 .91, 평가적지지 .74로 나타났다.

    2) 집단자존감

    아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 측정을 위해 이지연(2015)의 집단자존감척도를 사용하였다. 이지연 (2015)의 척도는 Luhtanen과 Crocker(1992)의 CES(Collective Self-esteem Scale: selfevaluation of one’s social of identity)를 김혜숙(1993)이 한국형으로 번안 및 수정한 척도를 유아교 사에게 적합하게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공적 집단자존감, 사적 집단자존감, 멤버십 집 단자존감, 정체적 집단자존감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요인당 4문항씩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집단자존감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전체 집단자 존감의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는 .90이었으며, 공적 집단자존감 .69, 사적 집단자존감 .76, 멤버 십 집단자존감 .78, 정체적 집단자존감 .74로 나타났다.

    3) 직무만족도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 측정을 위해 이선영(2017)이 사용한 직무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인간관계 만족도, 직무전반 만족도, 급여 만족도, 자기개발만족도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총 22문항이다.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전체 직무만족도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는 .90이었으며, 인간관계 만족도 .85, 직무전반 만족도 .83, 급여만족도 .87, 자기개발 만족도 .77로 나타났다.

    3. 자료분석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첫째,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연구 대상의 일반적 경향 및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치를 확인하였다. 둘째,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 하고자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돌봄아동 부모지지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분석방법을 적용하 였다. Process macro 4번을 이용하여 Hayes(2018)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rstrapping)을 실시하였는데, 부트스트랩 샘플을 5,000개 지정 한 후 95%의 신뢰구간 설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와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돌봄아동 부모지지와 아이돌보미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에 앞서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 결과는 <표 2> 와 같다. 돌봄아동 부모지지는 아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r=.46, p<.001), 직무만족도(r=.66, p<.001) 모두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자존감(r=.63, p<.001)도 직무만족도 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의 정규성 판단을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왜 도와 첨도를 확인한 결과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해 Durbin-Watson값을 확인한 결과 1.850이었으며, VIF 계수는 1.268로 나타나 다중 공선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모지지가 집단자존감을 매개로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돌봄아동 부모지지가 집단자존감을 매개하여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 고, 그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다. 돌봄아동 부모지지는 아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Β=.411, p<.001), 집단자존감도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Β=.370, p<.001) 집단자존감은 돌봄아동 부모지지와 아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때, 돌봄아동 부모지지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쳐(Β=.371, p<.01), 부분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효과 분해를 하면 돌봄아동 부모지지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로 가 는 직접효과는 .371(p<.001)이고, 돌봄아동 부모지지가 아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을 거쳐 직무만족도 로 가는 간접효과는 .153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총효과는 .524(p<.001)로 나타났다.

    한편, 매개효과에 대한 재검증을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활용한 결과를 <표 4>에 제 시하였다. 총효과는 .524(.438~.610)로 95% 신뢰구간에서 ‘0’이 존재하지 않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 다. 직접효과는 .371(.287~.456)로 95% 신뢰구간에서 ‘0’이 존재하지 않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는 .163(.095~.222)으로 95% 신뢰구간에서 ‘0’이 존재하지 않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으로 표현하면 <그림 1>과 같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돌봄아동 부모지지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자존감의 매개역 할을 확인하여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아이돌봄서비스의 질적 수준 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아동 부모지지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 한 결과, 돌봄아동 부모지지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돌봄아동의 부모지지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 며, 집단자존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집단자존감은 돌봄아 동 부모지지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지지가 집단자존감을 매개로 심리적 소진 및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의(박용두, 이기학, 2008;오숙자, 2017;이미정, 2021) 결과와 유사하다. 이는 아이돌보미가 돌봄아동 부모로부 터 존중받고, 지지받는다고 느낄 때 아이돌보미 구성원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자신의 소속 및 업무 에 대한 만족감을 갖게 될 것을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집단자긍심은 직무만족도를 높여주어 궁극적으로 아이돌봄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아동 부모지지는 아이 돌보미의 집단자존감과 직무만족도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변인이다. 아이돌보미가 돌봄아 동 부모로부터 신뢰, 관심, 배려 등을 받고 있다고 느끼는 정서적 지지와 자신과 자신의 업무에 대한 인 정 및 존중과 같은 평가적 지지를 통해 아이돌보미라는 집단 구성원으로서의 가치와 중요성을 높게 인 식하게 된다. 또한 부모의 정서저 지지와 평가적 지지를 통해 직무에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게 된 다. 그러나 많은 아이돌보미들이 돌봄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 이 현실이다. 전미양과 이혁수(2019)의 연구에 의하면 돌봄아동 부모들이 아이돌보미를 전문인력으로 인식하지 않거나 오히려 아이돌보미의 일을 폄하하는 행동과 발언을 하는 등 아이돌보미에 대해 낮게 평가하는데 이는 아이돌보미의 직무수행과 직무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돌봄 아동 부모들은 아이돌보미 사업과 기능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필요하며, 아이돌보미 업무에 대한 전문 성을 인정해주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둘째, 집단자존감 역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나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를 높 이기 위해서는 집단자존감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아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 아이돌 보미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보수교육을 활용할 수 있겠다. 현재 아이돌보미 보수교육의 내용은 주로 아이돌봄사업에 대한 교육, 아동의 발달 및 놀이지원에 대한 교육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보수교 육 내용에 아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나 활동을 추가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아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는데, 아 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어 이와 관련된 연구가선행될 필요가 있다. 아이돌보미 서비스 제공기관에서는 아이돌보미들간의 공동체 모임이나 멘토-멘티 활동이 조직될 수 있도록 지원 해주는 것도 될 수 있다. 아이돌보미들의 공동체 모임 활동을 통해 아이돌보미라는 구성원으로서의 가 치를 공유하며, 어려운 점을 함께 논의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집단자존감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자체 및 여성가족부는 아이돌봄 서비스 제공기관 평가 뿐만 아니라 아이돌보미들을 대상으로 우수사례 공모전을 시행하여 아이돌보미의 사기진작 및 자긍심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돌봄아동 부모지지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이 부분매개 효과를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자존감이 이들 간의 관계에서 완충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돌봄아동 부 모지지가 낮은 경우라 하더라도 아이돌보미의 집단 자존감을 높여준다면 직무만족도의 저하로 이어지 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아이돌보미의 경우 수많은 부모를 만나게 되고, 모든 부모와의 관계가 그리 협력적이거나 긍정적이지 않을 수 있다. 현실적으로 모든 부모의 긍정적인 지지와 지원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아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을 증진시켜 직무만족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완충시키 는 개입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아이돌보미 서비스 제공기관에서는 정기적으로 아이돌보미의 직무만 족도를 평가하여 직무만족도가 낮은 아이돌보미를 대상으로 집중적인 집단자존감 증진 프로그램을 실 시하는 것도 도움이 되겠다.

    이를 종합하면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이돌보미와 아이돌보미 이용 가족을 대 상으로 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즉, 아이돌보미 이용 가족에게는 아이돌봄 서비스 및 아이돌보미 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업 및 서비스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 아이돌보미에 대한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아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만큼 아 이돌보미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부모들은 인식해야 하며, 이는 결국 아이돌보미의 서비스 질 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부모들은 아이돌보미들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자세를 취해야 하겠다. 아 이돌보미 서비스 제공기관은 아이돌보미가 부모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지는 않는지 잘 살피 고, 부모의 긍정적인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중간책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여성가족부 및 지 자체는 아이돌보미들이 조직의 구성원으로서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 및 활동을 지원해야 하 겠다.

    마지막으로 돌봄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돌봄에 대한 사회적 가치가 높아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부모들은 돌봄 업무를 수행하는 아이돌보미에 대한 전문성을 인정하게 되어 이들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지지가 가능해질 것이다. 아이돌보미 역시 아동돌봄에 대한 사회적 가치 와 평가가 높아지게 되면 공공의 가치를 실현하는 자신의 업무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될 것이다. 저출 산 문제가 이미 심각해진 오늘날 아동돌봄에 대한 국가적 책임을 넘어 이제는 모든 국민이 연대하여 아 동 돌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그 시작은 돌봄에 대한 가치 인정이라고 생각된다. 국가 및 지자체는 아동을 돌보는 아이돌보미가 전문직업인으로 인식되고 존중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하고, 이들의 처우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멈추지 않아야 하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광주광역 시 아이돌보미 보수교육에 참여한 아이돌보미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약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전국의 아이돌보미로 확대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과 관련된 변인으로 돌봄아동 부모지지와 집단자존 감만을 살펴보았는데 더욱 다양한 변인들을 함께 연구한다면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대한 더욱 깊이 있는 통찰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집단자존감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돌봄아동 부모지지와 아이돌 보미의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점, 교사 및 돌봄 종사자들에 대한 학부 모들의 민원과 과다한 요구가 사회적 이슈가 되는 시점에서 부모의 지지가 돌봄종사자에게 미치는 영 향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 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아이돌보미들이 보다 더 만족감과 자긍심을 가지고 아동돌봄 업무를 수 행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Figures

    KJFW-29-1-1_F1.gif
    부모지지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Tables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N = 192)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sup>***</sup><i>p</i><.001
    부모지지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부모지지와 아이돌보미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의 간접효과 검증

    References

    1. 강신영, 문혁준 (2020). 보육교사의 그릿과 직장 내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20(16), 383-404.
    2. 고성훈 (2018). 조직구성원들이 경험하는 컴페션과 긍정 리더십이 집단적 자긍심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조직 정체성의 매개효과. 전문경영인연구, 21(4), 39-59.
    3. 권서현, 최인덕 (2023). 아이돌봄지원사업 종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48, 99-130.
    4. 김나원, 고재욱 (2016).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과 대인관계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 회논문지, 16(6), 636-648.
    5. 박용두, 이기학 (2008). 사회적 지지, 자존감, 진로포부 간의 성차 모형 검증: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의 매개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3), 263-282.
    6.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진이 (2017). 보육교사의 집단 자아 존중감, 근무시간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기관의 사회적 지지 와 보육환경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7(5), 435-452.
    8. 박현진, 조수진 (2023).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통한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집단자존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7(3), 435-452.
    9. 서문희, 최혜선 (2010). 지방정부 특수교육시책 현황과 우선순위. 육아정책포럼, 21, 14-23.
    10. 오숙자 (2017).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도와 집단자존감의 매개효 과.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유명은, 최항은 (2022). 부모-교사의 협력관계와 사회적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 문사회21, 13(4), 1897-7912.
    12. 윤채은, 임나영 (2023). 미술치료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집단 자존감의 매개효과. 한 국예술치료학회지, 23(1), 1-20.
    13. 이경님 (2019). 유아교사의 경력과 정서지능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가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 보육학회지, 19(4), 155-169.
    14. 이미정 (2021). 어린이집 원장의 심리적 소진,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집단자존감에 관한 연구. 인문사 회21, 11(4), 1797-1810.
    15. 이선영 (2017).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지연 (2014). 정서노동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7. 임진형 (2000).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지지,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8. 장미숙, 유영미 (2022).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31(1), 49-64.
    19. 전미양, 이혁수 (2019). 돌봄 노동의 가치와 근로자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아이돌보미의 처우와 지위를 중심 으로. 한국사회정책, 26(3), 3-28.
    20. 정경선, 임은미 (2019).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이 경험하는 동료장학과 컴페션이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 향-긍정적 감정과 집단적 자긍심을 매개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 453-474.
    21. 최은선, 김경은 (2022). 열린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부모 협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 육과 문화, 4(2), 85-101.
    22. 하연수, 김혜순 (2021). 아이돌보미의 보육효능감과 안전행동실천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한 국영유아보육학, 128, 77-98.
    23. 한지혜, 정혜원 (2023).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과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행 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8(2), 85-103.
    24. Cocker, J. , & Luthanen, R. (1990). Collective self-esteem and ingroup bia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1), 60-67.
    25. Luthanen, R. , & Crocker, J. (1992). A collective self-esteem scale: Self-evaluation of one’s social ident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8(3), 302-318.
    26. McCormicj, E. J. , & Tiffin, J. (1974). Industrial Psychology. Englewood Dliffs, N. J.: Prentice-Hall.
    27. 여성가족부 (2023). 제2023년도 아이돌봄 지원사업 안내. 서울: 여성가족부.
    28. 통계청 (2023). 2023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대전: 통계청.
    29. 통계청 (2023).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변화. 대전: 통계청.
    3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취업부모의 자녀양육지원서비스 효율화 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1.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 (2023). 아이돌봄 사업현황. 아이돌봄서비스(idolbo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