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9 No.1 pp.149-169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4.29.1.9

The Influence of Support Service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Bicultural Attitude
by Social Support

Rae-Hyuck Lee, Jae-Kyoung Lee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Chungnam, Korea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Child and Social Welfare,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Gyeongbuk, Korea

* 본 연구는 순천향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하였음.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 사 2기 데이터 (MAPS 2기)」를 활용하였음.


Corresponding Author: Jae-Kyoung Lee, Assistant Professor, School
of Child and Social Welfare, Andong National University (E-mail: jkl@anu.ac.kr)
February 15, 2024 ; February 26, 2024 ; March 16, 2024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upport service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bicultural attitude by social support.


Methods:

To this end, using data from the 1st year survey of the 2nd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odels 4 and 7 of the Macro process method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irect,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Results:

First, support service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Second, results showed a full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icultural attitude on the
influence of support services on school adjustment. Third, multicultural
adolescents’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Conclusion:

Diverse ways to promote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다문화 청소년 지원 서비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래혁, 이재경

초록


    Ⅰ. 서 론

    다문화 청소년은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다문화가족의 청소년과 청소년복지지원법 제18조에 따라 청소년과 이주배경을 갖고 있는 한 명 이상의 부모를 둔 9세에서 24세까지 청소년을 의 미한다. 이들은 다문화, 외국인 자녀, 중도입국 자녀로 구분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의 지방자치단체 외 국인 주민 자녀 현황에 따르면, 2020년 11월 1일 기준 총 275,990명으로 미취학 아동 115,579명, 초 등학생 107,286명, 중고생 53,125명이다(양계민 외, 2022). 미취학아동이 학교에 진학함에 따라 초, 중, 고등학생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이고, 2015년부터 부모 모두가 외국인인 외국인 자녀의 수가 증가하고 있어 다문화 청소년의 증가세는 향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양계민 외, 2022). 다문화 청 소년은 비다문화 청소년과 달리 발달상의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으며, 가족 체계 내뿐만 아니라 또래집 단 내 정서적 고립과 주변화 경험 등의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김철희 외, 2023). 또한, 학교생활의 부적 응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민기채 외, 2021).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중요하다. 학교는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에 있어 가족과 마찬가지로 중 요한 역할을 한다(Schmälzle, 2001). 다문화 청소년에게 학교적응은 사회적 통합, 교육적 성공, 정서 적 안정성, 문화적 이해와 존중, 언어발달, 사회적 기술 발달에 도움이 된다(김철희 외, 2023). 하지만 다문화 청소년은 이중문화 적응 및 또래 친구들과의 교우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도남희, 2011;손한결, 2020). 또한, 상급학교로 올라갈수록 취학률이 감소하고(최윤정 외, 2019), 학업을 중 단하는 다문화 청소년이 증가하고 있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민기채 외, 2021).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 이론(social support theory)은 개인이 사회적 인 지지를 받을 때 학교적응이 향상된다고 설명한다(Taylor, 2011). 사회적 지지는 감정적 지지, 정보 적 지지, 실질적 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Dioh et al., 2023), 이중 실질적 지지는 구체적인 행동이나 자원을 통해 도움을 제공하는 것으로 물질적인 도움, 서비스 제공, 노동이나 시간의 제공 등을 포함하 며, 개인의 실제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Cross et al., 2018). 이러한 지지는 지지를 받 는 개인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자원을 갖추도록 도와주며, 전반적인 안녕과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다.

    한국은 실질적 지지의 한 형태로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 다양한 국가정책을 펼치고 있다. 여성가족부와 교육부 등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은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에 참여함으로써 다문화 청소년의 지원에 대한 규모를 키우고 있다(이진선 외, 2021). 구체적으로 다문화 청소년은 학교 나 다른 기관(예, 청소년단체, 종교단체)을 통해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한국어 교육, 학습 지도, 문화체험, 심리지원, 진로지원, 그 밖에 현금 및 현물지원 등을 받고 있다. 국가의 다문화 지원정 책으로서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 서비스는 개인과 가족을 넘어 생태체계 내에서의 사회적 삶을 평가할 수 있는 부분이 된다는 점에서 그 효과를 다룰 필요가 있다. 즉,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사 회적 지원 서비스는 학교적응을 도울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다문화 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프 로그램의 성과를 검증한 연구는 이진선 외(2021)의 연구가 전부이다. 이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자아존중감, 우울, 사회적 위축, 성취동기,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 고 있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어렵다. 청소년기는 학교생활이 중요한 과업임을 고려할 때,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은 정책효과를 평가함과 동시에 이 들을 지원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다문화 청소년은 이중문화를 가지는 특수성이 있다. 이중문화는 각 문화적 특성이 발휘되고 문화 정 체성이 통합하여 만족하는 방식으로 나타날 때 강점이 되는 특성이 있다(LaFromboise et al., 1993). 이에 다문화 청소년이 이중문화에 대한 수용태도를 갖는 것은 자신의 문화 정체성에 대한 수용성을 스 스로 평가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강점으로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문화적응 이론(cultural adaptation theory)은 다문화 청소년이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새로운 문화에 대한 이해와 적응이 점차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학교적응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Berry, 1997). 즉,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예측요인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과 비교할 때 학교적응을 잘하 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김윤정, 이진향, 2022;김철희 외, 2023)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 도와 학교적응의 정적 관계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사회적 지원 서비스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박지나 (2023)는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국가 정체성 확립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자녀 에 대한 지원정책 경험 유무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바 있다. 이는 다문화정책으로서 사회적 지원 서비스 가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것은 아니지만 다문화가족 지원정책과 이중문화 수용태 도의 상관성을 확인한 것이다. 즉, 사회적 지원 서비스의 경험은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형성하는 데 있 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예상해볼 수 있고, 이에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학교적응 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매개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이해하고자 할 때, 사회적 지지의 영향이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사회적 지지는 앞서 언급한 사회적 지지 이론에서 감정적 지지에 해당하며, 개인이 정서적 어려움이나 스트레스를 겪고 있을 때,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는 위로, 격려, 사랑, 신뢰, 이해 등의 정서적인 도움을 의미한다(Cross et al., 2018). 일반적으로 사회적 지지는 부모, 교사, 친구와의 관계로 조작화하여 제 시되는데, 사회적 지지는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신소영, 권성연, 2022). 사 회적 지지는 학교적응뿐 아니라 이중문화 수용태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조현지, 김준경, 2023;Kim & Kim, 2022). 사회적 지원 서비스라는 실질적 지지는 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특히 가족, 친구, 지역사회 구성원 등으로부터 중요한 사회적 지지의 형태로 전달되기에(Cross et al., 2018) 이러한 사회적 지지는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 되어 사회적 지원 서비스와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가정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지 원, 이중문화 수용태도, 사회적 지지, 학교적응 간의 연구는 단편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즉, 다문화 청 소년의 사회적 지원 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이를 매개하는 요인으로서 이중문화 수용 태도 및 조절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검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정책으로 다 문화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이들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사회적 지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사 회적 지지에 따른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원 서비스는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원 서비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셋 째, 사회적 지지는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원 서비스, 이중문화 수용태도, 학교적응 사이의 매개 관 계를 조절하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사회적 지원 서비스

    학교는 청소년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또래집단과 관계를 맺어 사회성을 발달시키며, 자립과 독 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곳이다. 이에 학교적응은 성인으로 성장함에 있어 중요한 발달 과업이다. 학교적응은 학교생활의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며, 학업 수행, 교사와의 관계, 또래관계 및 상호작 용, 학교 규칙과 문화에 대한 적응과 통합을 포함하며, 정서적 웰빙, 학업성취, 사회적 기술 발달에 중 요한 역할을 한다(김철희 외, 2023;박선우, 정제영, 2022).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중요하다. 하지만, 다문화 청소년은 비다문화 청소년과 비교하여 자신 의 의사와 무관하게 이중문화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문화적응이라는 과업을 수행해야 하기에 학교적응 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이래혁, 이재경, 2021). 민기채 외(2021)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 요인을 심리 ‧ 정서적 요인, 사회 ‧ 문화적 요인, 언어능력 요인, 경제적 요인 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다문화 청소년은 다른 문화적 환경에서의 성장으로 이질감과 불안함, 또래집 단으로부터 차별과 편견, 부모의 다른 가치관으로 인한 정체성 혼란, 열악한 학습환경과 언어 및 인지 발달 지연, 부모의 부족한 언어능력, 낮은 소득수준 등에 의해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민 기채 외, 2021). 즉, 다문화 청소년은 비다문화 청소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한 체계 내에서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 이들의 학교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민기채 외, 2021;박영준, 박진현, 2022;박선우, 정제영, 2022). 즉,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비다문화 청소년과 비교하여 이중 부담을 갖는 청소년 발달 과업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지원 하기 위한 체계적 접근과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설명하는 사회적 지지 이론은 다양한 체계 내에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 는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이론적 함의를 제공한다. 사회적 지지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삶에서 직면하는 스트레스와 도전을 극복할 때 주변으로부터 받는 지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사회적 지지가 개 인의 정신건강, 복지, 그리고 스트레스 대응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Schmälzle, 2001). 사회적 지지 이론은 개인이 스트레스와 삶의 도전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감정적, 정보적, 실질 적 지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Dioh et al., 2023;Schmälzle, 2001). 감정적 지지는 사랑, 신뢰, 공감 등의 형태로, 정보적 지지는 조언, 지침, 정보 제공의 형태로, 실질적 지지는 물질적 도움이나 서비스 제공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는 개인이 스트레스를 더 잘 관리하고, 위기 상황에서 회복 력을 발휘하며,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Schmälzle, 2001). Taylor(2011)는 사회 적 지지를 받을 때 학교적응이 향상된다고 주장하는데, 감정적 지지, 정보적 지지와 함께 실질적 지지 는 개인이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구체적인 행동이나 자원을 통해 도움을 제공하는 것으로 개인의 실제 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데 중점을 두기에 학교적응에 직접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Cross et al., 2018).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실질적 지지는 국가정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다문화 청소년 지원정 책은 2006년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지원 대책’을 수립하면서 시작되었다(이진선 외, 2021). 이는 한국 의 다문화가정과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등 이주 배경을 가진 인구의 증가와 맞물려 이들 가정의 아 동 ‧ 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적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여성가족부(2023)는 2023년 4월 ‘제4 차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하였고, 다문화 아동 ‧ 청소년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 강화 등 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어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실제적 지원이 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으 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다문화 청소년에 제공되고 있는 사회적 지원 서비스는 자녀 한국어 교육, 자녀 이중언어교육, 교과목 학습지도, 멘토링 프로그램, 무료 방문학습지, 특기 ‧ 적성 교육(음악, 미술, 체육, 무용 등), 문 화체험(한국예절, 한국역사 등), 문화공연 관람(뮤지컬, 연극, 영화, 음악회 등), 견학 및 체험활동(놀 이공원, 동물원, 아쿠아리움 등), 캠프, 심리적응 프로그램(상담, 심리치료, 집단상담, 대인관계 향상 등), 현금지원(장학금, 후원금, 학원비 등), 물적 지원(책, 학용품 등 물품지원), 진로프로그램(진로상 담, 진로체험활동, 진로 캠프 등)이다. 이러한 사회적 지원 서비스는 다문화 청소년이 학교나 다른 기관 (예, 청소년단체, 종교단체)을 통해 무료 또는 약간의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 지원정책으로서 제공되고 있는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 고자 한다. 이러한 정책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이진선 외(2021)의 다문화정책 효과성 연구가 있다. 이 연구는 우울과 사회적 위축,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등 개인의 심리정서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초 점을 두고 있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지원 서비스의 경 험이 실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정책의 효과와 이들의 학교적응 지원을 위한 실천 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2.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매개효과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야기하는 여러 요인 중 하나는 이들이 이중문화 배경을 가지 고 있다는 점이다(김윤정, 이진향, 2022;이래혁, 이재경, 2021). 이는 부모 중 한 사람이 한국 이외의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거나, 부모 모두 타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야 해서 문화적 응의 과업이 주어진 경우를 의미한다. 문화적응이론(cultural adaptation theory)은 다양한 문화적응 형태와 양상을 설명하고 있으나 전제는 두 가지 이상의 문화 배경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새로운 문화에 적응해야 하는 과업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Berry, 1997). 즉, 문화적응은 새로운 문화에 대한 이 해와 적응을 통해 사회적응의 과업을 완수하는 것이고, 이러한 사회적응은 다문화 청소년에게 있어 학 교적응의 과업을 완수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는 것이다.

    다문화가족 정책은 문화적응을 위해 다문화가정의 배경이 되는 이중문화에 대한 수용태도를 강조한 다. 제3차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은 다문화 청소년의 강점으로 이중언어 사용을 지원하는 방식을 취했고, 제4차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은 이중언어 지원 방식을 개편함은 물론 우수한 이중언어 능 력을 갖춘 다문화 아동 ‧ 청소년의 국제교류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여성가족부, 2023). 이는 단 순히 이중언어 습득뿐 아니라 이중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접근을 시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국가정책으로서 사회적 지원 서비스는 이들의 이중문화 수용을 지원하는 접근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학교적응은 다문화 청소년이 이중문화를 동시에 수용해야 하는 과업 속에서 고려되며, 이중문화 수 용태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다문화 청소년은 이중문화라는 특수성을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받아 들일 수 있으며, 긍정적인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갖는 경우 이중언어 및 태도라는 강점을 얻게 되지만, 부정적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갖게 된다면 문화적 갈등, 사회적 편견 등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이래혁, 장혜림, 2019). 다문화 청소년은 비다문화 청소년과 달리 또 다른 문화적 환경에서 성장하고 있다. 이 로 인해 다문화 청소년은 문화적 다름에 대한 이질감과 막연한 불안감을 경험할 수 있고(최윤미, 2012), 이중문화로 인한 부모의 다른 가치관이 정체성 혼란을 야기함은 물론 대인관계 형성에 부정적 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정현영, 2006). 한국말이 서툰 부모의 교육은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과 학습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이순비, 2010). 이처럼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정체성은 학교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이 이중문화에 대하여 긍정적 문화 정 체성을 형성하면 이중문화 배경이 갖는 한계를 상쇄함은 물론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 다. 관련하여 김윤정과 이진향(2022)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학 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한 바 있어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학교적응 에 미치는 관계를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

    더불어, 한국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은 이중문화 특성을 강조하고 있다. 제4차 다문화가족 정책 기 본계획은 이중언어 능력을 강조함으로써 이중문화 특성을 존중함은 물론 강점요인으로 강화하는 내용 을 담고 있다(여성가족부, 2023). 즉, 국가정책으로서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이 중문화 수용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해볼 수 있다. 관련하여 사회적 지원 서비스와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는 선행연구로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이 중문화 수용태도가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한 연구가 있다(박지나, 2023). 이 연구는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국가정체성 확립의 관계에서 다문화정책 프로그램 경험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고 있는데, 다문화정책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가족 지원정책과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박지나, 2023). 즉, 다문화정책 프로그램으로서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가정해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정책으로서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상정하고, 이 러한 관계를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3.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적 지지 이론은 감정적, 정보적, 실질적 지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한다(Schmälzle, 2001). 본 연구에서는 앞서 제시하였듯 사회적 지지로서 실질적 지지인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직접적으로 학교적 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국내 연구들은 이러한 사회적 지지의 성격을 분류하기보다 지 원하는 대상을 분류함으로써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친구, 교사의 지지의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박영 준, 박진현, 2022;박선우, 정제영, 2022;신소영, 권성연, 2022).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는 부 모, 친구, 교사의 지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조작화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응답자의 자기보고를 통해 확 인할 수 있는 심리적, 정서적 교류를 중심으로 한 지지의 개념을 다루고 있다(장혜림, 이래혁, 2019).

    사회적 지지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대다수의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사회적 지지를 구 성하는 하위요인으로써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 각각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까지 검증하고 있다(김태균, 정철상, 2020;신소영, 권성연, 2022; 장혜림, 이래혁, 2020; 전혜숙, 전종설, 2020). 선행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사회적 지지는 학교적응을 높이는 긍정적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즉, 이러 한 근거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에게 있어 부모, 친구, 교사에 의한 사회적 지지는 학교적응과 높은 상 관성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있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사회적 지지는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으나(조현지, 김준경, 2023;Kim & Kim, 2022), 실질적 지지로서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을 심리적, 정서적 지지로서 사회적 지지를 수반하는지 하지 않는지에 따라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영향 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즉, 실질적 지지로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미 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 수준과 강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이 다. 이는 국가정책이 효과를 가지는데 있어 개인을 둘러싼 미시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선행연구 가 부재하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이진선 외, 2021). 또한, 국가정책은 지역을 기반으로 집행되고, 실제 정책의 영향을 받는 개인은 인접 환경(부모, 친구, 학교 등)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정책 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지원 서비스 가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매개 효과가 사회적지지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그림 1>에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개념적 연구모형이 제시되어 있다. 모형이 보여주는 것처 럼 먼저,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 대상의 지원 서비스가 학교적응 수준을 높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 한다. 또한 지원 서비스 경험 수준이 높으면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수준을 높여 최종적으로 학교적응 수 준을 향상시키는 매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가정한다. 마지막으로 지원 서비스 경험이 이중문화 수용 태도를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커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

    2. 분석자료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하고 있는 다문화청소년 2기 패널 조사 1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2기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는 1기와 비교하여 중도입국가정 및 외 국인가정을 표본으로 포함하여 점점 다양화 되는 다문화가정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하며, 다문화가정 자녀의 발달 및 환경 특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측정을 통해 이들의 지원을 위한 정책적 근거를 제공하 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다문화청소년 1기 패널에서도 다문화가정은 포괄적으로 정의되었는데, 마찬가지로 2기 패널에서도 국제결혼가정, 외국인 노동자 가정, 외국인 부 모 가정 등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가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다문화청소년 2기 패널조 사에서는 2018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센터로부터 다문화 청소년이 재학 중 인 17개 시/도의 학교 목록을 추출하고 학교를 1차적으로 무작위로 선정한 후 해당 학교에서 4학년 다 문화 학생과 어머니(또는 주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본 연구에서 사용한 2기 1차 연도 자료는 최초에 2,271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는데, 주요변수인 지원 서비스 사용 유무에 응답하지 않은 22사례와 소득에 결측이 있는 3사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2,246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3. 변수측정

    본 연구의 주요변수들에 대한 내용과 측정방법이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먼저, 본 연구의 종속변수 인 학교적응은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에 포함된 4문항의 척도로 측정되었다. 해당 척도는 백혜정 외 (2017)의 연구에서 발췌 및 수정된 것으로 학교생활과 관련하여 수업 시간이 재미있는 정도, 공부하기 에 분위기가 좋은 정도, 선생님이 좋은 정도 등에 대하여 4점 리커트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 4점 ‘매우 그렇다’)로 응답한다. 4개 문항의 평균 점수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의 수준이 높음을 가리킨다.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원 서비스는 14개 서비스 영역에 대한 경험 유무로 측정되었다.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에서는 김영혜 외(2016)의 연구를 기반으로 다문화 청소년이 학교나 다른 기관(예, 청소년단 체, 종교단체)을 통해 무료 또는 약간의 비용을 지불하고 지원 서비스를 경험하였는지에 대하여 질문하 였다. 14개의 지원 서비스는 한국어 교육, 학습지도, 문화체험, 심리지원, 진로지원, 현금 및 현물지원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서비스에 대하여 자녀가 이용한 적이 있으면 어머니가 ‘예(1)’, 없으면 ‘아니오(0)’로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4개의 문항의 총점을 구하여 누적 척도로 활용하여 점수가 높으면 서비스 참여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에서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노충래와 홍진주(2006)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 문항을 발췌 및 수정하여 측정되었다. 응답 청소년은 한국문화를 즐기는 정도, 모국문화를 즐기는 정 도, 부모님이 외국인이라는 것이 자랑스러운 정도 등의 10개 문항에 대하여 4점 리커트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 4점 ‘매우 그렇다’)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 점수를 활용하여 점수가 높으면 태 도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안정적이었다.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에 포함된 세 개의 하위척도를 토대로 측정하였다.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는 김순규(2001)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수정하여 부모지지와 관련된 6개 문항을 포함하였다. 또한 한미현(1996)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발췌 및 수정하여 교사지지 3문항과 친구지지 3문항을 활용하였다. 부모지지의 경우 부모님이 공부하라고 격려하는 정도, 관심을 보여주는 정도, 필요로 하는 것들을 제공해주는 정도 등의 문항에 4점 리커트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 4점 ‘매우 그렇다’)로 응답하였다. 교사지지는 담임선생님이 나를 걱정해주는 정도, 나를 중요하게 여기는 정도 등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친구지지는 친구들이 나와 지내는 것을 좋아하는 정도, 친구들이 나를 잘 이해해주는 정도 등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응답 청소년은 부모지지와 친구지지 문항에 5점 리커 트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로 보고하였다. 사회적 지지 점수를 측정하기 위해 먼저 부모지지 문항의 응답 점수를 4점에서 5점으로 전환한 후 세 가지 하위 영역의 12문항의 평균 점 수를 산출하였다. 점수가 높으면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통제변수로 자녀 성별(0 ‘여자’, 1 ‘남자’), 자녀 건강상태(0 ‘좋음’, 1 ‘좋지 않음’), 부모 교육수준(부모 중 높은 교육수준으로 측정함; 0 ‘고등학교 졸업 이하’, 1 ‘대학교 재학 이 상’), 가구 소득(월 평균, 만 원, 자연로그로 변환함), 다문화가정 유형(1 ‘다문화가정’, 2 ‘중도입국가 정’, 3 ‘외국인가정’), 거주지역(1 ‘대도시’, 2 ‘소도시’, 3 ‘읍면지역’)을 포함하였다.

    4. 분석방법

    가설 검증을 위해 SPSS(버전 25)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빈도, 평균, 상 관관계 분석을 통해 분석에 포함된 모든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수행 하여 지원 서비스(독립변수)가 학교적응(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셋째, Process macro 모델 4를 사용하여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모델 4는 두 단계의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한 후 붓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도를 검증해준다(Hayes, 2022). 모델 4의 두 단계 회귀분석은 지원 서비스가 이중문화 수용태도(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형과 지원 서 비스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형이다. 넷째, Process macro 모델 7 을 사용하여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모델 7은 두 단 계의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산출해주고 붓스트래핑을 통해 조절된 매개효 과 및 조절된 매개지수의 유의도를 검증해준다(Hayes, 2022). 모델 7의 두 단계 회귀분석은 지원 서비 스, 사회적 지지, 지원 서비스와 사회적 지지 사이의 평균중심화된 상호작용항이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형과 지원 서비스 및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모형 이다. 모든 회귀분석 모형에는 통제변수가 포함되었다. 붓스트래핑의 반복표본 수는 10,000개로 설정 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주요변수 및 분석대상의 특성

    <표 2>를 살펴보면, 독립변수인 다문화 청소년 대상의 사회적 지원 서비스는 총 14가지 유형으로 구 성되었고, 평균적으로 3.09개(SD=3.36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이중문화 수용태도 는 1점에서 4점까지 분포하는데, 평균 2.96점(SD=.44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 다.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의 경우 1점에서 5점의 분포 중 평균 3.97점(SD=.59점)으로 다소 높은 수 준을 나타냈다. 종속변수인 학교적응은 1점에서 4점의 분포에서 평균 3.22점(SD=.50점)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표 2>에서 분석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자녀 성별의 경우 여자 청소년 1,102(49.1%) 명, 남자 청소년 1,144명(50.9%)으로 거의 비슷하게 분포했다. 자녀 건강상태는 1점에서 4점의 분포 에서 평균 3.49점(SD=.55점)으로 대부분의 응답 청소년이 자신의 건강을 상당히 좋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교육수준은 아버지나 어머니의 교육수준 중 더 높은 것을 보고한 것으로 고등학 교 졸업 이하인 경우가 1,410(62.8%)명으로 대학교 재학 이상인 경우 836명(37.2%)보다 훨씬 더 많 았다. 월평균 가구 소득은 315.33만 원(SD=150.23만 원)으로 나타났고, 가구유형 중 다문화가정이 1,717명(76.4%)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외국인가정 354명(15.8%), 중도입국가정 175명(7.8%) 순 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거주지역은 소도시가 1,162명(51.7%)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대도시 756명(33.7%), 읍면지역 328명(14.6%) 순으로 나타났다.

    <표 3>은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를 보여주는데, 지원 서비스는 이중문화 수용태도(r=.109, p<.001) 및 학교적응(r=.047, p<.05)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사회적 지지(r=.493, p<.001) 및 학교적응(r=.337, p<.001)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마 지막으로 사회적 지지는 학교적응(r=.557, p<.001)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졌다.

    2. 지원 서비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표 4>는 첫 번째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이다. 즉, 다문화 청소년의 지원 서비스가 학교적응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했고(F=35.527, p<.001), 지원 서 비스(B=.008, p<.001)가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는 다문화 청소년이 더 많은 사회적 지원 서비스를 경험할수록 학교적응의 수준이 높아짐을 보여주는 것으로 첫 번째 가설이 지지됨을 알 수 있다. 분산팽창요인(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값을 통해 분석에 투입된 변수들 간에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3.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매개효과

    <표 5>는 두 번째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먼저, Process macro 모델 4의 1단계에서 지원 서비스가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해당 모형의 적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F=36.749, p<.001), 지원 서비스(B=.014, p<.001)가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모델 4의 2단계에서 지원 서비스와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했 고(F=48.783, p<.001), 이중문화 수용태도(B=.285, p<.001)만 학교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모델 4의 2단계 분석을 기반으로 산출된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매개효과는 .004였고, 통계적으로 유 의했다(CI=.002~.006). 즉, 다문화 청소년의 지원 서비스 경험 수준은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수준을 높여 학교적응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가설이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표 4>에서 지원 서비스의 학교적응에 대한 회귀계수가 <표 5>의 2단계 분석에서 매개변수 를 추가한 후 크기가 감소하여 더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연구에서 이중 문화 수용태도는 완전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4.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표 6>은 세 번째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이다. Process macro 모델 7의 1단계 분석 모형은 통계적 으로 유의했으며(F=79.798, p<.001), 상호작용항(B=.020, p<.001)이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통계적 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상호작용항을 분석 모형에 추가하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모형 의 설명력을 높이고 있었다(F=26.538, p<.001).

    <그림 2>는 조절효과를 보여주는데, X축, Y축, 넓은 점선, 실선, 가는 점선은 각각 지원 서비스, 이 중문화 수용태도, 낮은 수준, 중간 수준,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를 가리킨다. <그림 2>에서 지원 서비 스와 이중문화 수용태도 사이의 정적 관계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낮을 때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사 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해당 영향력이 점점 더 강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Process macro 모델 7의 2단계 분석이 <표 6>의 2단계에 제시되어 있는데, <표 5>의 2단 계 분석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표 6> 하단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에서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매개효과는 사회적 지지 의 수준이 낮을 때 .000(CI=-.003~.003), 중간일 때 .003(CI=.002~.005), 높을 때 .007(CI= .005~.009)로 점점 증가했다.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을 때의 조건부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중간 및 높은 수준의 조건부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또한 조절된 매개효과 간 차이 를 보여주는 매개지수가 .006(CI=.003~.009)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를 통해 다문화 청소년의 지원 서비스가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더 커진다는 가설이 지지됨을 확인하였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각 연구가설을 중심으로 주요 결과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학교적응 수준을 높일 것이라는 연구가설에 대해 다문화 청 소년이 더 많은 사회적 지원 서비스를 경험할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가정 책으로 제공되는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 선행연 구가 없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 하지만, 유사연구로 다문화정책 프로그램의 경험유무와 우울, 사회 적 위축,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사이의 관련성을 검증한 이진선 외(2021)의 연구와 비교해볼 수 있다. 이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이들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성취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비록 본 연구와 동일한 연구모형의 설정은 아니지만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삶의 만족도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해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윤정, 이진향, 2022;김철희 외, 2023;박선우, 정제영, 2022;신소영, 권성연, 2022). 즉, 국 가정책으로서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본 연구는 이러 한 연구결과와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 이론에서 강조하 고 있는 것처럼, 사회적 지지의 한 형태로 실질적 지지가 개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 적 지원이 학교적응을 향상시킨다는 주장을 지지한다(Schmälzle, 2001;Taylor, 2011).

    정리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ㆍ실천적 함의를 동시에 갖는다. 사회적 지지 이론 을 통해 강조되는 것처럼, 구체적인 행동이나 자원을 제공하는 실질적 지지는 개인의 실체적 필요를 충 족시킴으로써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국가정책으로 다뤄지는 다 문화 청소년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지원 서비스(자녀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교육, 학습지도, 멘토링, 심리적응 프로그램, 현금지원, 물적 지원, 진로프로그램 등)의 효과는 다문화 청소년이 학교에 적응하 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다문화 청소년의 발 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현재 당면한 다문화 청소년이 경험하는 학교 적응의 어려움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국가정책을 개발하고 확대함에 있어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문화 청소 년을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함에 있어 적극성과 책무성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사회적 지원 서비스 경험 수준이 높으면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수준을 높여 최종적으로 학교적 응 수준을 향상시키는 매개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연구가설이 증명되었다. 다문화 청소년에게 이중문 화는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따라 강점 또는 약점이 될 수 있다. 선행연구들은 이중문화에 대한 수용태도를 갖는 것이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김윤정, 이진향, 2022;김철희 외, 2023). 본 연구에서도 강점으로서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지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특 히,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청소년이 긍정적인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학교적응력을 향상하는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문화 청소년은 심리 ‧ 정서적 요인, 사회 ‧ 문화적 요인, 언어 능력 요인, 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학교생활에 있어서 부적응을 경험한다(민기채 외, 2021). 다문화 청소년을 둘러싼 다양한 체계의 위험요인과 부정적 영향에 대해 이를 상쇄시킬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써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실천적 함의가 명확한 요인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도 확인되었다. 이는 다문화가족 지원정책과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박지나 (2023)의 연구를 지지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다문화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에 중 요한 강점이 됨을 고려할 때, 사회적지지 체계로서 사회적 지원이 다문화 청소년에게 중요한 기능을 하 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3년 발표된 여성가족부의 제4차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은 다문화 아동ㆍ 청소년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에 따른 사회적 지원 서비스는 향후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비롯하여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통해 발달과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원 서비스 경험이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 는 매개효과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먼저, 사회적 지지가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다는 선행연구(조현지, 김준경, 2023;Kim & Kim, 2022)와 사회 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김태균, 정철상, 2020;신소영, 권성연, 2022; 장혜 림, 이래혁, 2020; 전혜숙, 전종설, 2020)의 결과와 관련이 있다. 즉, 사회적 지지는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정서적 지지 기반이 됨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에 더해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원 서비스 경험이 이중문화 수용태도를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확 인한 것이다. 다시 말해, 다문화 청소년에게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만으로도 이중문화 수용 태도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부모, 교사, 친구의 지지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 지지의 수준 에 따라서 이러한 영향의 정도와 강도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즉, 국가정책의 효과를 기대함에 있어 다문화 청소년 개인을 둘러싼 인접환경의 영향이 중요한 만큼 단순히 정책집행이 아닌 다문화 청소년 을 위한 사회적지지 체계를 기반으로 한 지역공동체 구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현재 지역사회 내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지원은 ‘가족센터’가 주로 담당하고 있다. 여성가족부를 중 심으로 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에 대해 지역사회 내 가족센터가 실질적인 사회적 지원 서비스 제공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족센터는 다문화 청소년에게 사회적 지원 서비스를 제 공함으로써 국가정책을 집행하는 기관의 역할 뿐 아니라, 이러한 서비스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다 문화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지지 체계를 형성할 수 있는 지원도 병행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활용되어야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활용한 주요변수 중 지원 서비스를 제외하고 모두 청소년이 자기보고로 응답하여 측정오류가 존재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기반으로 모형을 구성하였지만, 횡단 자료 분석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본 연 구에서 살펴보는 경로들을 인과관계로 해석하는 것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이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다문화 청소년 표본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원 서 비스의 경험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메커니즘을 규명한 하나의 시도로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특히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 및 구체화를 위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 에서도 기여하는 바가 있다.

    Figures

    KJFW-29-1-149_F1.gif
    개념적 연구 모형
    KJFW-29-1-149_F2.gif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ables

    주요변수와 측정
    분석대상 및 주요변수의 특성
    주. <i>N</i>=2,246. 왜도/첨도 통계치: 지원 서비스 1.137/.602, 이중문화 수용태도 -.227/1.084, 사회적 지지 -.310/-.101, 학교적응 -.367/.414.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주. <i>N</i>=2,246. <sup>*</sup><i>p</i><.05, <sup>***</sup><i>p</i><.001
    지원 서비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주. <i>N</i>=2,246. 다문화가정 유형은 다문화가정이 기준범주이며, 거주지역은 대도시가 기준범주임. <sup>*</sup><i>p</i><.05, <sup>**</sup><i>p</i><.01,<sup>***</sup><i>p</i><.001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매개효과
    주. <i>N</i>=2,246. 다문화가정 유형은 다문화가정이 기준범주이며, 거주지역은 대도시가 기준범주임. <sup>*</sup><i>p</i><.05, <sup>**</sup><i>p</i><.01,<sup>***</sup><i>p</i><.001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주. <i>N</i>=2,246. 다문화가정 유형은 다문화가정이 기준범주이며, 거주지역은 대도시가 기준범주임. <sup>*</sup><i>p</i><.05, <sup>**</sup><i>p</i><.01,<sup>***</sup><i>p</i><.001

    References

    1. 김순규 (2001). 청소년의 학업중퇴 결정요인: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영혜, 김다경, 신희연 (2016). 경기도 다문화 자녀양육 실태 및 지원방안. 수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3. 김윤정, 이진향 (2022).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의 다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 131-142.
    4. 김철희, 문선혜, 송진영 (2023).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2(1), 23-39.
    5. 김태균, 정철상 (2020).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의 조절효과 검증 을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8(4), 43-54.
    6. 노충래, 홍진주 (2006).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실태연구: 서울경기지역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 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2, 127-159.
    7. 도남희 (2011).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일상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Comparative Korean Studies, 19(1), 161-194.
    8. 민기채, 김혜원, 반소영, 사유림, 양유라, 이호진, 조요셉 (2021).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조례 개정 방안: 경기도와 충청북도 및 안산시와 충주시 비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 구, 41(1), 343-361.
    9. 박선우, 정제영 (2022).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육문화연구, 28(1), 223-248.
    10. 박영준, 박진현 (2022).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4), 577-590.
    11. 박지나 (2023). 다문화가정자녀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이중문화수용태도가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구조적 관 계: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경험 여부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16(1), 165-190.
    12. 백혜정, 임희진, 김현철, 유성렬 (2017). 2017 청소년종합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13. 손한결 (2020).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신소영, 권성연 (2022).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의 구조관계분석. 평생학습사 회, 18(1), 67-91.
    15. 양계민, 이정민, 정윤미, 엄진섭, 장윤선, 정경숙 (2022). 2022 다문화청소년 종단연구: 총괄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여성가족부 (2023). 제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 서울: 여성가족부.
    17. 이래혁, 이재경 (2021).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동기를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55, 53-78.
    18. 이래혁, 장혜림 (2019).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학습태도의 관계: 자아탄력성을 통한 친 구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7(3), 103-114.
    19. 이순비 (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진선, 강영숙, 오종철 (2021). 다문화정책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다문화정책프로그램 경험 유무에 따 른 다문화청소년들의 우울과 사회적위축이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35(4), 1-22.
    21. 장혜림, 이래혁 (2019).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지지가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을 매개로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47, 189-218.
    22. 정현영 (2006).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3. 전혜숙, 전종설 (2020).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 력성, 교유관계 및 교사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7(8), 223-255.
    24. 조현지, 김춘경 (2023).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이중문화 수용태도의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 623-637.
    25. 최윤미 (201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윤정, 김이선, 선보영, 동제연, 정해숙, 양계민, 이은아, 황정미 (2019).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 조사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2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2기 데이터: 제1-2차 조사 데이터 유저 가이 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한미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1), 5-34.
    30. Cross, C. J. , Nguyen, A. W. , Chatters, L. M. , & Taylor, R. J. (2018). Instrumental social support exchanges in African American extended families. Journal of Family Issues, 39(13), 3535-3563.
    31. Dioh, M. , Tardif-Grenier, K. , & Ndoye, O. (2023). The different types of social support in Quebec immigrants’ socio-professional integration process. Canadian Ethnic Studies, 55(1), 81-99.
    32. Hayes, A. F. (2022).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perspective (3r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33. Kim, S. M. , & Kim, H. O. (2022).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Using the 2016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2(3), 324-340.
    34. LaFromboise, T. , Coleman, H. L. K. , & Gerton, J. (1993). Psychological impact of biculturalism: Evidence and theory. Psychological Bulletin, 114(3), 395-412.
    35. Schmälzle, U. (2001). The importance of school and families for the identity form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and Religion, 2(1), 27-42.
    36. Taylor, S. E. (2011). Social support: A review. In H. S. Friedman (Ed.), The Oxford handbook of health psychology (pp. 189-214).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