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9 No.4 pp.719-732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4.29.4.1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 Counselors

Heejung Chung
Professor, Coaching Psychology, Baekse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Korea

* 이 논문은 2024학년도 백석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음


Corresponding Author: Heejung Chung, Professor, Coaching Psychology, Baekse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mail: hjchung@bu.ac.kr)

September 2, 2024 ; October 24, 2024 ; December 24, 2024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forming a Q population when applying Q method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ystem and role of professional counselors through FGI.


Methods:

To this end, we conducted an FGI with six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 analyzed the FGI data and presented the results.


Results:

Based on this, it was determined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such as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providing training support and creating an environment for efficient counseling work, increasing the number of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and hiring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with experience in elementary education, in order to smoothly perform their rol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ounsel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orming a Q population when studying the perception of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using the Q methodology, and it is expect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elementary school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counseling work and the quality of counseling.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인식연구*
Q모집단 구성을 위한 FGI를 중심으로

정희정

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최근에 아동의 정신건강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고 위기 학생에 대한 초둥학교 차원의 적극 적 개입이 중요해지고 있다.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를 받은 경기지역 초중고생 49만여 명 중 역대 최대치 인 2만 8천여 명이 정신건강 위기학생으로 집계될 정도로(경기일보, 2023), 최근에 학교폭력, 자살⋅ 자해, 정서불안 등 위기 학생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내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통제하기 어려 운 학교폭력, 학생들의 교사에 대한 반항적인 태도, 따돌림, 정서와 행동장애 등 문제행동의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박한샘, 2023). 학생들의 정서와 행동 문제의 저연령화와 심각화로 인해 초등학교 전문 상담교사 배치율이 증가하고 있다(한유나, 오인수, 2022).

    전문상담교사 제도는 2009년부터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돕기 위한 Wee 프로젝 트(학생 안전 통합시스템)가 시작되면서부터 전문상담교사가 크게 증가하기 시작했다. 전문상담교사 수(정규 및 기간제 교원)를 학교 급 별로 살펴보면, 초등학교의 경우 2011년에 8명이었던 전문상담교 사 수가 2023년에는 2,113명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10년 이상에 걸친 변화이다. 2022년과 비교할 때 2023년에는 17.5%(227명) 증가한 수치로, 전문상담교사의 수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보 여준다. 특히, 2023년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전문상담교사 수가 전년에 비해 각각 12.0%, 6.0%, 6.8% 증가하였으며,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초등학교 수를 고려할 때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전체 학교 중에서 전문상담교사(정규 및 기간제 교원)가 1명 이상 배치된 학교의 비율을 보면, 초등학교의 전문상담교사 배치 비율은 31.5%로 전년 대비 2.6% 증 가하였으나, 중고등학교와 비교할 때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한국교육개발원, 2023). “전문 상담교사 제도는 학교폭력, 학생의 자살 증가, 청소년 위기 상황의 확대 등 상황적 맥락과 함께 시작되 었으며, 이후 Wee 프로젝트의 시행에 따른 변화 요구와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은 부적응적 학생에 대한 반응적 개입에서 부적응 행동의 예방과 학생과 관련된 교사, 학부모, 지역사 회와 협력적 활동까지 확대되었다. 전문상담교사는 전문상담교사 1급 또는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 한 후 임용되어 초⋅중⋅고등학교에서의 학교상담을 전담하는 교사로, 일반 교사보다 학생들의 심리 적인 건강에 심층적으로 개입하여 상담, 자문, 조정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구본용, 임애자, 2022).

    전문상담교사는 학교에서 다양한 직무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유순화와 류남애(2006)는 상담, 전문가 의뢰, 대집단지도의 학생 상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관리, 상담교육, 조정, 자기계발 및 연구, 행정 및 사무의 6개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를 보았고, 김인규와 조남정(2011)은 상담, 교육, 연계, 행 정, 역량개발의 5개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를 구분하였다. 정진철과 양난미(2018)는 개인상담, 집단 상담, 심리평가, 상담프로그램 운영, 자문, 조정, 행정, 관리의 7개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를 구분하였 다.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모형을 구안한 허승희와 박성미(2004)는 학교 구성원들이 지각한 상담 교사의 역할영역은 생활지도 체제지원, 교사교육과 부모교육, 아동 이해를 위한 정보제공, 학교와 학 급 생활지도를 위한 교육과정 조직과 실행, 학교상담 관련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 상담이었다.

    학교는 교육적인 목적을 위해 여러 교사가 일정공간에서 학생집단을 교육하는 복잡하고 특수한 조 직체계이다(김경회, 배연선, 2004). 다양한 학교지원인력이 존재하는 학교 조직 내에서 의사소통 체 제가 잘 갖추어지지 않아 계층 간, 부서 간, 동료 교사 간 의사소통이 부족하며, 학교상담의 목적이나 목표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업무 수행에 고충이 따르고 있다(김인규, 2009; 오숙, 2007). 또한 이러한 역할 모호성과 역할갈등은 학교상담자의 소진을 설명하는 요인들로 작용한다 (Fye, 2016). 정서와 행동 문제, 학교폭력, 자살과 자해문제 등의 저연령화로 인해 초등학교의 전문상 담교사가 배치되기 시작한 지 15년이 흘렀지만, 현장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혼란이 지속되 는 실정으로, 특히 학교상담법의 부재는 한 학교에 한 명씩 발령이 나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직무를 불명확하게 만들어 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업무분장을 둘러싼 여러 갈등을 초래해 왔다(전은경, 오 인수, 2022). 실제로 전문상담교사들은 학생 수에 비해 부족한 인원으로 과다하게 요구되는 업무(하규 영 외, 2020), 전문상담교사의 불분명한 역할과 업무 범위의 불확실성(남순임, 박주영, 2017), 명확하 지 않은 업무규정과 구성원들의 제도에 대한 인식의 부족(구본용, 임애자, 2022) 등으로 학교 내에서 전문상담교사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직무를 불명확성으로 학교 내 여러 갈등이 초래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직무에서의 책임을 분명히 하기 위한 법제 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학교 내에서 전문상담교사가 상담 업무에 집중할 수 없는 환경적 문제와 갈등은 학교구성원과 관련 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학교라는 조직 안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의 효율적인 상담업무는 동 료교사와의 협력적이고 긍정적인 관계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가 주로 연구자와 전문상담교사의 관점에서만 분석한 연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학교에서 전문상담 교사와 함께 근무하며 초등학생의 상담에 함께 관여하는 일반교사의 주관적이고 개별적인 전문상담교 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교 내에서 전문상담교사와 함께 근무하는 초등학 교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주관적이고 개별적인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정책적 제안을 위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은 개인의 가치, 신념, 태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초등학교 교사의 관점에서 형성 된 의견과 경험을 기반으로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분석하기에 적합한 도구인 Q방 법론을 적용한 연구가 적합하다.

    Q방법론은 특정 대상에 대하여 개인이 가지는 다양한 태도, 가치, 신념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으로(정희정, 2022), 개인 내 차이의 중요성을 다루고 소규모 표본 분석 면에서 매우 유용한 연구방법 으로 특정 대상에 대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을 더욱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 적절한 연구방법 이다(길병옥, 이소희, 이송이, 정희정, 2020;McKeown & Thomas, 2013). Q방법론은 상관분석과 요인분석을 적용하여 인간의 주관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특수한 통계기법(McKeown and Thomas, 2013;Brown, 1980)으로, 소수의 사람들에게 진술문(Q statement)을 동의하는 정도에 따라 개인의 주관을 분류하도록 하여 그들의 심리적 태도나 행위를 유형화시켜 분석이 가능하다(정희 정, 2022). 따라서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인식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여 인식 유형별 전문상담교사 제도 의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Q모집단 구성에 있어 FGI(표적집단인터뷰)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FGI는 연구 참여자들의 심도 있는 경험과 인식을 탐색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고 주관적인 관점 을 명확히 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Q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Q모집단을 구성해야 하며, 이때 FGI를 통해 일반교사들이 전문상담교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다각도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Q방법론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데 필수적이며,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 는 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Q방법론 적용시 Q모집단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학교 내 전문상담교사의 현황에 대한 문헌연구와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증을 보유한 초등학교 교사 6명을 대상으로 FGI를 통해 전문 상담교사의 제도 및 역할을 중심으로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Q방법론을 적용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에 관한 Q모집단 구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업무효율성과 상담의 질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초등학교 내 전문상담교사 제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초등교사의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절차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 적용하여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주관적이고 개별 적인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주관성 연구의 기초연구이다. Q방법론을 적용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절차는 문헌연구와 표적집단인터뷰(FGI: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한 Q모집단 구성과 Q표본 추출, P표본 선정과 Q분류, 결과처리 해석 및 유형화의 다섯 가지 단계로 구분된다. Q방 법론에서 문헌연구와 FGI는 Q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특히, FGI는 유연하고 개방적이며 참여자들의 주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 방법으로, 연구자들이 선정한 주제에 대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면서 해당 주제에 대한 이해와 의미를 더욱 깊이 있게 도출할 수 있다(Krueger & Casey, 2015).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제도와 역할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FGI를 2023 년 5월 30일부터 7월 20일까지 문헌연구로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의 첫 단계로 초등학교 전문 상담교사에 대한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이론적 배경을 마련한 후, 2023년 6월 15일부터 6월 25일까지 초등학교 교사 3인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진행하였다. 예비 연구 결과, 교사들이 전문상담교사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의 다양성과 특정 주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 를 바탕으로 FGI 인터뷰에 참여할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고, 초등학교 교사 6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 하였다. 이 과정에서 질문서를 작성하였으며, 예비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FGI 질문문항을 결정하 고 FGI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FGI 연구절차는 <그림 1>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타당화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먼저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이론적 접근과 더불어 연구 참여자의 사회 문화적인 배경을 고려한 경험적인 연구를 통한 접근이 필요하다(Brown, 2000;Crocker & Algina, 198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인식 관련 Q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인터넷 기사 분석 및 전문 상담교사 관련 사이트 검색 등 문헌연구를 진행하여 전문상담교사의 제도와 현황을 파악하고 FGI의 질문문항의 초안을 구성하였다

    2. FGI(Focus Group Interview)

    초등학교 교사의 관점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제도 및 역할을 중심으로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대면으로 2시간 동안 1회 FGI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원활한 연구 진행과 연구 윤리 준수를 위해 2023년 6월에 기관심사위원회(IRB)의 승인 후 IRB의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IRB 승인 번호: BUIRB-202306-HR-018). 연구 참여자들에게 FGI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개인 정보 보호 및 비밀 유지에 대한 안내, FGI결과의 활용에 대해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경우에 한하여 FGI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표 1>과 같이 서울과 경기지역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경력이 10년 이상으 로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이 있는 6명을 임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방식으로 선정하였다. 여기서 임의표집 방식은 연구의 목적에 맞는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교사들 중에서 무작위로 참여자를 선정하는 방법으로,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들의 경력 및 자격을 기준으로 삼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관점에서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연구 대상을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증을 소지한 초등교사들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심리상담 및 지도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실질적인 경험을 갖추고 있어, 보다 신뢰성 있는 인식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였 으며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필요성을 검토할 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들 연구 참여자의 성별 은 여성 5명, 남성 1명이며. 연령은 30대 1명, 40대 3명, 50대 2명이다.

    FGI의 세부내용과 면담 방식의 적절성 등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 참여자가 아닌 전문상담교사 1급을 소지하고 10년 이상의 교사경력의 초등학교 교사 3인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우선 본 연구자는 전문상담교사 제도에 대한 현황과 개선방안 관련 문헌정리 및 분석을 통해 FGI의 질문문 항의 초안을 구성하고 예비연구를 통해 본 연구를 위한 질문내용과 적절한 FGI 시간을 계획하여 FGI의 질문문항을 검토 및 수정하였다. 이들 질문문항 초안은 ①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생각, ② 전문상 담교사와 일반 교사간의 협력 방식, ③ 현재 전문상담교사가 제공하는 지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④ 전문상담교사의 제도 개선부분 등 이었다. 이들 질문문항을 검토 및 수정하여 최종 확정한 FGI의 질문 내용은 <표 2>와 같이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Giorgi(1985)의 네 가지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2~3회 반복하여 읽고, 연구 질문과 관련된 주요 주제를 파악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면담 내용에서 핵심 단어나 구문을 중심으로 의미 있는 단위로 나누어 주제별로 분류하였 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각 의미 단위의 심리학적 의미를 탐구하고, 연구 질문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 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단계에서는 주제별로 키워드 분석을 실시하고, 주요 결과를 종합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자료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사 2인과 질적 분석 전문가 1인이 최종 자료를 검토하여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제도에 대한 인식

    1) 전문상담교사의 필요성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면, 초등학교 교사들은 현재 아이들의 정서 및 사회적 발달문제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고 인식되고 있으나 초등학교에서는 아직도 전문 상담교사가 부족한 상황이 많아, 학급 내에서의 적절한 상담 및 대처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것이 현실 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의 상담은 학생 이해에 도움이 되며, 전문상 담교사의 상담은 담임교사의 학생상담에 대한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초등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한 학교당 최소한 한 명이상의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즘 아이들은 세심한 지도가 필요합니다. 특히 정서, 인지, 행동관련 문제개입에 있어 학교 내 전문 상담교사가 필요합니다.(P1)

    요즘 아이들을 보면 정서가 불안정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이후 사회성 발달이 더 안 되어 그런 거 같습니다. 학급에 힘든 아이가 있는 경우가 많은데 초등학교에서는 전문상담교사가 배치 되지 않은 곳이 많아서, 학교마다 전문상담교사사가 거의 없어 적절한 대처를 하기가 어렵습니다.(P2)

    성인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상담을 받는 것을 꺼려하는 이유 중 하나는 상담을 경험해 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일상에서 친한 친구, 동료, 부모와의 자연스러운 상담과는 별개로 상담실에 가는 행위 자 체가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학교처럼 가까운 곳에 상담교사와 상담실이 있다면 상담받는 기회나 경험이 많아지고 이는 상담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초등학교에서 전문상담 교사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P3)

    아직 초등학교의 경우 전문상담교사가 미 배치된 학교가 많은데 한 학교당 전문상담교사가 1명씩 배치되어야 합니다. 담임교사가 감당하기에 어려운 위기학생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또한 정서행 동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에게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합니다.(P4)

    초등학교의 전문상담교사의 가장 중요한 업무는 상담입니다. 요즘 학급 내 상담교사의 도움이 필요 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P5)

    2) 전문상담교사의 증원 및 자격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면, 초등학교 교사들은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제도의 개선방안으로 전문상 담교사의 업무의 효율성을 증진하기 위해 전문상담교사의 추가 배치와 전문상담 역량을 보유한 전문 상담사와 임상심리사 등 전문상담인력의 추가 배치도 고려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전문상담교 사의 효율적인 상담업무를 위해서는 초등학생의 발달특성뿐만 아니라 초등교육 전반의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가 일반 담임교사나 교과교사와의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학교교육경험이 중요하므로 초등교육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가 임용 되고 배치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전문상담교사의 배치 외에 전문상담사 배치, 임상심리사 배치를 통해 초등학교의 전문상담을 강화 해야 해야 해요.(P1)

    기간제교사의 임용이나 전문상담사의 배치가 아닌 전문상담교사의 배치가 필요합니다. 초등학교에 서 전문상담을 수행하는 전문상담교사는 공적인 채용시험으로 들어와야 상담의 질이 제고되고 학교 내 전문상담교사의 지위가 향상되어 전문상담제도가 학교 내에 자리를 잘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해 요.(P2)

    학교에서 전문상담사와 협업시 학교의 입장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고 계속 본인은 상담만 한다며 ‘다 른 업무는 못한다’라고 일관적으로 이야기하시는 모습을 많이 봅니다. 전문상담교사가 교육전반에 대 해 넓게 보지 못하고 상담으로만 자신의 업무를 한계를 지으려고 해요. 물론 상담업무가 주 업무이지만 초등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는 상담관련 업무도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담임교사와의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전문상담교사도 담임교사, 교과교사로서의 경험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P4)

    전문상담교사로서 학생교육과 상담, 교사상담 모두에 역량이 있는 사람이 선발되어 배치되기를 바 랍니다. 전문상담교사가 상담경력이나 교육경력이 거의 없는 초임전문상담교사가 초등학교에 많이 배치돼요.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를 보면 학교 구성원과 어울리지 못하고 동떨어져서 혼자 상담실에만 있는 모습을 보면 답답하기도 하고 안쓰럽기도 합니다.(P5)

    2.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1) 효율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환경 조성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면,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의 주요 역할로 정서 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상담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나 학교 측의 아동 이해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학생들의 다양한 문제가 간과되고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하 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상담사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문상 담교사가 학생의 고민을 듣고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정서적인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상담을 제공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전문상담교사가 부족한 상황이며, 한명의 전문 상담 교사가 상담외의 다양한 많은 업무를 수행하기 어렵다는 인식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들은 상담이 필요한 학생을 파악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상담교사가 상담업 무와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정서적 측면에서 아이들의 정서를 지원하고 학교생활의 적응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상담하는 것이 전문상담사의 주요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는 학교 내 환경조성 이 필요해요.(P1)

    많은 수의 학생이 문제가 있음에도 학부모나 학교측의 전문성 부족으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넘 어가게 되어 학생에 적절한 개입 없이 상황이 더 악화되는 것 같아요. 전문상담사가 상담을 통해 아동의 정서적인 문제점 진단해서 학부모에게 정확하게 알리고 아이들이 적절한 상담과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주요 역할이라고 생각해요.(P2)

    학생, 학부모, 교사 대상의 상담, 개별상담, 집단상담, 상담관련 업무, 위기학생 지원, 각종 생활교육 관련 위원회의 협업 활동 등 초등학교 내 전문상담교사의 업무와 역할은 많습니다. 특히 정서행동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지원한 상담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전문상담교사로서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상담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하는데 현실은 안그래요. (P4)

    학교 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 도움을 위한 심리 파악, 학부모 교육을 겸한 학부모 상담, 학교폭력심 의위원회 조치결정으로 내려오는 학생 및 보호자 특별교육 등이 초등학교 내 전문상담교사의 주요 역 할이라고 생각해요. 현재 학교당 1명의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되었거나 미배치된 곳이 많은 상황이므로 전문상담교사 1명이 이렇게 많은 업무와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예요.(P5)

    교실에서 상담이 필요한 학생을 분별력 있게 판단하고 상담하는 역할이 전문상담교사의 주요 역할 이라고 생각합니다. 전문상담교사가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상담 외의 업무를 줄여줘야 해요.(P6)

    2) 상담의 질적 제고를 위한 역량교육 강화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면,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의 상담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전문상담교 사가 원하는 상담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연수비 지원제도와 상담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고 인식하였다. 또한 교육 경험이 부족한 전문상담교사의 경우 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하기 때문 에, 상담을 전공하고 교사 자격증을 갖춘 현직교사를 전문상담교사로 임용한다면 초등학교 전문상담 교사의 상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초등학교 전문 상담교사의 상담의 질 제고를 위해 역량교육 및 자격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제도가 체계적으로 있어서 상담역량증진을 위해 교육청에서 하는 연수 외에 전문상담교사가 원하는 상담교육을 신청하여 교육받을 수 있는 연수비 지원제도가 생기면 좋을 것 같아요. 특히 전문상 담교사가 집단상담을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집단상담 활성화를 위해 학교 내 구성원들이 전문 상담교사가 운영하는 집단상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협조를 잘하는 학교문화가 형성되는 것이 필요해요.(P1)

    상담외 업무를 부여하지 않는 근거가 생기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상담고유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상담외 업무로 인해 상담보다 잡다한 행정업무처리에 시간과 신경을 쓰는 상황이 생긴다면 지금의 공교육이 사교육에 밀리는 것처럼 학생들은 학교의 전문상담교사 보다 외부기관에 있는 상담사를 찾는 일이 발생할 것입니다.(P3)

    상담역량강화를 위해 교육청 상담연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회와 상담기관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사 례발표와 수퍼비전의 기회가 좀 더 있었으면 좋겠어요.(P4)

    상담실무 경력이 없이 전문상담교사로 임용된 경우가 많이 있어요. 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로 근무 하며 진행한 상담에 대해 수퍼비전도 잘 받지 않는 것 같아요. 학교업무가 워낙 많아서 그럴 여유도 없을 거예요(P5).

    전문상담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양성교육기관에서 학교현장 실습교과목이 필수과목으로 되 어 현장중심의 상담역량이 강화되는 교육이 이루어지면 좋겠어요(P6)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Q방법론 적용을 위한 Q모집단 구성의 기초연구로서 초등학교 교사 6명의 FGI를 통해 전문상담교사의 제도와 역할을 중심으로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FGI분석 결과, 초 등학교 교사의 전문상담교사의 제도와 역할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초등학교의 전문상담교사 배치가 미비한 실정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증원 및 배치가 필요하다 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 초등학교 내 전문상담교사의 배치율이 낮아 임용시험 합격 후 중등을 지원했거나, 중등에서 근무하던 교사가 초등학교로 발령이 나면서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생긴다고 보고한 김은정(2015)의 연구를 뒷받침한다. 특히 초임 초등 전문상담교사는 체계적인 매뉴얼이 부재한 상황에서 전임자가 부재하고 위(Wee) 클래스를 새로 구축하는 경우가 많아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에서(한유나, 오인수, 2022), 교육부와 지자체 교육청은 전문상담교사 의 적정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채용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초등교육현장에 적합한 전문상담교사의 역 량강화를 위한 교육연수지원과 학교상담 실무눙력을 증진할 수 있는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의 개편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제도의 개선방안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업무의 효율성을 증진하기 위 해 전문상담교사의 추가 배치와 전문상담 역량을 보유한 전문상담사와 임상심리사 등 전문상담인력의 추가배치도 고려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초등학교에 전문성을 가진 상담교사의 양성과 확보를 통해 학교상담활동을 효율화하는 것을 강조하고 초등학교 상담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정규적인 상담 교육을 받은 전문상담교사의 양성과 배치를 주장한 김미옥(2002)의 견해와 일치하는 것으로, 전문상 담교사의 효율적인 상담업무를 위해서는 초등학생의 발달특성뿐 만 아니라 초등교육 전반의 학교현장 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며 전문상담교사의 추가 배치와 전문상담 역량을 보유한 전문상담사와 임상심 리사 등 전문상담인력의 추가배치가 필수적이다.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와 역할의 모호성으 로 전문상담교사는 학교 내 구성원과 역할 갈등과 학교 내 업무 부담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다양한 학교지원인력이 존재하는 학교 조직에서 의사소통 체제가 잘 갖추어지지 않아서 계층 간, 부서 간, 동료 교사 간 의사소통이 부족하여 학교상담의 목적이나 목표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전문 상담교사의 업무 수행에 고충이 따르고 있다는 김인규(2009)의 연구와 일치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학교 내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와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여 초등학교 내에서 전문상담교사가 상담업 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또한 초보 전문상담교사들이 학교 현장에 처음 배치되었 을 때, 실무 경험의 부족과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가장 큰 어려움에 봉착하므로(정유리, 2023), 전문상담교사 양성기관인 대학원 교육과정에서 학교현장실습의 내실화를 통해 학교현장의 이해를 돕 고, 업무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상담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세부적인 지침서나 매뉴얼 개발 및 보급 등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전문상담교사로서의 효율적인 역할수행과 상담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전문상담교사가 원하는 상담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연수비 지원제도와 상담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 다. 교육 경험이 부족한 전문상담교사의 경우 교육 현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담을 전공 하고 교사 자격증을 갖춘 현직교사를 전문상담교사로 임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제도 도입에 앞서 상담관련 연수 및 워크숍, 세미나를 실시하여 학교상담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학급담임교사로서, 학교관리자로서, 교육행정가로서 상호 보완적인 관 계형성이 될 수 있도록 사전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구자신(2006)의 견해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상담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상담사례에 대한 교육분석과 수퍼비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적 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상담의 질 제고를 위해 역량교육 및 자격이 강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관점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제도와 역할을 중심으로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으나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이 가진 대표성 문제와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상담교사 에 대한 주관적이고 개별적인 인식까지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성별, 지역 등에 있어서 보다 많은 인원의 참여자를 선정하여 연구의 전이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특정 개인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을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교사 의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주관적이고 개별적인 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인식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가 후속연구인 Q방법론을 활용한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주관성 연구의 Q모집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초등학교 내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직무정립을 위한 새로운 정책과 초등 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상담업무의 효율성 및 상담의 질 제고를 위한 전문상담교사 제도의 개선방안 연 구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Figures

    KJFW-29-4-719_F1.gif
    FGI 연구절차

    Tables

    연구 참여자 현황
    FGI 질문내용

    References

    1. 경기일보 ( 2023. 11. 27). 학생 ‘마음의 병’ 누가 보듬나… 전문교사 태부족.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31126580163 (검색일: 2024. 3. 20).
    2. 구본용, 임애자 ( 2022). 경력기간에 따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역할갈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9), 657-670.
    3. 구자신 ( 2006).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제도 운영에 대한 관련 전문가의 인식-학교관리자, 교 육행정가, 교사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길병옥, 이소희, 이송이, 정희정 ( 2020).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충남: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5. 김미옥 ( 2002).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상담실태 및 요구분석.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정 ( 2015).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비교.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7. 김인규 ( 2009). 학교상담: 전문상담교사제도 발전방안 연구. 상담학연구, 10(1), 517-534.
    8. 김인규, 조남정 ( 2010). DACUM법을 활용한 전문상담교사 양성 및 계속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원 교육연구, 28(4), 41-60.
    9. 남순임, 박주영 ( 2017). 전문상담교사 대상 연구의 동향 분석. 상담학연구, 18(6), 451-471.
    10. 박한샘 ( 2023).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생의 문제행동과 소진과의 관계: 교사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8), 445-455.
    11. 유순화, 류남애 ( 2006). 제1기 전문상담 순회교사의 직무기대 조사연구. 상담학연구, 7(3), 899-915. UCI: G704-001281.2006.7.3.015
    12. 전은경, 오인수 ( 2022). 학교상담 역량에 대한 초등 전문상담교사와 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요구도 차이 비교 연구. 교원교육, 38(5), 281-307.
    13. 정유리 ( 2023). 초보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대처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 숙명여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진철, 양난미 ( 2018).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대한 개관연구. 상담학연구, 19(4), 47-70.
    15. 정희정 ( 2022). Q방법론을 활용한 코칭 수퍼비전의 주관성기반 코칭 수퍼비전모델 탐색 연구. 동국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16. 하규영, 허난설, 이지향, 이상민 ( 2020). 학교상담 법제화 방향 탐색: 대만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 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2), 997-1017.
    17. 한국교육개발원 ( 2023). 유, 초, 중등교육통계. https://kess.kedi.re.kr (검색일: 2024. 4. 20).
    18. 한유나, 오인수 ( 2022). 초등 전문상담교사의 교직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 서 초임교사를 중심으로. 교원교육, 38(1), 153-182.
    19. 허승희, 박성미 ( 2004).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모형 구안. 상담학연구, 5(4), 1203-1215. UCI: G70 4-001281.2004.5.4.016
    20. Brown, S. R. ( 1980).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21. Brown, T. E. ( 2000). Attention-deficit disorders and comparabilities in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iatric Press.
    22. Crocker, L., & Algina, J. ( 1986).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TX: Holt Rinehart and Winston.
    23. Fye, J. ( 2016). The impact of implementing the American School Counselor Association (ASCA) National Model and related factors on school counselors' level of burnout. Doctoral dissertation. Kent State University.
    24. Giorgi, A. ( 2004).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신경림, 장연집, 박인숙 역. 서울: 현문사 (원저는 1985에 출판).
    25. Krueger, R. A., & Casey, M. A. ( 2015). Focus groups (5th ed.).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s.
    26. Mckweon, B. F., & Thomas, D. B. ( 2013). Q methodology. Newbury Park, CA: Sage.
    27. Wimmer, R. D., & Dominick, J. R. ( 1995). Mass media research [매스미디어 조사방법론]. 유재 천, 김동규 역. 서울: 나남 (원저는 1994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