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9 No.1 pp.207-219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4.29.1.12

Analysis of Domestic News Related to ‘English Kindergarten’ Using Big Data of News Articles

So-Hyun Lee, Min-Hee Kim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atholicUniversity of Daegu. Korea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onam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Min-hee Kim,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onam
University(E-mail: whylnk@hanmail.net)

February 21, 2024 ; March 6, 2024 ; March 16, 2024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the trends and main keywords are in news articles related to English kindergartens,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keywords.


Methods:

From January 1, 2000 to September 30, 2023, news articles containing ‘English Kindergarten’ from 54 media outlets, including national daily newspapers, economic daily newspapers, local daily newspapers, broadcasting companies, and specialized journals, were selected for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and news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BIG KINDS.


Results:

First, the trend of news articles related to English kindergartens mainly showed an increasing trend after 2000, but decreased from 2013 to 2014, showed a steady decrease until 2016, and then increased again until 2020. Second, when visually examining the main keywords of news articles related to English kindergartens, 'parents' appeared the most, followed by 'English academy for children', 'general kindergarten', and cost-related keywords. The content was the main issue. Third, a network was formed that was centered on ‘parents’, a relationship between major keywords in news articles related to English kindergartens.


Conclusion:

English kindergarten news articles can b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and can be explained by the education system, policy changes, and economic factor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establish the public nature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nd the direction toward child-centered education by searching and analyzing news about English kindergartens since 2000.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영어유치원’ 관련 국내 뉴스 분석

이소현, 김민희

초록


    Ⅰ. 서 론

    소위 ‘영어유치원’이라 불리는, 엄밀히 말하자면 ‘유아 대상 영어학원’은 과도한 사교육비, 영어 교육 의 효과성, 유아기의 적절성 등 다양한 논란이 있어왔지만, 유아기의 부모뿐 아니라 교육 전문가들 사이 에서도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영어유치원(이하 영어유치원은 유아 대상 영어학원을 칭한 다)은 1997년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가 필수교육과목으로 채택된 이후 2000년대 초중반부터 급격 히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출산율 저하로 인해 유치원은 지난 5년 동안 21%가 감소하였으나 영어유치원 은 71%가 증가한 것이다(이성숙, 2023;정해욱, 강민지, 2023). 이는 유아교육에 있어서 생의 초기부 터 공정한 출발선을 보장하여 차별없이 유아중심, 놀이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교육과학기술부, 보 건복지부, 2013)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취지와 세계 여러 나라의 유아교육 동향과는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영어유치원 또한 우리나라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므로 법적, 유아의 발달 및 교 육적, 사회적 측면에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누적된 연구를 통해 그 방향성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영어유치원은 유아교육법상의 국공립유치원이나 사립유치원과는 달리 학원법에 적용을 받는 사교육 기관이다(교육부, 2013). 그 대상 연령이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동일 연령대라 하여 ‘유치원’이라는 명칭으로 통용되기도 하지만 정부의 교육적, 재정적 지원을 받지 못하는 유아 대상 영어학원이다. 이는 교사의 양성부터 운영까지 국가의 관리와 감독이 이루어지는 유치원과는 달리, 영유아의 발달수준에 적절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준수하여 운영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는 오전에는 유아 주도의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방과 후 시간에 영어 수업을 운영하는 일반적인 유치원과는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영어유치원의 경우, 반나절 혹은 그 이상 각 기관의 재량에 따라 영어를 중심으로 한 교육을 실시한다.

    영어유치원에 대한 논란은 먼저, 아동발달이나 학습 효율성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특히 정서발달에 있어서의 큰 우려를 들고 있다. 유아 시기에는 인간의 신체, 언어, 인지, 사회, 정서발달 등 전인 발달을 추구해야 하며 이는 유아의 고유한 권리이다(엄정애, 2001). 따라서 지나치게 구조화되고 결과 지향적이며 경쟁식의 학습은 뇌발달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인 유아기의 발달은 물론 전생애 적 발달을 저해한다. 특히 교육의 직접적인 수혜자가 유아들임에도 불구하고 그 결정권이 부모에게 있 으므로 이는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하며, 성인 관점이 아닌 유아의 관점에서 발달단계가 고려된 교육을 선택하고 물리적 환경이 동반되어야 한다(이율이, 양성은, 2009). 하지만 영어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 구와 불안감, 더불어 사회적 우월감까지 지닌 채, 전체 영어유치원의 847개 원 중에서 ‘4세 고시’로 불 리는 입학 전 레벨테스트를 거치는 경우도 144개원(약 17%)로 나타나 영유아들이 신체적, 정신적 위험 으로 내몰리고 있는 심각한 우려를 보인다(김명하, 2023).

    영어유치원은 그 목적에 있어서도 유아교육의 목적과는 차이를 보인다. 우리나라 3-5세 유아를 대 상으로 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목적은 유아가 놀이를 통해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이루고 바른 인성과 민주 시민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있다(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영어유치원이라 불리는 유 아 대상 영어학원의 목적은 학원의 설립 목적에 부합한 것으로 각 원 별로 그 목적을 설정할 수 있다. 보 편적으로 유아 대상 영어학원은 영어 언어와 문화에 친숙해지고, 기초적인 영어 실력을 키우는 데 목적 이 있을 것이다. 한편 학부모들이 자녀를 영어유치원에 보내는 목적은 사실상 엘리트 학교의 진학, 즉 자녀의 명문대 진학과 같은 입시에서의 성공으로 나타났다(변수용, 정희진, 안지빈, 2018). 고비용에 도 불구하고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사교육 과열과 계층화, 교육 불평등으로 이어져 사회 불평등 전문가들은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드러내고 있다(김근혜, 홍순옥, 탁장환, 2014;김 민화, 유연옥, 2012;김명하, 2023;김혜미, 2017). 이는 결국 저출산과 같은 우리 사회의 심각한 고 민과도 연결되는 부분이 있다. 이율이와 양성은(2009)은 성인의 관점이 아닌 교육 수혜의 대상인 유아 의 관점에서 유아의 발달단계와 적응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영어유치원의 조기 영어교육의 효과에 대한 논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교육자들은 영어교육 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지만, 영어유치원을 보내는 부모들은 심리적, 정서적 효과에 대한 기대를 시작으 로 사실상 자녀의 어휘력과 영어구사능력에 대해 상당히 만족하고 의미있게 생각하였다(용세현, 이성 희, 2018). 또한 자녀들은 부모의 기대와 격려를 많이 느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황근희, 최나 야, 2017). 한편 몰입형 영어교육을 경험한 성인의 연구(정해욱, 강민지, 2023)에서 참여자들은 영어 유치원이 영어 중심으로 이루어져서 놀이가 부재하며, 교사-유아, 유아-유아 간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교사와의 정서적 교류의 결여, 일상생활을 고려한 안정적인 일과운영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보고하며, 인간발달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경험 제공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이렇게 우리나라 교육에 대한 과열 과 관심은 영어에서부터 시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검증되지 않은 결과를 가진 영어교육에 많 은 시간과 돈을 쏟아붓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영어유치원 교육과정과 교직원의 질을 포함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정부 차원의 검증, 관리, 대응에도 어려움이 있다.

    그밖에 영어유치원의 이슈는 비용이라고 볼 수 있다. 영어유치원의 고비용에 대한 이슈는 취학 전 교 육기회의 불평등이 생애 초기부터 시작하고 있으며 이후의 학업 능력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보았다 (변수용, 정희진, 안지빈, 2018). 이러한 이유로 영어유치원은 사교육 문제의 화두가 되고 있다. 영어 유치원을 통해 검증되지 않은 차별화된 경험을 어린 자녀에게 제공하여 부모는 대리만족을 경험하지 만, 어린 시기부터 조기성취의 경쟁을 조장하여 비판 또한 받고있다. 이러한 현상은 비용적인 면에서 많은 부담이 되고 있으나 상황만 된다면 영어유치원을 보내는 것을 고민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어느 학 부모들의 인터뷰(유정임, 2024)를 통해 요즘 부모들의 목소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자녀를 키우는 비용은 고용상황의 불안정이나 집값 등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불안을 가진 젊은 세대들의 결혼 과 출산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이루어진 영어유치원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유치원 영어교육 현황과 실태에 관 련된 연구(이윤진, 문무경, 김문정, 2011;임은미, 2021), 영어유치원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의 목 적과 경험에 관련된 연구(변수용, 정희진, 안지빈, 2018;이성숙, 2023;이율이, 양성숙, 2009), 영어 유치원을 경험한 성인의 경험 연구(정해욱, 강민지, 2023), 영어몰입기관을 보내는 부모들의 신념이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황근희, 최나야, 2018) 등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유아교육 분야에서의 학 술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렇게 영어유치원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수요의 증가와 관심에 대해 영어유치원을 유아교육학 적, 생애 발달적, 사회학적으로 들여다볼 필요성이 있으며 지속적 연구의 누적된 결과를 통한 합리적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현대사회는 매우 다양하고 하루에도 수많은 일들이 도처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뉴스 기사를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 다. 특히 뉴스는 대중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사회적 의제를 설정하며, 사람들의 인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한다. 즉, 뉴스는 사회적 이슈와 사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며, 뉴스 기사 를 통해 대중은 사회적 동향, 정치적 상황, 경제적 변화 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여론 형성에도 영 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뉴스 기사 분석은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데 도움을 준다. 뉴스 기 사의 출처, 사실 여부, 편향성 등을 분석하여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렇게 뉴스는 사회적 영향력을 지니기에 뉴스 기사 분석을 통해 어떤 이슈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어떤 의견이 보도되고 있 는지 등을 파악하여 여론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기에 중요하다. 미디어 구성주의 입장에서는 미디어가 사회적 현실에 영향력을 미치고 여론 형성에 있어서 그 중요성을 더한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뉴스가 그 보도에 접하는 사람들의 인식 구성에 영향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 키 워드 네트워크를 통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에 영어유치원과 관련된 기사에서 등장하는 추이와 주요 키워드를 탐색하고, 주요 키워드들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여 네트워크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어유치원에 대한 교육학 적, 발달적 입장과 교육수요자의 입장에서의 이슈 등을 분석하여 사회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기초 자료 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추이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주요 키워드는 무엇인가?

    • 연구문제 3.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주요 키워드들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영어유치원에 관한 분석을 위해서 2000년도 이후의 ‘영어유치원’을 포함하고 있는 뉴스 기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빅카인즈(BIG KINDS; Korea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 https://www.bigkinds.or.kr)를 활용하여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빅카인즈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뉴스 분석 시스템으로, 뉴스의 검색 뿐 아니라 관계도 분석, 키워드 트렌드, 연관 어 분석, 형태소 ‧ 개체명 분석 등의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영어유치원을 포함한 뉴 스 기사를 분석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영어유치원’을 핵심 검색어로 하여 2000년 1월 1일 부터 2023년 9월 30일까지의 뉴스 기사를 전국일간지, 경제일간지, 지역일간지, 방송사, 전문지를 모 두 포함한 54개의 언론사로부터 추출하였다. 추출된 영어유치원 포함 뉴스 기사는 모두 4,373건이었 다. 빅카인즈를 활용한 뉴스 기사 검색은 <그림 1>과 같이 진행되었다.

    ‘영어유치원’ 포함 뉴스 기사는 전국일간지(11개), 경제일간지(8개), 지역일간지(28개), 방송사 (5 개), 전문지(2개) 등 54개 언론사 전체에서 보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대상 뉴스 기사를 언론사별로 분류하면, 가장 많은 뉴스 기사를 보도하였던 언론사는 1위에서 3위까지 모두 전국일간지 였으며, 내일신문(326건), 중앙일보(246건), 경향신문(244건)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4위는 경제 일간지인 매일경제(233건)였으며, 5위는 지역일간지인 매일신문(232건)이었다. 54개 언론사와 언론 사별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 수는 <표 1>과 같다.

    2. 자료분석

    분석대상 뉴스 기사들은 빅카인즈로부터 데이터를 엑셀 프로그램으로 다운로드 하여 언론사별로 뉴 스 기사의 수를 산출하여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문제 1의 연도별, 월별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키 워드 트랜드를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문제 2의 주요 키워드 분석을 위해서는 주요 키워드에 따른 상위 100건의 뉴스를 바탕으로 연관어 분석을 실시하여, ‘워드 클라우드’를 통해 영어유치원과 관련된 주요 키워드들을 시각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주요 키워드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관계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빅카인즈의 관계도 분석은 개체명 추출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검색 결과 중 정 확한 상위 100건의 뉴스 본문에 대해서 형태소 분석을 실시하여 명사상당어구를 추출하고, 이를 개체 명 분석 알고리즘(Structured SVM (Support Vector Machine))을 적용하여 개체명의 관련 기사 건 수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뉴스 기사들의 가중치는 6이상 54이 하로 나타났는데, 보다 자세한 관련성 확인을 위해서 가중치를 3으로 적용하여 표출되는 개체명의 개 수를 확대하여 확인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연도별, 월별 추이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 건수는 2000년 이후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3년 403건을 기점으로 2014년에는 급격히 하강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후 2016년 146건으로 꾸준한 하락세를 보 이다가 다시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며, 2020년 331건으로 다시 급상승의 모습이 나타났다. 이후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147건, 151건으로 다시 감소하였다가 2023년 9월 말까지의 기사 건수는 275건으로 다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연도별 추이는 <그림 2>와 같다.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월별 추이를 살펴보면, 대체로 11월에서 2월 사이에 증가하는 현상이 보였다.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월별 추이는 <그림 3>과 같다.

    2.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주요 키워드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 분석을 통해 시각적으로 살펴보면, 학부모들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유아 대상 영어학원, 일반 유치원이 그 다음으로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습비, 영어교육, 학원비, 아 이들 등의 단어가 그 뒤를 이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사교육, 교육비, 대학 등록금, 강남, 교육부 등 의 단어도 주요 키워드로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사교육으로서의 영어유치원에 대한 학부모들의 비용 부담이 주요 이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워드 클라우드는 <그림 4>와 같다.

    3.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주요 키워드들 간의 관계

    주요 키워드는 인물(노랑) 5, 장소(초록) 18, 기관(파랑) 10, 키워드(빨강) 25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의 관계는 연결 관계가 가장 큰 학부모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주요 키워드들 간의 관계도를 시각적으로 살펴보면, 강남, 미국, 유아교육법, 강남구, 교육부 등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형 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인물 5명에서 문단열은 영어 강사였으며, 전희경, 안민석, 조전혁 은 전 ‧ 현직 국회의원으로 교육위원회에 소속되어 교육 관련 법안에 발의에 관련된 인물로 영어유치원 에 대한 관심을 나타낸 결과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조기영’의 경우에는 조기영어사교육, 조기영어수 업 등의 기사 내용으로 인하여 발현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따라서 관계도에서는 나타날 수 밖에 없으나 인물로 볼 수 없으므로 노드에서는 삭제하여 인물 4로 관계도에 제시하였다. 또한 ‘대상’의 경우 에도 유아 대상, 5세~7세 대상 등의 기사 내용으로 인하여 발현되었다고 판단되어 노드를 삭제하여 기 관 9로 관계도에 제시하였다.

    학부모를 제외하면, 주로 장소에서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장소를 중심으로 살펴 보면, 미국보다도 강남, 강남구의 경우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소위 학군지라고 불리는 대 치동, 서초동, 서초구, 목동, 양천구, 송파구 뿐 아니라 전남, 부산, 백석동, 용산구, 성남시, 경기도 등 의 키워드들과도 네트워크가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어유치원이 일부 지역의 소수 유 아들만의 문제가 아님에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기관 관련 네트워크를 살펴보면, 교육부를 중심으 로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었으나,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서울시교육청, 경기도 교육청, 정당 등의 기관들은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고는 볼 수 없었다.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학부모 외에도, 유아교육법, 프로그램, 선생님, 초등학생 등이 비중있는 주요 키워드로 네트 워크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주요 키워드들 간의 관계도는 <그림 5>와 같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영어에 대한 관심과 발달적, 사회적 방향성의 제고를 위해 2000년부터 현재까 지 ‘영어유치원’과 관련된 뉴스 기사에 대해 빅카인즈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 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어유치원과 관련된 뉴스 기사의 추세는 주로 2000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13 년부터 2014년까지 감소했으며, 2016년까지 꾸준한 감소를 보이다가 이후 2020년까지 다시 증가세 가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는 다양한 요인에 의한 영향으로 해석되는데, 특히 교육 시스템이나 정책 변 화, 경제적 요인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2013년은 유아교육에 있어서 매우 의미있고 중요한 해이다. 5 세 누리과정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으로 확대되어 유아교육 교육과정이 전환되었고, 영유아의 평등 한 교육과 보육기회를 국가가 제공하고 동등한 학습 출발선 보장을 위해 유아 학비 지원을 시행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특히 생애 초기부터 불평등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데 정책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이러한 국가적 지원은 유치원, 어린이집의 경우 해당되지만, 영어유치원의 경우 지 원대상에서 제외되었다. 하지만 국가적 지원에서 제외되는 영어유치원에 대한 관심과 요구는 지속되면 서 관심 뉴스가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이유로 정책의 초기가 지난 이후 다시 뉴스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6년 이후 다시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2016년은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16~2020)이 발표되었고, 2018년에는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0.98로 1명 미만으로 나타나 인구 절벽, 국가소멸의 우려까지 대두된 것이다. 정책이 발표되는 시점에는 정책에 대한 홍보와 기대감이 등 장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내용이 다뤄지게 된다. 이에 대중은 미디어로 접하는 뉴스를 통해 여러 가지 반응을 보이게 되는데, 학부모들은 대체로 정책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미래 사회를 살아갈 자녀의 교육에 대한 불안과 대책 등에도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사교육 과열 현상은 인구 감소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현상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볼 수 있기에 영어유 치원은 간과할 수 없는 사회적, 교육적 논의의 대상이 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월별 영어유치 원의 뉴스 기사수의 추이를 살펴보면, 11월에서 2월 사이에 증가세가 나타났다. 이 시기는 학부모들이 주로 기관을 선택하는 시기임을 고려할 때 뉴스기사를 통해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사 료된다.

    둘째,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 분석을 통해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주요 키워드를 시각적 으로 살펴보면, ‘학부모들’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유아 대상 영어학원’, ‘일반 유치원’ 그리고 ‘학원 비’, ‘교육비’ 등의 비용과 관련된 내용이 주요 이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아가 교육의 직접적인 대 상이지만 관심과 선택은 학부모들이므로, 실제 수요자로서 뉴스의 중심에 있는 셈이다. 이는 유아의 발 달적, 교육적인 부분보다 학부모의 경제적, 정서적 요인들이 더 중요하게 반영될 수 있다는 것을 단적 으로 보여주고 있다. 영어유치원과 상급학교 진학 계획과의 관계성 연구(변수용, 정희진, 안지빈, 2018) 결과에 따르면, 부모들은 영어라는 문화자본을 보다 어린 나이에 습득하도록 돕고, 명문대 입학 으로 이어지는 엘리트 코스의 시작, 사회 ‧ 경제적 지위를 반영하는 등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또한 경쟁적 조기 성취와 사회관계망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기때문에(이율이, 양성은, 2009), 소자녀 부모의 교육에 대한 관심과 요구는 영어유치원에 대한 관심과 입학으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었 다. 즉, 영어유치원은 학비지원이나 무상교육의 혜택에서 벗어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교육적 이 점에 대한 기대로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본 연구의 연구결과와도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는데, 영어유치원의 경우 비용문제와 관련된 이슈가 뒤따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사회 계층 차 이를 양산하는 등의 비판을 받고 있어 역시 논란의 대상되고 있다.

    셋째,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기사의 주요 키워드들 간의 관계는 연결 관계가 가장 큰 ‘학부모’를 중심 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학부모를 제외하면 주로 장소와 함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이나 강남구의 경우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전남, 부산 등 다양한 지역의 키워드들과도 네트워크 형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영어유치원에 대한 관심이 이미 강남의 일부가 아니 라 우리나라 전체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영어유치원이 일부 지역의 소수 유아들만의 문제가 아님 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영어유치원은 한국사회에서 교육적 성공과 계층이동에 있어서 영어의 중요성 증대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은 계층 재생산의 공간의 역할을 한다는 변수용, 정희진, 안지빈 (2018)의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이다. 또한 교육의 관련 네트워크에서는 ‘교육부’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가 형성되고 있었으나 기타 다른 기관들은 네트워크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다. 이는 영어유치원이 공 교육에서 벗어나 있는 학원이므로 정부를 대변하는 ‘교육부’와 관련지어 언급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 다. 또한 ‘학부모들’ 외에도, ‘유아교육법’, ‘프로그램’, ‘선생님’, ‘초등학생’ 등이 비중있는 주요 키워드 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음이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영어유치원 기사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교육대상자인 ‘유아’나 교육 행정 당국인 ‘정부’, ‘교육부’는 거의 드러나지 않고 ‘학부모들’이었다는 점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영 어유치원’ 관련 기사에서는 교육의 주체인 ‘유아’나 ‘영어유치원의 교수학습방법’, ‘교사’ 등 교육의 질 자체 보다는 ‘학부모들’이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의미한다. 정해욱과 김유리(2020)는 유아의 영어 교육 전반에 관련된 신문 사설의 담론을 분석한 연구에서 신문사설이 유아 대상 영어교육을 매개로 하 여 그 대책이나 문제점을 다루기보다 정치적으로 정부의 교육정책을 비판하고, 영어교육 정책의 방향 성에 대한 논의나 전문가의 의견 역시 배제되고 있었음을 지적하였는데,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도 일맥상통한다. 부모의 신념은 영어교육에 대한 시기나 방법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Stipect et al., 1992). 따라서 선택권을 가진 학부모들은 자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부모의 욕구와 기대를 조율하여, 궁극적으로는 부모와 자녀가 모두 행복할 수 있도록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고 부모교 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유이기의 뇌발달과 전인발달의 중요성은 생애 발달에 있어서 다른 시기에 비해 매우 중요한 발달적 이슈가 된다. 이러한 이슈는 공교육 뿐 아니라 사교육일지라도 적용되어야 하며, 유아 시기의 교육과 관련된 모든 기관에 일관된 주요 가이드라인이 있어야 할 것이다. 즉, 학부모의 요구를 고려하되 유아 기의 특성을 반영한 정책과 관리가 필요하다. 이제 더 이상 생애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유아기를 전문 가의 의견을 배제한 채 사교육 시장에 맡기거나, 유아기의 교육을 교육과정과 교사의 질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정부 차원의 관리 및 대응이 어려운 공공성을 갖지 않는 사각지대(정해욱, 강민지, 2023)에 두는 것은 안된다. 유아 대상 영어학원, 영어유치원도 그 시스템을 감독하고 규제하여 유아들 의 건강과 행복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00년 이후의 영어유치원에 대한 뉴 스를 검색하여 분석함으로써 유아기 영어교육에 대한 공공성과 유아 중심 교육으로의 방향성을 설정하 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저출산의 핵심 이슈인 육아와 자녀교육에 대한 경 제적 부담 및 육아의 불안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고, 소자녀를 출산하여 어린 시기부터 입시를 위한 준 비로서 이루어지는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방향 전환이 필요함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한편 미디어의 사 회적 역할을 강조하고 교육학적, 발달적 입장과 교육수요자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한 뉴스와 신문사설 등 다양한 언론의 역할을 촉구하며, 추후 연구에서는 사설을 포함한 담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기 를 기대한다.

    Figures

    KJFW-29-1-207_F1.gif
    빅카인즈를 활용한 영어유치원 뉴스 기사 검색
    KJFW-29-1-207_F2.gif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연도별 추이
    KJFW-29-1-207_F3.gif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월별 추이
    KJFW-29-1-207_F4.gif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워드 클라우드
    KJFW-29-1-207_F5.gif
    영어유치원 관련 뉴스 기사의 주요 키워드들 간의 관계도

    Tables

    영어유치원 포함 뉴스 기사 개수 (N = 4,373)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2. 교육부 (2013.3.13.). ‘영어유치원’ 명칭 사용 관련 협조 요청. https://moe.go.kr/boardCnts/listRenew.do?type=default&page=94&boardID=295#에서 2024년 1월 30일 인출
    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4. 김근혜, 홍순옥, 탁장환 (2014).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5, 97-116.
    5. 김명하 (2023). 계급 재생산 도구로 작동하는 유아대상 영어학원. 사교육 출발지 영유아, 국가책임교육 강화 를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영유아사교육포럼 10주년 기념 컨퍼런스 자료집, pp. 75-102. 8월 21일. 서울: 한국 프레스센터.
    6. 김민화, 유연옥 (2012).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의 유아영어교육방법과 유아영어교사의 실태. 아동교육, 21(4), 153-168.
    7. 김혜미 (2017).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영어교육 방법. 영미어문학, 126, 171-193.
    8. 변수용, 정희진, 안지빈 (2018). 영어유치원과 부모의 자녀에 대한 상급학교 진학 계획과의 관계. 교육사회학 연구, 28(2), 127-155.
    9. 엄정애 (2001). 놀이와 유아교육: 그 조화의 방향에 대한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5(3), 1-25.
    10. 용세현, 이성희 (2018). 유아기 자녀의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들의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2), 14-24.
    11. 유정임 (2024). 우먼센스-학부모 3인 인터뷰, 영어유치원 선택한 이유에 대해. 서울문화사. https://v.daum.net/v/20240119090107589 에서 2024년 01월 31일 인출.
    12. 이성숙 (2023). 영어유치원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7(7), 593-605.
    13. 이율이 양성은 (2009). 자녀를 영어유치원에 보내는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연구. 생활과학학회지, 18(5), 1-10.
    14. 이윤진, 문무경, 김문정 (2011). 반일제 이상 유아학원 운영 실태 연구. 육아정책연구, 5(1), 75-99.
    15. 임은미 (2021). 유치원 영어교육의 현황에 관한 연구.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6(3), 55-75.
    16. 정해욱, 강민지 (2023). 유아대상 영어학원을 다녔던 성인의 기관 경험 탐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8(5), 407-436.
    17. 정해욱, 김유리 (2020). 신문사설에 나타난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유치원 방과 후 영어 금 지’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5(3), 29-51.
    18. 황근희, 최나야 (2017).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일반유아교육기관 또는 몰입기관에 다니는 유아의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1), 189-211.
    19. Stipek, D. , Milburn, S. , Clements, D. , & Daniels, D. H. (1992). Parents' beliefs about appropriat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3(3), 293-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