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4713(Print)
ISSN : 2288-1638(Onlin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9 No.4 pp.905-921
DOI : https://doi.org/10.13049/kfwa.2024.29.4.9

Exploring the Meaning of ChatGPT-Based Class Experienc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Hyun Lee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Korea

* 본 논문은 2024년도 대구가톨릭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Corresponding Author: So-Hyun Lee,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E-mail: ababae@cu.ac.kr)

November 4, 2024 ; December 7, 2024 ; December 24, 2024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ChatGPT-based class experienc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eight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from a four-year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who were attending a 15-week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ourse utilizing ChatGPT. They expressed their experiences with ChatGPT-based classes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individual interviews, and self-reflective reports from simulated classes, with the data collected and analyzed by the researcher for the purposes this study.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with ChatGPT could be categorized into two main themes: “Exploratory Experiences” and “Deepening Experiences.” “Exploratory Experiences” could be further divided into “New Possibilities” and “Burdens vs. Challenges,” while “Deepening Experiences” included “A New Partner in the Classroom” and “The Shadow of Dependence.” These four main themes were further divided into nine sub-themes, providing a detailed analysis of their meaning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the potential educational applications of ChatGPT, including train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possible u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llaboration opportunities with teachers, and effective utilization strategies.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necessity of a critical approach to AI use in education.



예비유아교사들의 ChatGPT 활용 수업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이소현

초록


    Ⅰ. 서 론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 빅데이터,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의 핵심 기술을 기 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은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이은철, 2022). 이러한 변화는 산업 과 사회의 구조뿐 아니라 교육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은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며 우리 사회 전반에서 영향력과 활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교육분야도 예외는 아니다(강혜경 외, 2023). AIED(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라고 불리는 교육 분 야에서의 인공지능에 대해서 Holmes, Bialik, & Fadel(2019)은 그 개념을 ‘Learning about AI’와 ‘Learning with AI’로 나누어 설명하였다(장혜지, 소효정, 2023에서 재인용). ‘Learning about AI’ 는 AI 기술 자체에 대한 교육을 의미하며, ‘Learning with AI’는 AI를 활용한 교육을 의미한다. 이 중 ChatGPT는 최근 등장하여 급속도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교육적 활용 AI로 주목받고 있다(김 다솜, 2024). 심지어 매년 과학과 사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인물들을 대상으로 “화제의 인물”을 선정 하고 있는 네이처(Nature) 저널에서 조차, 2023년에는 10인과 함께 사람이 아닌 ChatGPT를 화제의 인물로 선정하였다(이주영, 2023.12.14.). 이는 ChatGPT의 영향력을 인정하며, ChatGPT의 영향 력이 과학계를 비롯하여 우리 사회 전반에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은 ChatGPT의 특성과 관련지어 생각해볼 수 있다. 첫째, 다양한 언어를 이해 하여 사용자의 질문에 따른 맞춤형 대답을 통해 사용자와의 대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대화방식은 학습 보조 도구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질문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김인숙, 2023). 둘째, 광범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해서 정보의 검색 및 정리가 가능하며(김윤나b, 2023), 이를 바탕으로 분석된 자료도 제공할 수 있다. 분석이 가능하다는 ChatGPT의 특성은 기존의 검색을 통한 단순 정보 습득과는 차별화된 점이다.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직접 분석하여 결과 를 만들어 내는 번거로움 없이, ChatGPT는 분석의 결과까지 제공해 주는 세밀하고 편리한 특화 서비 스 제공이 가능하다. 셋째, ChatGPT는 지금도 발달하고 있지만 이미 그림을 그리고, 작곡을 하는 등 창작 활동이 가능하다. 이를 활용하면 교사의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교재 교구 제작에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긍정적인 특성과 함께 부정적인 부분, 문제점, 비판점 등도 제기되고 있다. 비판적 사고 없이 ChatGPT의 답변을 여과 가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데에서 오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으로 인한 오류, 표절의 문제점, 제공받은 정보가 진실인지 거짓인지에 대한 확인이 어렵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한형종, 2023). 이는 ChatGPT의 모르는 것을 다루는 방식의 차이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가능한 모든 답변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ChatGPT의 발달과 함께 어느 정도 개선되고 있다고 보여지지만, 여전히 논의되어야 할 부분임에 틀 림없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ChatGPT의 특성을 종합해 보면, 영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고 있는 유아교육현장에서도 ChatGPT의 적용 가능성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 다(고선, 2024). 그러나 김윤나(2023a)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제 ChatGPT 활 용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들은 14.9%에 불과했다. 또 활용 경험의 내용을 살펴보면, 교사가 궁금한 것에 대한 심화된 정보를 구하거나, 놀이 지원방안에 대한 제안, 생활 주제에 맞는 활동의 제안 등이 주를 이루 고 있어서(김윤나, 2023a), 유아교육현장에서 ChatGPT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는 없었다. 또 ChatGPT 관련 유아교육 분야의 연구를 살펴보면,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ChatGPT 활용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김윤나, 2023b), 포커스 인터뷰를 통해 ChatGPT 시대에 대한 유아교육자들의 기대와 불안에 관한 연구(손연주, 윤정진. 2023), ChatGPT 를 활용한 유아 멀티미디어 놀이에 관한 연구(김은아, 2023), 예비유아교사 대상으로 ChatGPT를 활 용한 하브루타 수업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유준호, 조해연, 2024) 등으로, 아직까지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고는 볼 수 없었다.

    이는 ChatGPT가 대중에게 공개된 시점, 대중화 시기 등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ChatGPT 에 대한 일반 사용자들의 체험이 가능해진 시기는 GPT-3이 공개된 2020년 11월이었고, 대중화된 시기는 그로부터 2년 후인 2022년 11월로, ChatGPT 무료 버전이 공개된 이후로 볼 수 있다. ChatGPT의 무료 버전이 공개된 후, 사용자가 출시 5일 만에 100만 명이 증가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ChatGPT 활용이 증가되기 시작되었는데(서보배, 2023.11.10.), 유아교육 분야에서도 2023년 이후 부터 ChatGPT의 활용과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한편 전반적인 인공지능 관련 유아교육 분야 의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2017년 처음 시작된 이후 2022년부터는 20편이 넘는 논문이 발표되며 활발 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김동환, 2023). 이와 마찬가지로,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기술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인공지능 모델 ChatGPT도 앞으로의 유아 교육 분야에서의 적용과 연구의 확대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교육의 변화는 인공지능으로 인한 디지털 전환시대를 맞이하며 가속화되고 있다(김남연, 김명 정, 2024). 우리나라에서도 ‘인공지능시대 교육정책 방향과 핵심과제’를 통해 미래 교육의 방향을 제 시하며, 교육 혁신과 인재 양성을 위해 에듀테크 활성화 방안(교육부 2021),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 안(교육부, 2022), 디지털 교육 전환 추진 계획(교육부, 2023) 등 다각적인 접근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유아교육에서도 인공지능을 적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이은철, 2022).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지원하고 있는 ‘i-누리포털’에서도 2021년부터 교사용 자료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를 비롯해서 인공지능과 관련된 교사 지원자료, 유아용 콘텐츠, 매뉴얼 등의 현장지원자료 를 제공하며, 인공지능 활용교육을 시행하는 등 활성화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렇게 이미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이 시도되고 있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근무하게 될 유아교사에게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경험 은 매우 중요하다(김남연, 김명정, 2024). 유아교사의 직전교육 경험으로, ChatGPT를 직접 경험해 보고 교수학습과 모의수업 등에서 이를 활용해 본 경험은 미래의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로서 유 아를 위한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 들을 대상으로 ChatGPT를 활용하여 유아교육과 전공 수업을 경험하도록 한 후, ChatGPT 활용 수업 에 관한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로서 또 예비유아교사로서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예비유아교사들의 ChatGPT를 활용 수업에 대한 경험의 의미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소재 4년제 대학교의 유아과학교육 수업에 참여한 전체 학생 11명 중에서 본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8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이다. 이들은 여학생 6명과 남학생 2명으 로, 유아교육과 3학년이며, 나이는 모두 20세 초반이다. 이들은 전공선택 과목인 유아과학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동시에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8명 모두 유아과학교육 수업에 처음 참여하였으며, 연구참 여자들은 대부분의 경우 ChatGPT 사용 경험이 전혀 없었고, 있더라도 익숙한 사용이 이루어지기 이 전 수준이었다. 유아과학교육 수업 오리엔테이션에서 ChatGPT 사용에 관한 안내 후, 이들은 질문을 통해 호기심과 관심을 나타냈다. 또 연구자는 본 연구에 관한 내용을 안내한 후, 사전 동의를 받았으며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언제든지 본인이 원할 경우 연구 참여에 그만둘 수 있음을 알려주었다. 그리 고 연구 참여 또는 비참여로 인해서 어떠한 불이익이 없음을 사전에 공지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8명 의 학생들은 모두 끝까지 수업과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2. 유아과학교육 교과목 운영

    연구자가 담당하고 있는 유아과학교육 수업은 교과 수업 외에도 수업 연계 비교과 활동으로 구성되 어 있다. 수업의 내용은 전반부에는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이론적인 부분들이 주로 다루어졌다. 중반부 이후에는 유아과학교육 관련 모의수업과 놀이지원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모의수업과 놀 이지원 관련 수업에서는 코딩로봇을 제공하였으며 학생들이 원한다면 사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에게 다소 생소한 코딩로봇을 통해 ChatGPT의 활용에 동기를 부여하고, 자연스러 운 ChatGPT 사용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수업은 주 2회 90분씩이며, 수업 연계 비교과 활동은 수업 시간 이후에 학생들이 가능하고 원하는 시간에 별도로 이루어졌다. 또한, 수업의 전반부의 이론 수업에서는 ChatGPT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려주었고, 수업 중에도 사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 ChatGPT 사용에 익숙해지도록 지원하였다. 중반부 이후에는 제공된 코딩로봇은 ChatGPT 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코딩로봇에 대한 정보는 일부러 제공해주지 않았다. 연구참여자인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ChatGPT를 활용하여 코딩로봇 사용법, 놀이 방법, 놀이지원 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며 코딩로봇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놀이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들을 위한 놀이지원 및 모의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해 보도록 하였다.

    3. 자료수집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4일부터 12월 15일까지 15주 동안 유아과학교육 수업시간과 수업연계 비 교과 수업시간에 진행된 개방형 설문지, 면담, 모의수업 자기성찰지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ChatGPT 활용 수업 후, 매주 1회, ChatGPT 활용 수업 후에 자신의 생각을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서술해 보도록 하였으며, SNS 문자 메시지까지 활용하여 8명 학생 모두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예비유아교사 들의 자유로운 이야기를 듣기 위해 개방형 설문지에는 질문 문항을 사용하지 않았다. 개방형 설문지의 내용을 확인한 후, 필요한 경우에는 면담을 활용하여 심층적인 이야기를 경청하였다. 면담은 15주 동 안 1주일에 1~2회 정도 이루어졌으며, 지속시간은 30분~1시간 정도였다. 이야기를 듣기 전 동의를 얻어 클로버노트를 활용하여 녹음하였으며, 이야기의 내용이 반복되는 시점에서 면담을 종료하였다. 녹음된 자료는 전사하여 본 연구를 위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모의수업에서도 ChatGPT를 활용하였으 므로 모의수업의 준비부터 진행 과정 동안의 경험과 변화까지 모의수업 자기성찰지를 통해서 자세하 게 기술해 보도록 하여 깊이있는 자기성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모의수업 자기 성찰지는 개방형 설문지, 면담 자료와 함께 본 연구의 분석 자료 활용하였다. 최종 수집된 자료는 A4 용지 60장 정도의 분량이었다.

    4. 자료분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ChatGPT 활용 수업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이를 탐구하였다. 먼저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여 여러 번 반복해서 읽으 며 대표적인 문장들을 추출하여 의미 단위를 나누었다. 먼저, 학생들의 ChatGPT 활용에 대한 수업 초기의 탐색 경험과 중기 이후의 심화 경험은 확연하게 구분되는 내용이었으므로 이를 구분하여 정리 하였고, 나뉘어진 의미 단위에서 중요한 개념을 다시 도출하여, 도출된 개념의 본질을 표현할 수 있도 록 상위범주에 대한 라벨링 작업을 하였다. 또한 상위범주에서 다시 범주화 작업을 거쳐 관련 있는 개념 들에 대해서 하위개념을 구성하였다. 범주화된 연구결과는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질적 연구 경험이 있는 연구자 1인, 현장전문가 1인에게 의뢰하여 검토 받았다. ChatGPT 활용 수업 경험에 관한 범주는 <표 1>과 같다.

    Ⅲ.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ChatGPT 활용 수업 경험에 관한 의미를 분석하여 ChatGPT의 교육적인 활용에 대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 교사들의 ChatGPT 활용 수업에 대한 경험은 주로 탐색이 이루어진 초기와 심화된 활용이 이루어진 중반 이후로 경험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hatGPT에 대한 ‘탐색 경험’과 ‘심 화 경험’으로 나누어 그 의미들을 분석하였다.

    1. ChatGPT에 대한 탐색 경험

    1) 새로운 가능성

    ① 교육적 도움에 대한 기대

    예비유아교사들은 ChatGPT 활용 수업에 참여하기 이전부터 ChatGPT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수업에 참여하면서부터는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수업과 유아교육현장에서 ChatGPT부터 의 도움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기대는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단순한 질문에 대해서도 해답을 얻고 자 자발적인 ChatGPT의 활용을 유도해내기 시작하였다.

    ChatGPT를 사용하기 전에는 ‘내가 생각하는 답이 나올까?’라는 의문을 많이 했었는데, 막상 사용 해 보니 내가 생각해보지 못했던 것들에 대해서도 알려주어서 좋았어요. 그래서 내가 알고 있는 내용도 ChatGPT한테 한 번 더 물어보기도 했어요. 저도 잘못 알고 있을 수도 있잖아요. 확인 차원에서. 그래서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도 심심할 땐 물어보기도 했는데, 정리가 잘되어 있어서 조금 놀랐고, 실제로 도움이 되기도 해요. 나중에 교사도 되어서도 그렇지만 일단은 제가 공부하는데 도움을 받고 싶은 마음 이 지금은 더 커요.

    (예비유아교사 1. 개별면담. 2023. 09. 20.)

    영어 조동사 ‘can에 대해 설명해 줘’라고 ChatGPT에 물어본 적이 있다. 조동사의 의미가 무엇인 지, 어KJFW-29-4-905_I1.gif게 사용하는지 등 자세히 알려주는 것을 보고 수업에 적용하면 좋겠다라고 생각했다. 그 다음에 는 ChatGPT를 어떻게 유아교육에 적용시킬 수 있을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유아들이 물어보는 것을 해결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예비유아교사 3. 개방형 설문지. 2023. 09. 18.)

    코딩로봇을 처음으로 만났다. 어떻게 작동하는지도 아직 모른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ChatGPT도 있다. 코딩로봇을 처음 탐색하고 유아들에게 설명하기 위한 원리나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할때에도 ChatGPT를 활용하여 답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예비유아교사 8. 개방형 설문지. 2023. 09. 06.)

    ② 교육적 도구로서 고민

    예비유아교사들은 전공 수업 시간 중, ChatGPT와의 만남을 통해 유아교육현장, 교사의 업무 등에 대한 깊이있는 성찰이 시작되었다. ChatGPT에 대해서 적극적인 호기심을 나타내며 교육적 도구로서 활용해보고자 진지한 고민 속에서 질문, 요청 등으로 다양한 대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ChatGPT는 편리한 점이 참 많아요. 그래서 나중에 교사가 되었을 때 사용할 생각도 하게 되는데, 제가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아이들하고 함께 있을 때는 제대로 사용해야 할텐데, 그러려면 제일 중요한 부분이 질문하는 것 같아요. 저는 질문하는 것이 많이 어렵더라구요. 질문을 어떻 게 하면 더 구체적으로 답이 나오는지에 대해 많이 고민했었어요.

    (예비유아교사1. 개별면담. 2023. 10. 11.)

    ChatGPT가 작곡도 하고, 그림도 그리고 창의적인 것들도 많이 한다고 하는데, 제가 그림을 잘 못 그려서 그림을 좀 그려보도록 시켜봤는데, 생각처럼 잘 되지 않더라구요. 내가 지웠으면 하는 부분은 그대로 두고 수정했으면 하는 부분은 이상하게 수정하고. 내가 제대로 얘기를 못해서 그런지 이런 식으 로. 내 말을 잘 들어주진 않더라구요. 그런데 한 번밖에 안 해봤는데, 재밌어서 해보는 것도 있지만, 교재교구랑 수업자료 더 잘 만들어보려고 어떤 기능이 있는지도 더 찾아보게 되고, 질문도 고민하면서 자꾸 해보게 되는 거 같아요.

    (예비유아교사 5. 개별면담. 2023. 10. 16.)

    2) 부담감과 도전

    ① 낯선 기술에 대한 부담감

    예비유아교사들은 호기심을 바탕으로 ChatGPT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지면서 긍정적인 기대와 함 께 걱정과 우려도 함께 나타났다. ChatGPT의 사용이 비교적 어렵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예비유아교 사들은 기술이 끊임없이 발전하면서 이에 적응하는 것과 학습해야 하는 부분, 능숙한 사용 등에 대해서 부담스러워 하였으며, 이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정서적인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ChatGPT도 그렇고 코딩로봇도 그렇고 새로운 걸 자꾸 배워야 한다는 것이 부담스럽다. 앞으로도 계속 뭔가를 배워야 한다는 건 알고 있지만, 자꾸 새로운 걸 배우는 것 자체가 너무 힘들다. 사용하다보 면 좋고 편리하고 그러겠지만, 일단 새로운 거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건 부답스럽고 걱정된다.

    (예비유아교사 7. 개방형 설문지. 2023. 09. 06.)

    익숙하게 사용하던 것이 아니다 보니 잘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걱정이 되는 것은 사실이에요. 저는 뭐든지 익숙해질 때까지 시간이 좀 걸리고, 새로운 걸 배우는 것이 좀 어려운 스타일이라. 특히 기계치여서 컴퓨터랑 관련된 건 특히 더 부담스럽습니다.

    (예비유아교사 2. 개방형 설문지. 2023. 09. 06.)

    ② 나도, 이번 기회에!

    교육 기술의 빠른 변화에 적응하고자 예비유아교사들은 ChatGPT를 통해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고 있었다. 이미 기존의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자료 검색에 능숙한 상태여서 정보를 얻는 데에는 불폄함을 느끼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수업 시간을 통해 ChatGPT를 사용해 보고 이 경험을 바탕으로 추후 교사가 되었을 때 도움을 받고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더욱 적극적인 도전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업 시간에 ChatGPT를 적용한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다양한 교육방법을 시도 해 보고 경험하는 것은 나중에 교사가 되었을 때 도움이 될 것 같다. 나는 도전을 좋아하는 편이고, 호기 심도 많은 편이라 궁금하고 기대가 된다. 이번 기회에 (ChatGPT를) 열심히 사용해서 나중에 교사가 되었을 때 도움이 되면 좋겠다.

    (예비유아교사 8. 개방형 설문지. 2023. 10. 11.)

    수업 시간에 ChatGPT를 사용하는 방식이 이제는 좀 신선하게 다가왔다. 처음에는 기대하지 않았 는데, 나의 생각과는 다른 대답들이 나오는 것을 보면서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또 나름대로 편리 하기까지 해서 앞으로 유용할 쓸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수업 시간을 통해 제대로 사용 할 수 있게 되면 좋겠다.

    (예비유아교사 2. 개방형 설문지. 2023. 11. 01.)

    2. ChatGPT에 대한 심화 경험

    1) 교실 속 새로운 파트너

    ① 지식의 바다를 밝혀주는 등대

    예비유아교사들은 ChatGPT를 통해 손쉽게 지식을 습득하는 데에 익숙해지기 시작하였고, 그로 인해 ChatGPT를 사용 빈도도 점차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실제로 예비유아교사들은 다소 생소한 코딩 로봇을 놀이자료로 모의수업을 경험하는 중, ChatGPT를 활용해 가며 코딩로봇에 대해 알아가고 이해 하며 색다른 경험을 하게 되었다. 교수의 질문과 모의수업 준비 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은 ChatGPT 를 활용해서 일차적으로는 많은 양의 원하는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였다. 이렇게 습득된 많은 양의 정보 와 지식은 예비유아교사들 스스로 재가공하여 원하는 자신의 의견을 만들어갔다. 또한, 예비유아교사 들은 이미 알고 있는 정보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ChatGPT를 통해 질문해가며 더 좋은 정보를 찾고 자 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ChatGPT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더 나은 내용, 더 잘 정돈된 결과물을 만들어 가며, ChatGPT는 새로운 학습 파트너가 되어 가고 있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예비유아교 사들의 ChatGPT에 대한 만족도는 점차 높아지고 있었으며,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역량 증진 또한 이루 어지고 있었다.

    ChatGPT를 활용하여 모의수업을 진행해 보았는데, 우선 굉장히 색다른 기억으로 자리잡은 수업이 었다. 나의 아이디어로 내용을 일부 구성해내면 가지를 쳐나가듯 사이버의 도움을 받아 더 새롭고 참신 한 의견을 내놓을 수 있었다. 많은 양의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 단순히 인터넷 검색을 하는 것이 아닌 정말 친구들이랑 조별과제를 하듯이 (ChatGPT와) 협동하며 수업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섣불리 나의 의견을 발표한다는 것이 부담이 되어 많은 사람들이 의견을 먼저 이야기 하기를 꺼려하는데, ChatGPT와 함께 주저없이 나의 의견을 이야기하며 대화를 통해 자료를 찾고 정보 를 얻어내며 과제를 준비했던 것이 좋은 경험이었다.

    (예비유아교사 5. 모의수업 후 자기성찰지. 2023. 11. 29.)

    내가 작성한 글에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이 있지만 잘 모르겠을 때, ChatGPT에게 질문을 해서 보다 완성도 높은 내용의 글을 산출한 적이 있었다. 체계적으로 정리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 놀라웠 다. 다른 수업 시간에도 ChatGPT를 활용해서 아동안전에 관한 키워드를 찾아보고 그 키워드를 분류하 는데 사용했는데, 잘 아는 친구가 한 명 옆에서 도와주는 것 같다고 생각했다.

    (예비유아교사 6. 개방형 설문지. 2023. 10. 25.)

    ② 아이디어의 보물창고

    예비유아교사들은 모의수업을 준비하면서 다양한 정보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필요로 한다. 인터 넷을 검색하고, 도서관을 활용해서 필요한 관련 도서를 참고하며, 그룹으로 모의수업이 진행될 경우에 는 여러 차례의 모임를 통해 모의수업을 준비한다. 이 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ChatGPT의 활용은 다양한 접근으로의 제안이 이루어지면서 예비유아교사들의 수고로움을 줄여줄 수 있었다. 그래서 아 직까지 유아교육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은 예비유아교사들은 이를 ChatGPT 활용의 장점으로 인식하 고 제공된 자료를 선택하고 변형하여 사용하고자 하였다. 영유아의 놀이지원은 영유아의 관찰을 바탕 으로 영유아의 발달, 흥미, 관심, 요구, 경험 등에 적합한 놀이 지원이 이루어질 때 의미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ChatGPT는 적절한 자료, 그림책, 교수 방법 등에 대해서 번거로운 인터넷 검색 없이 편리하게 풍성한 아이디어를 제공해주고 있었고, 예비유아교사들은 추후 유아교사가 된 이후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ChatGPT는 적절한 자료, 그림책, 교수 방법 등에 대해서, 번거로운 인터넷 검색 없이 편리하게 풍 성한 아이디어를 제공해주고 있었다.

    현장에 가면 놀이지원이 정말 중요할텐데, ChatGPT를 사용하면서부터는 유아들을 잘 관찰해서 흥미나 관심 등만 잘 파악한다면 ChatGPT을 활용해서 딱 맞는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내가 전혀 생각하지 못한 것도 알려주는데 도움이 돼요.

    (예비유아교사 6. 개별면담. 2023. 11. 06.)

    ChatGPT를 사용하면, 워낙에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니까, 그 중에서 일부를 변현하거나 합쳐서 아 이디어를 만들 수 있을 거 같아요. 다양한 생각을 풍성하게 제공해준다는 점이 저는 가장 좋은 점이에 요. 또 내가 미리 생각한 것들을 (ChatGPT에게) 이야기해도 (ChatGPT가) 의견을 줘서 더 좋은 아이 디어가 만들어 진다는 점도 좋은 거 같아요.

    (예비유아교사 3. 개방형 설문지. 2023. 11. 20.)

    내가 알지 못했던 부분이나 차마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ChatGPT에 물어보면 바로 답이 나오는 게 너무 편리하여 좋았습니다. 특히 동화책 추천을 받을 때 챗지피티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다양한 동화 를 많이 추천해줘서 좋았습니다.

    (예비유아교사 2. 개방형 설문지. 2023. 11. 15.)

    코딩로봇을 그저 조종기로 경주를 하거나 물건 옮기기 놀이만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는데, ChatGPT를 사용하며 조원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미로찾기, 심부름 놀이, 그림그리기 등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중 우리 조는 RC코딩카로 그림을 그리는 활동에 관심이 생겨 이를 아이들에게 놀이로 제공하기 위해 어떤 자료를 제공해야 하는지, 유의점이 무엇인지 등 ChatGP와 함 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놀이를 직접 해보고 하면서 생기는 문제점에 대해 의견을 나누어 보며 놀이에 대해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되었던 것 같다. ChatGPT를 사용하면서 검색을 많이 하지 않아도 좋은 아이디어를 많이 얻을 수 있다는 점과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우리의 선택 의 폭이 넓어졌다는 점이 특히 좋았다.

    (예비유아교사 5. 모의수업 후 자기성찰지. 2023. 12. 04.)

    ③ 순간의 해결사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있어서 모의수업은 수업의 전개, 교재교구 제작, 발달 수준 파악, 상호작용 등 에서 어려움을 느끼며, 준비 과정에도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많은 부담감을 경험하게 된다 (김근혜. 2020;하민경, 김민정, 2024). ChatGPT는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뿐 아니라 요약 정리, 분석, 이미지 제공 등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어서 예비유아교사들의 어려움에 대한 빠른 해결 에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경험을 통해 유아교사로서 앞으로 유아교육현장에 서의 신속한 문제 해결을 기대하고 있었다.

    ChatGPT를 활용하여 여러가지를 물어보고, 더욱 쉽게 코딩로봇에 대해서 알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또한 모르는 지식이나 알지 못했던 지식들을 바로바로 쉽고 빠르게 알 수 있어서 좋았다. 검색을 하면 한참 동안 걸리는 것들이 ChatGPT를 사용하면서는 빨리 해결된다는 점이 ChatGPT의 최고의 장점이라 생각된다.

    (예비유아교사 8. 모의수업 후 자기성찰지. 2023. 12. 04.)

    유아교사는 사실 전부 다 해야하고 다 알아야 하잖아요. 그렇다고 그렇게 깊이있는 지식이 필요한 것까지는 아니지만. 그래서 책을 읽고, 긴 글을 읽고 내가 스스로 정리하고 이런 건 너무 버겁고, 시간도 오래 걸리고. 또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하면서 아이들이 물어보고, 지원해주고 하는 것들을 매번 이렇게 알아보고 공부하고 하기는 어려운데, ChatGPT가 빠르게 궁금한 점을 해결해 준다는 점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아요. 실제로 모의수업을 준비하면서도 도움이 되었어요.

    (예비유아교사 3. 개별면담. 2023. 11. 29.)

    내가 직접 다 찾으면 그 정보가 더 기억에 남고 오래가는 것도 있지만, ChatGPT는 간단명료하면서 도 빠르게 궁금한 점을 해결해주기 때문에. 응답도 빠르게 정리된 텍스트로 주니까. 이래서 유치원에 가서도 쓸거 같아요. 유아가 물어보는데, 한참동안 찾고있기는 좀 그렇잖아요. 바로바로 정리된 대답을 준다는 게 유아교육에서는 도움이 되는 부분일거 같아요.

    (예비유아교사 1. 개별면담. 2023. 11. 22.)

    2) 의존의 그늘

    ① 가끔은 ChatGPT도 실수를

    인공지능 시스템 상의 문제로 데이터 편향, 정보 부족, 문맥 이해 부족 등의 문제로 ChatGPT는 오류 가 발생한다. 예비유아교사들 또한 ChatGPT를 활용하면서 정보의 오류를 발견하기도 하였는데, 이 때문에 곤란한 상황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ChatGPT의 오류를 경험하면서, 비판적 접근의 필요성에 대해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매번 정보가 다 진짜는 아니었어요. 내가 질문을 잘 못해서 그런가 문맥파악도 가끔은 잘 못하고, 정확성이 좀 떨어져요. 한 번은 책에 대해서 물어봤었는데, 완전히 다른 것에 대한 엉뚱한 답을 줘서 조별활동때 이야기했다가 곤란해진 적이 있었어요.

    (예비유아교사 8. 개별면담. 2023. 11. 27.)

    한국 버전이 아니라서 그런지 결과 대부분이 영어권에 관련된 내용이 나왔고, 엉터리 내용도 많이 나와서 너무 의존해서 (ChatGPT를) 사용하면 문제점이 있을 것 같았요.

    (예비유아교사 7. 개별면담. 2023. 11. 22.)

    사실 매번 좋기만 하지는 않았어요. 대부분 학생들도 다 경험해 봤을 것 같은데, 이 정보가 진실일지 거짓일지 판가름 하기가 어려울 때가 종종 있었어요. 저는 정확성 자체가 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스스로 판단해서 (ChatGPT가 주는 정보를) 사용해야 한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어요.

    (예비유아교사 1. 개별면담. 2023. 12. 5.)

    ② ChatGPT가 감춰버린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예비유아교사들은 ChatGPT의 활용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 지나친 의존으로 인한 우려를 인지하기 시작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상황에 따른 깊이 있는 고민을 통해서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을 해야하 는 상황에서조차 ChatGPT에 의존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ChatGPT가 가진 위험성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진지한 고민을 하며 ChatGPT에 대한 신중한 접근과 균형 있는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미래 유아교육현장에서의 ChatGPT의 사용이 유 아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기 시작하였다.

    먼저, 내가 요구하는 것을 깔끔하게 정돈된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어서 편리했다. <중략> 많은 정보 를 습득하는 방면에서는 ChatGPT를 활용하면 좋은 것 같은데, 뭔가 사용하면서 나의 사고력과 창의력 을 방해할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보여주는 정보에 의존해서 과제를 수행하는 모습이 한편으로는 수월 하고 편리했지만, 스스로 생각하고 사고를 펼쳐나가는데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 다. 어느 정도의 사용은 좋지만 제한을 가지고 사용해야 나의 사고력, 창의성 등등 내 자신이 성장할 수 있다고 본다.

    (예비유아교사 6. 모의수업 후 자기성찰지. 2023. 11. 29.)

    ChatGPT의 편리함에 익숙해지면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이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 다. ChatGPT가 제시하는 답변에 의존하게 되어, 상황에 맞는 독창적인 해결책을 더 이상 생각하지 않게 된 것 같다.

    (예비유아교사 3. 개방형 설문지. 2023. 11. 15.)

    ChatGPT 때문에 더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했었는데, 이제는‘ChatGPT’ 없이 내가 이런 생각을 해낼 수 있을까?’하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실제로 자꾸 (ChatGPT를) 사용하게 되면서 의존성이 높아진 거 같다. 의존성이 높아지면서 혼자 힘으로 생각하려고 하지않게 될까봐 걱정이 된다. 그리고 이런 것에 더 익숙하게 될 유아들이 ChatGPT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또 활용하게 될지도 생각해 봐야할 것 같다.

    (예비유아교사 5. 개방형 설문지. 2023. 11. 20.)

    IV.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ChatGPT 활용 수업에 대한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ChatGP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ChatGPT 활용 수업에 참여하면서 ChatGPT로부터의 교육적 도움을 기 대하며, ChatGPT를 교육적 도구로 진지하게 고민하며 활용하고 있었다. 이들은 ChatGPT를 교육적 도구로 활용하기 위해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얻고자 진지하게 고민하며 다양한 질문과 요청으로 대화 를 시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자의 질문에 대한 질적 수준에 따라 ChatGPT의 답변 수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ChatGPT를 교육적 도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질문 생성 능력이 중요하다는 한형종(2023)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ChatGPT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ChatGPT와의 상호작용 관련 내용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김인숙, 2023). 한편, 유아교사육현장에서 질문은 매우 빈번하게 활용되는 교수방법으로(허미애, 2008), 교사의 질문은 유아의 언어적 반응을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유아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최현주, 이지현, 2015). 유아교육현장에서 유능한 유아교사는 유아와의 상호작용 시 유아에게 적절한 질문을 하며, 때로는 유아의 질문에 전부 이야기해주지 않고 호기심을 유도해서 유아의 질문을 유도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은 유아교사의 진 지한 고민을 통해 이루어지며, 예비유아교사의 ChatGPT 활용으로 인한 질문에 대한 고민과 성찰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호기심을 바탕으로 한 ChatGPT의 탐색 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은 낯선 기술에 대한 부담 감도 느끼고 있었지만, 이번 수업 시간을 통해 ChatGPT에 익숙해지고자 노력하는 적극적으로 도전하 고 있었다. 그리고 이는 향후 유아교사가 된 이후에도 ChatGPT로부터의 도움을 얻고자 함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김윤나(2023b)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ChatGPT 활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에서 ChatGPT 에 대한 초기 경험에서 유아교사들은 심리적 거리감과 두려움을 느꼈으나, 이에 대한 극복한 후에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86%의 유아교사가 ChatGPT 활 용 경험은 없으나, 향후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의향은 모든 연령대에서 평균 3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ChatGPT 활용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확인한 김윤나(2023a)의 연구 결과와도 유사한 맥락으로 이 해할 수 있다. 이는 유아교사들도 처음에는 낯선 기술인 ChatGPT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교육적인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비교적 긍정적인 교육적 활용 의향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ChatGPT와의 만남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ChatGPT에 대한 교육적 시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 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인공지능과 관련된 교육정책의 방향에 따라, 예비유아교사 때부 터 체계적인 ChatGPT 활용 교육으로 부담감, 거부감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갖지 않고 접근할 수 있도 록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김윤나, 2023b). 강혜경 외(2023)의 연구에 따르면, 현장 교사의 88.7% 는 ChatGPT에 대한 교육 연수를 희망하고 있으나, 필요한 연수가 충분히 개설되지 않고 있다고 보고 하고 있다. 이에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이해도, 인식 등의 개인차를 고려한 다양한 교육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ChatGPT 활용 수업에 참여하면서 지식과 정보를 얻기 위한 ChatGPT 의 활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수업 시간과 모의수업 준비과정에서 ChatGPT로 부터 많은 아이디어를 얻은 후, 이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선택과 변형을 통해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 어 내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ChatGPT는 이미 예비유아교사들의 새로운 파트너가 되어 가고 있었다. 이는 하브루타 수업에 ChatGPT를 활용한 다양한 정보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선별하는 과정이 이루어졌다는 유준호, 조해연(2024)의 연구와 맥을 같이한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이 비판적 사고를 통해 ChatGPT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부분으로 볼 수 있으며, ChatGPT 활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또 ChatGPT는 정보의 신속한 제공뿐 아니라 요약 정리, 분석, 이미지 제공 등의 기능 덕분에 예비유아교사들은 신속한 문제 해결에 대한 도움을 받고 있었다. 문제 해결, 자료처리, 정보 제공 등에 대한 ChatGPT의 신속성(김윤 나, 2023a; 김인숙, 2023)은 예비유아교사로서의 학습과 이후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예비유아교사들은 앞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도 ChatGPT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들은 ChatGPT의 오류를 만나며 곤란한 상황을 경험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상황을 통해 비판적 접근의 필요성도 인식하였다. 이 같은 경험은 다양한 연구에서도 나타났다(김윤나 b;신선애, 김지원, 신서경, 2024;Tlili et al., 2023). 물론 ChatGPT는 지금도 기술적인 부분에서 발전되고 있으며, 문제점들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ChatGPT뿐 아니라 어떠한 경로로 도 정보를 비판적 사고 없이 받아들일 경우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뒤따른다. 따라서 AI에 대한 이해와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윤리적 문제까지 판단하는 인공지능 리터러시(Long & Magerko, 2020), 디지털 환경에서 얻은 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은 필요하다. 또 예비유 아교사들은 ChatGPT에 대한 지나친 의존으로 인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이 상실되고 있는 점에 대한 우려를 인지하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미래 유아교육현장에서의 ChatGPT가 유아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생각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ChatGPT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예비유 아교사의 ChatGPT 활용 수업에 대한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여 교육적 활용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8명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참여 기간이 15주 로 제한적이었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연구 계획을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참여자를 대상으 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질 필요가 있겠다. 또 본 연구는 개방형 설문지, 개별면담, 모의수업 자기 성찰지만을 활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자료의 수집을 바탕으로 다각적 인 접근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Figures

    Tables

    ChatGPT 활용 수업 경험에 관한 범주

    References

    1. 강혜경, 김일라, 박건휘, 송은아, 김대권 ( 2023). ChatGPT 활용 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연구. 학 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9), 567-580.
    2. 고선 ( 2024). ChatGPT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계획안 작성 과정과 경험 탐색. 열린유아교 육연구, 29(5), 315-337.
    3. 교육부 ( 2021). 미래교육을 위한 에듀테크 활성화 방안. 교육부.
    4. 교육부 ( 2022).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교육부.
    5. 교육부 ( 2023). 디지털 교육 전환 추진 계획. 교육부.
    6. 김근혜 ( 2020).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25(2), 53-74.
    7. 김남연, 김명정 ( 2024).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및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요구. 한국 유아교육연구, 26(1), 147-168.
    8. 김다솜 ( 2024).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교육 분야 뉴스 빅데이터에서의 ChatGPT 관련 토픽 분석. 서울 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동환 ( 2023). 유아 인공지능(AI)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8(1), 205-222.
    10. 김윤나 ( 2023a). 유아교사의 챗지피티(ChatGPT) 활용 현황과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 지, 23(8), 252-263.
    11. 김윤나 ( 2023b). 유아교사의 챗지피티(ChatGPT) 활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30(3~4), 185-212.
    12. 김은아 ( 2023). AI로 놀다: chatGPT를 활용한 유아 멀티미디어 놀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95-104.
    13. 김인숙 ( 2023). 대학 창업 교과목 수업에서 ChatGPT 활용 사례. 교육컨설팅코칭연구, 7(4), 81-94.
    14. 서보배 ( 2023. 11. 10). 글로벌 AI 리더들이 전하는 생성형 AI 기술의 전방. 테크튜브.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prospective-of-generative-ai-technologies.html (검색일: 2024. 10. 28).
    15. 손연주, 윤정진 ( 2023). Early Childhood Educators’ Expectations and Anxiety in the ChatGPT Era: Focus Group Interviews.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23(2), 247-250.
    16. 신선애, 김지원, 신서경 ( 2024). ChatGPT 활용 대학 수업 사례연구: 학습자 및 교수자의 경험 탐색. 역량 개발학습연구, 19(3), 119-152.
    17. 유준호, 조해연 ( 2024). ChatGPT를 활용한 하브루타 수업의 효과-예비유아교사 대상 ‘유아교육과정’ 수업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40(4), 85-101.
    18. 이은철 ( 2022). 예비 유아교사들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역량 요인 구성 연구. 기독교교육논총, (72), 183- 203.
    19. 이주영 ( 2023. 12. 14). 네이처 “2023년 과학계 화제 인물에 10인과 챗GPT 선정”.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31214000900017?input=1195m (검색일: 2024. 10. 9).
    20. 장혜지, 소효정 ( 2023). ChatGPT의 교육적 활용 관련 연구동향 및 주제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7(4), 387-401.
    21. 최현주, 이지현 ( 2015). 점심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질문과 유아반응의 추상화수준 분석. 유아교육연구, 35(2), 211-235.
    22. 하민경, 김민정 ( 2024).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영유아교육보육연구, 17(1), 53- 76.
    23. 한형종 ( 2023). ChatGPT의 교육적 활용 고려 요소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9(4), 659-666.
    24. 허미애 ( 2008). 유아교사의 사고성향수준과 질문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이야기나누기시간에서의 언어 를 통한 문제해결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2(2), 233-257.
    25. Holmes, W., Bialik, M., & Fadel, C. ( 2019). Artificial intel ligence in education: Promise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Boston: Center for Curriculum Redesign.
    26. Long, D., & Magerko, B. ( 2020). What is AI literacy? Competencies and design considerations. Proceedings of the 2020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1-16.
    27. Tlili, A., Shehata, B., Adarkwah, M. A., Bozkurt, A., Hickey, D. T., Huang, R., & Agyemang, B. ( 2023). What if the devil is my guardian angel: ChatGPT as a case study of using chatbots in educatio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10(15), 1-24.